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180A -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180A
KR20070097180A KR1020060028030A KR20060028030A KR20070097180A KR 20070097180 A KR20070097180 A KR 20070097180A KR 1020060028030 A KR1020060028030 A KR 1020060028030A KR 20060028030 A KR20060028030 A KR 20060028030A KR 20070097180 A KR20070097180 A KR 20070097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glass
panel
disp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611B1 (ko
Inventor
이영구
전영태
기인서
심홍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11B1/ko
Priority to US11/501,579 priority patent/US7948174B2/en
Publication of KR2007009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음매의 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이 개시된다. 개시된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은, 기판과, 그 기판 상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소자와,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면서 기판에 부착된 글라스를 구비하며,기판과 글라스의 부착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있는 지점 사이의 임의 위치에 그 기판과 글라스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은, 패널이 연결되는 이음매의 폭을 안전하게 줄일 수 있게 해줌으로써, 두 화면에 걸치는 화상이 매우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고품질 멀티 화면을 구현하게 해준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Panel for multi-display}
도 1은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기판 111...단차
120...디스플레이 소자 130...글라스
140...접착제 150...패시베이션 층
160...격벽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음매의 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대화면을 구현한 장치를 말한다. 초기에는 전시용 대형 TV 등과 같이 브라운관을 여러 개 연결하여 대화면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소형 휴대 장치에서도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대화면을 구현한 장치가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패널(10)들을 연결해서 만들어진다. 두 패널(10)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도 있고, 힌지를 이용한 접이식 연결방법도 있다. 여기서는 힌지(미도시)에 의한 결합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위 패널(10)을 연결할 때 두 패널 간의 이음매 폭(w)이 너무 넓으면, 화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그 이음매 부분에서 화상이 심하게 끊어진 느낌을 줄 수 있다. 즉,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위에 디스플레이 소자(12)를 장착하고 그 위에 글라스(13)를 접착제(14)로 붙여서 밀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글라스(13)의 테두리 두께(t)가 약 1mm 정도 되므로, 두 패널을 연결하면 이음매의 폭(w)이 최소 2mm가 된다. 통상적으로 화면간의 연결부 폭이 0.5mm 이하가 되어야 화상이 아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반면 1.0mm 이상이 되면 화상이 매우 부자연스럽고 어색하게 보인다고 알려진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이음매의 조건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글라스(13)의 테두리 두께(t)를 줄이면, 약간의 가공 오차만으로도 틈새가 생겨서 습기가 침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라스(13)를 접착제(14)로 기판(11)에 붙일 때 접착제(14)가 디스플레이 소자(12) 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화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음매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연스러운 화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이음매의 폭을 줄이면서도 습기 침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그 기판 상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에 부착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글라스의 부착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있는 지점 사이의 임의 위치에, 그 기판과 글라스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덮은 패시베이션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Al2O3, SiO2, PVA(poly vinyl acetates), PA(photo Acryl), PI(polyimide) 중 선택된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 지점의 안쪽에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LCD, FED, OLED, PDP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가 형성된 부분끼리 연결되어 멀티 화면을 이루며, 연결된 이음매의 폭은 0.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100)을 도시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개의 패널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해서 만들 수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단위 패널(100)만 접착이 아닌 힌지(미도시)로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120)는 간략화해서 도시하기로 한다.
먼저, 각 단위 패널(100)은 기판(110) 위에 화상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120)가 적층되고, 글라스(130)가 접착제(140)를 매개로 기판(11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소자(120)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향발광 타입이라면 디스플레이 소자(120)가 만들어낸 영상이 글라스(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하향발광 타입이라면 기판(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이러한 단위 패널(100) 두 개가 예컨대 힌지(미도시)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되어 멀티 화면을 이루게 되는데, 그 연결이 이루어지는 이음매의 폭(w)은 도 2b와 같이 0.3mm 정도에 불과하게 된다. 이 정도의 폭이면 두 단위 화면에 걸쳐지는 화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물론, 무조건 이렇게 이음매의 폭(w)을 줄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습기나 접착제(140)의 침투에 의해 불량 소자가 생길 위험이 크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과 글라스(130)의 부착 지점 안쪽에 단차(111)를 만들어서 그와 같은 위험을 억제하고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제(140)에 의해 기판(110)과 글라스(130)가 부착된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20)가 있는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에 단차(111)를 만들어서 기판(110)과 글라스(130)가 겹쳐지도록 만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부착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소자(120)가 있는 곳까지 통하는 경로가 굴곡된 경로로 형성되기 때문에, 혹시 외부에서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쉽게 소자(120)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또한, 글라스(130) 접착 과정에서 접착제가 안으로 밀려들어가더라도 상기 단차(111)에 의해 겹쳐진 부위에 부딪히기 때문에, 소자(120) 쪽까지 밀려들어가기 어렵게 된 다. 