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649A -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649A
KR20070095649A KR1020060026116A KR20060026116A KR20070095649A KR 20070095649 A KR20070095649 A KR 20070095649A KR 1020060026116 A KR1020060026116 A KR 1020060026116A KR 20060026116 A KR20060026116 A KR 20060026116A KR 20070095649 A KR20070095649 A KR 2007009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ire
switch
input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안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수 filed Critical 안상수
Priority to KR102006002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649A/ko
Publication of KR2007009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방호구역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로 구성된 감지부; 특정 모드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고, 특정 구성부의 동작을 온/오프 지시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와, 설정된 특정 모드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LCD창과, 특정 동작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점소등되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입출력부; 입출력부의 스위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여 기준 데이터를 설정 및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지시 제어하고,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가 입력되고, 특정 감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화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전송된 복수개의 감지기의 데이터 및 입출력부에서 설정된 특정 모드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 구성되어, 하나의 제어장치로 두 개의 방호구역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방호구역에 세 개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함으로써 경제적이고, 두 개 이상의 감지기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경우, 화재로 판단함으로써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지연시간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이 있어,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The control unit and method using gas suppress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 소화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소화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소화 설비 제어 장치 중 입출력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소화 설비 제어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소화 설비 제어 방법에서 모드를 설정하는 LCD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감지부 120: 제어부
130: 입출력부 131: 제 1 입출력부
132: 제 2 입출력부 133: 제 3 입출력부
134: 제 4 입출력부 140: 메모리부
150: 통신부 200: 전원부
210: 주전원부 220:예비전원부
300: 단말기
본 발명은 소화 설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어 시스템으로 세 개의 감지기를 구비한 두 개의 방호 구역의 화제를 동시에 감시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입출력부에 어보트스위치, 리셋스위치, 예비전원스위치, 수동기동스위치, 모드 선택/설정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이 용이하며, 복수개의 LED를 통해 각 구성부의 이상감지 및 구동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소화 설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규모 복합단지가 속속히 들어서고 있고 대형 백화점이나 유동 인구가 밀집한 건물 및 빌딩이 많아짐에 따라 화재 시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어 건축에 있어서 방화 시스템 구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되고 있다.
종래에는 화재감지를 위하여 전원(18)이 공급되면 열, 연기, 화염 등의 물리적 신호를 온/오프 방식이나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하여 감지 데이터 또는 감지 데이터의 변화율이 일정 발보기준 이상인 경우에 화재경보를 발령하거나, 2종의 감지기를 적용하여 모든 감지 데이터가 발보기준 이상인 경우에 화재경보를 발령하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감지기의 경우 발보기준 이상의 감지 데이터 측정 시는 이미 화재가 충분히 성장한 상태로, 화재의 조기감지에 의한 초기 화재진압이 불가능하 여 감지기의 활용이 단지 화재사실의 통보에 의해 인명 대피 등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화재의 조기감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는 연기감지기(11)의 경우 주위의 분진, 먼지, 습기 등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빈번한 오작동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는 수개월마다 한 번씩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화재감지시스템의 빈번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일부 화재설비 관리자들은 화재감지시스템의 주 경종을 제외한 경보장치(14)의 전원을 차단하여 주 경종의 경보 발령시 관리자의 현장 확인 후 조치를 취하는 등의 민첩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에 의한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기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채용 방화 시스템은 잦은 오작동 등으로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곳에서는 수시로 발생되는 오작동으로 인해 많은 애로사항을 호소하고 있다.
