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853A - Seedling-pla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eedling-plan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6853A KR20070096853A KR1020070028068A KR20070028068A KR20070096853A KR 20070096853 A KR20070096853 A KR 20070096853A KR 1020070028068 A KR1020070028068 A KR 1020070028068A KR 20070028068 A KR20070028068 A KR 20070028068A KR 20070096853 A KR20070096853 A KR 20070096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extrusion
- seedling planting
- arm
-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종 식부장치를 장비한 승용이앙기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passenger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승용이앙기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장치의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도 4는,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장치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1.
도 5는,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장치의 전동기구도이다.FIG. 5 is a transmission mechanism diagram of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1.
도 6은,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장치의 내부 좌측면도이다.FIG. 6 is an internal left side view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도 7은,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장치의 내부 우측면도이다.FIG. 7 is an internal right side view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도 8은,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구 선단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tip of a seedling planting sphere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1.
도 9는, 도 1의 승용이앙기의 모종 식부구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edling planting sphere of the passenger transplanter of FIG.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een from the X-ray X-ray cross-sectional arrow in FIG. 9. FIG.
도 11은, 도 9의 Y-Y선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a)과 도 9의 Y-Y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종 식부구의 측면도(b)이다.FIG. 11: is a side view (b) of the figure (a) seen from the Y-Y line cross-section arrow direction of FIG. 9, and the seedling planting sphere seen from the Y-Y line arrow direction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승용이앙기 14 : 모종 식부장치1: Passenger rice transplanter 14: Seedling planting device
21 : 회전체 24a : 회전 축심21: rotating
25 : 최종 축 26 : 모종 식부구25: final axis 26: seedlings planting sphere
47 : 모종 취출 클로 48 : 모종 압출체47: seedling extraction claw 48: seedling extruded body
50 : 압출 캠 51 : 압출 암 50: extrusion cam 51: extrusion arm
52 : 암 축 54 : 압출 스프링52: arm axis 54: extrusion spring
본 발명은 이앙기 등의 모종 이식기에 설치되는 모종 식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lanting device installed in seedling transplanters such as rice transplanters.
좌우방향의 식부 구동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로터리 케이스에 좌우에 2개씩, 합계 4개의 모종 식부구를 구비한 로터리 모종 식부장치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하고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for a rotary seedling planting device having a total of four seedling planting spheres, two each on the left and right in a rotary case rotating around the planting drive shaft in the left-right direction.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3-15890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158904
특허문헌1에서 개시한 모종 식부장치는 1개의 로터리 케이스로 2조분의 모종의 식부가 가능하지만, 모종 식부구의 모종 취출 클로에 유지된 모종을 상하방향으로 밀어내서 포장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압출체의 상하 이동방향과 모종 압출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 암의 요동방향은 압출 암을 구동하는 축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모종 식부구끼리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모종 식부구의 작동 궤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모종 식부장치 전체가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disclosed in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모종 식부구를 소형화하여, 모종 식부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다.Then,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miniaturization of a seedling planting sphere, and miniaturization of the whol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상기 과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으로 했다.This invention made the following structure about the said subject.
