KR20070098047A -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047A
KR20070098047A KR1020060029201A KR20060029201A KR20070098047A KR 20070098047 A KR20070098047 A KR 20070098047A KR 1020060029201 A KR1020060029201 A KR 1020060029201A KR 20060029201 A KR20060029201 A KR 20060029201A KR 20070098047 A KR20070098047 A KR 2007009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server
information
produc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82030B1 (en
Inventor
김범승
고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2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030B1/en
Publication of KR2007009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structing a mobile e-marketplace and a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move inconvenience when ordering goods after connection to a phone or the wireless Internet by recognizing a barcode attached to the goods, checking detail information of the goods with an electronic catalog of the barcode database server connected based on the recognized barcode, and ordering the goods. A server connector(201) automatically connects to the barcode database server related to the barcode by recognizing the barcode attached to the goods. 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202)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received from the barcode database server. A user input part(204) receives goods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 information transmitter(203) transmits the goods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atabase server. The barcode database server includes an electronic catalog constructor, 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 and a goods controller. The barcode includes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barcode database server.

Description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TECHNICAL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for establishing a mobile e-marketpl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 카탈로그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atalog providing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휴대 단말기200: mobile terminal

201: 서버 접속부201: server connection

202: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202: electronic catalog provider

203: 정보 전송부203: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04: 사용자 입력부204: user input unit

205: 위치 정보 식별부205: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본 발명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bar code attached to a product and connects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to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the mobile e-market plac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ord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최근, 소비자들은 직접 백화점, 할인마트 등의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직접 보고 구매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서, 텔레비전을 이용한 홈쇼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있다. 또한, 초고속 인터넷 망의 발달로 각 가정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홈쇼핑이 급속히 성장 하고 있다.Recently, consumers have purchased the product through home shopping using a television, free from the stereotype of having to directly visit an offline store such as a department store or a discount mart to see and purchase a product. In addition, home shopping is rapidly growing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which makes it easy to use the Internet in each home.

소비자가 홈쇼핑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ARS 또는 상담원과 직접 전화 통화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었다. 그러나, ARS는 상품 주문에 필요한 이름, 주소, 연락처, 결제 방법을 선택해야 하고, ARS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료를 부담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담원과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동일한 상품을 구매하고자 소비자 가 많아지면 상품 주문을 위해 상담원과의 통화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져 소비자들의 편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When a consumer wants to purchase a product provided by home shopping, he or she can order a desired product through a direct telephone call with an ARS or an agent. However, ARS needs to select a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payment method required for ordering goods,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because it takes a call charge according to ARS call time. In addition, when talking to a counselor on the phone, if more consumers want to purchase the same product, the waiting time for the call with the counselor to order the product becomes longer, which acts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convenience of the consumer.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의 경우,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해야지만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상품을 직접 보지 않고 상품의 이미지만으로 상품을 주문하기 때문에 상품 주문 후 상품이 맘에 들지 않아 반품하는 일이 많다. 반품을 하게 되면 상품을 배송하면서 들게 되는 배송비를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내게 되어 불필요한 지출이 늘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online shopping using a computer, access to an online shopping mall using a wired Internet must be registered,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n order can be ordered. In addition, since the consumer orders the product only by the image of the product without seeing the product directly, the product is not like the product after the order is often returned. If you return goods, the seller or consumer pays the shipping costs incurred while shipping the merchandise.

한편, 이동 통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휴대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모바일 뱅킹, 무선 인터넷, 전자 결제 카드 등의 기능을 휴대 단말기에 내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신용 카드, PC, 교통 카드 등이 없어도 휴대 단말기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has rapidly promoted the popularization of portable terminals, most of the general people now always hav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PDA. Accordingly, portable terminal users want to be provided with more service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user's needs, mobile banking, wireless Internet, electronic payment card and other functions ar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use all functions without the credit card, PC, transportation card,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상품을 주문함으로써, 전화 또는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품을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recognizing a bar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to connect to a predetermined bar code DB server,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 code DB server t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obile e-marketplace that solv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rder a product by accessing a telephone or a wired Internet after confirming detailed information and ordering a product,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직접 확인하고 바코드 DB 서버에서 상기 상품을 주문함으로써,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반품을 줄일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e-marketplace bui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can directly check the goods in the offline store and order the goods in the barcode DB serv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turn of goods sold online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하여 상품을 판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 감소를 방어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is to connect the offline and online to sell the product, it is to be able to prevent the decrease in sales of offline sto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최단거리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Location Based Service),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The aim is to know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located in the shortest dista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a bar cod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to a predetermined bar code DB server associated with the bar code Server connection unit for automatic connection, electronic catalog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predetermined bar code DB serv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An electronic catalog providing unit which transmits to a DB server, receives and provides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and receives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은,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building a mobile e-marketp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 barcod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ssociated with the barcode, the predetermined from the barcode DB server Receiving the electronic catalog, providing the electronic catalog, receiving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ing a predetermined bar code DB serv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o the barcode DB server, receiving and providing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and receiving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for establishing a mobile e-marketpla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코드(110)는 상품을 판매 또는 상품 판매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130)에 자동 접속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은 도서, 의류, 가전, 화장품, 식품 등으로 온/오프라인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일 수 있다.The barcode 110 include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accessing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130 which serves to sell a product or relay a product sale. The merchandise may be any merchandise sold online / offline as books, clothing, home appliances, cosmetics, food, and the like.

