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637A -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637A
KR20070095637A KR1020060026080A KR20060026080A KR20070095637A KR 20070095637 A KR20070095637 A KR 20070095637A KR 1020060026080 A KR1020060026080 A KR 1020060026080A KR 20060026080 A KR20060026080 A KR 20060026080A KR 20070095637 A KR20070095637 A KR 2007009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external operation
dust
sensing uni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효승
Original Assignee
최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승 filed Critical 최효승
Priority to KR102006002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637A/en
Publication of KR2007009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6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4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A robot cleaner is provided to be operated manually like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by installing a control bar to a joint of a cleaner body and cutting off power fed to a drive unit and a sensing unit. A robot cleaner(21) comprises a cleaner body(22), a joint(27), and a control bar(26). The cleaner body includes a sensing unit, a drive unit,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area of an indoor floor and a movement route automatically. The drive unit moves automatically by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The dust collecting unit has a file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a suc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The control bar is connected with the joint formed at a predetermined part of the cleaner body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like a vacuum cleaner manually.

Description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식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의개략도이며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mote control external robot combined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봉식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의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dle bar type external operation combined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01 : 리모콘식 외부 조작 겸용 청소기 02 : 로봇 청소기 본체01: remote control dual-use cleaner 02: robot cleaner body

09 : 리모콘 06, 07 : 수광센서 09: remote control 06, 07: light receiving sensor

21 : 손잡이봉식 외부 조작 겸용 청소기 22 : 로봇 청소기 본체21: dual handle external handle vacuum cleaner 22: robot cleaner body