즉, 기체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회전 축심(24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1)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2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회전체(21)에 대하여 개별로 회전 이동하는 축(25)에 모종 식부구(26)를 부착하며, 상기 모종 식부구(26)에는 모종을 유지하는 모종 취출 클로(47)와, 상기 모종 취출 클로(47)로부터 모종을 모종 취출 클로(47)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모종 압출체(48)와, 회전체(21)와 일체 회전해서 모종 압출체(48)를 작동시키는 압출 캠(50)과, 상기 압출 캠(50)에 접촉해서 전후방향의 암 축(52)을 회전 이동 중심축으로 해서 요동하는 압출 암(51)과, 상기 압출 암(51)을 압출 캠(5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출 스프링(54)을 구비하고, 좌우방향을 향해서 설치된 압출 암(51)에 모종 압출체(48)를 연결한 모종 식부장치이다.That is, the rotating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좌우방향을 향해서 배치된 압출 암(51)이 상하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모종 압출체(48)는 모종 취출 클로(47)가 유지하는 모종을 모종 취출 클로(47)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압출 암(51)이 작동하는 전후방향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모종 식부장치를 장비한 승용이앙기의 좌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 승용이앙기(1)는 엔진(2)을 탑재하고 구동 회전하는 각 좌우 한쌍의 전륜(3, 3) 및 후륜(4, 4)을 구비한 주행 차체(5)의 후방에, 승강 링크장치(6)를 통해서 6조 심기의 모종 식부부(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5)에는 조종 좌석(8), 전륜(3, 3)을 조향하는 스티어링 핸들(9), 예비의 모종을 실어두는 예비 모종 적재대(10)가 설치되어 있다.1 and 2 are a left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veling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모종 식부부(7)는 주행 차체(5)로부터 전동 입력되는 식부 전동 케이스(12)의 상측에 앞부가 상위로 되도록 경사진 모종 적재대(13)를 설치함과 아울러, 식부 전동 케이스(12)의 식부 전동부의 후단부에 2조마다 1세트의 모종 식부장치(14, …)를 설치하고 있다. 플롯(15, …)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진행시키면, 모종 적재대(13)가 좌우로 왕복 이동해서 대 위의 매트 묘를 모종 적재대 하단측의 모종 취출구(16, …)에 1포기씩 순차 공급하고, 그것을 모종 식부장치(14, …)가 분리해서 꺼내 포장에 이식한다.The seedling planting part 7 installs the
다음에 모종 식부장치(14)의 상세한 설명을 한다.Next, the
모종 식부장치(14)의 평면도를 도 3에, 측면도를 도 4에, 내부의 전동기구도를 도 5에 나타낸다. 식부 전동부 케이스(12)의 후단에 고정 지지체(20)가 식부 전동부 케이스(12)와 일체로 설치되고, 고정 지지체(20)의 내측에 회전체(로터리 케이스)(21)가 베어링(22)에 의해 회전 축심(24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회전체(21)에는 선 기어 축(2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서로 120도의 위상으로 3개의 최종 축(25, 25, 25)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최종 축(25)의 회전체(21)로부터 돌출되는 좌우 양단부에 모종 식부구(26, 26)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축(25)은 회전체(2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회전체(21)에 대하여 개별로 회전 이동하는 축으로 된다.The top view of the
회전체(21)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체(21)와 일체 회전하는 구동 기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기어(30)를 식부 전동부(12)의 후단부에 설치된 입력 기어(31)에 의해 감속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21)가 화살표B 방향(도 4, 도 7)으로 회전한다. 또, 입력 기어(31)로 전동하는 체인 전동장치(32)의 스프로킷(32a)으로부터 입력 기어(31)로의 전동부에는, 동력 전동을 끊었을 때 입력 기어(31)가 소정의 위상에서 정지하는 정지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The
도 6에 모종 식부장치의 내부의 좌측면도를, 도 7에 우측면도를 나타낸다.The left side view of the inside of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is shown in FIG. 6, and the right side view is shown in FIG.
도 6에는 구동 기어(30)와 입력 기어(31)의 맞물림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구동 기어(30)의 톱니수는 입력 기어(31)의 톱니수의 3배이며, 구동 기어(30)는 3개소(도 6에 있어서의 입력 기어(31)와의 맞물림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0˚, 120˚, 240˚의 위치)가 최대 지름으로 되는 부등(不等) 지름 기어이고, 입력 기어(31)는 둥글게 표시를 한 1개소(도 6에 있어서의 구동 기어(30)의 맞물림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0˚의 위치)가 최소 지름으로 되는 부등 지름 기어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30)가 0˚, 120˚, 240˚의 위치에서 입력 기어(31)와 맞물릴 때에, 구동 기어(3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고, 구동 기어(30)의 회전속도는 1/3 주기로 변화한다.6 show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또한, 회전체(21)의 내부에는 최종 축(25, 25, 25)으로 전동하기 위한 기어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기어열의 연동관계를 설명한다.In addition, since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to the
