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350A -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350A
KR20070095350A KR1020077016578A KR20077016578A KR20070095350A KR 20070095350 A KR20070095350 A KR 20070095350A KR 1020077016578 A KR1020077016578 A KR 1020077016578A KR 20077016578 A KR20077016578 A KR 20077016578A KR 20070095350 A KR20070095350 A KR 2007009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s
whitening
filter
filter coefficients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지 마텔리니
지안 파올로 마텔리니
스테판 클루코우스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to KR10200770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350A/ko
Publication of KR2007009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존재할 때, 연속 심볼들과 관련된 연속 샘플들의 간섭 억제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제1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이 결정된다. 연속 샘플들이 제1백색화 필터 및 필터 계수들을 이용하고, 또한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에 기초한 인트라 심볼 간섭 억제 관련 제2백색화 필터을 이용해, 백색화된다.

Description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Interference suppression in radio receiv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공동 채널 및 인접 채널 간섭 억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그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 및/또는 다른 노드들 같은 둘 이상의 개체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라고 이해될 수 있다. 통신이라면, 가령,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등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회로 교환형이거나 패킷 교환형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셀룰라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셀들에 의해 적용범위가 주어지는 시스템을 말한다. 통신 장치들은 한번에 한 개 이상의 셀들을 이용해 셀룰라 통신 시스템을 거쳐 통신하게 된다.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영역 안에서 이동하는 통신 장치는 통상적으로 셀들과의 관련 신호의 품질에 따라 셀들을 변경한다.
주파수 재사용이란, 인접한 셀에서의 소정 주파수 대역 사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 목적은 이웃하는 셀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는 적어도 두 셀들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두 셀들 사이에 있다. 가령, 제한된 수의 사용 가능 주파수들로 인해, 서로 인접한 셀, 심지어는 서로 이웃인 셀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인접한 셀 (혹은, 일반적으로 어떤 무선 전송기에 의한) 동일 주파수 대역의 이용은 통상적으로 소정 셀에서 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공동 채널 (co-channel) 간섭을 일으킨다. 인접한 셀들에서의 인접 주파수 대역들의 이용은 인접 채널 간섭을 일으킨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성능 제한 요인은 잡음 보다는 간섭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능력은, 간섭 제한 시나리오들을 통한 개선된 성능의 수신기들의 도입을 통해 증대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공동 채널 및 인접 채널 간섭 배제를 달성하기 위한 한 방법이, 공간 다이버시티 (spatialdiversity)라는 이점을 가지는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가격, 복잡도 및 사이즈 제한으로 인해 휴대형 통신 장치들에서는 실행가능성이 없다.
여러 개의 안테나들이나 안테나 어레이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단일 안테나 간섭 제거 (SAIC, single antenna interference cancellation) 기술들이 연구되었다. SAIC 기술들은 통신 장치 내 최소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서 수신기 성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한 SAIC 접근방식이, 간섭을 컬러 잡음 (colored noise)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컬러 잡음을 백색화(whitening)함으로써, 간섭 억제 와 신호 이득이라는 성과를 올릴 수 있다.
종래의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 구조가 도 1에 도시된다. 수신 신호 Rx(t)(11)가 우선 대역 통과 필터 (Rx-Filter 21)를 통해 필터링 되고, 그 출력 r(t)(12)는 동기화 블록(Sync 22)에서 동기 및 디-로테이트 된다 (de-rotated). 동기되고 디-로테이트 된 신호 x(t)(13)는 이제 채널 추정기 (Ch-Est 23)에서 채널 및 간섭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채널 추정기는 적어도 한 채널 추정치 h(14)를 제공한다. 적어도 동기되고 디-로테이트된 신호 x(t)(13)와 채널 추정치 h(14)가 등화기 (Equalizer 24)로 제공된다. 등화된 신호 z(t)(15)는 디코딩을 위한 디코더 (Decoder 25)로의 입력이 되며, 디코더(15)는 전송 비트 s'(t)(16)을 출력한다. 등화기는 다른 유형의 검출기로 대체될 수 있다.
WO0193439에서 간섭은 IIR (infinite impulse response; 무한 임펄스 응답) 프로세스로 모델링 되고 있고, 궁극적으로 (다차원) FIR (finite impulse response,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에 의해 백색화 작업이 수행된다. WO0193439가 디-로테이트 된 신호 x(t)의 동상 (in-phase)및 직교위상 (quadrature) 성분들의 샘플링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심볼 마다 한 개의 동상 성분 샘플 및 한 개의 직교위상 성분 샘플이 존재하게 된다. WO0193439의 백색화 작업은 디-로테이트 신호 x(t)의 동상 및 직교위상 성분들에 대해 수행된다.
WO0193439에서 논의된 백색화와 관련한 한 가지 문제점이, FIR 필터를 이용하는 백색화 작업이 심볼들 간 동상 및 직교위상 성분들의 상관만을 고려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남은 인트라 심볼 (intra-symbol) 상관이 잔류할 수 있고, 여기서 인트라-심볼을 통해 한 심볼 듀레이션 (duration) 안에 들어오는 모든 샘플들이 인 용된다.
WO0193439에 논의된 백색화의 또 다른 문제는, 신호 잡음이 백색 잡음인 경우, 즉 감도 제한 시나리오를 통해 작업하는 중일 때, FIR 필터를 이용한 백색화는 이미 백색 잡음인 것을 컬러화할 수 있어, 통상의 수신기와 비교할 때 저하된 성능이 되게 한다는 것이다. 저하된 성능은 보통 FIR 필터 계수들의 추정에 있어서의 부정확성으로 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하여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에 관한 제1백색화(whitening)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제1백색화 필터 및 그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 및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에 기초해 인트라 심볼 (intrasymbol) 간섭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된 제2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본 발명의 제1양태로서 정의된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며, 이 장치는,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제1백색화 필터, 제1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에 기초해 인트라심볼 간섭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된 제2백색화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백색화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가 더 제안되며, 이 통신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거쳐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요소가 더 제안되며, 네트워크 요소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거쳐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하여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함께 추정하는 모델에 기반하여, 심볼간 간섭 억제에 관한 백색화(whitening)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백색화 필터 및 그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여 연속된 백색화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연속된 백색화 샘플들에 기초해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고, 이 장치는,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 관련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고, 상기 필터 계수들을 백색화 필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 조인트 추정기, 및
백색화 필터로부터 출력된 백색화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채널 추정기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더 제안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역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있어서,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해 연속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백색화 필터 및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고 그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는, 부분 간격의 방식 (fractionally spaced manner)으로 연속 샘플들에 대해 병행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있어서,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해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연속된 샘플들을 심볼 간격(symbol-spaced) 연속 샘플들의 집합으로 나누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백색화 필터 및 상기 결정된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고 그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는, 심볼 간격 연속 샘플들에 대해 병행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며, 이 장치는,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심볼들과 관련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 및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백색 필터는, 부분 간격의 방식 (fractionally spaced manner)으로 연속 샘플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르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며, 이 장치는,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심볼들과 관련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 및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연속 샘플들을 심볼 간격(symbol-spaced) 연속 샘플들의 집합으로 나누고, 상기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백색화 필터는, 심볼 간격 연속 샘플들의 집합을 사용해 작업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더 제안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역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2양태에 따르면, 간섭 억제를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심볼 당 적어도 한 샘플이 주어지는 연속 심볼들과 관련된 연속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백색화 필터 및 결정된 필터 계수들을 사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3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본 발명의 제12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4양태에 있어서, 간섭 억제를 위한 장치가 제안되며, 이 장치는,
심볼 당 적어도 한 샘플이 주어질 때,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백색화 필터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14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더 제안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본 발명의 제14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역시 제안된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전형을 통해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신기의 개략적 블록도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의 개략적 블록도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가능한 개략적 구성의 예를 다소 세부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가능한 제2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응답의 조인트 추정기를 가진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종래의 채널 추정기를 채용한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필터 계수들의 조인트 추정기 및 채널 응답에 대한 별도의 채널 추정기를 채용한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병렬 심볼 간격 샘플 처리를 이용하는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결합 필터를 이용한 병렬 심볼 간격 샘플 시퀀스들의 결합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는 병렬 심볼 간격 샘플 시퀀스들의 처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FIR 백색화와 관련한 스위칭 동작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인트라 심볼 상관에 대한 필터 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IQ 백색화와 관련한 스위칭 동작의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변조 문자체제 (real modulation alphabet)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가능한 변조 방식들의 몇 가지 예들에, 펄스 폭 변조 (PAM), 최소 쉬프트 키잉 (MSK, minimum shift keying) 변조, 가우스 최소 쉬프트 키잉 (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변조, 바이너리 위상 쉬프트 키잉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 및 모든 심볼에 대해 적절한 로테이션을 가하여 이진 또는 4진(quaternary) PAM 신호로서 보여질 수 있는 이진 오프셋 QAM 및 4진 오프셋 QAM 같은 오프셋 직교위상 진폭 (offset quadrature amplitude )변조 (offset-QAM)가 있다. IQ-분리(splitted)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진 변조방식뿐 아니라 어떠한 변조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령,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나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FIR 백색화 (whitening) 필터를 이용하므로, 일반적으로 파일럿 심볼들 또는 다른 소정 심볼들 (트레이닝 시퀀스 등)이 FIR 백색화 필터의 적절한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데 필요로 된다.