휴대 단말기(120)는 바코드(110)와 접촉된 경우, 바코드(110)와 연관된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한다. 휴대 단말기(120)의 이용자는 휴대 단말기(120)를 바코드(110)와 일정 거리 이하로 이동시켜, 휴대 단말기(120)가 바코드(11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20)는 소정의 카메라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110)를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20 is in contact with the barcode 110, the portable terminal 120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ssociated with the barcode 110.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20 moves the portable terminal 120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rcode 11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20 can recognize the barcode 1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amera and recognize the barcode 110 by using the camera.

휴대 단말기(120)는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한다. 상기 전자 카탈로그는 상품별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품별로 상품의 이미지,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가격 등을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상품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 주문, 결제를 수행하면 생성된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The mobile terminal 120 receives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electronic catalog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and for example, provides an image of the produc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price, etc. for each product. The mobile terminal 120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to a user and receives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payment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is generated when the user performs the product order and payment. The mobile terminal 120 transmits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바코드 DB 서버(130)는 소정의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란, 휴대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코드 DB 서버(130)는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등록받고, 상기 등록된 상품별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120)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바코드 DB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하고,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이 배송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Barcode DB server 130 builds an electronic catalog for a given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The mobile e-market 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simply purchase a product using the mobile terminal 120. To this end, the barcode DB server 130 registers a product from a seller who will sell the product, and builds an electronic catalog for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120 with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product. The barcode DB server 130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20 and controls the product to be delivered when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2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purchase a product online using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한다. 휴대 단말기(120)는 바코드(110)를 인식하지 않고도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바로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 식별 정보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예컨대, "LG-LP4900", LP5900, KV5900"으로 상품명 또는 상품 일련번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20)는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20 accesses the barcode DB server 1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The portable terminal 120 can directly access the barcode DB server 13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without recognizing the barcode 110. The mobile terminal 120 receive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product, and may be, for example, a product name or a product serial number as “LG-LP4900”, LP5900, or KV5900.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120 may include a barcode DB server 130. Receives and provides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20)는 소정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 장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현재 휴대 단말기(120)의 위치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매장의 정보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20 iden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mobile terminal 120 receives and provides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sells a product desired by the user and is information of a store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20.

이때, 바코드 DB 서버(130)는 각 위치 정보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고, 휴대 단말기(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12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ords and stores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atabase, and identifies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20. To the mobile terminal 12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200)는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바코드 DB 서버(130)에 자동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201)와,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202)와,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204)와, 및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03)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 단말기(200)는 소정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110)를 인식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server connection unit 201 and a barcode DB server 130 which automatically recognizes a barcod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utomatically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ssociated with the barcode. And 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 202, a user input unit 204 for receiving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n information transmitter 203 for transmitting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a barcode DB server 130. d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amera and recognize the barcode 110 by using the camer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접속부(201)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하고, 사용자 입력부(20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고,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202)는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하고,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 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고, 정보 전송부(203)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nnection unit 201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and the user input unit 204 receiv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Study 202 transmit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eives and provides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03 is the user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and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00)는 소정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 식별부(205)를 더 포함하고, 정보 전송부(203)는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204)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05 for 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 203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eives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 unit 204 provides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301)에서, 바코드 DB 서버(130)는 소정의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상기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해,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등록받고, 상기 등록된 상품별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120)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In step S301, the barcode DB server 130 builds an electronic catalog for building a predetermined mobile e-marketplace. In order to construct the mobile e-marketplace, a product is registered from a seller who will sell the product, and an electronic catalog for providing the registered product-specific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20 is construc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imply purchase a product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단계(S302)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서버 접속부(201)는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110)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바코드 DB 서버(130)에 자동 접속한다. 바코드(110, bar code)는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모양 기호로 조합한 것으로, 컴퓨터가 판독하기 쉽고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바코드(110)는 바코드 DB 서버(130)로 자동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가 기록되어, 상품에 부착된다.In step S302, the server connection unit 201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ognizes a barcode 110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utomatically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ssociated with the barcode. Bar code (110, bar code) is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in black and white bar-shaped symbols, the computer is easy to read and is used to enter data quick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code 110 is recorded URL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is attached to the product.

