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126A -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126A
KR20070095126A KR1020060025419A KR20060025419A KR20070095126A KR 20070095126 A KR20070095126 A KR 20070095126A KR 1020060025419 A KR1020060025419 A KR 1020060025419A KR 20060025419 A KR20060025419 A KR 20060025419A KR 20070095126 A KR20070095126 A KR 20070095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data
image
server system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130B1 (ko
Inventor
정세균
석문길
Original Assignee
정세균
석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균, 석문길 filed Critical 정세균
Priority to KR102006002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1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자단말기와 이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수신자단말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고,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연속 촬영하여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이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이미지 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고가의 방송장비를 갖추지 않고도 일반인들이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서 동시에 재생하면서 방송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단말기, 촬영수단, 셔터스피드, 방송서비스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BROADCASTING SERVICE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UNIT AND THERE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상세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송자단말기 110 - 촬영수단
120 - 통신수단 130 - 서버시스템접속부
140 - 영상자동촬영부 150 - 이미지연속전송부
160 - 문자정보활성화부 200 - 중계서버시스템
210 - 소켓서버 220 - 이미지처리부
230 - 통신서버 240 - 제어부
300 - 수신자단말기 310 - 통신모듈
320 - 영상연속활성화부 330 - 디스플레이수단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자단말기와 이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수신자단말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고,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연속 촬영하여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이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이미지 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고가의 방송장비를 갖추지 않고도 일반인들이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서 동시에 재생하면서 방송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형 통신단말기에 촬영수단이 부가되고 이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면서 화상통화 등의 서비스가 소개되고 있으며, 또한 위성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서비스가 소개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형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데이터 등을 타인에게 전송하여 공유하기 위해서는 전송을 원하는 특정인을 지정하여 일일이 전송하여야 하였으므로, 영상데이터 등의 전송이 단편적이고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어 그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상통화를 하는 경우 1대1의 영상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하게 되어 동시에 다수인에게의 영상데이터 전송이 어 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 동일한 영상데이터 등을 동시에 전송하는 종래의 방송서비스는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등 고가의 방송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으므로, 이러한 방송장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직접 송출하는 방송자가 되지 못하고, 특수한 방송사업자에게서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에 단순한 의견제시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고가의 방송장비가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다수 수신자들의 휴대형 단말기로 직접 송출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고 송출하여 방송서비스를 직접 운영할 수 있게 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영상데이터가 별도의 셔터조작 없이 자동으로 찰영되고, 촬영된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중계서버시스템을 통해 다수의 수신자단말기로 지속적으로 전송됨으로써, 촬영과 전송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휴대형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구애받지 않게 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무선통신망상에서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을 이루는 서버시스템접속부와, 이미지를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셔터신호를 자동 인가하는 영상자동촬영부와, 촬영수단에서 획득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으로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이미지연속전송부로 이루어진 방송자단말기;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1 이상의 수신자단말기 간에 게이트웨이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켓서버와,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수신자단말기에 표출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와, 게이트웨이를 형성한 수신자단말기의 통신모듈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서버와, 사용자의 인증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중계서버시스템; 및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표출하는 영상연속활성화부가 구비된 수신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소켓서버는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수신자단말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는 게이트웨이형성부, 및 특정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한 수신자단말기를 인증하여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사용자인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는 상기 촬영수단의 활성화 중에도 활성화되어 영상데이터와 함께 표출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 템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프로그래밍된 문자정보활성화부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수신자단말기는 통신모듈이 왑브라우저(Wap Browser) 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일정간격으로 갱신하며 표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수신자단말기는 Java VM기반의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이를 갱신하여 표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은,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가 각각 통신망상에서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자동 인가되는 셔터신호에 의해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자동촬영단계;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연속으로 획득되고 이미지연속전송부에서 통신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서버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영상연속수신단계;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의 이미지처리부에서 각 수신자단말기에서 재생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 변환하는 이미지처리단계;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변환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통신서버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 다수의 