이하의 설명은 하나의 안테나 수신기를 전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가장 유용하게 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들은 둘 이상의 수신기 안테나로도 쉽사리 확장될 수 있으며, 상이한 안테나들로부터 수신된 샘플들은 부분(fractional) 샘플들로서 동등하게 다뤄질 수 있다. 이를테면,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심볼 당 두 샘플들이 사용가능한 경우나, 두 안테나들로부터 심볼 당 한 샘플이 사용가능한 경우, 알고리즘은 같을 것이다.
간섭 억제는 신호의 디지털 처리를 통해 얻어지며, 이러한 디지털 처리는 간섭을 백색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필터 또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연속 필터링 동작으로서 구분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백색화 (whitening) 필터라는 용어는 필터 또는 연속(된) 필터들을 칭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백색화 필터는, 부분 간격 처리 (fractionally spaced processing)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성능 이득 및 수신된 신호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리하고 이 신호를 다차원 필터로서 처리하여 얻어지는 성능 이득을 결합할 수 있다. 신호의 실수부는 흔히 동상 (I, in-phase) 성분을 말하고, 신호의 허수부는 보통 직교위상 (Q, quadrature) 성분을 말한다.
수신된 신호의 백색화가 수행되는 수신기(200)의 개략적 구조가 도 2a에 도시된다. 수신기(200)는 RX 필터(210), 동기 및 디-로테이션 유닛 싱크 (220, synchronising and de-rotating unit Sync), 채널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 등화기(240) 및 디코더(250)를 포함한다. RX 필터(210), 싱크 유닛(220), 및 디코더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신기에서 대응되는 유닛들과 유사할 것이다. 등화 기(24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신기에 있는 등화기(24)와 유사할 수 있다. 등화기는 다른 타입의 검출기로 대체될 수 있다.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에서의 백색화 동작은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잡음 및 간섭을 함께 자기회귀 (AR, autoregressive) 프로세스로 모델링하고 그에 따라 잡음 및 간섭과 관련해 무한 임펄스 응답 (IIR) 및 인트라 심볼 (intrasymbol) 상관을 전제함으로써, 잡음 및 간섭의 심볼간 (intersymbol) 상관을 고려한다. 그에 따라 채널 추정 및 백색화 블록(230)은 통상적으로, 잡음 및 간섭의 심볼간 상관을 제거하기 위한 유한 임펄스 응답 (FIR)인 제1백색화 필터(231), 및 인트라심볼 상관을 참작하기 위한 제2백색화 필터(23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2백색화 필터는, 가령 신호를 오버샘플링하거나, 같은 심볼과 관련된 동상 및 직교위상 신호 성분, 즉 한 심볼 내 동상 및 직교 위상 신호 성분들을 독자적 샘플들로 간주하여 얻어지는, 동일 심볼과 관련된 여러 샘플들에 대한 상관 정보를 활용한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여러 수신기 안테나들로부터 발생한 신호들이 인트라심볼 상관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들과 관련하여, 당업자라면 등화기(240)가, 등화될 신호 및 그 등화될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등화기로 입력되는 신호가 필터링되면, 채널 추정치 역시 필터링되어야 한다. 필터링된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는, 가령, 필터링 전에 한 신호에 기초한 채널 추정치를 판단하고 그런 다음 이 채널 추정치를 그 신호가 필터링된 동일한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 다. 다른 선택 사항의 예로서, 필터링된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는 필터링된 신호에 기초해 정해질 수도 있다. 도 2b 및 2c는 두 가지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 도면들이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기능을 보이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의 가능한 구성들만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b 및 2c (및 도 3a, 3b, 3c 및 4a)의 제2백색화 필터(232)는 백색화 (된)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1
에 대응하는 채널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2
를 추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백색화 필터 다음에 별도의 채널 추정기가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두 번째 예로서, 제2백색화 필터는 제2백색화 필터로 입력되는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3
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2b는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의 가능한 한 구성의 제1예를 다소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b의 채널 추정 및 백색화 블록(230)은 제1백색화 필터(231) 및 제2백색화 필터(232)를 포함한다. 제1백색화 필터(231)에서 출력된 백색화 신호 y(t)가 제2백색화 필터(232)로 입력된다. 제1백색화 필터(231)가 FIR 필터이므로,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은 FIR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것이 도 2b에서 필터 계수 블록(233)으로 보여진다. 또,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은 채널 임펄스 응답들을 추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b에서, 예로서 블록(230a)은 백색화 신호 y(t)를 입력으로 취하고 그 백색화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4
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제1채널 추정 기(234a)를 포함한다.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5
는 제2백색화 필터(232)로 입력되어, 추가 백색화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6
로서 출력된다. 도 2b에는 추가 백색화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7
에 대응하는 추가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8
를 추정하는 제2채널 추정기(234b)가 자리한다.
도 2c는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의 가능한 제2구성의 제2예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다. 도 2c에서, 블록(230b)은 제1백색화 필터(231) 앞에 제1채널 추정기(234a)를 포함한다. 제1채널 추정기(234a)에서 출력된 채널 추정치 h가제1백색화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 제2백색화 필터(232)로 입력되는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09
가 얻어지게 된다. 도 2b에서와 마찬가지로, 블록(230b)은 제2백색화 필터(232)에서 출력된 추가 백색화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0
에 대응하는 추가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1
를 추정하기 위한 제2채널 추정기(234b)를 포함한다.
도 2b 및 2c가 제2백색화 필터(232)를 사용한 백색화 이전에, 제1백색화 필터(231)를 사용하여 백색화가 일어남을 보이고 있으나, 그 두 필터들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은 제2필터링 블록(232)과 대응하는 채널 추정을 제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링된 신호 y(t)와 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2
는 통상적으로 등화기나 다른 심볼 검출기로 입력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b 및 2c는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 록(230)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기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이 기능에 대한 가능한 정렬 순서만을 보이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아래에서 설명하다시피, 채널 추정 및 필터 계수들이 합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델에 따른 FIR 필터의 필터 계수들 A이, 수신된 신호를 백색화하기 위해 정해질 필요가 있다. 도 3a, 3b 및 3c는 필터 계수들 A을 결정하는 몇몇 예들을 보인다.