한편 열감지기(12)를 통해 화재 발생을 검지하는 화재감지시스템의 다른 일예로는, 화재 발생시 주위분위기 온도의 상승으로 주위 분위기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도어걸림장치(15)에 포함된 열감지퓨즈(15-1)가 끊어지게 됨으로써 도어걸림장치에 의해 개방상태에 있던 도어가 도어클로저와 같은 도어닫힘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예의 화재 발생시 방화문 폐쇄를 위한 방화 시스템은 구축비용이 만만치 않다. 그리고 도어의 여닫는 횟수가 잦아짐에 따라 도어걸림장치나 도어걸 림장치(15)에 포함된 열감지퓨즈(15-1)가 마모되어 실제 화재가 발생이 되었는데도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화재로 인한 유독성 가스나 연기의 확산되어져 버리고 난 다음에 주위 분위기 온도에 의해 도어가 닫혀짐으로써 화재 초기에 신속히 대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연기감지기나 열감지기를 이용한 종래의 방화 시스템 및 장치들은 대부분이 제어기(13)에 의해 중앙 통제를 받고 있어, 화재 발생시 가장 먼저 확산되는 유독성 가스 및 연기에 의한 인명 피해 등에 신속히 대처하기가 어렵고, 복수개의 감지기는 초기 설정값에 의해 작동하게 되어, 특수한 상황에서 초기 설정값을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특정 감지기의 오작동 시에 스프링클러(16)의 작동, 소화약제저장용기(17)에서 방출되는 소화 약제 및 경보장치(14) 등을 정지하는 기능이 없어 방화문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도 닫히게 작동을 하고 스프링클러 작동 및 가스 소화 약제가 방출 되므로 업무 지연이나 마비가 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제어 장치를 통해 두 개의 방호구역의 화재를 감지하고, 복수개의 화재 감지기 중 두 개 이상의 감지기가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 화재임을 판단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지연시간이 지난 후 해당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경제적이며, 기준 데이터 이상의 특정 감지기의 해당 LED가 점등됨으로써 이상 감지기의 확인이 쉽고, 화재 감지기의 기준 데이터 및 날짜/시간/지연시간 등을 디지털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설정이 용이한 소화 설비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보트(abort) 스위치가 있어, 이미 개시하고 있는 지연시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소화 설비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가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연결 접속되어 단말기를 통해 이벤트를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한 소화 설비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 압력감지기가 장착되어 있어, 저장용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입출력부의 LED를 점소등 시킴으로써 저장용기 내부 소화약제 양을 사용자가 식별 용이하도록 하는 소화 설비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수단은 복수개의 소화 설비의 동작을 지시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 특정 방호구역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로 구성된 감지부; 특정 모드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고, 특정 구성부의 동작을 온/오프 지시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와, 설정된 특정 모드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LCD창과, 특정 동작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점 소등되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의 스위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여 기준 데이터를 설정 및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지시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특정 감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화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된 복수개의 감지기의 데이터 및 상기 입출력부에서 설정된 특정 모드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방법은 가스 소화 설비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의 임의에 따라 특정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복수개의 모드가 설정되면, 화재 감지 시까지 LCD창에는 날짜/시간 정보 및 방호구역별 실내 온도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특정 방호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기준 데이터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복수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화재임을 판단하고, 화재LED 점등, 경보음 발생 및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시에 LCD창에 카운트 되는 지연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한 후 상기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동시에 상기 방호구역의 해당 입출력부의 방출LED를 점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어장치로 두 개의 방호구역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방호구역에 세 개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이상신호가 발생한 감지기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LED로 점/소등 시키며, 두 개 이상의 감지기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경우, 화재로 판단함으로써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재 수신 후 방호 구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대피를 위하여 소정 시간의 지연시간 후에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하였으며, 만약 소정 시간 안에 대피가 안 되었거나 기타상황에서 지연시간을 순간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지연시간 및 그밖에도 날짜, 시간, 경보음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선택 설정함으로써 설정 방법이 용이하고 정확성이 높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가스 소화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도로서, 감지부(110), 제어부(120), 입출력부(130), 메모리부(140), 통신부(150), 밸브구동부(160), 경보부(170), 팬구동부(180), 도어개폐구동부(190) 및 전원부(200)로 구성되고 단말기(30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입출력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부(110)는 제 1 방호구역에 설치된 제 1 열감지기(111-1), 제 1 연기감지기(111-2), 제 1 온도감지기(111-3), 제 1 압력감지기(111-4), 제 3 방호구역에 설치된 제 2 열감지기(112-1), 제 2 연기감지기(112-2), 제 2 온도감지기(112-3) 및 제 2 압력감지기(112-4)로 구성된다.
제 1, 2 열감지기(111-1, 112-1)는 제 1, 2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제 1, 2 방호구역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열감지기로는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열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또는 방폭형 정온식 감지기 등을 사용할 수 있 으며,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열감지기를 사용하면 된다.