입력 기어(31)가 맞물리는 구동 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기어(30)와 일체인 회전체(21)가 회전하고, 고정 지지체(20)의 케이스 내면에 고정된 내치 기어(21a)(도 7)에 맞물리는 회전 기어(35)가 회전체(21)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체(21)의 선 기어 축(24)을 중심으로 하는 원궤도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 기어(35)는 제1 편심 기어(36)와 함께 회전체(21)의 양 측벽에 단부가 고정 지지된 지지축(34)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회전 기어(35)와 제1 편심 기어(36)가 일체 회전한다. 상기 제1 편심 기어(36)에는 제2 편심 기어(37)가 맞물리고, 상기 제2 편심 기어(36)는 회전체(21)의 양 측벽에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선 기어 축(24)에 고정되는 부등속 기어(38)와 맞물려 있으므로, 제2 편심 기어(37)의 회전에 의해 부등속 기어(38)가 회전하면, 선 기어 축(24)에 고정되어 있는 선 기어(27)를 통해서, 상기 선 기어(27)에 맞물리는 카운터 기어(39)가 상기 카운터 기어(39)에 맞물리는 최종 기어(40)를 구동시킨다. 최종 기어(40)는 선 기어 축(24)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3개 설치된 최종 축(25, 25, 25)에 각각 개별로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최종 기어(40, 40, 40)도 비원형 기어(부등 지름 기어)이다.By rotation of the
회전체(21)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21)의 양측에 3개씩 설치된 모종 식부구(26)가 원궤도를 이동한다. 그 때, 회전체(21)의 회전에 연동하는 회전 기어(35)의 작동이 기어열을 통해서 최종 축(25, 25, 25)으로 전달되고, 모종 식부구(26, 26, 26)의 자세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모종 식부구(26)는 뒤에 기재하는 모종 취출 클로(47)의 선단이 궤적(P)(도 4, 도 6)을 그리도록 작동한다.When the
기체의 이동을 가미한 포장으로의 식부 영역에서의 모종 취출 클로(47)의 선단 이동 궤적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면적당 식부 포기수에 따라 다르다. 단위면적당 식부 포기수가 많아짐에 따라 도 8에 나타내는 궤적 (a)부터 (d)로 상기 모종 취출 클로(47)의 선단 궤적이 변화된다.The tip movement trajectory of the seedling take-
또한, 회전체(21)의 회전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3개 설치된 최종 축(25)에 모종 식부구(26)가 설치되지만, 회전체(21)에 베어링(23)을 통해서 지지되는 각 최종 축(25)은 각각 베어링(22)을 통해서 기체로 부착된 외측의 고정 지지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회전체(21)를 기체에 지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22)을 각 최종 축(25)에 설치하고, 이 복수의 베어링(22)으로 회전체(21)를 지지하므로, 상기 베어링(22)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회전체(21)를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21)가 원활하게 회전하여, 모종의 식부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상기 베어링(22)에 의해 직접 최종 축(25)이 지지되므로, 각 최종 축(25)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고, 모종 식부구(26)의 모종 적재대(13)로부터 취출하는 모종 취출량과 포장으로의 모종 식부 깊이 등의 식부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최종 축(25)에 베어링(22)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베어링(22)의 외경 치수를 베어링(22)의 외측에 장착한 고정 지지체(20)와 회전체(21) 사이의 밀봉용 오일 시일(28)의 고정 지지체(20)로의 장착 내경 치수보다 작게 했다. 그 때문에 베 어링(22)을 고정 지지체(20)와 회전체(21) 사이에 장착할 경우에, 오일 시일 장착면이 베어링(22)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오일 시일 장착면이 흠이 나지 않아, 흠이 나기 쉬운 오일 시일(28)의 품질이 안정된다.Moreover, for sealing between the fixed
또한, 식부 전동 케이스(12)와 고정 지지체(20)의 맞춤 위치(X)(도 4, 도 6 참조)가 모종 적재대(13)의 모종 수용판(55)(도 4)으로부터 기체의 후방측에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13)의 모종 수용판(55)에 방해되지 않고 식부 전동 케이스(12)에 고정 지지체(20)를 장착할 수 있어, 장착성이 종래보다 개선된다.Moreover, the alignment position X (refer FIG. 4, FIG. 6) of th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모종 식부구(26)는, 핀(53)으로 걸린 모종 식부구 케이스(46a, 46b)에 장착되는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된 두갈래 포크 형상의 모종 취출 클로(47)와, 상기 모종 취출 클로(47)의 하측에서 돌출·후퇴 작동을 하는 모종 압출체(48)와, 상기 모종 압출체(48)의 선단을 돌출·후퇴 작동시키기 위한 압출 캠(50)과, 상기 압출 캠(50)이 측면에 항상 미끄럼 접촉하고 있어서, 상기 캠(5)의 회전 이동으로 상하 이동을 하는 압출 암(51)과 상기 압출 암(51)의 기부를 관통해서, 압출 암(51)의 회전 이동 중심축이 되는 암 축(52)과, 압출 암(51)을 압출 캠(50)에 항상 압압하는 압출 스프링(5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each
또한, 도 9의 X-X선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의 회전체(21)에 접하는 면에는 압출 캠(50)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46b1)가 있고, 상기 개구부(46b1) 내에 압출 캠(50)을 삽입해서, 압출 암(51)의 기부에 암 축(52)을 삽입한 후, 암 축(52)을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에 고정함으로써 압출 캠(50)의 최대지름 부분이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 로 부착된 암 축(52)에 접촉하므로, 압출 캠(50)은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로부터 빠지지 않고,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 내의 내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0 which is the figure seen from the XX line cross section arrow direction of FIG. 9, the opening 46b1 for inserting the