도 3a에 도시된 채널 추정기 및 신호 백색화 블록(330a)의 제1안에는, 필터 계수들 A 및 백색화 채널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3
를 공동으로 결정하기 위한 조인트 추정기(301)가 존재한다. 필터 계수들 A 및 백색화 채널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4
를 공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대한 세부 내용을 아래에서 기술할 것이다. 필터 계수들 A가 FIR 백색화 필터(231)로 입력된다. 백색화 신호 y와 백색화 채널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5
는 제2백색화 필터(232)로 입력되거나, 제2백색화 필터가 생략된 경우 등화기(240)로 입력된다.
도 3b에 도시된 채널 추정기 및 신호 백색화 블록(330b)의 제2안에서는, 채널 응답 h가 일반적인 최소 자승 (least square) 채널 추정기이거나 어떤 다른 적절한 채널 추정기일 수 있는 제1채널 추정기(234a)에서 우선 추정된다. 여기서, 수신되는 전송 심볼은 수신된 전송 파일럿 심볼 같은 알려져 있는 한 심볼이라고 전제한다. 채널 추정기(234a)는 채널 추정치 h를 제공한다. 그런 다음 수신(된) 신호가 신호 재구성기(302)에서 채널 추정치 h 및 알려진 심볼 α를 사용해 재구성 된다. 수신된 전송 신호 및 재구성된 신호를 사용할 때, 잡음 추정기(303)에서 잡음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6
를 수신된 전송 신호 및 재구성된 신호 간 차이로서, 가령,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7
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필터 계수들 A가 필터 계수 추정기(304)에서 잡음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8
의 함수로서 구해질 수 있다. 필터 계수들 A은 FIR 백색화 필터(231)로 입력된다. 가령, 블록(231)이 도 2c에서 보인 것과 같이 입력으로서 채널 추정치들인 h도 수신하는 경우, FIR 백색화 필터(231)를 통해 채널 추정치 h를 필터링함으로써, 채널 추정치 h 및 필터 계수들 A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신호 y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필터(232)가 채널 추정기 및 신호 백색화 블록(330b)에 존재할 때, 필터링된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19
는 제2필터(232)로도 입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0
를 얻기 위한 제2채널 추정이 신호 y(t)로부터 수행되기도 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제2백색화 필터(232)가 h 및 A에 기초하거나 신호 y(t)에 기초하여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1
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c에 채널 추정기 및 신호 백색화 블록(330c)의 제3안이 도시된다. 여기서, 조인트 추정기(301')가 필터 계수들 A만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필터 계수들은 이제 FIR 백색화 필터 블록(231)로 제공되어, 신호가 백색화된다. 그런 다음, 제1채널 추정기(234a)가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2
를 제공한다. 필터링된 신호 y와 그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3
가 등화기로 입력될 것이다. 이와 달리, 블록(330c)이제2백색화 필터(232)와 제2채널 추정기(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논의된 대부분의 실시예들은 인트라 심볼 상관을 백색화하는 제2백색화 필터를 포함함을 알 수 있으며, 이 제2백색화 필터는 가령 FIR 백색화 필터만을 사용해 충분한 간섭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에 제외될 수 있다. 이것이, 가령 오버샘플링이 사용될 때의 경우가 될 것이다. 제2백색화 필터를 제외하는 또 다른 이유는, 수신기의 구조가 단순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 3c에 도시된 구성에 대해 특히 적용가능하나,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230)에 대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c의 조인트 추정기(301')는, 도 3a에서와 동일한 조인트 추정기(301)일 수 있다. 이 경우, 백색화 채널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4
은 간단하게 무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계수들 A와 백색화 채널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5
를 어떻게 함께 결정할 것인지를 논의할 것이다. 또한, 조인트 추정기(301')에서 백색화 채널 응답을 결정하지 않고 필터 계수들 A만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결정할지 역시 논의될 것이다.
FIR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
이하에서, 예를 통하여, 제1백색화 필터(231)의 세부사항들에 대해, 제1백색화 필터(231)의 필터 계수들을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것과 함께 논의할 것이다.
잡음 및 간섭을 자기회귀 (autoregressive) 프로세스로서 함께 모델링하고 무한 임펄스 응답 (IIR)을 전제하는 것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모델에서, 이진 문자체계 (binary alphabet)에서 선택된 전송(된) 이진 파일럿 심볼들 α(t)이 길이 L (채널 길이)의 복소수 유한 임펄스 응답 (FIR)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전송 파일럿 심볼들 α(t)과 관련해 요망된 신호 수신 시퀀스 x(t)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6
(1)
이 신호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리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7
다음과 같은 정의를 도입할 때: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8
무잡음 수신 신호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29
(8)
이 모델에서, 공동 채널 (co-channel) 간섭 및 백색 가우스 잡음이 함께 자기회귀 프로세스로서 모델링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0
상기 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1
다음과 같이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해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2
백색 가우스 잡음 벡터 e(t)와 컬러 잡음 벡터 n(t)의 매트릭스 표기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3
(12)
여기서, n(t)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비상관되며, 다음과 같은 식들이 도입되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4
이 모델에 따르면, 파일럿 심볼들에 대응하는 잡음성 수신 신호는 이제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5
(15)
모든 항들을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6
와 곱하여, 상기 식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선형 모델이 얻어진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7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8
그리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39
는 예측 에러 필터로서 필터링된 채널이다 (즉, 백색화 채널). 채널 길이는 필터 차수 K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경우 필터 길이는 같은 필터의 길이를 두 배 한 것이 되며, 여기서 필터링된 채널의 길이가 동일할 때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는 것은 활용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정의를 도입할 때,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0
선형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1
그것을 풀어, 가령 백색화 필터 계수들 및 필터링된 채널 탭(tap)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2
의 최소 자승 추정결과를 얻는다.
상기 모델에서 신호가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리되었지만, 같은 모델이 IQ 분리가 없는 것, 이를테면 오버샘플링된 신호에서 나온 심볼들 마다 다수의 샘플들이 존재하는 경우나 보간 신호 또는 여러 안테나들에 의한 신호의 다중 수신이 존재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IQ분리를 이용함으로써 이진 변조방식의 경우 보다 효 율적인 간섭 억제를 행할 수 있지만, 신호가 IQ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이진 변조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모델링은 심볼간 상관을 고려한다. 이것이 식 13으로부터 알려질 수 있는데, 여기서 매트릭스 W의 첫 두 열(column)들은 0과 1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W의 이 첫 두 열들은 현재의 심볼 (또는 현재의 시간 인스턴트)와 관련해 샘플의 실수부 및 허수부들과 관련이 있다.
도 3c에 도시된 제3안과 관련해, FIR 필터 계수들 A가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동시에 백색화(된) 채널 임펄스 응답을 결정하지 않고 정해질 수 있다.
식 (20)의 해가 이하의 등가 시스템을 고려해 얻어진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3
로서 주어진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4
일반적으로, 식 21의 항들의 특정 구조를 고려하고, 다음과 같은 정의를 도입하여,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5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6
식 20의 해를 다음과 같이 재작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7
위에서 α(t)는 알려진 파일럿 심볼들 (또는 트레이닝 시퀀스 비트들)이다.
블록 매트릭스 분해 방법을 식 24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재작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8
이 지점에서 우리는 식 25의 첫째 식만을 풀어 백색화 필터 계수들 A를 얻을 수 있고, 신호 x(t)를 필터링하고 이어서 그 필터링된 신호 x'(t)로부터 채널 탭들을 추정할 수 있다.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49
가 버스트(burst)에서 버스트로 가변하는 항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전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 25의 시스템은 그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0
에 QR 분해를 적용함으로써 더 단순화될 수 있다.
