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278A -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278A
KR20070097278A KR1020060071767A KR20060071767A KR20070097278A KR 20070097278 A KR20070097278 A KR 20070097278A KR 1020060071767 A KR1020060071767 A KR 1020060071767A KR 20060071767 A KR20060071767 A KR 20060071767A KR 20070097278 A KR20070097278 A KR 2007009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mulative
path
request packet
rou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228B1 (ko
Inventor
이성환
김철기
마중수
장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228B1/ko
Priority to US11/637,680 priority patent/US7975069B2/en
Publication of KR2007009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0Hop count for routing purposes, e.g. TT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단말 장치는 수신된 제1 경로요청(Route Request : RREQ)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 경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소스 노드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경로 결정값을 사용하여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함에 따라 적절한 소모 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패킷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소모전력, 애드 혹 네트워크, 파워 컨트롤, 패킷지연

Description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Routing method considering power and delay in wireless ad hoc network and the same device}
도 1은 종래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함으로써 소모 전력 및 패킷 지연을 모두 줄일 수 있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소모를 고려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는 이동성을 가진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로서,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공간상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자신이 인식할 수 있는 반경 안의 모든 기기들과 일대일, 일대다, 다대다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최근 들어,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기술은 홈 네트워킹, 센서 네트워크, 개인 영역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적용되고 있으며, 차세대 네트워킹 방식의 하나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각 노드들은 제한된 전송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통신하고자 하는 목적지가 전송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 노드의 전송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노드들이 패킷 릴레이(Packet Relay)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스 노드 A 는 목적지 노드 E 와 통신하기 위하여 노드 B, C 및 D를 이용한다. 이 경우, 소스 노드 A 와 목적지 노드 E 간에 어떠한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소스 노드 A는 송신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RREQ(Route Request)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노드 C는 소스 노드 A로부터 RREQ를 수신하고, RREQ를 브로드캐스트 하는데 필요한 송신전력과 소스 노드 A로부터 수신된 RREQ에 포함된 송신전력을 누적한 누적전력을 계산한다.
이어, 노드 C는 누적 전력 및 RREQ를 브로드캐스트 하는데 필요한 송신전력 정보를 RREQ에 함께 실어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목적지 노드 E까지 RREQ가 수신되면, 노드 E는 수신된 RREQ에 포함된 누적전력이 최소인 RREQ를 선택하고, 선택된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
그런데, 종래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고려 경로 설정 방법은 누적전력을 고려하여 누적전력이 최소가 되는 노드들을 중계노드로 설정함에 따라 중계노드의 수가 증가할수록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경로 길이의 증가로 인해 패킷 지연이 발생하여 QoS(Quality of Service)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패킷 전송 시 소모되는 전력과 패킷 지연 간의 적절한 트레이드-오프가 지원되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모 전력 및 패킷 지연을 모두 고려하여 소모 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줄일 수 있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수신된 제1 경로요청(Route Request : RREQ)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스 노드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은,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제1 누적홉수, 및 제1 누적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로결정값은,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로결정값은,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홉 수로 기설정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제1 누적홉수를 포함하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전력과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을 비교하고, 제어부는, 비교결과에 따라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고,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전력을 포함하는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부는, 제2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판단부에서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거나,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경로응답 패킷(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는 송수신부, 및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를 하나 증가함으로써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에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을 합함으로써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는, 계산부에서 계산된 제1 누적전력, 제1 누적홉수 및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부가하고,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고, 송수신부는, 판단부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 가능하고, 계산부는, 판단부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누적전력 및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 동안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 가능하다. 이때, 판단부는,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각각에 포함된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기초로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 중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는, 선택된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중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경로요청 패킷을 선별하고, 선별된 경로요청 패킷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경로요청 패킷을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로 설정 방법은, 수신된 제1 경로요청(Route Request : RREQ)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스 노드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은,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제1 누적홉수, 및 제1 누적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로결정값은,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로결정값은,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홉 수로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정단계는, 판단단계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제1 누적홉수를 포함하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정단계는, 판단단계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단계는,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전력과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을 비교 가능하고, 설정단계는, 비교결과에 따라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단계는,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단계는, 판단단계에서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전력을 포함하는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단계는,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단계는, 제2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 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정단계는, 판단단계에서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거나,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경로응답 패킷(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단계를 통해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를 하나 증가함으로써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고,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에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을 합함으로써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 가능하다.