제 1, 2 연기감지기(111-2, 112-2)는 제 1, 2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제 1, 2 방호구역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연기감지기로는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 이온화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 광전식 다신호 연기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또는 광전식 흡입형 감지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연기감지기를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열과 연기를 모두 감지하는 열/연기 복합형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2 온도감지기(111-3, 112-3)는 제 1, 2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제 1, 2 방호구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온도감지기로는 백금저항온도센서, 부특성(NTC) 서미스터, 정특성(PTC) 서미스터, 열전대(Thermocouple), 방사온도계, IC온도센서, 바이메탈, 감온페라이트, 유리온도계, 수정온도계, NQR온도계 등의 모든 온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나,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상승되면 저항값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부특성(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서미스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 1, 2 압력감지기(111-4, 112-4)는 화재 시 제 1, 2 방호구역으로 방출되는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압력감지기로는 기계식 압력센서, 전자식 압력센서 또는 반도체식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적인 변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 는 전자식 압력센서 또는 반도체식 압력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복수개의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는 증폭부 및 A/D 변환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된다.
즉, 증폭부(미도시)는 감지부(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감지기를 통해 출력되는 작은 전압의 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연산증폭기로 이루어져 있고, A/D변환부(미도시)는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소정 주파수로 샘플링 하여 그에 해당하는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전원부(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각 구성부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고, 전원LED(LED-S)가 점등되도록 지시하며, LCD창에(LCD)에 미리 설정된 날짜 및 시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시하고, 관리자로부터 특정 모드의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각 모드 메뉴를 LCD창에(LCD)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시하고, 관리자가 디스플레이된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입출력부(130)에서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연산한 데이터를 메모리부(140)로 전송한다.
즉, 초기에 날짜 및 시간 등을 모드스위치(SW-M), 설정스위치(SW-S), 업스위치(SW-P), 다운스위치(SW-D) 및 시프트스위치(SW-T)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신호를 연산한 후 연산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40)로 전송하고, 설정된 날짜 및 시간을 LCD창(LCD)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 1 입출력부(131)의 복수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지연시간 및 정지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 정보 데이터를 연산처리 후 메 모리부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면, 평상시에는 날짜/시간 및 방호구역별 실내 온도를 소정간격으로 번갈아 가며 LCD로 출력하도록 지시하고, 화재 시 소정의 지연시간의 카운트 값 및 정지시간의 카운트 값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복수개의 감지기의 동작을 지시하고, 복수개의 감지기로부터 감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메모리부(140)에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된 감지 데이터와 해당 기준데이터를 비교 분석한다.
즉, 제 1 방호구역의 제 1 열감지기(111-1), 제 1 연기 감지기(111-2), 제 1 온도 감지기(111-3)에서 감지한 신호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한 신호가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 기준데이터 보다 큰 감지 데이터가 감지된 감지기에 상응하는 LED(LED11, LED12, LED13)가 점등되도록 지시하고, 두 개 이상의 감지기의 감지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를 알리는 화재LED(LED-F)가 점등되도록 지시하고, 경보부(170)를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지시하며, 팬구동부(180)를 제어하여 팬이 구동하도록 지시한다.
아울러, 제어부(120)의 제 2 방호구역의 화제 감지 제어 동작은 제 1 방호구역의 제어 동작과 동일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화재를 감지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밸브구동부(160)에 밸브 개방을 지시하여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한다. 즉,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 인가를 지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으로 소화 약제 방출 시 입출력부(130)의 방출LED(LED16 또는 LED26)가 점등되도록 지시한다.
만약 화재를 감지한 후 소정의 지연시간이 카운트되는 사이에 관리자에 의해 입출력부(130)의 어보트 스위치(SW-A)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초기에 설정된 소정의 정지시간 동안 카운트되는 지연시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정지시간이 경과하면 지연시간은 정지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점까지 다시 카운트되기 시작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30)의 복구스위치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감지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어부의 신호 출력을 정지시켜 초기화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관리자에 의해 예비전원 스위치(SW-P)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주전원(21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예비전원부(220)를 통해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시하고, 예비LED(LED-P)가 점등되도록 지시한다.