해를 구해야 할 선형 시스템 식은 다음과 같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1
(26)
QR을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2
에 적용할 때, 식 26은 다음과 같이 되나,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3
(27)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4
라는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5
(28)
여기서 이제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6
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7
과 같은 순위를 가진 상삼각행렬 (upper triangular matrix)이다.
일반적으로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8
은 부분적으로만 채워지기 때문에, 그 부분 구조를 고려할 때 좀 더 많은 프로세싱 자원들을 절약할 수 있다. 다시 한번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59
은 버스트별로 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전 산출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등가 시스템의 해가 FIR 필터 계수들이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0
심볼 여러 샘플들을 포함하는 백색화 신호들
수신 신호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오버샘플링이 사용될 수 있다. RX 필터(210)에서 수신된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고, 오버샘플링과 함께 전단 (front end) 필터링, 하향 변환 (down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 RX 필터 앞에서 수행된다. 조인트 추정기 (301, 301')와 FIR 백색화 필터(231)에서의 오버샘플링된 데이터의 처리가 다음에 논의될 것이다. 다른 방안으로서, 심볼 당 여러 샘플들이 보간을 통해 얻어지거나, 여러 안테나들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다중 복제로 인해 이용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심볼 당 이용가능한 샘플들의 수를 NSPS라고 할 때, 신호 당 여러 샘플들을 처리하는 여러 옵션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부분 간격 (fractionally spaced) 도메인으로 앞의 공식을 확장하는 일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일차 옵션은, 이산 (discrete) 변수 t가 심볼 주기 듀레이션의 일부를 커버하는 식 1을 고려해야 한다. 이 직접 확장식에서, 예측 에러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1
구해야 할 선형 시스템은 여전히 다음식으로 되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2
이때 다음과 같은 정의가 도입되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3
주목해야 할 한가지는, 그렇게 함으로써 제1필터가 이미 부분적으로 인트라심볼 상관도 제거하면서, 제2필터에는 심볼 일부 안에 든 나머지 상관을 제거하는 일만을 남겨두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가능하면서도 잘 기능하는 해법이, 오버샘플링된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이 심볼 간격의 (symbol spaced) NSPS (Number of Samples per Symbol, 심볼 당 샘플들 개수)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하고, 그런 다음 NSPS 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을, 통상적으로 서로 독자적으로, NSPS 개의 병렬 프로세싱 유닛들을 통해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할 때, 이것은 NSPS 개의 병렬 조인트 채널 추정 및 필터 계수 추정기들(301)과 NSPS 개의 병렬 제1백색화 필터들(231)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병렬 심볼-간격 해법이 도 4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430a)은 일련의 오버샘플링된 샘플들을 심볼-간격 샘플들의 NSPS 개의 시퀀스들로 나누는 (도 4a에서, 예를 들면, 4 심볼-간격 샘플들의 시퀀스들로 나눔) 디-멀티플렉서(401, de-multiplexer)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각각의 심볼 간격 샘플 시퀀스가 각자의 조인트 채널 및 필터 계수 추정기(301)로 입력된다. 이 추정기들로부터의 필터 계수들 A은 각자의 제1백색화 필터들(231)로 입력된다. 병렬 샘플들의 NSPS 개 병렬 시퀀스들 y가 제2백색화 필터(232)로 입력된다.
도 4a에서 제2필터(232)와 관련된 이하의 상세 설명에서 부분 간격 샘플들의 시퀀스를 입력으로 간주하므로, 샘플들의 심볼 간격 시퀀스들이 제2필터(232)로 입력됨을 예상할 수 있다. 제2필터(232)가 입력으로 한 개의 심볼 간격 샘플 시퀀스만을 취하는 것으로 구성되면, NSPS 개의 병렬 제2필터들(232)이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430) 안에서 제공될 수 있다.
(아마도 NSPS 개의) 제2필터(들)(232)로부터의 출력은, 오버샘플링된 백색화 신호, 또는, 이와 등가적으로, 백색화 샘플들의 심볼 베이스 시퀀스들의 NSPS 개 스트림들일 수 있다. 이 출력은 오버샘플링된 신호나 NSPS 개 병렬 스트림들을 처리할 수 있는 등화기로 보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필터(들)(232)로부터의 출 력은, 입력으로서 여러 개의 병렬 스트림 (또는 그에 상응하는 오버샘플링된 신호)를 취하여 출력으로 하나의 심볼 간격 스트림을 제공하는 결합 필터를 이용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결합 필터는, 가령 정합 (matched) 필터나 MMSE_DFE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feedforward) 필터처럼, 여러 방식을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제2필터(232)가 오버샘플링된 신호를 심볼 베이스의 백색화 샘플들의 시퀀스로 합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5a 및 5b는 상술한 디멀티플렉싱 및 멀티플렉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ㄱ것이다. 도 5b는 PS=2인 경우의 예에 대한 것이다.
샘플들의 NSPS 병렬 심볼 간격 시퀀스들을 단순히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샘플들의 NSPS 심볼 간격 시퀀스들을 정합 필터를 사용해 샘플들의 한 심볼 간격 시퀀스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b가 정합 필터(403)를 포함한 예를 보인다. 제1병렬 백색화 필터들(301) 및 정합 필터(403) 사이에 제2필터(232)를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해법이, 동상 및 직교위상 성분 처리와 비슷한 한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공식에서, 신호는 IQ 분할되는 대신, "부분 간격으로 분할된다 (fractional spaced splitted)", 즉, IQ 분할 신호에 대해 뒤따르는 것 같은 동일한 처리가, 부분 간격 샘플들이 유사하게 정렬되어 있는 신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공식에서 예측 에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4
이하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논리를 따를 때, 구해야 할 선형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5
(36)
여기서, 다음과 같은 정의가 도입되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6
M은 식 (22)에서와 동일한 것이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7
또 다른 해법은 IQ 분할과 함께 이전 공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에 따라 에러 신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8
여전히, 구해야 할 선형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69
(41)
여기서 다음과 같은 정의가 도입되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0
M은 식 (22)에서와 동일하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1
정리하면, 심볼 당 여러 샘플들이 차례로 (즉, 한 부분 간격 시퀀스로), 가령, 상술한 식 30, 35 또는 40 가운데 하나에서 정의한 순서대로 처리될 수 있다. 심볼 당 여러 샘플들은, 그와는 달리, 심볼 간격 스트림들 내 샘플들을 분할하고 그 심볼 간격 스트림을 통상적으로 서로에 대해 독자적으로 병렬 처리함으로써, 적어도 FIR 백색화와 관련해 처리될 수도 있다.
식 30 내지 4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 간격 처리 방식에서는 매트릭스 Z(t)의 차원이 증가하지만, 병렬 심볼 간격 방식에서 매트릭스 Z(t)는 NSPS 번 처리된다. 부분 간격 처리 방식에서, 반전되어야 할 매트릭스 ZT(t)Z(t)의 사이즈가 커진다. 또, 데이터 열들이 더 많이 더해질수록, 매트릭스 ZT(t)Z(t)는 고유함에 더 가까워지고 그 역행렬은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매트릭스에 작은 정규화 항 (regularization term)식을 부가함으로써 경감될 수 있 다.