이때, 설정단계는,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제1 누적전력, 제1 누적홉수 및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부가하고,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측정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단계는,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고, 측정단계는, 판단단계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계산단계는, 판단단계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 되면, 제1 누적전력 및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 동안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가능하고, 판단단계는,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각각에 포함된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기초로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 중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을 선택 가능하다. 이때, 설정단계는, 선택된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로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단계는,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중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경로요청 패킷을 선별하고, 선별된 경로요청 패킷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경로요청 패킷을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단말장치는 송수신부(110), 판단부(120), 계산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0)는 RREQ(Route Request)를 수신하고, RREQ에 대한 응답 패킷인 RREP(Route Reply)를 전송한다. 송수신부(110)는 후술될 판단부(120)에서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RREQ에 소정정보가 부가된 RREQ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RREQ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여기서, 송신전력 정보에는, 송수신부(100)에서 측정된 송신전력, 누적홉수, 및 누적전력이 포함된다. 누적홉수 및 누적전력은 후술할 계산부(13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판단부(12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1 RREQ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를 기초로 제1 RREQ를 수신한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수신된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경로결정값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한 값으로,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값이다.
또한, 판단부(120)는 후술될 제어부(140)에서 소스 노드로의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수신된 제2 RREQ 패킷이 단말장치(100)를 목적지 노드로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RREQ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 설정값을 비교하고, 제2 누적전력과 경로 설정 시 이용된 제1 누적전력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이상으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지 여부 를 판단한다.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120)는 판단결과를 후술될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계산부(130)는 판단부(120)에서 단말장치(100)가 수신된 제1 RREQ에 대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 단말장치(100)가 중계노드로 판단되면, 계산부(130)는 제1 RREQ에 포함된 송신전력 정보에 부가된 제1 누적전력에 송수신부(110)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을 합함으로써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한다.
또한, 계산부(130)는 판단부(120)에서 단말장치(100)가 수신된 제1 RREQ에 대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를 하나 증가시킴으로써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한다.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 및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에서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판단부(120)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1 RREQ를 폐기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에서 제2 누적홉수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고,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2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 정한다. 즉, 제어부(140)는 제2 RREQ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제1 누적전력은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 설정시 이용된 제1 RREQ에 포함되고, 제2 누적전력은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RREQ에 포함된다.
또한, 판단부(120)에서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과 동일하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판단부(120)에서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지만 제2 누적홉수가 제1누적홉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제2 RREQ를 폐기한다.
또한, 판단부(120)에서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2 RREQ를 폐기한다. 즉, 제1 RREQ에 의해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서, 제2 RREQ는 단말장치(100)를 목적지 노드로 하는 패킷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에서 단말장치(100)가 수신된 제1 RREQ의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송수신부(110)에서 측정된 송신전력,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제1 누적전력 및 제1 누적홉수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제1 RREQ에 부가하고, 소정의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제1 RREQ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1 RREQ에 단말장치(100)의 주소를 함께 부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수신 부(110)에 수신된 제2 RREQ는 단말장치(100)를 목적지 노드로 하는 패킷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장치(100)가 제2 RREQ의 목적지 노드가 아닌 중계노드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2 RREQ에 대해서도 제1 RREQ와 마찬가지로 송신전력 정보를 부가하고,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제2 RREQ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에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경우, 송수신부(110)는 기설정된 대기시간동안 RREQ를 수신가능하다.
이때, 판단부(120)는 수신된 복수의 RREQ들 각각의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복수의 RREQ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RREQ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에서 선택된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장치(100)가 제1 RREQ(Route Request)를 수신하면(S310), 판단부(120)는 단말장치(100)가 수신된 제1 RREQ의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5).
이어, 단말장치(100)가 제1 RREQ의 목적지 노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판단 한다(S320). 이때, 제1 누적홉수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20:N), 제어부(140)는 제1 RREQ를 폐기한다(S365).
여기서, 경로결정값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한 값으로,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값이다. 즉, 경로 결정값은 송신 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최소로 하는 최적의 홉 수가 된다.
그리고, 판단부(120)에서 제1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1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Route Reply)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S325).
이어, 소느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송수신부(110)에서 제2 RREQ를 수신하면, 판단부(120)는 제2 RREQ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제2 누적전력과 경로 설정 시 이용된 제1 누적전력을 비교한다(S330).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5). 여기서, 누적홉수는 RREQ가 소스노드에서 브로트캐스트 된 이후에 목적지노드로 수신될 때까지 누적된 홉 수로, 제1 누적홉수는 제1 RREQ가 단말장치(100)로 수신될 때까지 누적된 홉 수이고, 제2 누적홉수는 제2 RREQ가 단말장치(100)로 수신될 때까지 누적된 홉 수이다.
