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413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413A
KR20070096413A KR1020060026765A KR20060026765A KR20070096413A KR 20070096413 A KR20070096413 A KR 20070096413A KR 1020060026765 A KR1020060026765 A KR 1020060026765A KR 20060026765 A KR20060026765 A KR 20060026765A KR 20070096413 A KR20070096413 A KR 2007009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device
external input
portable termi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668B1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668B1/ko
Priority to CNA2006101566587A priority patent/CN101043672A/zh
Priority to EP07101184A priority patent/EP1838079A3/en
Priority to US11/728,586 priority patent/US20070288670A1/en
Publication of KR2007009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입력기기가 데이터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 데이터를 쉽게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고, 실제 응용 프로그램상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스캔, 외부 입력기기, 단말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에서 데이터를 스캔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 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됨에 따라 사용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보조 입력장치이다.
현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문자를 직접 씀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동일한 단말기 내부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입력기기는 하나의 단말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다른 휴대용 단말기 혹은 컴퓨터의 데이터(예: 이미지, 문자, 단문 메시지 등)를 필요로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데이터 케이블 또는 적외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이동시켜야 한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연결을 통한 데이터 이동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와 컴퓨터를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 적외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이동 방법은 상기 적외선 통신기술이 같은 단말기 간에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 기가 서적에 담긴 데이터를 필요로 할 경우, 상술한 방법들은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캔 형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외부 입력기기가 데이터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는, 데이터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외부 입력기기와,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휴 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캔 형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스캔형 외부 입력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 휴대통신 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 표시부(104), 저장부(106), 터치 센서(108), 키패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스캔 형 외부 입력기기의 접촉이 감지될 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가동시키고,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부(104)에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DA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고, 수신부는 적외선 감광 다이오드(IRDA Photo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정보, 숫자와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목록 및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입력될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저장부(106)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106)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터치 센서(108)는 상기 키패드와 같이 다수의 기능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히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선택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키패드(key pad)(110)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외부 입력기기는 제어부(200),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 스캔부(204), 저장부(206), 표시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데이터 스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표시부(208)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DA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고, 수신부는 적외선 감광 다이오드(IRDA Photo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캔부(204)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외부기기의 데이터 혹은 외부 문서의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206)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206)는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08)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상태 정보,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캐닝된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에서 데이터를 스캔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제어부(200)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데이터 스캔 메뉴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 스캔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3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모드를 스캔모드로 변경한 후, 스캔부(204)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캐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스캔부(204)가 가리키는 데이터, 즉,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나 서적의 글 또는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스캐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에서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인지 혹은 문자 데이터인지 검사한다.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일 시, 상기 제어부(200)는 307단계에서 상기 스캐닝된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208)에 디스플레이하고, 3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데이터 저장 또는 취소 메뉴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09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에서 저장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부(206)에 저장하고, 상기 취소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401단계에서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어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불러오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즉, 다른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또는 서적 등으로부터 스캔되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불러오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외부의 데이터 불러오기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403단계에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목록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05단계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통해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 목록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 목록이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 목록을 표시부(104)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0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목록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불러오기 위한 하나의 목록이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하나의 목록이 선택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411단계로 진 행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 상기 선택된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413단계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02)를 통해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선택된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상기 표시부(104)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표시부(104)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부(104)의 특정 위치를 확인하고,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표시부(104)의 특정 위치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동작 중에 표시부(104)의 문자 입력란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선택되었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문자 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진 앨범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선택되었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진 앨범에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상기 표시부(104)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지 않았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기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제어부(200)는 5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 목록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 목록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503단계에서 저장부(206)에 저장된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505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를 통해 특정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특정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부(206)에서 상기 특정 목록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2)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캔이 가능한 외부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데이터를 입력 및/또는 저장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통신 기술이나 형태에 상관없이 상기 외부 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쉽게 입력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실제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기기의 소용량 데이터 전송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입력기기가 데이터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기 저장된 데이터 목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목록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특정 위치가 선택될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입력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스캔하여 저장하는 외부 입력기기와,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 입력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기기는 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캐닝 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있을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에 상기 외부 입력기기의 접촉이 감지될 때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가동시키고, 상 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26765A 2006-03-24 2006-03-24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7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765A KR100778668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CNA2006101566587A CN101043672A (zh) 2006-03-24 2006-12-29 移动终端中输入数据的设备和方法
EP07101184A EP1838079A3 (en) 2006-03-24 2007-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mobile terminal
US11/728,586 US20070288670A1 (en) 2006-03-24 2007-03-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765A KR100778668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413A true KR20070096413A (ko) 2007-10-02
KR100778668B1 KR100778668B1 (ko) 2007-11-22

Family

ID=3825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765A KR100778668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88670A1 (ko)
EP (1) EP1838079A3 (ko)
KR (1) KR100778668B1 (ko)
CN (1) CN101043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3641B2 (en) 2013-05-23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cann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5622B (zh) * 2009-08-10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输入法切换方法及装置
US8494852B2 (en) * 2010-01-05 2013-07-23 Google Inc. Word-level correction of speech input
US8736878B2 (en) 2011-11-23 2014-05-27 Canon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 electronic document
CN102945211A (zh) * 2012-11-23 2013-02-2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数据写入方法、写入装置及移动终端
JP5884764B2 (ja) 2013-03-29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2676A (ko) * 2015-08-21 2017-03-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화상독취장치 및 잡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8105A (ja) * 1999-06-15 2000-12-26 Ryoichi Tomomizu 携帯電話機を用いた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電話機
US7327387B2 (en) * 2000-02-21 2008-02-05 Fujifilm Corporation Image pick-u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KR100322413B1 (ko) * 2000-03-04 2002-03-18 송정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22414B1 (ko) * 2000-03-22 2002-03-18 송정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데이터 전송시스템
JP3728655B2 (ja) * 2000-09-11 200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リンタ/スキャナシステム
KR20020071065A (ko) * 2001-03-02 2002-09-12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펜 스캐너를 이용한 유무선 문자인식시스템
JP3697180B2 (ja) * 2001-03-21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304665B2 (en) * 2001-03-21 2007-12-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ransfer system and display method in which a stored image is transferr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US20030193603A1 (en) * 2002-03-26 2003-10-16 Parulski Kenneth A.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image access and viewing using a portable imaging device
JP4019363B2 (ja) * 2002-07-18 2007-12-1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40031510A (ko) * 2002-10-07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 펜 및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0663470B1 (ko) * 2003-03-3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US7418662B2 (en) * 2004-02-06 2008-08-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image pickup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3641B2 (en) 2013-05-23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cann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3672A (zh) 2007-09-26
US20070288670A1 (en) 2007-12-13
EP1838079A2 (en) 2007-09-26
KR100778668B1 (ko) 2007-11-22
EP1838079A3 (en)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66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US10235114B2 (en) Communication method performing dat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9122438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1002319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device
ES2411478T3 (es) Manipulación de datos sensible al contexto
US20120054637A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EP14268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o devic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liance and display device
WO2014024639A1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データ受け取り方法
KR20110039095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76900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428874A1 (en) Electronic pen communication
JP201720419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7382501B2 (en) Remote access of fax numbers for fax transmission
CN109521981B (zh) 一种图形码显示方法和终端
KR100408751B1 (ko) 사진을 포함하는 전자 명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8189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22091A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KR20020016010A (ko) 휴대형 무선정보통신단말기의 명령어 호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