수신자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이미지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자단말기로 전송된 영상데이터가 영상연속활성화부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표출되는 영상활성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에 구비된 문자정보활성화부가 활성화되어 각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송수신하여 문자데이터를 영상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출하는 문자정보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는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수신자단말기를 미리 약정된 식별번호에 의해 선별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하고자 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연속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무선통신망 상에서 송출하는 방송자단말기(100)와,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1 이상의 수신자단말기 간에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다수의 수신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중계서버시스템(200)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표출하는 수신자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자단말기(1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120)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110)이 구비된 휴대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로 구성되며,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인증을 이루어 다수의 수신자단말기(300)와 게이트웨이를 이루는 서버시스템접속부(130)와, 이미지를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셔터신호가 자동 인가되는 영상자동촬영부(140)와, 상기 촬영수단(110)에서 획득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이미지연속전송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시스템접속부(130)는 통신수단(120)을 통해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게 되고, 접속 후 촬영수단(110)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전송통로를 형성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할 때 미리 약정된 일정한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그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식별번호가 입력되는 수신자단말기만이 인증되어 약정된 수신자단말기로만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자동촬영부(140)는 상기 서버시스템접속부(130)에서 전송통로를 형성한 후 촬영수단(110)을 활성화시키며, 촬영수단을 통해 렌즈에 비춰지는 이미지를 연속하여 촬영하도록 셔터신호를 자동 인가하게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체로 방송자단말기(100)의 렌즈를 이동시키면 셔터신호를 일일이 인가하지 않아도, 일정한 셔터스피드에 의해 이미지를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셔터신호는 방송자단말기에 구비된 촬영수단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장 빠른 셔터스피드에 의해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송자단말기(100)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경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미지연속전송부(150)는 상기 촬영수단(110)에서 획득하는 이미지를 무선통신에 적합한 형태의 영상데이터로 처리한 후 통신수단(120)을 통해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 연속하여 전송하는 연속송출프로그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영상자동촬영부(140)에서 획득하는 새로운 이미지는 촬영 후 즉시 가공되어 전송됨으로써 수신자단말기(300)에는 지속적으로 갱신된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표출된다. 이때, 상기 영상자동촬영부(140)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동영상데이터일 경우 일정한 프레임단위로 분할하여 가공된 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은 방송자단말기(100)와 1이상의 수신자단말기(300) 간에 게이트웨이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켓서버(210)와, 상기 방송자단말기(100)에서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수신자단말기(300)에 표출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220)와, 수신자단말기의 통신모듈(310)이 접속하는 통신서버(230)와, 사용자의 인증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켓서버(210)는 소켓서버에 들어오는 요청과 응답을 대기하고 있는 특정포트에 할당하여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송자단말기(100)에서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자단말기의 통신망상의 접속코드를 할당하여 방송자단말기(100)와 다수의 수신자단말기(300) 간에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는 게이트웨이형성부와, 특정 사용자 간에만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도록 특정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자단말기(300)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부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220)는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 등의 이미지를 각 이미지가 표출될 수신자단말기(300)의 규격에 맞게 자동 변환하여 처 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된다. 즉, 수신자단말기(300)에서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인증을 이루면서 각 수신자단말기의 통신프로토콜과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제어부(240)가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각 수신자단말기(300)에서 표출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단말기(300)가 왑브라우저(Wap Browser)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서 작동하는 무선프로토콜 마크업언어인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이나 mHTML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자단말기(300)에 자바 애플릿을 구현하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인 Java VM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들웨어 성격의 무선인터넷플랫폼 규격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해 제공된 SK-VM의 MMAPI(Mobile Media API)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신서버(230)는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가 접속하여 데이터송수신을 이루는 것으로서, Web, HTTP, FTP, Gopher 등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NT용 인터넷 서버군(群)인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나 "open source"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되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웹서버인 아파치와 유사한 웹서버(WEB server)기능을 수행하며, 주로 WAP에 최적화되어 있고 빠른 응답속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신서버(230)는 상기 소켓서버에 의해 인증된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와 게이트웨이를 이루어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 등 이미지를 다수의 수신자단말기로 동시에 신속하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을 통하여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권한유무를 확인함과 아울러, 특정 방송자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자단말기(300)가 특정한 조건으로 한정된 경우 이런 특정한 조건의 일치여부를 미리 설정된 식별번호 등을 통해 인증하며, 중계서버시스템(200)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과 이미지변환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자단말기(300)는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과 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영상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를 이루며, 하나의 방송자단말기에서 중계서버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동일한 영상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1 이상의 휴대폰이나 퍼스널컴퓨터 등 통신모듈(310)과 디스플레이수단(330)이 구비된 