최종 축(25)은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의 개구부(46b1)로부터 장착된 압출 캠(5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느슨하게 끼워진 상태로 삽입된다.The
또한, 모종 식부구(26)는 최종 축(25)에 상기 축(25)의 단부의 4각 축부를 통해서 일체 회전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최종 축(25)의 회전운동이 모종 식부구(26)에 전달되어, 모종 식부구(26)가 최종 축(25)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을 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최종 축(25)의 회전운동으로 모종 식부구(26)의 케이스(46b)를 통해서 압출 캠(50)도 회전하고, 압출 캠(50)의 캠면에 접하는 압출 암(51)이 압출 캠(5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암 축(52)의 둘레를 요동시킨다. 또, 압출 암(51)의 길이방향이 최종 축(25)의 연장방향과 병행위치로 되도록 배치되고, 모종 압출체(48) 및 압출 암(51)은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신장되는 최종 축(25)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회전체(21)에 지지되어, 회전체(21)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주기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Moreover, the
모종 압출체(48)의 선단은 압출 암(51)의 파지부에 끼워넣어져 있으므로, 압출 암(51)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모종 압출체(48)가 모종 취출 클로(47)에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요동한다.Since the front end of the seedling extruded
모종 취출 클로(47)는 모종 적재대(13)에 있는 모종을 끼워 지지하면서 긁어내어, 유지하고 있으므로, 모종 압출체(48)의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으로 모종 취출 클로(47)에 유지된 모종을 포장을 향해서 밀어 낼 수 있다.Since the seedling take-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모종 압출체(48)를 선단의 파지부로 끼워넣으면서 요동하는 압출 암(51)을 상하방향으로 암 축(52)의 둘레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xample, the
그 때문에 압출 암(51)의 길이방향은 최종 축(25)과 병행위치로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압출 암(51)은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에 양단이 지지된 암 축(52)을 요동 중심으로 해서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주기로 상하 이동한다. Therefo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압출 암(51)의 길이방향을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향하게 한 구성이므로, 압출 암(51)의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주변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압출 암(51)의 길이방향이 최종 축(25)의 연장방향과 병행위치로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궤적을 작게 해도 모종 식부구(26)가 간섭하지 않게 되어, 모종 식부구(26)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 때문에 모종 식부장치(14)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최종 축(25)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체(21)와 일체 회전하는 압출 캠(50)도 회전하고, 압출 캠(50)의 캠면에 접하는 압출 암(51)이 압출 캠(5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암 축(52)의 둘레로 요동한다. 또, 압출 암(51)이 최종 축(25)과 병행 배치되고, 압출 암(51)의 기부는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에 양단이 지지된 암 축(52)을 요동 중심으로 해서 모종 식부구(26)(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주기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압출 암(51)의 요동에 의해 모종 압출체(48)가 모종 취출 클로(47)에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요동 운동을 한다. 이 때, 모종 취출 클로(47)는 모종 적재대(13)에 있는 모종을 끼워 지지하면서 긁어내어, 유지하고 있으므로, 모종 압출체(48)의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모종 취출 클로(47)에 유지된 모종을 포장을 향해서 밀어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extruded
또한, 모종 취출 클로(47)가 모종 식부동작을 할 때, 압출 암(51)의 암 축(52)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운동으로부터 모종 압출체(48)의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에 전달하는 연결부분에 여유(융통)가 필요하게 되지만, 모종 식부구(26)의 압출 암(51)의 길이방향을 최종 축(25)의 길이방향과 병행위치에 배치한 것에 의해, 상기 여유(융통)가 기체의 좌우 폭방향(도 9의 (ㄱ)방향)으로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모종 식부구(26)는 상기 여유(융통)가 기체의 전후방향(도 9의 (ㄱ)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기술의 모종 식부구(26)에는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여유(융통)가 있으므로, 모종 압출체(48)가 모종 식부위치에서 모종을 밀어내는 작용점이 전후로 어긋나기 쉽고, 모종 취출 클로(47)와 상기 작용점의 간격이 상위해서 모종에 대하여 상기 작용점이 전후로 어긋나므로, 모종의 식부자세가 전경(前傾)으로 되거나, 후경(後傾)으로 되거나 해서 모종의 식부자세를 흐트리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여유(융통)를 형성한 것에 의해, 상기 작용점이 좌우로 어긋나도 모종의 식부자세에 주는 영향이 적으므로, 포장에서의 모종의 식부자세가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seedling taking-