FIR 백색화의 온 및 오프 스위칭
감도 제한 시나리오상의 백색화 수신기의 열악한 성능은, 잡음이 백색인지 아닌지를 평가하고 백색 잡음인 경우 신호 백색화를 포기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백색 잡음이 존재할 때, FIR 필터 계수들 A는 소정 방식에 따른 양태를 보인다 (소정 특징을 보이는 값들을 보유한다). 이 방식은, 가령,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FIR 백색화를 사용할지에 대한 판단은 FIR 필터 계수들 A의 특성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감도 검출기는 FIR 필터 계수들 A의 특성을 평가하는 블록을 말한다.
도 6은 FIR 필터를 이용하는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630)의 예를 보인다. 예로서, 블록(630)은 조인트 채널 및 필터 계수 추정기(301)를 포함하나, FIR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어떤 다른 대안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가령, 도 2b, 2c, 3b 또는 3c 참조). 블록(630)은 FIR 백색화 필터(231) 및 감도 검출기(601)를 더 포함한다. 감도 검출기(601)는 FIR 필터 계수들을 평가하기 위해 간단한 수학식을 활용한다.
감도 검출기(601)가 FIR 필터 계수들에 기반해, 잡음이 어느 정도 백색이라고 판단한 경우, 검출기는 사용시 채널 추정기(23)로 스위칭한다. 이렇게, 잡음이 백색이면 공동 채널 또는 인접 채널 간섭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백색화가 적용되지 않고, (전통적) 채널 추정이 수행된다.
FIR 필터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판단은, 버스트 별로 바뀔 수 있다. 한 감 도 상황에서, 백색화는 드물게 일어날 것이다, 즉, 버스트들의 작은 일부(단편)에서 일어날 것이다. 어떤 간섭 상황에서, 백색화는 매우 자주 발생할 것이다, 즉, 버스트들의 많은 부분에서 일어날 것이다.
FIR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FIR 백색화를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FIR 백색화 필터를 이용하는 상술한 필터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트라심볼 백색화와 관련한 제2백색화 필터 역시 제2백색화 필터의 사용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한 관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과 관련된 스위치들은 서로에 대해 독자적으로 작동한다. 단 하나의 백색화 필터만이 스위칭 기능과 관련이 있으면, 다른 필터는 계속해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 스위치들이 서로 협력하여 동작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동 작업 케이스들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케이스: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을 이용한 백색화는, 두 필터들 모두와 관련된 감도 검출기들이 컬러 잡음 (간섭)을 검출할 때에만 적용된다. 한 감도 검출기만 (또는 둘 아무도) 컬러 잡음을 검출하면, 백색화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2케이스: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을 이용한 백색화는, 감도 검출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컬러 잡음을 검출한 경우 적용된다. 제3케이스: 제1백색화 필터와 관련된 감도 검출기만이 존재하나, 이 검출기는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의 사용을 제어한다. 제4케이스: 제2백색화 필터와 관련된 감도 검출기만이 존재하나, 이 검출기가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의 사용을 제어한다.
감도 검출기(601)는 FIR 필터 계수들을 평가하기 위해 적어도 한 메트릭 (metric)을 적용한다. 메트릭은 그 값이 FIR 필터 계수들에 종속되는 요인이다. 이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메트릭은 FIR 필터 계수들의 쌍들로부터의 복소수들에 좌우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등을 통해 백색 잡음에 해당하는 매트릭 값들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트릭 값들의 범위는 고유 메트릭 (specific metric)에 따라 달라진다. 감도 검출기(601)가 메트릭 값이 백색 잡음에 해당하는 범위 안에 있다고 판단하면, FIR 백색화가 배제된다. 메트릭 값이 백색 잡음에 해당하는 범위 밖에 있으면, FIR 백색화가 채용된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백색 잡음에 해당하는 메트릭 값의 범위가, 메트릭의 정의에 따라, 메트릭 값이 유지해야 할 값을 초과하거나 못미치는 문턱치로서 결정될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식 13을 여기서 참조할 때, W 매트릭스 내 실수 계수들 {Ai ,k}이 다음과 같은 복소수로 표현될 수 있다 (K=4의 AR 프로세스 예):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2
달리 말해, 복수수들은 FIR 필터 계수들의 쌍들로 이뤄진다.
감도 검출기(601)에 사용된 메트릭(metric)들에 대한 제1고유 예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메트릭들 m 및 mn (n=1...2K-1)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3
여기서, un 및 vn (n=1...2K-1)은 실수로 된 상수들이고, 함수 fn은 소정 n (n=1...2K-1)에 대해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4
또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5
로 정의된다.
제1고유 예에 따르면, 한 간섭 시나리오 (컬러 잡음)가 다음과 같은 전제가 참(true)인 경우에 검출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6
또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7
또는 ....또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8
, 이때
Figure 112007052449566-PCT00079
.
상기 전제가 참이 아니면, 감도 제한 시나리오 (백색 잡음)가 검출된다. 문턱치들인 mthr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0
은 시스템의 신호 레벨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구성에 대해 튜닝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L, un 및 Vn 그리고 함수 fn 역시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
한 구성의 예로서, 2라는 오버샘플링 레이트를 가진 GSM GMSK 수신기를 고려한다. 이 수신기는 길이 6의 백색화(된) 채널 추정치와 차수 K=4 (샘플들)인 AR 프로세스의 계수들을 함께 추정한다. 각 버스트 마다, W 매트릭스 내 계수들 {Ai,k} 추정 후, 다음과 같은 개체들과 메트릭들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1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2
다음과 같은 전제가 참일 때 간섭 시나리오 (컬러 잡음)가 검출된다:
m < mthr 또는 m1 > athr 또는 m2 > athr. 이 전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감도 제한 시나리오 (백색 잡음)가 검출된다. 문턱치들은 다음과 같은 값들을 가진다: mthr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3
1.5, athr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4
3.0.
감도 검출기(601)에서 사용되는 메트릭 m에 대한 제2고유 예는 다음과 같다. 메트릭 m이 실제 FIR 필터 계수들 및 기준 계수들 ck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 제곱들 (squared Euclidean distances)의 합으로서 형성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5
여기서 N은 1과, 오버샘플링 요소와 곱한 AR 프로세스 차수 사이의 정수 상수이다, 즉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6
(오버샘플링의 2배). 기준 계수들 ck,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7
은 복소수 상수들이다.
이러한 고유한 제2예에 따르면, 간섭 시나리오 (컬러 잡음)는 다음과 같은 전제가 참일 때 검출된다: m < mthr.
이 전제가 유지되지 못하면, 감도 제한 시나리오 (백색 잡음)가 검출된다. 문턱치 mthr는 시스템의 신호 레벨에 좌우되며, 특정 구성에 튜닝 되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N과 ck들 역시 구성에 맞춰져야 한다.
구성의 한 예로서, 상술한 것과 유사한 GSM GMSK 수신기를 고려한다. 각 버 스트 마다, W 매트릭스 내 AR 계수들 {Ai ,k} 추정 후, 다음과 같은 개체들과 메트릭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8
Figure 112007052449566-PCT00089
다음과 같은 전제가 참일 때 간섭 시나리오 (컬러 잡음)가 검출된다: m < mthrr. 이 전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감도 제한 시나리오 (백색 잡음)가 검출된다. 복소수 ck들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0
문턱치:mthr=-1.0.
감도 검출기를 이용한 감도 스위칭은 간섭 성능을 그다지 방해하지 않으면서 FIR 백색화를 이용하는 수신기의 감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GSM 전화기의 실질적 수신기의 감도 성능에 있어 0dB 까지의 이득이 보여졌다. 동시에, 간섭 시나리오 하의 저하는 단일 간섭 케이스들 (공동 채널 간섭 또는 인접 채널 간섭)에 대해 0.3 dB로 제한되었다. 여러 GMSK 변조형 공동 및 인접 채널 간섭 기여분들이 혼합된 복잡한 간섭 시나리오에서 무시할만한 저하 (<0.01 dB)가 있었다. 그러한 복잡한 시나리오들이 가장 현실적인 간섭 시나리오들이며, 단일 간섭 케이스들에서의 손실들은 중요하지 않다.