아울러, 예비전원부(220)는 정전 등에 의해 주전원(210)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예비전원이 공급되도록 지시하고, 예비LED(LED-P)가 점등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특정 감지기의 이상신호가 입력되면, 특정 감지기의 점검을 지시하는 점검LED(LED-C)가 점등되도록 지시하고, 유/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300)와 연결 접속되면,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제어부(120)에서 연산되고 있는 이벤트(즉, 화재 유무, 감지기 점검 유무, 전원 온/오프 등)를 전송 하여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외부 단말기(300)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부(120)의 기능을 대신함으로써 각 구성부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 1, 2 압력감지기에서 입력되는 감지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후 제 1 또는 2 압력감지기의 감지 압력이 기준데이터 이하일 경우, 소화약제의 보충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압력LED(LED14, LED24)가 점등되도록 지시하고,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소화약제 방출을 관리자가 수동으로 지시하고자 할 경우, 수동기동스위치(SW14, SW24)를 온시키면, 수동기동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됨가 동시에 수동기동 됨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수동LED(LED14, LED24)가 점등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수동기동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개방되고, 화재가 발생한 방호 구역에 소화약제가 방출된다.
입출력부(130)는 제 1 입출력부(131), 제 2 입출력부(132), 제 3 입출력부(133) 및 제 4 입출력부(134)로 구성된다.
제 1 입출력부(131)는 각종 모드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모드스위치(SW-M), 특정 모드의 설정 사항을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설정스위치(SW-S), 디스플레이된 특정 숫자보다 큰 숫자로 올리기 위한 업스위치(SW-P), 디스플레이된 특정 숫자보다 작은 숫자로 내리기 위한 다운스위치(SW-D) 및 모드의 이동 및 다음 항목의 이동을 지시하는 시프트스위치(SW-T) 및 각종 모드 및 선택 모드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창(LCD)로 구성되고, 각 스위치의 온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송 된다.
도 5a 및 도 5d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모드스위치가 한번 온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창에 각 모드가 디스플레이 되고, 각 모드의 이동은 시프트스위치(SW-T)를 온시킴에 따라 다음 모드로 이동하게 되고, 날짜/시간 설정모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날짜/시간 설정모드의 선택 위치에서 설정스위치(SW-S)를 온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시간 설정의 하위 메뉴가 LCD창(LCD)에 디스플레이된다.
관리자는 업스위치(SW-U) 및 다운스위치(SW-D)를 온시킴으로써, 스위치 입력 횟수에 따라 숫자가 업 또는 다운되게 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원하는 현재의 날짜 및 시간이 입력되면, 설정스위치(SW-S)를 온시켜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실내의 기준 온도, 지연시간 및 소정시간 등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각종 정보가 설정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창(LCD)은 평상시에는 날짜/시간과 방호구역별 실내 온도를 소정간격으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 한다.
제 2 입출력부(132)는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해 점등되는 화재LED(LED-F), 주전원이 인가됨을 표시하는 전원LED(LED-S), 특정 감지기 고장 시 점검을 표시하는 점검LED(LED-C), 예비전원 인가를 표시하는 예비LED(LED-P), 지연시간을 일정시간동안 정지시키기 위한 어보트스위치(SW-A), 복수개의 감지기 및 제어부의 동작의 리셋을 지시하는 복구스위치(SW-R), 예비전원 인가를 지시하는 예비전원스위치(SW- P)로 구성되어, 스위치가 온되면 온신호는 제어부(120)로 전송되고,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전원인가시 전원LED(LED-S)가 점등되며, 특정 감지기의 고장 시 점검LED(LED-C)가 점등되고, 예비전원스위치(SW-P)를 온시키면,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예비전원의 인가되고 예비LED(LED-P)는 점등되며, 화재 시 화재를 알리는 화재LED(LED-F)가 점등된다.