26 : 손잡이봉      26: handlebar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하여 udk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and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A coupling part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by adding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for external operation combined with a handle bar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to facilitate convenience in using udk.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3-0012187 (2.03.0421일) '로봇청소기의 수동겸용 장치'가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고안은 실내 바닥의 전부분을 자체적인 센싱작용에 의해 스스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 등을 포집하게 된 지능형 로봇청소기에서 실내의 구조적인 요인과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 수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로봇청소기의 수동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이동경로와 궤적을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갖춘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선단에 흡입헤드를 구비한 수동조작대의 흡입파이프를 끼우고 뗄수 있도록 상기 집진부에 연결되게 삽입구를 형성하여 셔터에 의해 개폐되게 하고, 상기 삽입구의 관로상에는 흡입파이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기기의 구동을 감지부의 신호로부터 수동모드로 절환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로봇청소기에 의한 자동으로 청소를 한 후 수동조작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수동으로 청소를 병행하게 된 것이다.The prior art is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3-0012187 (2.03.0421 days) 'manual combined use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The above design is an intelligent robot cleaner that collects dust and foreign matters accumulated on the floor while moving all parts of the floor by its own sensing action, and is not cleaned because of structural factors and obstacles in the ro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device for a robot cleaner that can selectively add a manual cleaning function to improve efficiency, that is, a sensing unit and a sensing signal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and executing a movement path and trajectory. In the robot cleaner having a driving unit driven by the self-receiving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the insertion pip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so that the suction pipe of the manual control unit having a suction head at the tip e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hutte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uction pipe on the pipe line of the insertion hole By the drive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 switch for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and then the cleaned automatically by the robot cleaner will be with a parallel manual cleaning by a manual operation for selectively coupling.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별도의 흡입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흡입 루트의 2원화가 불가피하여 기구가 복잡 해 지는 단점도 있는 것이다.This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suction device must be add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crease of the cost, as well as the inevitable binaryization of the suction route is complicated instrument.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특허출원 번호 20-2004-00046 (2004.06.17) '멀티모드 청소로봇'이 있으며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안은 다기능 멀티모드를 갖는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 청소로봇이 갖는 고유한 기능의 자동운전 기능과 원격으로 원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운전하는 원격운전 기능 및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할 수 있는 수동운전 기능이다. 기존의 유선 청소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움직이면서 운전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자동으로 청소를 할 수 없고, 최근에 개발된 청소로봇은 자동으로만 청소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청소가 미비한 곳에 수동으로 운전하거나 원격으로 운전할 수 있는 기능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안에서는 자동 청소로봇을 제작하여 사람이 청소기를 이동하고 청소하는 것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청소로봇이 자동주행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청소하도록 한다. 청소로봇의 센서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위치와 장애물 여부를 파악하여 청소할 범위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청소한다. 또한, 청소 로봇이 자동으로 청소하지 못한 부분은 기존의 수동 청소기처럼 사용자가 수동으로 움직이면서 쉽게 이동하면서 청소하거나 또는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청소로봇을 원격으로 제어하면서 청소하도록 고안하였다는 것이다. 본 고안 역시 수동의 경우 흡입 장치를 채택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원격 제어 부분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설명이 포함되어 있지 못하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들의 한계인 정해진 방법 및 시간동안 동작을 함으로 인한 불편한 점을 충분히 해소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로봇은 자동 개념이 함축되어 있음에도 융통성을 부릴 수 없다는 것은 기존 로봇 청소기의 치명적인 단점이 된다는 것이다.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is Patent Application No. 20-2004-00046 (2004.06.17) 'multi-mode cleaning robot' is described as follow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robot having a multi-function multi-mode,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unique function of the cleaning robot and the remote operation function to freely drive the desired position remotely and manual operation function that can be done by simple operation. Conventional wire cleaners can only be cleaned automatically because the user can move and operate manually. Recently developed robot has only a function that can only clean automatically. The difficulty is the ability to drive remotely. In addition, in the above invention, an automatic cleaning robot is manufactured so that the cleaning robot moves and cleans autonomously by an automatic driving algorithm using a microprocessor to move and clean the cleaner. Use the sensor of the cleaning robot to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cleaner and whether there are any obstacles, and set the range to be cleaned for cleaning while driving automatically. In addition, the part that the cleaning robot did not automatically clean is designed to clean and move easily while the user moves by hand like a conventional manual cleaner, or to remotely control the cleaning robo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to adopt a suction device in the case of manual is exposed the same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include a specific description in the remote control. These prior art is not enough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method and time limit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s. The inability of robots to be flexible, even with the concept of automatic, is a fatal drawback of conventional robot cleaner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and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that executes itself to determine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riving unit driven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a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apparatus body; A coupling part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by adding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수동으로 사용할 시 바퀴 구동 모터가 무부하 상태가 되도록 해당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고 아울러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만 정상작동되도록 구성된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이며 아울러 상 기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홈이 있으며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피지하고 그 타단은 꼬챙이 형태로 구성되어 수동 청소 작업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이며 또한, 상기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그 타단은 진공 흡착 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동시에 관절부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동 청소시 상기 진공 흡착 패드를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and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In the robot cleaner which consists of a dust collecting part with a dust collecting filter which collects the dust sucked through the inlet, the power supply to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turned off or the clutch mechanism is adopted so that the wheel driving motor becomes no load when used manually. In this case,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ody is configured to operate normally, and the robot cleaner has a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Elongated handlebars are included, but one end The other end is a skewer-shaped robot cleaner that can be used during manual cleaning work, and also includes an elongated handle bar, one end of which is held by the us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pad, and at the same time, the joint part It is included is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to attach the vacuum suction pa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during manual cleaning.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and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A coupling part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by adding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ortion.

기존의 로봇 청소기를 사용하면 편리한 점이 많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국소 부위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 사용하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거나 이것이 없으면 빗자루나 걸레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Although it is convenient to use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for example, if you want to remove dust on a local area, you have to use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or a broom or mop without it.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청소가 아무도 없을 때 로봇 청소기가 장시간 동안 청소하면 100%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적으로는 요소 요소 사람의 힘으로 청소하게 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If there is no cleaning at home, the robot cleaner will not be 100% solved for a long time.

이럴 때 주로 한가지 기능만 수행하게 되는 로봇 청소기만 가지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부득히 별도의 청소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그럴 필요없이 현제 사용하고 있는 로봇 청소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고 하면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이다.In this case, only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only one function cannot solve these problems. Therefore, a separate cleaning means must be provided. However, if the robot cleaner that is currently used can be operated manually, the problem is solved. It i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조작 기능을 사용할 시 바퀴 구동 모터가 무부하 상태가 되도록 해당 구동 모타에만 전원 공급이 끊기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과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1방향 이상 자유운동을 하도록 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only to the corresponding drive motor or the clutch mechanism is adopted so that the wheel drive motor is in a no-load state when the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used. The handle bar and the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ombined to do at least one direction free movement.

로봇 청소기를 수동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려면 수동으로 사용할 때는 자동으로 사용할 때의 제반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robot cleaner manually, the necessity of disabling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automatic use of the manual cleaner is raised.