다수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단말기(300)는 중계서버시스템(200)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전송되는 새로운 영상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수단(330)에 표출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영상연속활성화부(3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단말기(300)의 통신모듈(310)이 왑브라우저(Wap Browser)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일정간격마다 갱신하여 표출하도록 상기 영상연속활성화부(320)에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신자단말기(300)에 Java VM기반의 프로그램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에서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디스플레이수단(330)을 갱신하여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표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신자단말기(300)가 퍼스널컴퓨터의 IExplorer 기반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왑브라우저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정간격으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갱신하여 표출하고, 상기 수신자단말기(300)가 MS Windows 기반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Java VM의 경우와 동일하게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갱신하여 표출하고, 상기 수신자단말기(300)가 ActiveX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 연동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에 Java VM의 경우와 동일하게 갱신된 영상데이터를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송자단말기(100)와 수신자단말기(300)는 촬영수단(110)이 활성화되거나 디스플레이수단(330)을 통한 영상데이터가 표출되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어 영상데이터와 함께 표출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문자정보활성화부(160, 3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은,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가 각각 통신망상에서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S10)와,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자동 인가되는 셔터신호에 의해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자동촬영단계(S20)와,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연속으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에 서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영상연속수신단계(S30)와,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의 이미지처리부에서 각 수신자단말기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 변환하는 이미지처리단계(S40)와, 이미지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통신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자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 수신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전송단계(S50)와, 상기 수신자단말기로 전송된 영상데이터가 영상연속활성화부(320)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표출되는 영상활성화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S10)는 방송자단말기(100)가 서버시스템접속부(130)에서 통신수단(120)을 통해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고, 수신자단말기(300)도 통신모듈(310)을 통해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통로인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송자단말기(100)는 자신이 촬영하는 영상을 다수의 수신자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는 개인으로 구성되며, 자신의 팬클럽을 운영하며 팬들에게 자신의 영상을 보내고자 하는 연예인이나, 동아리멤버들에게 자신이 방문한 새로운 장소를 미리 보여주는 일반인이 소지한 휴대형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방송자단말기(100)와 다수의 수신자단말기(300)간에 중계서버시스템(200)을 통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함으로써 방송자단말기에서 전송한 영상데이터가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 동시에 표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송자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수신자단말기(300)를 다수의 특정 팬들이나 동아리멤버 또는 친구그룹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미리 약정된 식별번호 등에 의해 수신자단말기(300)의 접속여부를 인증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자동촬영단계(S20)는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한 방송자단말기에서 촬영수단(110)을 활성화시키고 영상자동촬영부(140)에서 렌즈에 비춰지는 대상물을 별도의 셔터조작 없이 자동으로 연속하여 촬영하도록 셔터신호를 촬영수단(110)에 자동인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촬영수단에서는 방송자단말기가 허용하는 범위내의 셔터스피드로 연속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영상연속수신단계(S30)는 상기 방송자단말기의 촬영수단에 의해 연속으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이미지연속전송부(150)에서 무선통신에 적합한 영상데이터로 처리한 후 통신수단(120)을 통해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 연속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영상자동촬영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는 별도의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한 방송자단말기내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연속전송부(150)를 통해 처리되어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 전송되므로, 방송자단말기의 저장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촬영수단(1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처리단계(S40)는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중계서버시스템의 이미지처리부(220)에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고자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고 있는 수신자단말기의 운영체제나 영상재생프로그램에 적합하도록 이미지를 처리한다. 즉, 수신자단말기가 왑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는 WML이나 mHTML 형태로 이미지 처리하고, 수신자단말기에 Java VM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WIPI나 MMAPI 형태로 이미지 처리한다.
상기 이미지전송단계(S50)는 상기 이미지처리부(220)에서 자동으로 이미지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수신자단말기(300)와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고 있는 통신서버(230)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수신자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신서버(230)는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미지 처리된 영상데이터가 다수의 수신자단말기에 동시에 전송되어 방송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상활성화단계(S60)는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의 통신서버(23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는 미리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고 있는 수신자단말기에 수신된 후 재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고 재생되어 디스플레이수단(330)에 표출된다. 이때,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일정한 셔터스피드를 갖고 자동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수신되어 갱신되며 표출되므로, 수신자단말기의 사용자는 특정한 방송장비 등이 갖추어지지 않더라도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일정한 방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단말기(300)가 왑브라우저 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가 임시 저장수단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마다 갱신하여 표출하게 되고, 상기 수신자단말기(300)에 Java VM 기반의 프로그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갱신하여 표출하게 된다.