그리고,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부(120)는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이어,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누적전력을 포함하는 제2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재설정한다(S345).
즉, 제어부(140)는 제1 RREQ에 의해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제2 RREQ에 의해 설정된 라우팅 경로로 대체함으로써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제2 누적홉수가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35:N), 제어부(140)는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RREQ를 폐기한다(S360).
한편, S340단계에서, 제2 누적전력이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40:N, S350:N),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2 RREQ를 폐기한다(S360).
이어, 제2 누적전력과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S340:N, S50:Y), 판단부(120)는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5).
그리고,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미만으로 판단되면(S355:Y), 제어부(140)는 제2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라우팅 경로를 재설정한다(S345). 이때, 제2 누적홉수가 제1 누적홉수 이상으로 판단되면(S355:N),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2 RREQ를 폐기한다(S360).
다른 한편, 단말장치(100)가 제1 RREQ의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315:N), 송수신부(110)는 소정정보가 부가된 제1 RREQ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한다(S370).
이어, 계산부(130)는 수신된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에 측정된 송신 전력을 합함으로써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하고,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를 하나 증가시킴으로써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다(S375).
즉, 단말장치(100)가 중계노드인 경우, 계산부(130)는 송수신부(110)에서 측정된 송신전력에 제1 RREQ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을 합함으로써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제1 누적전력, 제1 누적홉수, 측정된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제1 RREQ에 부가하고, 송수신부(110)는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제1 RREQ를 브로드캐스트한다(S380).
한편, S325단계에서, RREP를 수신한 중계노드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누적홉수 및 누적전력을 이용하여 누적홉수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 노드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가되는 노드로 RREP를 전송하고, 이와 동일한 과정을 소스 노드 이전의 중계노드까지 반복함으로써 목적지 노드에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가 설정가능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S330단계에서 수신된 제2 RREQ는 단말장치(100)를 목적지 노드로 하는 패킷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장치(100)가 제2 RREQ의 목적지 노드가 아닌 중계노드인 경우, S370 내지 S380 단계를 수행 가능하다.
지금까지,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인 경우에 수신된 RREQ에 대한 RREP를 모두 전송함으로써 목적지 노드에서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송수신부(110)는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 동안 RREQ를 수신한다(S410).
이어, 판단부(120)는 대기시간 동안 수신된 RREQ들 각각의 누적 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한다(S420).
그리고, 판단부(120)는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RREQ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RREQ를 선택한다(S430).
구체적으로, 누적전력이 최소인 RREQ를 선택하는 방법은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누적홉수 누적전력
제1 RREQ 5 20
제2 RREQ 3 20
제3 RREQ 5 15
제4 RREQ 6 15
표 1을 참조하면, 송수신부(110)에서 대기시간 동안 단말장치(100)를 목적지 노드로 하는 4개의 RREQ를 수신하고, 경로설정값이 5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 S420단계에서 판단부(120)는 대기시간 동안 수신된 제1 RREQ 내지 제4 RREQ에 포함된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S430단계에서 판단부(120)는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제1 내지 제3 RREQ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RREQ를 선택한다. 즉, 판단부(120)는 제1 내지 제3 RREQ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제3 RREQ를 선택한다.