즉, 수동으로 이리 저리 끌고 다닐 때는 쉽게 끌려 오는 것이 편리하고 로봇 청소기란 밑에 바퀴가 달려 있으니 이러한 바퀴가 무부하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끌고 다니는 대로 쉽게 따라 올 것이다. 이런 무부하 상태는 다른 말로 자유상태가 된다는 것으로 모터가 힘을 내지 않아 바퀴는 단지 외력에 의해 굴러 가기만 하게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dragging around manually, it is convenient to drag easily, and there is a wheel under the robot cleaner, so when these wheels are in a no-load state, they will easily follow as the user drags. This no-load state is, in other words, a free state: the motor is not energized, and the wheels are only rolled by external forces.

또한, 일반 봉걸레와 같이 손잡이봉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효과적인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봉과 상기 결합부는 관절 형태의 기구로 구성되어 적어도 1방향 이상 자유롭게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bar can be freely moved like a general mop to effectively clean, the handle bar and the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 joint-shaped mechanism is preferably free to move at least on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의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을 보면서 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nd on the bottom of the drive unit and the body driven by itsel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main body part of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provided suction hole;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it includes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receivi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의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파식 리모트콘트롤 방식은 장난감 자동차 제어나 TV 리모컨 방식으로서 그 구현이 용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nd on the bottom of the drive unit and the body driven by itsel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main body part of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provided suction hole; In addition to the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t includes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radio typ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The radio wave remote control method is a toy car control or TV remote control method is easy to imple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로봇 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nd on the bottom of the drive unit and the body driven by itsel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provided suction opening;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and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art, or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cluding a robot cleaner for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being configured as an optical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or added with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nd configured as a radio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operate the robot cleaner.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여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nd on the bottom of the drive unit and the body driven by itself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provided suction opening; A coupling part to which a handle bar having an elongated shape can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bot cleaner for external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bar is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Sensing unit equipped with a program to determine and execute the floor area and movement path by itself,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that collects the dust sucked through the inlet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body and the drive unit driven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Robot cleaner main body consisting of a dust collector with a;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handle bar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the main body part. Attached to, or configured with a light-emitting wireless remote control unit as an external control function, or with an external control function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It includes an external operation combined robot clean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식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01)의 개략도이며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의 본체부(02)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된 것으로서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장치(09)에서 나온 빛을 받아 들이는 수광센서(06,07)가 있으며 본 수광센서는 전후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구성되어 사용자(08)가 단지 해당 수광센서에 빛(10)을 비추기만 하면 해당 방향으로 로봇 청소기 본체(02)가 바퀴(03)를 구르며 진행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종래의 로봇 청소기와 같이 사용하려면 자동모드(04)를 누르고 상기 외부 조작 형태로 로봇 청소기를 사용하려면 수동모드(05)를 누르면 되도록 구성되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mote-control external robot combined with a remote control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nsing with a program to determine and execute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by itself A main body part (02) of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a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and a self-driving part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part; A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 is a light receiving sensor (06,07) that receives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09), which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f only the light (10) to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indicate that the robot cleaner main body (02) rolls the wheel 03 in the direction. To use with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was configured to press the automatic mode (04) and to press the manual mode (05) to use the robot cleaner in the external operation form.