인트라심볼 ( intrasymbol ) 백색화
이하에서, 제2백색화 필터(232) 내 인트라심볼 상관 처리가 논의된다. 이때, 제2백색화 필터(232)는 심볼 당 두 개의 샘플들 및 IQ 분리와 함께 동작한다고 전제한다. 그러나, 오버샘플링 또는 여러 수신기 안테나들의 존재로 인해, 심볼 당 어떤 개수의 입력 샘플들이라도 존재할 수 있다. IQ 분리 역시 옵션이다. 심볼 당 샘플들의 수는, 부가 샘플들이 수신 신호 Rx(t)에서 바로 사용될 수 없는 경우 보간 수단에 의해서도 증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트라심볼 상관은 이 심볼과 관련된 샘플들의 상관 특성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IQ 분리, 오버샘플링 및/또는 여러 수신기 안테나들로부터 얻어지는 심볼 당 여러 개의 샘플들 등에 기초해 이하에서 논의되는 원리들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가 자명한 일이 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신호 y를 인트라심볼 백색화 필터에 대한 입력 신호로서 사용한다. 이것은 신호 처리를, 인터라심볼 백색화 필터 전에 FIR 백색화 필터가 존재하는 경우들에만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필터들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이, 샘플된 수신 신호 y(nT)를 출력하며, 여기서 T는 연속되는 심볼들 (의 전송) 사이의 시간 (즉, 심볼 레이트의 역수)을 나타내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1
이며, 이때 k는 전송된 모든 심볼들에 대해 사용되는 인덱스이고, q는 0부터 l까지의 오버샘플링 인덱스이며, l은 오버샘플링 요인, 즉, 심볼 당 샘플 들의 개수 (또는 수신기 안테나들의 개수, 혹은 오버샘플링 요소 x 수신기 안테나들의 개수)이다.
제2백색화 필터(232)는 샘플링된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여, 공동 채널 간섭 및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필터링된 샘플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2
(즉, 필터링된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발생한다. 필터(232)의 입력은 (FIR 백색화된) 신호 및 대응하는 추정 이산 채널 임펄스 응답 h'(sT)의 샘플들 y(nT)이며, 여기서 s=m+q/l이고 m은 0에서 v까지를 아우르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3
이고, v는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보다 1 적은 값이다.
다음에 이어질 설명에서, 오버 샘플링 팩터 l=2에 의한 오버 샘플링이 전제되며, 제2백색화 필터의 입력단에 수신 신호 샘플들 yk이 다음과 같이 채널 데이터 입력 gk 및 샘플링된 채널 임펄스 응답 h' m의 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5
이고, v는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 보다 1 적은 값이다. 윗첨자 j는 선택된 통신 채널 상의 각 신호에 대한 색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j=0은 원하는 신호를 가리키고, 다른 j 값들은 공통 채널 간섭을 가리킨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6
그리고 연속되는 심볼들 (의 전송) 사이의 시간인 T를 이용한다. 이제 Nf 개의 수신 샘플들의 블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7
아니면, 더 간결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8
윗 식은 요망되는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099
및 잡음 플러스 (공동 채널) 간섭 신호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0
를 포함한다. 편의상, 인덱스 (샘플 카운터) k에 해당하는 순간에서의 잡음 플러스 간섭 신호 ik를 4x1 벡터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1
다음으로, 백색화 수신 신호 샘플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2
을 다음과 같이 제공하도록 필터 연산 L-1을 정의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3
(48),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4
여기서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5
는 4x4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로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6
(50)
여기서 E[...]는 모듬 평균을 취하는 수학 연산이다. 간섭이 시클로 고정 랜덤 프로세스 (cyclo stationary random process)에서 일어나므로, 기대치 연산이 시간 평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7
. (50.1)
따라서, 한 개의 심볼을 나타내는 각각의 4x1 벡터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8
가 다음과 같이 백색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09
(51)
위에서 W는 양의 유한 에르미트 (positive definite Hermitian)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0
의 제곱근의 인버스 (inverse)로서 정의된다, 즉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1
(51.1)
어떤 실시예들에서, 에르미트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2
는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이며, 백색화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3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4
의 촐레스키 인수화법의 인버스 (inverse of a Choleski factorization)로서 구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백색화 매트릭스 W가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5
의 아래식으로 표현된 임의의 인수화법과 같은 어떤 인수화법에 의해서도 구해질 수 있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6
(51.2)
아니면 고유값 분해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등을 통하는 등의, 다음과 같이 표시된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7
의 어떤 인수화법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8
이 경우, 백색화 매트릭스 W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119
로서 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펄스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0
에 작용하는 IQ 필터 에 의해 백색화된 임펄스 응답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1
또한 제공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2
따라서, 각각의 4x1 벡터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3
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4
(53)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5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간섭 억제 방법은 채널 길이 증가라는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즉, 식 (53)으로부터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6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7
과 같은 차원을 가진다는 것이 자명하게 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필터 모듈(732)이 각각의 k마다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는, 연속된 샘플들 yk를 구성하기 위한 제1모듈(701);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8
를 결정할 다음 모듈(702); 및 k=1,...,Nf 일 때 필터링되고 백색화되는 샘플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29
을 산출하는 제3모듈(70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할 때, 어떤 실시예들에서 필터(732)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0
을 산출하기 위한 모듈(703)에 이어지는 추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모듈은 부분 간격 등화기 (fractionally spaced equalizer)를 데시메이트 (decimate)하지는 않 을 것이나, 심볼 간격 등화기의 경우 신호를 데시메이트할 것이며, DFE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필터에 해당하는 필터나 다중위상 정합 (polyphase matched) 필터로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그렇게 할 것이다.
인트라심볼 백색화 필터(732)에 뒤이어오는 등화기는 트렐리스(trellis) 검출기일 수 있고, 트렐리스 검출기의 입력은 심볼 간격 입력이 된다. 이 심볼 간격 입력은 결정 피드백 등화기 (DFE)의 피드포워드 필터에 해당하는 전치-필터 (백색 잡음을 위해 디자인 됨)에 의해 백색화 필터의 출력 W을 포스트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식 (50)에서처럼,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1
를 근사화함으로써, 한 심볼 내부의 상관만이 제거된다. 따라서, 어떤 잔여 상관이 예상될 수 있고, 이것은 가령 피드포워드 필터의 이어지는 최적화를 통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 처리 후, 포니 (Forney) 메트릭이 트렐리스 비터비(Viterbi) 등화기에 사용될 수 있다. 1998년 4월 IEEE 정보 이론 회보; vol.46, 464-472 페이지, G. Bottomley, S.Chennakesku의 "Unification of MLSE Receivers and Extensions to Time Varying Channels"를 참조하라.