이어, 제어부(140)는 판단부(120)에서 선택된 RREQ를 전송한 노드로 RREP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S440). 이때, 제어부(140)는 S410단계에서 대기시간 동안 수신된 RREQ 중 S430단계에서 선택된 RREQ를 제외한 패킷들은 모두 폐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인 경우에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단부(120)에서 단말장치(100)가 S410단계에서 수신된 RREQ에 대한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장치(100)가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가 중계노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S360 내지 S370단계를 수행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차례의 제1 대기시간동안 수신된 복수의 RREQ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S330 내지 S36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대기시간 이후의 제2 대기시간동안 수신된 복수의 RREQ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기시간 및 제2 대기시간은 동일하게 기설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 의 홉 수를 제한하는 경로 결정값을 사용하여 소스 노드로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함에 따라 적절한 소모 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패킷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8)

  1. 수신된 제1 경로요청(Route Request : RREQ)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스 노드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은, 상기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상기 제1 누적홉수, 및 제1 누적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결정값은,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결정값은,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홉 수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누적홉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상기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전력과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누적전력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누적전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2 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경로응답 패킷(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누 적홉수를 하나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에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상기 송신전력을 합함으로써 상기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제1 누적전력, 상기 제1 누적홉수 및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상기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부가하고, 상기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수신된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누적전력 및 상기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 동안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상기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각각에 포함된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 중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중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경로요청 패킷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경로요청 패킷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경로요청 패킷을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수신된 제1 경로요청(Route Request : RREQ)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홉수(acumulative hop count)와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홉 수를 제한하는 기설정된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스 노드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은, 상기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상기 제1 누적홉수, 및 제1 누적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결정값은,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 및 소스 노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길이(route length)를 고려하여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결정값은,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절감하면서 패킷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홉 수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누적홉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제1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 이후에 수신된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상기 경로결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2 누적전력과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누적전력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경로 설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누적전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2 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제2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한 노드로 상 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경로결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 누적전력이 상기 제1 누적전력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2 누적전력과 상기 제1 누적전력이 동일하고 상기 제2 누적홉수가 상기 제1 누적홉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경로요청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인 경로응답 패킷(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단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누적홉수를 하나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고,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포함된 제1 누적전력에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송신전력을 합함으로써 상기 제1 누적전력을 재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제1 누적전력, 상기 제1 누적홉수 및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송신전력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정보를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부가하고, 상기 송신전력 정보가 부가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상기 측정단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수신된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목적지 노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경로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계산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목적지 노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누적전력 및 상기 제1 누적홉수를 재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대기시간(Waiting time) 동안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을 송수신하고, 상기 경로요청 패킷에 대한 경로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각각에 포함된 누적홉수와 기설정된 경로결정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 중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을 선택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선택된 상기 경로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로 상기 경로응답 패킷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복수의 경로요청 패킷들 중 상기 경로결정값 이하의 누적홉수를 갖는 경로요청 패킷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경로요청 패킷들 중 누적전력이 최소인 경로요청 패킷을 상기 라우팅 경로 설정에 이용될 경로요청 패킷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KR1020060071767A 2006-03-28 2006-07-28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KR10081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67A KR100818228B1 (ko) 2006-03-28 2006-07-28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US11/637,680 US7975069B2 (en) 2006-03-28 2006-12-13 Rout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power and transmission delay in wireless ad hoc network and terminal device ado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638306P 2006-03-28 2006-03-28
US60/786,383 2006-03-28
KR1020060071767A KR100818228B1 (ko) 2006-03-28 2006-07-28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78A true KR20070097278A (ko) 2007-10-04
KR100818228B1 KR100818228B1 (ko) 2008-04-01

Family

ID=3892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67A KR100818228B1 (ko) 2006-03-28 2006-07-28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75069B2 (ko)
KR (1) KR1008182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27B1 (ko) * 2008-12-23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확장 라우터광고 및 라우터요청 메시지를 이용한 주소 설정방법
KR101104585B1 (ko) * 2008-11-12 2012-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교차 계층 기반의 라우팅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376949B1 (ko) * 2012-04-20 2014-03-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자파 회피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160062381A (ko) * 2014-11-25 2016-06-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라디오 노드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멀티 라디오 노드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시스템