이러한 방식은 전파식 리모트 콘트롤에 비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노인들도 사용하게 마련인 로보트 청소기의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것이다.This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operated compared to the radio remote control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robot cleaner intended for use by the elder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봉식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21)의 개략도이다.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22)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상면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26)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27)와;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26)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며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조작 기능을 사용할 시 바퀴(23)의 구동 모터가 무부하 상태가 되도록 해당 구동 모타에만 전원 공급이 끊기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과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1방향 이상 자유운동을 하도록 조합되는 관절부(27) 구조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봉걸레와 같이 사용자(28)가 쉽게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것거이역시 종래의 로봇 청소기와 같이 사용하려면 자동모드(25)를 누르고 상기 외부 조작 형태로 로봇 청소기를 사용하려면 수동모드(24)를 누르면 되도록 구성되었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dle bar type external operation combined robot cleaner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portion 22 having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ked dust; A coupling part 27 capable of at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26 to an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ower supply is cut off or the clutch mechanism is applied only to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driving motor of the wheel 23 is in a no-load state when the external manipulation function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when it is adopted. In addition, the elongated handle bar and the coupling part represent a structure of the joint part 27 that is combined to perform free movement in at least one direction. This structure allows the user 28 to easily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as in the conventional mop. It is also configured to press the automatic mode 25 to use with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and to press the manual mode 24 to use the robot cleaner in the external operation form.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본체부의 상면에 돌출된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로봇 청소기의 특성상 높이가 낮을 수록 유리하므로 상기 결합부가 상면을 기준 으로 그 아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봉의 끝단이 'ㄱ'자로 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is expressed a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but the lower the height is advantageou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bot clea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configured below the upper surface to satisfy the end of the handle bar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form of a.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which determines and executes the interior floor area and moving path for cleaning the apparatus body by itself, and a driving unit and a bottom of the body driven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provided in the suction cleaner;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and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art, or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omprising at least two of the optical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an optical control unit or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도면으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여 또한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를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and executing an interior floor area and a moving path for cleaning the apparatus body by itself, and a driving unit and a device driven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a suction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handle bar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the main body par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elf-assessment of the area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itself A robot cleaner main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or having a driving unit driven in response to a negative detection signal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a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body;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handle bar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the main body part. At least two of which are configured as a light-emitti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which is attached to, or which add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or which is configured as a radio typ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n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is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변형이 되는 손잡이봉의 예로는 망원경식 손잡이가 가능하여 종래의 라디오 안테나를 연상하면 될 것이다. 그 이외 평상시는 여러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훌렉시블하나 특정한 조작시 견고해 지는 특정 기구를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Here, an example of the handle bar to be modified may be a telescopic handle, which may be reminiscent of a conventional radio antenna. Other than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a specific device that is flexible by using several joints but that is firm during certain operations.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수동으로 사용할 시 바퀴 구동 모터가 무부하 상태가 되 도록 해당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고 아울러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만 정상작동되도록 구성된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이다. 즉, 특별한 별도의 기구가 없어도 단지 구동부와 센싱부만 무부하 상태로 놓고 집진부만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손으로 끌고 와서 수동으로 청소작업을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ing unit having a program for determining and executing an interior floor area and a moving path for cleaning the apparatus body by itself and a driving unit driven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In the robot cleaner which consists of a dust collecting part with a dust collecting filter which collects the dust sucked through the inlet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the power supply to the drive unit and the sensing unit so that the wheel drive motor is no-load when used manually If the clutch mechanism is adopted or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is configured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ombined robot cleaner. That is, even if there is no special device, only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n a no-load state, and only the dust collector is pulled by hand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홈이 있으며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피지하고 그 타단은 꼬챙이 형태로 구성되어 수동 청소 작업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이며 이와 같은 구성은 관절부를 특별히 구비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유 상태가 되는 장점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bot cleaner has a groove on the top surface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le bar, one end of which is sebum by the user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skewer, which can be used during manual cleaning work. The same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naturally free state even without a special joint.