또한, 종래기술의 모종 식부구(26)에서는, 여유(융통)가 기체의 전후방향에 있으므로 세로방향(회전체(21)의 회전 반지름 방향)으로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했으므로, 모종 식부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커져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모종 식부구(26)에서는 상기 여유(융통)가 기체의 좌우 폭방향에 있으므로, 모종 식부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다.In addition, in the
압출 암(51)을 암 축(5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 압출 암(51)의 측면에 접촉하는 압출 캠(50)을 회전체(21)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압출 암(51)의 측면에 압출 캠(50)의 일부 평면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압출 캠(50)의 회전 하중만으로 압출 암(51)을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압출 캠(50)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압출 암(51)의 캠 접점과 모종 압출체(48)의 이동방향이 같은 평면 내이며, 그 때문에 압출 캠(50)의 스러스트 하중이 없어지고, 또한 작은 하중으로 압출 캠(5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wing the
또한, 최종 축(25)의 둘레에서 회전체(21)와 일체 회전하는 압출 캠(50)의 소경 부분의 접촉면이 압출 암(51)에 접촉함으로써 압출 암(51)이 요동해서 모종 압출체(48)가 압출작동을 개시한다. 이 때 압출 암(51)으로의 압출 캠(50)의 접촉면에 대하여 압출 암(51)의 접촉면을 경사시켰다. 이렇게 해서 압출 캠(50)의 접촉면에 압출 암(51)의 접촉면이 급격하게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출 암(51)의 캠 접촉면이 압출 캠(50)의 접촉면에 걸리기 어려워져, 모종 식부구(26)의 회전이 원활해진다.Moreover,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art of the
또한, 도 10(도 9의 X-X선 단면 화살표에서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 캠(50)의 부착위치를 모종의 식부위치(모종 취출 클로(47)와 모종 압출체(48)의 축심방향)로부터 회전체(21)측에 좌우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은, 압출 캠(50)을 부착하는 최종 축(25)의 선단을 모종 취출 클로(47)와 모종 압출체(48)의 축심방향으로부터 회전체(21)측에 좌우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모종 식부시에 흙탕물이 압출 캠(50)의 부착위치까지 오지 않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figure seen from the XX line cross section arrow of FIG. 9),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종래의 압출 암(51)을 요동시키는 압출 캠(50)은 모종 취출 클로(47)와 모종 압출체(48)에 의한 모종 식부위치의 근처에 있었으므로, 모종 식부시에 흙탕물을 뒤쪽에 있는 포장 이식 후의 모종에 뿌리는 일이 있어, 모종 식부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 캠(50)을 모종 취출 클로(47)와 모종 압출체(48)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므로, 흙탕물이 압출 캠(50)까지 오는 일이 없다. 또, 압출 캠(50)의 주위로 되는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의 대경부가 별도의 모종 식부구(26)의 모종 취출 클로(47)와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모종 식부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Since the
도 11의 (a)에는 모종 식부구(26)의 도 9의 Y-Y선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1의 (b)에는 도 9의 Y-Y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종 식부구(26)의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11A shows the
도 9에 모종 식부구(26)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축(25)이 회전하면, 상기 축(25)과 일체 회전하는 모종 식부구(26)의 모종 식부구 케이스(46b)를 통해서 압출 캠(50)이 회전하고, 압출 캠(50)과 압출 암(51)으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의 작용으로 압출 암(51)이 요동할 때, 압출 암(51)을 압출 스프링(54)이 압압함으로써 압출 암(51)에 의한 모종 압출체(48)의 가압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As shown in FIG. 9,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종 식부장치(14)는 고정 지지체(20)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21)의 좌우 양측에 모종 식부구(26)를 설치하고, 1개의 회전체(21)로 동시에 2조로 모종을 이식함과 아울러, 각 조마다 3개의 모종 식부구(26)에 의해 고속 이식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us,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 암(51)이 기체의 좌우방향을 향해서 배치되므로, 모종 식부구(26) 및 모종 식부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83270 | 2006-03-24 | ||
JP2006083270A JP4924802B2 (en) | 2006-03-24 | 2006-03-24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6853A true KR20070096853A (en) | 2007-10-02 |
KR100894996B1 KR100894996B1 (en) | 2009-04-24 |
Family
ID=3862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8068A KR100894996B1 (en) | 2006-03-24 | 2007-03-22 | Seedling-plan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924802B2 (en) |
KR (1) | KR100894996B1 (en) |
CN (1) | CN101040580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15016A (en) * | 2016-05-07 | 2016-08-03 |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 Planting arm of rice pot seedling planting machine |