따라서, 이음매의 폭(w)을 대폭 줄이더라도 습기나 접착제 침투에 의한 소자(120) 열화의 문제를 이러한 단차(111) 구조로 해소할 수 있게 되어, 이음매의 폭(w)을 안심하고 좁힐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단차(111) 구조로 좁힌 변끼리 붙이거나 또는 힌지결합해서 접이식으로 만들면, 그 이음매가 상기와 같이 0.3mm 정도의 수준이 되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럽게 화상이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 소자(120) 위에 패시베이션(passivation) 층(150)을 덮어서 소자(120)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즉, 기본적으로 기판(110)과 글라스(130)에 단차(111)를 만들어서 겹치게 하여 습기나 접착제의 침투를 막아주고, 거기에 더하여 소자(120)를 아예 패시베이션 층(150)으로 덮어서 안정성을 더욱 높여준 것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이음매의 폭(w)을 0.3mm 수준으로 안심하고 줄일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50)의 재질로는 Al2O3, SiO2, PVA(poly vinyl acetates), PA(photo Acryl), PI(polyimide)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제1,2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기판(110)과 글라스(130)에 단차(111)를 겹치게 만들어서 습기나 접착제의 침투를 막아주고, 거기에 더하여 단차(111) 안쪽에 격벽(160)을 세워서 습기나 접착제의 침투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여준 것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이음매의 폭(w)을 0.3mm 수준으로 안심하고 줄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기술된 디스플레이 소자(12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용 소자들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은, 패널이 연결되는 이음매의 폭을 안전하게 줄일 수 있게 해줌으로써, 두 화면에 걸치는 화상이 매우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고품질 멀티 화면을 구현하게 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기판과, 그 기판 상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에 부착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글라스의 부착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있는 지점 사이의 임의 위치에, 그 기판과 글라스가 서로 겹쳐지도록 단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덮은 패시베이션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Al2O3, SiO2, PVA(poly vinyl acetates), PA(photo acryl), PI(polyimide) 중 선택된 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지점의 안쪽에 격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LCD, FED, OLED, PDP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가 형성된 부분끼리 연결되어 멀티 화면을 이루며,
    연결된 이음매의 폭은 0.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KR1020060028030A 2006-03-28 2006-03-28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KR10119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030A KR101195611B1 (ko) 2006-03-28 2006-03-28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US11/501,579 US7948174B2 (en) 2006-03-28 2006-08-09 Panel for multi-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030A KR101195611B1 (ko) 2006-03-28 2006-03-28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180A true KR20070097180A (ko) 2007-10-04
KR101195611B1 KR101195611B1 (ko) 2012-10-29

Family

ID=3855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030A KR101195611B1 (ko) 2006-03-28 2006-03-28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48174B2 (ko)
KR (1) KR1011956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516A2 (ko) * 2010-04-28 2011-11-03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KR101219198B1 (ko) * 2010-10-20 2013-01-08 박기한 Lcd 멀티비전
US8508432B2 (en) 2008-11-0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isplay apparatus
US11640186B2 (en) 2010-07-09 2023-05-02 Folding All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58B1 (ko) * 2008-04-03 2010-02-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DE102008063636A1 (de) * 2008-12-18 2010-06-2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JP5650388B2 (ja) * 2009-10-05 2015-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パネル接合型発光装置、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TWI426475B (zh) * 2010-03-16 2014-02-11 Wintek Corp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909B1 (ko) * 1999-12-20 2002-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556447B (en) * 2002-09-05 2003-10-01 Au Optronics Cor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0522689B1 (ko) * 2003-03-14 2005-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KR100496286B1 (ko) * 2003-04-12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5049B1 (ko) * 2003-11-29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432B2 (en) 2008-11-0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isplay apparatus
WO2011136516A2 (ko) * 2010-04-28 2011-11-03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WO2011136516A3 (ko) * 2010-04-28 2012-02-02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US11640186B2 (en) 2010-07-09 2023-05-02 Folding All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US11740660B2 (en) 2010-07-09 2023-08-29 Sceabiq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KR101219198B1 (ko) * 2010-10-20 2013-01-08 박기한 Lcd 멀티비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8174B2 (en) 2011-05-24
US20070229392A1 (en) 2007-10-04
KR101195611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054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195611B1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
JP6220499B2 (ja) 可撓性表示パネル及び該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KR101691155B1 (ko) 멀티-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137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6032B1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제조방법
JP2024001183A (ja) 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US10719284B2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US9747822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155188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020747A (ja) 表示装置
JP2020034921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JP2017211630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70093832A (ko) 화상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JP6329925B2 (ja) 表示装置
KR20080078420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11446277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US84213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24041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55511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760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lurality of spacers between two substrates
KR2015002122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25234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4017997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