또한,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그 타단은 진공 흡착 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동시에 관절부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동 청소시 상기 진공 흡착 패드를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도 본 발명에 포함이 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의 구조를 많이 바꾸지 않고서도 적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부만 차단하기만 되기 때문에 기존 로봇 청소기를 일부 개조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longated handle bar is included, one end of which is held by the us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vacuum adsorption pad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a joint part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clean the vacuum suction pad by the robot cleaner. The external operation combined robot cleaner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n addition, since only the power supply unit for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cut off, some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robot cleaner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에 손잡이봉을 장착함으로 해서 수동 형태의 진공 청소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급히 청소기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가 빈번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하게 하며 별도의 청소 장비를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져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것이다. 아울러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부만 차단하기만 되기 때문에 기존 로봇 청소기를 일부 개조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obot cleaner to be used as a manual vacuum cleaner by attaching a handle bar to the robot cleaner. There is no need to do so, contributing to cost savings. In addition, since only the power supply unit for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cut off, some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robot cleaner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에 있어서,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In the robot cleaner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수동으로 사용할 시 바퀴 구동 모터가 무부하 상태가 되도록 해당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고 아울러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만 정상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  When used manually, turn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rive and sensing unit so that the wheel drive motor becomes no-load or if the clutch mechanism is adopted,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and dust i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Robotic cleaner for external operation combined,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dust.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nfigured of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A coupling part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by adding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Combined external operation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외부 조작 기능을 사용할 시 상기 구동부와 센싱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거나 클러치 기구가 채택된 경우 클러치 기구가 해제되고 아울러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만 정상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When using the external control function, the power supply to the drive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released or when the clutch mechanism is adopted, the clutch mechanism is released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collects dust sucked through the inl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llector is configured to operate normally.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과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1방향 이상 자유운동을 하도록 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elongated handle bar and the engaging portion is a combined external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ombined to perform at least one direction free movement.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의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main body part of the robot cleaner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A robot cleaner for external operation as well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comprising a light-emitting light typ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 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의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main body part of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A robot cleaner for external operation as well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comprising an electric radio remote control device.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착탈할 수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nfigured of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and a handle bar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part, or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 robot cleaner for both external operation and combined use, comprising at least two of an optical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or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and configured as a radio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nfigured of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A coupling part to which a handle bar having an elongated shape can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Combination of the handle bar is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combine the externa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기기몸체에 청소를 하기 위한 실내 바닥의 면적과 이동경로 등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센싱부와 그 센싱부의 감지신호를 받아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기기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갖춘 집진부로 구성된 로봇청소기 본체부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몸체의 소정의 부위에 길쭉한 형태의 손잡이봉을 부착할 수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상기 손잡이봉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에 부착이 되는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발광 수광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 혹은 외부 조작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전파식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구성된 것중 적어도 둘 이상 중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sensing unit has a program that executes its own determination of the area and movement path of the indoor floor for cleaning the device body, and the self-driven drive unit and the suction 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main body configured of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the suctioned dust;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art for attaching an elongated handle bar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handle bar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is add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bar is deformed to the main body part. At least two of which are configured as a light-emitti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which is attached to, or which add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or which is configured as a radio typ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as an external operation function.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홈이 있으며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피지하고 그 타단은 꼬챙이 형태로 구성되어 수동 청소 작업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The robot cleaner has a groove on the top surface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le bar, one end of which is sebum by the user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kewer, which can be used during manual cleaning wor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길쭉한 손잡이봉이 포함되되 그 일단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그 타단은 진공 흡착 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동시에 관절부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동 청소시 상기 진공 흡착 패드를 상기 로봇 청소기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겸용 로봇 청소기.An elongated handlebar is included, one end of which is held by the us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pad and at the same time, a joint part is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attach the vacuum suction pa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for manual cleaning. Combined robot cleaner.
KR1020060026080A 2006-03-22 2006-03-22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KR200700956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080A KR20070095637A (en) 2006-03-22 2006-03-22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080A KR20070095637A (en) 2006-03-22 2006-03-22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637A true KR20070095637A (en) 2007-10-01

Family

ID=3880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080A KR20070095637A (en) 2006-03-22 2006-03-22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563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731A (en) * 2014-08-25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WO2016137252A1 (en) * 2015-02-26 2016-09-01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5486751A (en) * 2022-08-26 2022-12-20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Cleaning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731A (en) * 2014-08-25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WO2016137252A1 (en) * 2015-02-26 2016-09-01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5486751A (en) * 2022-08-26 2022-12-20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Clean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334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197676B1 (en) Robot cleaner
US6374453B1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20200298415A1 (en) Autonomous cleaning robot
US20050027395A1 (en) Control system of a robot cleaner
US20070163075A1 (en) Stair cleaning vacuum cleaner
US7367080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movement control grip
WO2020186583A1 (en) Autonomous cleaner
US20220313051A1 (en) Blocking plug and intelligent cleaning device
KR20120088314A (en)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mop mounting plate which is able to reciprocate
CN209884049U (en) Integrated cleaning device of sweeper
TW201117760A (en) Puddle eliminating system and puddle eliminating method
KR20070095637A (en) External operation combined use robot cleaner
US20180271268A1 (en) Broom-style cleaning appliance
CN108478121B (en) Cleaning robot
CN206026228U (en) Novel intelligence robot of sweeping floor
JP535075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4098167A1 (en) Sweeping and mopping integrated household intelligent robot
WO2003096862A3 (en) Suction cleaners
JP2007175196A (en) Vacuum cleaner
CN215272517U (en) Intelligent floor washing machine
CN211243206U (en) Cleaning robot
CN208524746U (en) A kind of hand-held cleaners with double-purpose functional handle
CN206651785U (en) A kind of hand-held vacuum cleaner
CN219109320U (en)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