이와 달리, 등화기는 상술한 Bottomley 등의 논문에 역시 개시된 웅거백 (Ungerboeck) 메트릭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치 필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나, 백색화 요망 임펄스 응답에 부합되는 다중위상 정합 필터를 활용하여, 백색화 필터의 출력 W이 심볼 당 하나의 샘플로 데시메이트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등화기가 심볼 당 둘 이상의 샘플에 대해 작용할 수 있 고, 이 경우, 또 다른 대안적 구성이 있게 된다. 인트라심볼 백색화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등화기가 심볼 당 둘 이상의 샘플에 대해 작용할 수 있을 때, 잡음 상관을 고려하도록 등화기 안에서 메트릭을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변경된 브랜치 (branch) 메트릭이 다음과 같이 주어지고,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2
이것이 인트라심볼 백색하 동작 다음에 사용될 수 있는 이하의 유클리드 메트릭 대신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3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IQ 백색화를 이행(enabling) 및 불이행(disabling) 하는 메커니즘 역시 제공한다 (상술한 것처럼 기능하거나 다른 기술들을 이용함). 공동 채널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IQ 백색화가 이진 변조된 공동 채널 간섭 제한 채널에 대해 현저히 효과적이나 감도 (백색 잡음) 제한 채널들에서 약간의 성능 저하를 일으킨다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스위칭 메커니즘이 유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기에서 IQ 백색화 및 비백색화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스위칭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그 스위칭은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4
의 서로 다른 성분들의 상대 값들을 검사하는데 기초한다. 다른 어떤 실시예들에서, 스위칭은 역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곱들인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5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6
의 기대치들 E[...]을 검토하는데 기초한다. 본 발명에 의해 지원되는 이러한 스위칭 메커니즘 너머의 개념은, 현존하는 잡음이 백색 잡음인지 (이 경우 백색화가 터닝 오프됨), 비백색 잡음인지 여부, 즉, 이것이 시간적으로 상관되어 있는지 (이 경우 백색화 터닝 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7
의 서로 다른 성분들의 상대 값들을 검사하는데 기반하는 실시예에서, 잡음이 백색인지 여부를 다음과 같이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Q 백색화 필터 (깍인 자기상관, truncated autocorrelation)는 잡음 샘플들로부터 4x4 (2-IQ 분리, 2-오버 샘플링)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8
의 계산을 요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백색화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를 위한 메트릭은
Figure 112007052449566-PCT00139
요소들로 된 함수로서 도출된다.
이진 변조된 공동 채널 간섭자들의 경우, 시간적 상관 (부분적 샘플들 간, 즉 한 심볼 내 샘플들 간)은, 다음과 같이,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0
의 요소들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1
따라서 이진 변조된 공동 채널 간섭 신호에 대해, 시간적 상관은 상관 매트릭스 성분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샘플의 실수 및 허수 성분들 간 상관은 0이 되지 않는다.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2
의 서로 다른 성분들의 상대 값들을 검사하는데 기반하는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위칭은,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다음 식을, 채널이 시간상으로 상관되어 있는지 (즉, 잡음이 백색이도록 감도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메트릭으로서 정의한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3
알 수 있다시피, 이 메트릭은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4
의 서로 다른 성분들의 상대 값들에 좌우된다. 이때, 어떤 소정 문턱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5
에 대해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6
이면, 채널은 시간적으로 상관되어 있는 것으로 분류되고, 백색화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백색화는 불이행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어떤 실시예들에서 스위칭은 서로 다른 곱들인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7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8
의 기대치들 E[...]을 검토하는데 기초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수치) 값,
Figure 112007052449566-PCT00149
(58)
그리고 (수치) 값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0
(59)
을 구한다.
이제, 다음 식과 같이 정의된 양 Mti를 백색화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으로 이용하여,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1
(60)
Mti가 소정 문턱치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2
(어플리케이션에 좌우될 수 있는 값을 가짐) 보다 클 때 백색화로 스위칭한다.
상술한 스위칭에 대한 실시예들 모두 간섭 신호의 이차 (second order) 통계치 관측에 기반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더 복잡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필터 블록(800)을 참조할 때, 약한 시간 상관의 경우 (즉,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3
의 경우), 감도 검출기(801)는 백색화 없는 필터링을 위해 모듈(802)로 스위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백색화를 위한 모듈(732)로 스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히, 인트라심볼 백색화 기능이 필터 블록(800) 내에서 스위치(801) 앞이나 블록(732) 뒤에 있는 경우, 모듈(802)이 배제될 수 있다.
인트라심볼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제1백색화 필터 및 인트라심볼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제2백색화 필터가 있는 필터에는, 각각의 필터와 관련한 감도 검출기 및 스위치 (득, 스위칭 기능)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이 심볼간 백색화 필터를 스위칭 온/오프하는 것과 관련해 위에서 논의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널 추정 및 신호 백색화 블록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싱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처리 (DSP)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간섭 억제가 다양한 통신 시스템 내 통신 장치들과 네트워크 소자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요소라는 용어는 여기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이 갖춰진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어떤 특정 예들이, GSM이나 UMTS (Universal Mobile Telecoummunication System) 같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들이다.
이러한 설명이 심볼간 간섭을 백색화하기 위한 FIR 필터와 인트라심볼 간섭을 백색화하기 이한 필터에 대한 특정 세부사항들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특정 예들과는 다른 필터들을 사용해 심볼간 간섭 및 인트라심볼 간섭 억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상술한 수학식을 예로서 사용할 때, 일련의 샘플들은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t 값들에 대한 x(t)를 가리킨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백색화 샘플들은 통상적으로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4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5
를 말한다. 채널 추정치들은 보통 상황에 따라,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6
,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7
또는
Figure 112007052449566-PCT00158
를 가리킨다.
여기 상세히 개시된 식들 및 수학 공식들의 취급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계산을 수행하는 방식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라는 말은 적어도 오버샘플링 (보간 포함), IQ 분리 및/또는 다중 수신기 안테나들과 관련한 샘플들을 아우름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논의에 비춰, 상기 설명에 반하지 않는 특징들의 임의의 실행가능한 조합들이 이 명세서에 함의되어 있음이 자명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 상세히 말해, 가령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해 개시된 소정 블록에 관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비록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고 해도, 다른 실시예에 존재하는 동일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예시되고 상술한 설명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 개시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의 청구항들에 의해 설명되고 정의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수많은 재구성, 변형 및 치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7)

  1. 간섭 억제 방법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하여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intersymbol) 간섭 억제에 관한 제1백색화(whitening)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제1백색화 필터 및 그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 및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에 기초해 인트라 심볼 (intrasymbol) 간섭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된 제2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색화 필터는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들은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함께 추정하는 모델에 기초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된 연속 샘플들에 대 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은,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함께 추정하는 상기 모델에 기초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된 연속 샘플들에 기초해,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된 연속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색화 필터로 입력되는 상기 연속 샘플들에 대응하는 제1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계수들 및 제1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하여,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된 연속 샘플들에 대응하는 제2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샘플들을 심볼-간격 연속 샘플들의 집합 (a set of symbol-spaced successions of samples)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한 백색화는 상기 심볼-간격 연속 샘플들의 집합에 기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를 이용한 백색화는, 상기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을 포함하는 연속 샘플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당 샘플들은 식 30, 식 35, 식 40에 제시된 식들 중 하나에 의해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하여, 제1백색화 필터;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 중 한 가지를 활용해 샘플들을 백색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들은, 필터 계수들이 컬러 잡음에 해당할 때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백색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적어도 한 메트릭 (metric)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 값을, 대응하는 적어도 한 소정 문턱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 값은 필터 계수들의 쌍들로부터 이뤄진 복소수들에 기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백색화 필터를 이용한 백색화는, 오버샘플링 관련 샘플들, 동상 (in-phase) 및 직교위상 (quadrature) 분리 관련 샘플들, 및 적어도 두 수신기 안테나 관련 샘플들 중 적어도 한가지에 기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잡음 플러스 간섭 상관 매트릭스를 구하여 상기 상관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기 상관 특성들에 기초해 샘플들을 백색화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특성들이 컬러 잡음에 해당할 때, 상기 샘플들은 적어도 제2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백색화 필터;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 중 한 가지를 이용한 샘플들의 백색화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샘플들은, 제2백색화 필터를 이용해 백색화하기 전에, 제1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백색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샘플들은 제1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백색화되기 전에 제2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백색화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은, 오버샘플링 관련 적어도 두 샘플들, 동상 (in-phase) 및 직교위상 (quadrature) 분리 관련 적어도 두 샘플들, 및 적어도 두 수신기 안테나 관련 적어도 두 샘플들 중 적어도 한가지에 기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간섭 억제 장치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제1백색화 필터, 제1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에 기초해 인트라심볼 간섭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된 제2백색화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백색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은, 필터 계수들과 채널 추정치들에 대한 조인트 추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화 수단은 조인트 추정기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 계수들에 적어도 반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제1백색화 필터로부터 출력된 백색화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채널 추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화 수단은, 조인트 추정기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에 반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들을 심볼 간격 샘플 스트림들의 집합 (a set of symbol-spaced streams of samples)으로 나누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는 이 심볼 간격 샘플 스트림들의 집합을 병렬 처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는, 상기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을 포함하는 샘플들의 스트림을 처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적어도 제1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특성들에 기초해 적어도 제2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제1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 수단, 및 적어도 상기 상관 특성들에 기초해 제2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 및 제2스위칭 수단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을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은 서로 협력하여 제1 및 제2백색화 필터들을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 수신기, 통신 장치,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통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7.