제 3 입출력부(133)는 제1 방호구역에 설치된 제 1 열감지기(111-1)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열감지스위치(SW11), 제 1 연기감지기(111-2)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연기감지스위치(SW12), 제 1 온도감지기(111-3)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온도감지스위치(SW13), 소화약제용기의 소화약제방출을 수동으로 방출하고자 할 경우 수동 기동을 지시하는 제 1 수동스위치(SW14), 제 1 열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1 열감지LED(LED11), 제 1 연기감지기(111-2)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2 연기감지LED(LED12), 제 1 온도감지기(111-3)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1 온도감지LED(LED13), 소화약제용기의 소화약제를 수동으로 방출 시 점등하는 제 1 수동LED(LED14), 제 1 압력감지기에서 감지한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이 기준 데이터 이하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1 압력감지LED(LED15) 및 소화약제용기에서 소화약제 방출 시에 소화약제 방출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점등하는 제 1 방출LED(LED16)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스위치의 온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특정 스위치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해당 감지기는 제 1 방호구역의 해당 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복수개의 LED(LED11 내지 LED16)가 점/소등된다.
제 4 입출력부(134)는 제 2 방호구역에 설치된 제 2 열감지기(112-1)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열감지스위치(SW21), 제 2 연기감지기(112-2)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연기감지스위치(SW22), 제 2 온도감지기(112-3)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온도감지스위치(SW23), 소화약제용기의 소화약제방출을 수동으로 방출하고자 할 경우 수동 기동을 지시하는 제 2 수동스위치(SW24), 제 2 열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2 열감지LED(LED21), 제 2 연기감지기(112-2)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2 연기감지LED(LED22), 제 2 온도감지기(112-3)에서 감지한 신호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2 온도감지LED(LED23), 소화약제용기의 소화약제를 수동으로 방출 시 점등하는 제 2 수동LED(LED24), 제 2 압력감지기에서 감지한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이 기준 데이터 이하일 경우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점등하는 제 2 압력감지LED(LED25) 및 소화약제용기에서 소화약제 방출 시에 소화약제 방출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점등하는 제 2 방출LED(LED26)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스위치의 온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특정 스위치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해당 감지기는 제 2 방호구역의 해당 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복수개의 LED(LED21 내지 LED26)가 점/소등된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제 1 입출력부(131)를 통해 설정된 모든 데이터, 즉 기준온도, 기준압력, 기준열의 양, 기준 연기의 양, 현재의 날짜/시간, 지연시간 및 정지시간 등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 외에도 화재 감지 시간, 특정 감지기의 점검이 감지된 시간, 예비전원부가 동작된 시간 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140)의 메모리는 사용자가 메모리 내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롬으로서, 정상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프로그램 기록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계속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으며, 만약 제어부(120) 또는 메모리부(140)에 에러나 고장인 경우 날짜 및 시간 데이터가 삭제/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제 1 입출력부(131)의 모드 설정을 통해 재입력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20)와 외부 단말기(즉, PDA 및 PC)를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 시켜줌으로써, 외부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가 외부에서 화재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제어부(120)의 제어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신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RS-232 및 RS-485를 사용한다.
RS-232는 대부분 PC 병렬 포트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고, RS-232의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이 서로 분리 되어 있어서 양방향 동시 통신이 가능하다.
RS-485는 장거리 통신을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어, 한 건물에 여러 대의 PC를 마치 LAN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RS-485의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이 같은 회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양단의 장비 간에 연결되는 회선은 단 두가닥으로서 한쪽이 송신을 하면 다른 쪽은 수신을 해야 한다. 그래서 한방향 동시 통신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RS-485는 멀티드롭(MULTI DROP)에 의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며, 다자간의 총 연장 거리로 최고 1.2 K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밸브구동부(16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평상시에는 소화약제용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여 소화약제용기에 저장된 소화약제의 방출을 방지하고, 화재 감지 시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 약, 1.5A를 소정시간(약, 0.5초) 동안 공급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약제용기의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으로 방출한다.
경보부(17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화재 감지 시에, 건물 안에 있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경보음 및 안내 음성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한다. 여기서의 경보음은 입출력부(130)의 모드 설정에서 복수개의 경보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고, 경보음의 크기 또한 설정할 수 있으며, 경보음이 발생되는 소정의 시간도 설정 가능하다.
팬구동부(18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상응하여 팬을 구동함으로써 화재 시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도어개폐구동부(190)는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구동되어 화재 시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다.