단계(S303)에서, 바코드 DB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접속을 인지하고,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 카탈로그는 상품별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품별로 상품의 이미지,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가격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00)가 컴퓨터 모니터보다 해상도가 낮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다는 특정이 있으므로 바코드 DB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200)의 특성에 맞게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할 수 있다.In step S303,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electronic catalog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and for example, provides an image of the produc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price, etc.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200 has a lower resolution and a smaller display screen than the computer monitor, the barcode DB server 130 may construct the electronic catalo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단계(S304)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202)는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한다.In step S304, the electronic catalog provider 202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nd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 카탈로그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atalog providing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상품별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카탈로그는 상품 이미지(휴대폰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품명(LG-LP4300), 상품 가격(504,000)와, 상품명(LG-LP4500), 상품 가격(450,000)와 상품명(LP5900, KV5900), 상품 가격(380,000) 등의 핸드폰과 연관된 상품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에서 상품을 확인한 후,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통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확인한 상품을 확인한 후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200 provides an electronic catalog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The electronic catalog corresponds to a product image (mobile phone image), a product name (LG-LP4300), a product price (504,000), a product name (LG-LP4500), a product price (450,000) and a product name (LP5900, KV5900), product price (380,000), including product details associated with the cell phone. The user may order goods after checking the goods in the electronic catalog. That is, the user may order the goods after confirming the goods checked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electronic catalog.

단계(S305)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자 입력부(20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상품의 식별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305, the user input unit 204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name, address, and contact information of a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단계(S306)에서, 바코드 DB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이 배송되도록 제어한다. 바코드 DB 서버(130)는 판매자와 소비자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 주문 정보의 사용자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전달하여 상기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한다.In step S306,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eives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ontrols the product to be delivered. Bar code DB server 130 serves to relay the seller and the consumer, and delivers the user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seller so that the product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하여 상품을 판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 감소를 방어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offline and online to sell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sales of the offline stor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00)는 바코드(110)를 인식하지 않고 바로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directly connect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to order a product without recognizing the barcode 110.

단계(S501)에서, 바코드 DB 서버(130)는 소정의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DB 서버(130)는 위치 정보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한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상호명 등이 포함된 것이다.In step S501, the barcode DB server 130 builds an electronic catalog for building a predetermined mobile e-market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ords and stores offline store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atabase.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includes a location, a company name, and the like, of an offline store selling goods.

단계(S502)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서버 접속부(201)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로부 터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버튼을 클릭받아 바코드 DB 서버(130)를 찾아서 접속하거나, 바코드 DB 서버(130)로 바로 접속하기 위한 모바일 주소(WINC: Wireless Internet Number for Contents)를 입력받아 바코드 DB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다.In step S502, the server connection unit 201 of the mobile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 butt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from the user and finds and connects to a barcode DB server 130, or a mobile address (WINC: Wireless Internet Number) for directly accessing the barcode DB server 130. for Contents) can be connected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단계(S503)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자 입력부(20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상품 식별 정보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명 또는 상품 일련번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식별 정보는 상품의 카테고리(category)일 수 있으며, 예컨대, 침구, 가전, 핸드폰 등으로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20)는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한다.In operation S503, the user input unit 204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product, and may be a product name or a product serial number of one product. Alternatively,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category of a product,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products included in the category, rather than information on one product through bedding, home appliances, mobile phones, and the like. The mobile terminal 120 transmit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단계(S504)에서, 바코드 DB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식별하여 전송한다.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하나의 상품에 대한 식별 정보인 경우, 바코드 DB 서버(130)는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상품의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04, the barcode DB server 130 receive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dentifies and transmits the electronic catalog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ne product, the barcode DB server 130 may generate an electronic catalog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one product, and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category of a product. The electronic catalog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products included in the category.

단계(S505)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바코드 DB 서버(130)로부터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카탈로그 는 도 4에 도시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이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In step S505,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nd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130.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catalog may be illustrated in FIG. 4, or may include a product image,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rice of one product.

단계(S506) 및 단계(S507)는 도 3의 단계(S305) 및 단계(S306)를 동일하게 수행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Steps S506 and S507 are omitted by performing the same steps S305 and S306 of FIG.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00)는 바코드 DB 서버(130)로 접속한 후, 소정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입력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상품을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바코드 DB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and then iden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arcode DB server ( 130).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desired product, an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product to the barcode DB server 13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바코드 DB 서버(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위치 정보가 "서울 강남구 역삼동 679, 핸드폰"인 경우, 상기 핸드폰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rcode DB server 130 identifies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679, Yeoksam-dong, Gangnam-gu, Seoul", the mobile phone 200 may identify offline store information that is closes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ll the mobile phone to the mobile terminal 20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최단거리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알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arcode DB server, whereby offline store information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can be know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 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mobile e-market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상품을 주문함으로써, 전화 또는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품을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code attached to a product is recognized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nd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is received from the barcode DB server. By check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ordering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rder the product by accessing the telephone or wired Intern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직접 확인하고 바코드 DB 서버에서 상기 상품을 주문함으로써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반품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turn of goods sold online by directly checking the goods in the offline store and ordering the goods in the barcode DB server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하여 상품을 판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 감소를 방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offline and online to sell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sales of the offline st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최단거리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알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e-marketplac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identify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located in the shortest distance Offline store information can be seen.