WO2016175640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61902A (ko) * 2021-05-31 2022-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항공기 시스템에서 경로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리아푸노프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28B1 (ko) * 2006-03-28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KR100932914B1 (ko) * 2007-12-07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090091432A (ko) * 2008-02-25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선택 절차 및 이를 위한 경로요청 프레임 포맷
KR100970385B1 (ko) * 2008-06-09 2010-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의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US8392737B2 (en) * 2009-06-17 2013-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JP5560941B2 (ja) * 2009-11-17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2484678B (zh) * 2010-08-20 2017-03-0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接收显示装置、信息发送装置、光无线通信系统、接收显示用集成电路、信息发送用集成电路、接收显示程序、信息发送程序及光无线通信方法
WO2011116725A2 (zh) * 2011-04-29 2011-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时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US20140185617A1 (en) * 2011-12-20 2014-07-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limit transmission of data to a localized area in an ipv6 network
JP6497726B2 (ja) * 2014-03-14 2019-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8109514B4 (de) 2017-04-21 2023-06-01 Mediatek Inc. Einrichten einer symmetrischen Route mit bidirektionalen Verbindungen für Drahtlos-Maschennetzwerke
US20190246300A1 (en) * 2018-02-05 2019-08-08 Mediatek Inc. Communication link checking method
WO2020081207A1 (en) * 2018-10-19 2020-04-23 Carrier Corporation Energy-balanced and latency-constrained routing methods in wireless network
EP3884709A1 (en) 2018-11-20 2021-09-29 Carrier Corporation Robust multipath routing methods in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897B2 (en) * 2002-02-22 2008-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ross-layer integrated collision free path routing
US6904021B2 (en) * 2002-03-15 2005-06-07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control of transmit power and data rate in an ad-hoc communication network
US7522537B2 (en) * 2003-01-13 2009-04-21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vity between an intelligent access point and nodes in a wireless network
KR100621369B1 (ko) * 2003-07-14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571910B1 (ko) * 2003-07-15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점대점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통신망에서QoS를 제공하는 방법 및 QoS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
GB0317372D0 (en) * 2003-07-25 2003-08-27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 Rout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20050036486A1 (en) * 2003-08-12 2005-02-17 Zafer Sahinoglu Route discovery in ad-hoc networks with data packets
US7414977B2 (en) * 2003-11-25 2008-08-1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ower and delay sensitive ad-hoc communication networks
JP4569328B2 (ja) * 2004-03-18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100686973B1 (ko) * 2004-07-06 2007-02-27 한국과학기술원 전력 제어가 가능한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저전력라우팅을 위한 최적 프로토콜 설계 방법
KR100830364B1 (ko) * 2004-07-07 2008-05-21 메시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에서 안정된 경로들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100626687B1 (ko) * 2004-10-08 2006-09-21 한국과학기술원 멀티홉 무선망에서의 저전력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US7408911B2 (en) * 2004-11-08 2008-08-05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to decrease the route convergence time and find optimal rout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717342B2 (en) * 2005-08-26 2010-05-18 Hand Held Products, Inc. Data collection device having dynamic access to multiple wireless networks
KR100818228B1 (ko) * 2006-03-28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US7894408B2 (en) * 2006-05-12 2011-02-22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oxying error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CA2662362C (en) * 2006-09-15 2016-05-17 S & C Electric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13158B1 (ko) * 2006-09-26 2012-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기반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85B1 (ko) * 2008-11-12 2012-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교차 계층 기반의 라우팅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42427B1 (ko) * 2008-12-23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확장 라우터광고 및 라우터요청 메시지를 이용한 주소 설정방법
KR101376949B1 (ko) * 2012-04-20 2014-03-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자파 회피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160062381A (ko) * 2014-11-25 2016-06-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라디오 노드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멀티 라디오 노드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시스템
WO2016175640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97850B2 (en) 2015-04-30 2019-08-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esh network using bluetooth
KR20220161902A (ko) * 2021-05-31 2022-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항공기 시스템에서 경로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리아푸노프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5069B2 (en) 2011-07-05
US20080010385A1 (en) 2008-01-10
KR100818228B1 (ko)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228B1 (ko)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파워 및 전송지연을 고려한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KR100703372B1 (ko) 이동 애드혹 망에서 총 연결 비용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8243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US8432820B2 (en) Radio and bandwidth aware routing metric for multi-radio multi-channel multi-hop wireless networks
KR2007003271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주문형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을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7161A (ko)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최적의 다중 홉 Hybrid V-MIMO 전송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팅 방법 및 장치
JP2009225125A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831006B (zh) 自组网系统及其数据传输方法
Ahmad et al. Efficient AODV routing based on traffic load and mobility of node in MANET
JP5252978B2 (ja) 経路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1006022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Lee et al. Cluster label-based ZigBee routing protocol with high scalability
CN104053208B (zh) 无线自组网中基于信道分配的路由方法、装置
KR10066468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점진적 패킷 포워딩 경로 결정 방법
KR100941159B1 (ko) 경로 캐쉬 정보를 이용한 로드 밸런싱 방법
WO2014185768A1 (en) A method of spectrum aware routing in a mesh network and a system derived thereof
US20080089315A1 (en) Adaptive route time-out for dynamic multi-hop networks
Ghannay et al. Comparison of proposed path selection protocols for IEEE 802.11 s WLAN mesh networks
KR100688242B1 (ko) 분산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라우팅 방법
KR20100003527A (ko)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방송 방법
Kwon et al. QoS routing algorithm consuming minimum overall timeslots for video streaming over MANET
Santhiya et al. Dynamic reliable multipath routing protocol for MANET
Singh et al. Optimization in route discovery delay for integrated manet with internet using extended aodv
Jianwu et al. MANET Routing Protocol for improving Routing discovery based on AODV
KR10143007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긴급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