전원부(200)는 주전원부(210) 및 예비전원부(220)로 구성된다.
주전원부(210)는 80 내지 220V 및 50 내지 60 Hz의 교류전원을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고, 예비전원부(220)는 용량이 DC 24V, 6AH인 백업용 니켈-카드뮴(Ni-Cd)배터리로, 주전원 인가 시 주전원부(210)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으로 정류된 교류전압을 충전하고, 화재 시 출력전압 24V, 출력전류 0 내지 1A의 직류 전원을 각 구성부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정전 시 배터리 유지시간은 정상 시 한 시간 정도이고, 화재 시 경보를 발생하면 약 20분 정도이다.
단말기(300)는 통신부(15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일반적인 PC 또는 PDA를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외부에서 단말기(300)를 통해 제어부에 지시에 따라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LCD창의 정보 및 복수개의 LED 점/소등의 각종 정보를 확인 할 수 있고, 단말기를 통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지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소화 설비 제어 방법에 따른 동작 과정 순서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전원부(200)를 통해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관리자의 임의에 따라 모드스위치(SW-M)를 작동시켜, LCD창에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모드를 보고, 설정하고자 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열감지의 기준데이터, 연기감지의 기준데이 터, 온도감지의 기준데이터, 압력감지의 기준데이터, 현재의 날짜/시간 정보, 지연시간, 정지시간, 경보음, 경보음 출력 시간, 경보음의 크기 및 도어폐쇄 시간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S1)한다. 아울러, 설정되지 않는 모드는 초기 정보를 적용한다.
만약, 주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비전원을 공급하며, 예비 전원공급시 예비 전원이 공급됨을 표시하는 예비전원LED(LED-P)가 점등된다.
종래에는 지연시간 및 설정온도 등을 로터리 및 핀식으로 조정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드스위치, 업/다운스위치, 설정스위치 및 시프트스위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설정 방식이 편리하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각종 모드 중 관리자의 임의에 따라 복수개의 모드가 설정되면, 화재 감지 시까지 LCD창에는 날짜/시간 정보 및 각 방호구역별 실내 온도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적하여 디스플레이(S2 내지 S4)된다.
날짜/시간 정보 및 실내 온도가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감지기로부터 입력된 감지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비교(S5)하고, 하나의 방호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 중, 기준 데이터 이상의 감지 데이터가 감지된 감지기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 제어부(120)는 화재로 판단(S7)한다.
즉,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의 감지 데이터가 모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 연기감지기와 온도감지기의 감지데이터가 모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 열감지기와 온도감지기의 감지데이터가 모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 열감지기와 연기감지 와 온도감지기의 감지데이터가 모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이다.
화재로 판단 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연시간 동안 설정된 크기의 설정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화재를 알리는 화재LED(LED-F)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LCD창(LCD)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연시간을 카운트 화면을 디스플레이(S8) 하고,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S9)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한 후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해당하는 입출력부의 방출LED(LED16 또는 LED26)는 점등(S10)된다.
만약, 화재가 방호구역에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을 경우, 관리자는 어보트스위치를 온(S11)시킨다.
어보트 스위치가 온되면, 카운트되는 지연시간이 정지되고, 미리 설정된 정지시간이 카운트 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S12) 되며, 정지시간이 경과(S13)하면 지연시간이 정지시점부터 다시 카운트(S8)되게 된다.
만약, 관리자가 직접 화재를 목격한 경우 또는 지연시간이 카운트 되고 있는 사이의 적절한 시기에 소화약제를 방출하고자 할 경우, 수동기동스위치(SW14 또는 SW24)를 온(S6)시키고, 수동기동스위치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수동기동LED(LED14 또는 LED 24)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가 공급되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어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며 방출LED(LED16 또는 LED26)을 점등(S11)시킨다.