Claims (13)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A server connection unit which recognizes a barcod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utomatically connects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ssociated with the barcode;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 for receiving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to receive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코드 DB 서버는,The barcode DB server, 소정의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하는 전자 카탈로그 구축부;An electronic catalog construction unit for building an electronic catalog for building a predetermined mobile e-marketplace;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 및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catalog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이 배송되도록 제어하는 상품 제어부A product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product to be delivered when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코드는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자동 접속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barcod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barcode DB server.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A server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A user input unit to receiv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부; 및An electronic catalog provider for transmitt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and receiving and providing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And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An information transmitter for receiving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소정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location-based service (LBS),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수신하고,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receives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user input unit,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바코드 DB 서버는,The barcode DB server, 위치 정보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recor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atabase. 소정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단계;Recognizing a barcod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ssociated with the barcode;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받는 단계;Receiv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atalog from the barcode DB server;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Providing the electronic catalog and receiving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Mobile e-marketplace building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바코드 DB 서버는,The barcode DB server, 소정의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상품별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하는 단계;Constructing an electronic catalog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for building a predetermined mobile e-marketplace;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the electronic catalog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이 배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When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controlling the product to be delivered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Mobile e-marketplace buil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바코드는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자동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The barcode is a mobile e-market plac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URL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barcode DB server.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소정의 바코드 DB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Accessing a predetermined barcode DB serv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상기 상품 식별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자 카탈로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Receiving and providing an electronic catalog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And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품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Receiving predetermined product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o the barcode DB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Mobile e-marketplace building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소정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rcode DB server; And 상기 바코드 DB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 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Receiving and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DB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Mobile e-marketplace building method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바코드 DB 서버는,The barcode DB server, 위치 정보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recor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database.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2 is recorded.
KR1020060029201A 2006-03-30 2006-03-30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782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01A KR100782030B1 (en) 2006-03-30 2006-03-30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01A KR100782030B1 (en) 2006-03-30 2006-03-30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47A true KR20070098047A (en) 2007-10-05
KR100782030B1 KR100782030B1 (en) 2007-12-04

Family

ID=3880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01A KR100782030B1 (en) 2006-03-30 2006-03-30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0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26A1 (en) * 2013-05-24 2014-11-27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Goods orde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541B1 (en) 2018-05-16 2020-07-28 (주)드림에너지 Solar photovoltaic device equipment considering advertisement and strong wind safe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47A (en) * 2001-01-27 2002-08-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oods information searching and goods purchase method using Bar code information
KR20030061019A (en) * 2002-01-07 2003-07-18 에스케이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Price Information Through Mobile
KR20040081890A (en) * 2003-03-17 2004-09-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An Apparatus For Providing Web Shopping Using Code Pattern And Method Thereof
KR100736268B1 (en) * 2004-03-19 2007-07-06 이근우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atalog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26A1 (en) * 2013-05-24 2014-11-27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Goods orde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030B1 (en)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8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Store Purchases Using Mobile Devices
US9805405B2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JP2008538463A (en) Integrated mobile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gateway
US20210383446A1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KR20130000072A (en) System for paying on/offline using nfc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130030863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firming a purchase using a user terminal
KR101632958B1 (en) Method and server for placing an order simply
KR1012415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ystem for goods information inquiry and goods purchase comprising the same
JP2012048528A (en) Purchase support system
KR100782029B1 (en) Method for purchasing commodity using barcod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789922B1 (en) Trade method between using message application
KR10078203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obile e-marketplace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500204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KR101737810B1 (en) Payment ser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online payment information thereof
KR101558067B1 (en) Management systems for products using the QR code and bar code of origin and method thereof
KR20090022083A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ing cooperative purchase and reverse auction
JP2007241508A (en) Actual store affiliate system
KR101505032B1 (en) Electronic commerce management server using url, and method thereof
JP4083095B2 (en) Catalog product ordering method, catalog product ordering method, and ordering system
KR101309431B1 (en) Method for ordering and checking out polysyntheyically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276787B1 (en) Method for serving a mobile coupon and an open market based on nfc
KR1022790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Online Sales
KR100571547B1 (en) Device for purchasing goods sold in the shopping mall
JP6334829B2 (en) Electronic money system,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20027478A (en) The method of processing client waiting using wired telephone and/or web based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