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38. 간섭 억제 방법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하여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함께 추정하는 모델에 기반하여, 심볼간 간섭 억제에 관한 백색화(whitening)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백색화 필터 및 결정된 그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여 연속된 백색화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연속된 백색화 샘플들에 기초해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들에 기초하여, 연속된 인트라심볼 간섭 억제관련 추가 백색화 필터를 사용해 연속된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정의된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1. 간섭 억제 장치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연속된 심볼들 관련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
    필터 계수들 및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고, 상기 필터 계수들을 백색화 필터로 입력하도록 구성된 조인트 추정기, 및
    백색화 필터로부터 출력된 백색화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채널 추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질 때,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들에 기초한 인트라심볼 간섭 억제 관련 추가 백색화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 수신기, 통신 장치, 네트워크 요소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5.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46. 간섭 억제 방법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해 연속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백색화 필터 및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고 그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는, 부분 간격 방식 (fractionally spaced manner)으로 연속 샘플들에 대해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당 샘플들은, 식 30, 식 35, 식 40 중 하나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간섭 억제 방법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연속된 심볼들과 관련해 연속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연속된 샘플들을 심볼 간격(symbol-spaced) 연속 샘플들의 집합으로 나누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백색화 필터 및 상기 결정된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고 그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는, 심볼 간격 연속 샘플들의 집합에 대해 병렬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0. 간섭 억제 장치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심볼들과 관련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 및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백색화 필터는, 부분 간격 방식 (fractionally spaced manner)으로 연속 샘플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당 샘플들을 식 30, 식 35, 식 40 중 하나에 의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간섭 억제 장치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두 샘플들이 주어지는 심볼들과 관련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된 백색화 필터, 및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가 연속 샘플들을 심볼 간격(symbol-spaced) 연속 샘플들의 집합으로 나누고, 상기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백색화 필터는 심볼 간격 연속 샘플들의 집합을 사용해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화 필터를 구성하는 병렬 필터들의 집합 및,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상기 수단을 형성하는 필터 계수 추정기들의 집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 특성들에 기초한 인트라심볼 간섭 억제 관련 추가 백색화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 수신기, 통신 장치,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7.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58. 간섭 억제 방법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한 샘플이 주어지는 연속 심볼들과 관련된 연속 샘플들을 제공하는 단계,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백색화 필터 및 결정된 필터 계수들을 사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적어도 한 메트릭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 값을 적어도 한 소정 문턱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 값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해진 필터 계수들의 쌍들로 이뤄진 복소수들에 기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58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이 연속 샘플들이 컬러 잡음에 해당한다는 것을 가리킬 때, 백색화 필터 및 상기 결정된 필터 계수들을 이용해 연속 샘플들을 백색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연속 백색화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치들은 필터 계수들과 함께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백색화 샘플들에 기초해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58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메트릭이 연속 샘플들이 백색 잡음에 해당한다는 것을 가리킬 때, 연속 샘플들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제58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을 수행하게 만드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8. 간섭 억제 장치에 있어서,
    심볼 당 적어도 한 샘플이 주어질 때, 심볼들과 관련된 샘플들을 수신하는 수단,
    심볼간 간섭 억제와 관련한 백색화 필터,
    백색화 필터의 필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백색화 필터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채널 추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백색화 필터와 채널 추정기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0. 제68항에 있어서, 같은 심볼 내 샘플들의 상관에 기초하는 인트라심볼 간섭 억제 관련 추가 백색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적어도 백색화 필터를 사용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같은 심볼 내 샘플들의 상기 상관에 기초하는 상기 추가 백색화 필터를 적어도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는 추가 스위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적어도 상기 필터 계수들에 기초해 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가 스위칭 수단은 적어도 상기 상관 특성들에 기초해 추가 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추가 스위칭 수단은, 서로 독자적으로 백색화 필터 및 추가 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추가 스위칭 수단은, 서로 협력하여 백색화 필터 및 추가 백색화 필터를 사용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5. 제68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 수신기, 통신 장치, 네트워크 요소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6.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68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77.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볼들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심볼들에 관련된 샘플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제68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요소
KR1020077016578A 2007-07-19 2004-12-20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KR2007009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6578A KR20070095350A (ko) 2007-07-19 2004-12-20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6578A KR20070095350A (ko) 2007-07-19 2004-12-20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350A true KR20070095350A (ko) 2007-09-28

Family

ID=3868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578A KR20070095350A (ko) 2007-07-19 2004-12-20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5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681A3 (en) * 2010-09-29 2012-06-07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off-channel detector for receiv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681A3 (en) * 2010-09-29 2012-06-07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off-channel detector for receivers
US8995512B2 (en) 2010-09-29 2015-03-31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off-channel detector for receiv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050B1 (ko) 수신기
Giannakis Filterbanks for blind channel identification and equalization
CA25306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a receiver
US6535554B1 (en) PCS signal separation in a one dimensional channel
EP1232617B1 (en) Method and receiver for whitening a signal disturbance in a communication signal
KR100447201B1 (ko) 채널 등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tv 수신기
EP0544315B1 (en)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apparatus
KR100791988B1 (ko) Saic gsm/edge 수신기를 위한 저복잡도 등화및 간섭 억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532354A (ja) 向上されたブロック等化を提供する無線通信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WO2005041429A1 (en) Multi-pass interference reduction in a gsm communication system
WO2004073185A2 (en) Reducing interference in a gsm communication system
JP2008530906A (ja) 過去、現在及び/又は将来の自己相関マトリクスの予測値に基づいてブロック等化を実行する無線通信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WO2008012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mbol alignment in diversity signal reception
KR100653176B1 (ko) 주파수 영역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Auer et al. Pilot aided channel estimation for OFDM: a separated approach for smoothing and interpolation
Miller et al. Estimation of co-channel signals with linear complexity
WO2006067258A1 (en) Interference suppression in radio receivers
KR20070095350A (ko) 무선 수신기들에서의 간섭 억제
Auer Channel estimation for OFDM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t antennas by filtering in time and frequency
EP1276287A2 (en) Estimation of channel characteristics
EP14759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terative estimation of channel- or filter-coefficients
EP2025087B1 (en) Timing errors
Kamio et al. High bit rate/spl pi//4-QPSK modem with a new equalizer based on sequence esti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Vandaele et al. A Channel Coding Based Algorithm for Multi-User Blind Symbol Estimation,"
Liu et al. Time domain upsampling linear MMSE receiver for asynchronous MC-CDMA systems over frequency-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