화재 진화 중, 복구스위치(SW-R)의 온(14)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감지기의 동작은 정지되고 동시에 제어부를 통해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 동작도 정지(S15)하고, 복구스위치(SW-R)의 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화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에서 화재 시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하게 되고, 소화 약제 방출 후 소화약제용기에 소화약제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소화약제 용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압력감지기(111-4, 112-4)의 감지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감지압력이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압력LED는 점등된다. 그 후 관리자는 압력LED가 점등한 소화약제용기에 상응하는 소화약제용기를 교체 또는 소화약제를 충진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장치로 두 개의 방호구역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방호구역에 세 개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이상신호가 발생한 감지기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LED로 점/소등 시키며, 두 개 이상의 감지기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경우, 화재로 판단함으로써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재 수신 후 방호 구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대피를 위하여 소정 시간의 지연시간 후에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하였으며, 만약 소정 시간 안에 대피 가 안 되었거나 기타상황에서 지연시간을 순간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지연시간 및 그밖에도 날짜, 시간, 경보음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선택 설정함으로써 설정 방법이 용이하고 정확성이 높다.
또한, 소화약제저장용기에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압력이 일정압력이하가 되면 LED가 점등되어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압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PC 및 PDA등의 단말기를 통해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 즉, 화재 감지 여부, 복수개의 감지기의 고장 여부, 전원 온/오프 등을 전송받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를 통해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개의 소화 설비의 동작을 지시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
    복수개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방호구역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로 구성된 감지부;
    특정 모드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고, 특정 구성부의 동작을 온/오프 지시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와, 설정된 특정 모드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LCD창과, 특정 동작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점소등되는 복수개의 LED를 구비한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의 스위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여 기준 데이터를 설정 및 스위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지시 제어하고, 복수개의 방호구역에서 감지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특정 감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화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된 복수개의 감지기의 데이터 및 상기 입출력부에서 설정된 특정 모드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특정 감지기는
    제 1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하는 제 1 연기 감지기; 열을 감지하는 제 1 열 감지기;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감지기; 및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 감지기와,
    제 2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하는 제 2 연기 감지기; 열을 감지하는 제 2 열 감지기;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온도 감지기; 및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 2 압력 감지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3. 제 1 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복수개의 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LCD와, 복수개의 모드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모드스위치와, 선택된 모드를 설정하는 셋스위치와, 상기 LCD에 디스플레이된 모드의 값을 설정하는 업/다운 스위치와, 상기 모드의 이동을 지시하는 시프트 스위치로 구성된 제 1 입출력부;
    상기 방호구역 화재 시 점등되는 화재LED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동작전원이 공급될 경우 점등되는 전원LED와, 상기 특정 감지기의 고장 시 점등되는 점검LED와, 상기 예비전원이 공급될 경우 점등되는 예비전원LED와, 지연시간 동작의 정 지를 지시하는 어보트스위치와, 리셋을 지시하는 복구스위치 및 상기 예비전원 인가를 지시하는 예비전원스위치로 구성된 제 2 입출력부;
    제 1 방호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 1 열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열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1 연기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연기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1 온도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1 온도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1 방호구역의 소화약제방출을 수동으로 지시하는 제 1 수동스위치와, 상기 제 1 열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1 열감지LED와, 상기 제 1 연기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1 연기감지LED와, 상기 제 1 온도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1 온도감지LED와, 소화약제 방출을 수동으로 기동시킬 경우 점등되는 제 1수동LED와, 상기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일 경우 점등되는 제 1 압력감지LED 및 제 1 방호구역에 소화약제 방출 시 점등되는 제 1 방출LED로 구성된 제 3 입출력부; 및
    제 2 방호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 2 열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열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2 연기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연기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2 온도 감지기 동작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제 2 온도감지스위치와, 상기 제 2 방호구역의 소화약제방출을 수동으로 지시하는 제 2 수동스위치와, 상기 제 2 열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2 열감지LED와, 상기 제 2 연기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2 연기감지LED와, 상기 제 2 온도 감지기에서 감지된 데이터 가 기준 데이터 이상일 경우 점등되는 제 2 온도감지LED와, 소화약제 방출을 수동 기동시킬 경우 점등되는 제 2수동LED와, 상기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일 경우 점등되는 제 2 압력감지LED 및 제 2 방호구역에 소화약제 방출 시 점등되는 제 2 방출LED로 구성된 제 4 입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경보음 및 안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소화약제용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화재 시 상기 방호 구역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상응하여 상기 방호 구역의 문을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감지기의 기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색하고, 특정 감지기에서 입력된 감지데이터와 해당 감지기의 기준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기준 데이터 이상의 감지 데이터가 복수개일 경우 화재로 판단하고, 경보음 출력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화재 LED의 점등을 지시하며, 일정시간의 지연시간 후 해당 방호구역의 소 화약제의 방출을 지시하고, 상기 소화약제 방출 시 해당 방호구역에 상응하는 방출LED의 점등을 지시하며, 상기 소화약제 방출에 따라 소화약제용기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압력LED의 점등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 접속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7. 