CN113207376A (en) * | 2021-05-27 | 2021-08-06 | 莆田市素草植萃商贸有限公司 | Garden flower transplant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04442A (en) * | 2011-05-31 | 2011-10-05 | 尚涛 | Cam-pushrod seedling gripping mechanism of rice transplanting machine |
KR101709595B1 (en) * | 2013-08-23 | 2017-02-23 |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 Seedling transplantation device |
CN105144935A (en) * | 2015-09-10 | 2015-12-16 |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 Rice transplanter structure |
CN108684269B (en) * | 2018-07-19 | 2024-01-30 | 山东省农作物种质资源中心 | Rice seedling fixer and field placing device |
CN112930948B (en) * | 2021-02-18 | 2023-01-31 | 广东碧然美景观艺术有限公司 | Planting device for garden engineering with snatch mechanism |
CN114793613B (en) * | 2022-04-14 | 2023-12-01 |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 Forage grass harvesting device based on rotary tower |
CN115362903B (en) * | 2022-09-01 | 2023-11-07 | 石河子大学 | Outdoor planting device and method for equisetum arvens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02516A (en) * | 1975-03-07 | 1976-09-10 | Hitachi Ltd | PURIAN PUNOSOKUTEIHOHO |
JPS6257608A (en) * | 1985-09-05 | 1987-03-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Hollow yarn filter membrane provided with spiral groove |
EP0613614B1 (en) * | 1993-03-04 | 1999-09-08 |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 Seedling planting apparatus |
JP2000139144A (en) * | 1998-11-06 | 2000-05-23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Planting device of rice transplanter |
JP3951680B2 (en) * | 2001-11-21 | 2007-08-01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2006
- 2006-03-24 JP JP2006083270A patent/JP49248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22 KR KR1020070028068A patent/KR10089499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03-23 CN CN2007100894678A patent/CN10104058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15016A (en) * | 2016-05-07 | 2016-08-03 |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 Planting arm of rice pot seedling planting machine |
CN113207376A (en) * | 2021-05-27 | 2021-08-06 | 莆田市素草植萃商贸有限公司 | Garden flower transplanting machine |
CN113207376B (en) * | 2021-05-27 | 2022-11-22 | 广西八桂种苗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Garden flower transplant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040580A (en) | 2007-09-26 |
CN101040580B (en) | 2011-06-01 |
KR100894996B1 (en) | 2009-04-24 |
JP4924802B2 (en) | 2012-04-25 |
JP2007252317A (en) | 2007-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4996B1 (en) | Seedling-planting apparatus | |
JP4929662B2 (en) | Seedling planting machine | |
JP2013223443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2008092881A (en) | Seedling planting apparatus | |
KR100694651B1 (en) | Transplanting device | |
JP3927708B2 (en) | Rice transplanter planting equipment | |
JP4461749B2 (en)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KR101056170B1 (en) | Hair transplantation tool for hair transplanter | |
JP4396121B2 (en)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JP4562495B2 (en) | Rotary seedling planting mechanism in rice transplanter | |
JP2004229593A (en) | Seedling planting apparatus | |
KR101347311B1 (en) | Seeding transplantation apparatus | |
JP2005087027A5 (en) | ||
JP3818009B2 (en) | Rice transplanter | |
JP2016135154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3693600B2 (en) | Rice transplanter | |
JP5967038B2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4396103B2 (en)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JP2004290146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4442779B2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4389461B2 (en)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JP2007244259A (en) | Seedling planting apparatus | |
JPS5930660Y2 (en) | Planting drive device of rice transplanter | |
JPH07284307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JP2001112317A (en) |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