가스 소화 설비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전원 인가 후 관리자의 임의에 따라 특정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복수개의 모드가 설정되면, 화재 감지 시까지 LCD창에는 날짜/시간 정보 및 방호구역별 실내 온도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특정 방호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기준 데이터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복수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기준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화재임을 판단하고, 화재LED 점등, 경보음 발생 및 미리 설정된 소정의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시에 LCD창에 카운트 되는 지연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한 후 상기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동시에 상기 방호구역의 해당 입출력부의 방출LED를 점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LCD창에 미리 설정된 소정동안 지연시간의 카운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보트스위치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지연시간은 정지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정지시간 동안 카운트되며, 카운트 되는 상기 정지시간이 LCD창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및
    상기 정지 시간이 경과하면, 지연시간은 정지 시점부터 카운트 되고, 카운트 되는 지연시간이 LCD창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에 의해 화재가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수동기동스위치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방호구역의 상기 수동LED가 점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한 후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소화 설비의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모드는
    현재의 날짜/시간, 기준 온도, 기준 압력, 연기감지 기준데이터, 열감지 기준 데이터, 소정의 지연시간 및 경보음 종류 설정, 경보음 크기 및 경보음 발생 시간 설정 모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드는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스 소화 설비의 제어 방법.
KR1020060026116A 2006-03-22 2006-03-22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70095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16A KR20070095649A (ko) 2006-03-22 2006-03-22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16A KR20070095649A (ko) 2006-03-22 2006-03-22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649A true KR20070095649A (ko) 2007-10-01

Family

ID=3880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16A KR20070095649A (ko) 2006-03-22 2006-03-22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56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53B1 (ko) * 2016-08-26 2017-03-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717774B1 (ko) * 2016-05-31 2017-03-17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CN108785946A (zh) * 2017-04-27 2018-11-13 南京消防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灭火系统控制方法
KR20210131722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파라텍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0078A (ko) *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가스트론 다중 방호구역을 위한 자동 소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74B1 (ko) * 2016-05-31 2017-03-17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717153B1 (ko) * 2016-08-26 2017-03-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N108785946A (zh) * 2017-04-27 2018-11-13 南京消防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灭火系统控制方法
KR20210131722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파라텍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0078A (ko) *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가스트론 다중 방호구역을 위한 자동 소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222B2 (en) Active kitch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685285B2 (en) Safety apparatus
JP3531112B2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MXPA04002617A (es) Metodo y aparato de operaciones de barrera movible.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US8681012B2 (en) Detectors
KR20070095649A (ko) 가스 소화 설비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91302B1 (ko) 주소형 자동화재 탐지설비
CN101925934A (zh) 撤离系统及其逃生线路指示器
JPH09120490A (ja) ネットワーク式煙霧フードモニターシステム
US8334785B1 (en) Fire alert system with sequential delay and external indication
NO124751B (ko)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US20070001865A1 (en) Smoke detector
US10760321B2 (en) Thermal door release system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KR101102488B1 (ko)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489359B1 (ko) 센서 확장형 복합 화재 감지기를 이용한 배터리 보관 랙 내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Singh et al. Raspberry pi based smart fire management system employing sensor based automatic water sprinkler
KR200388069Y1 (ko) 제연구역 내의 차압 자동조절 댐퍼
KR20190002471U (ko) 거실제연 시스템
JP2002042281A (ja) 安否判別装置と安否判定装置及び通報装置
KR100429411B1 (ko)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JP3851859B2 (ja) 火災フェイズ管理装置、及び火災フェイズ管理方法
CN110124237B (zh) 消防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