또한, 방송자단말기에서 일방적으로 영상데이터가 전송되어 수신자단말기(300)에 재생될 뿐만아니라, 각 사용자가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에 구비된 문자정보활성화부(160, 340)를 활성화시켜 입력하는 문자정보를 중계서버시스템(200)을 통해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문자데이터가 영상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수 단(330)에 표출되는 문자정보활성화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문자정보활성화단계(S70)가 더 포함될 경우 수신자도 방송서비스에 참여하게 되어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데이터송수신에 큰 전송용량이 요구되는 영상데이터는 일방향으로 전송하여 데이터송수신의 전송속도를 현저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은 전송용량이 요구되는 문자데이터는 양방향으로 전송하여 전송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동적인 방송서비스를 넘어 양방향의 방송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수단이 구비된 일반적인 휴대형 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방송자가 원하는 다수의 특정한 수신자단말기로 직접 송출하여 재생함으로써, 고가의 방송장비를 보유하지 않고도 영상데이터를 직접 송출하여 다수의 수신자와 동시에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일반 사용자가 방송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영상데이터가 촬영 후 즉시 전송되어 수신자단말기에 표출됨으로써, 영상데이터의 전송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휴대형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영상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와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선통신망상에서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을 이루는 서버시스템접속부와, 이미지를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셔터신호를 자동 인가하는 영상자동촬영부와, 촬영수단에서 획득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중계서버시스템으로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이미지연속전송부로 이루어진 방송자단말기;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1 이상의 수신자단말기 간에 게이트웨이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켓서버와,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수신자단말기에 표출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와, 게이트웨이를 형성한 수신자단말기의 통신모듈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서버와, 사용자의 인증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중계서버시스템; 및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표출하는 영상연속활성화부가 구비된 수신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서버는,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수신자단말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이루는 게이트웨이형성부; 및
    특정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한 수신자단말기 를 인증하여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사용자인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는,
    상기 촬영수단의 활성화 중에도 활성화되어 영상데이터와 함께 표출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프로그래밍된 문자정보활성화부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단말기는,
    통신모듈이 왑브라우저(Wap Browser) 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일정간격으로 갱신하며 표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단말기는,
    Java VM기반의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새로운 영상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이를 갱신하여 표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시스템.
  6.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가 각각 통신망상에서 중계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자동 인가되는 셔터신호에 의해 연속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자동촬영단계;
    상기 방송자단말기에서 연속으로 획득되고 이미지연속전송부에서 통신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서버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영상연속수신단계;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의 이미지처리부에서 각 수신자단말기에서 재생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 변환하는 이미지처리단계;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변환된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통신서버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 다수의 수신자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이미지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자단말기로 전송된 영상데이터가 영상연속활성화부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표출되는 영상활성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에 구비된 문자정보활성화부가 활성화되어 각 방송자단말기와 수신자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에서 송수신하여 문자데이터를 영상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출하는 문자정보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활성화단계는,
    상기 방송자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수신자단말기를 미리 약정된 식별번호에 의해 선별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활성화단계는,
    상기 수신자단말기가 왑브라우저 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가 일정 간격마다 갱신되어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활성화단계는,
    상기 수신자단말기에 Java VM기반의 프로그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중계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영상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갱신되어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60025419A 2006-03-20 2006-03-20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KR10077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19A KR100772130B1 (ko) 2006-03-20 2006-03-20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19A KR100772130B1 (ko) 2006-03-20 2006-03-20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26A true KR20070095126A (ko) 2007-09-28
KR100772130B1 KR100772130B1 (ko) 2007-10-31

Family

ID=3868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419A KR100772130B1 (ko) 2006-03-20 2006-03-20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65B1 (ko) * 2013-02-26 2013-06-07 주식회사 티비티 연속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24B1 (ko) * 2010-07-19 2016-09-21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제공 시 시간적 공평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109A (ko) * 1999-07-16 2001-02-0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866786B1 (ko) * 2001-09-06 2008-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이동 방송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421186B1 (ko) 2001-11-02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방법
KR20060033404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사설 방송 시스템 및 방송방법
KR100655738B1 (ko) * 2004-10-26 2006-12-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38918B1 (ko) * 2005-08-18 2007-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설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서버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65B1 (ko) * 2013-02-26 2013-06-07 주식회사 티비티 연속촬영을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130B1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4311B (zh) 直播方法和装置、直播数据流展示方法和装置
CN106162230A (zh) 直播信息的处理方法、装置、主播端、服务器及系统
CN100550754C (zh) 背景丰富的通信系统和方法
KR101732559B1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기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150035934A1 (en) Video message record terminal, video message transmitting server and method for leaving video message
US20170279898A1 (en) Method for Accessing Virtual Desktop and Mobile Terminal
RU2673560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тандартизированный сервер и терминал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CN112714327B (zh) 基于直播应用程序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095671A (zh) 云会议直播系统、方法、装置、设备及介质
EP3432543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0772130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CN110868620A (zh) 基于电视机的远程互动系统及方法
CN104683337A (zh) 网页访问方法、装置及系统
JP2023153790A (ja) プログラム
KR20180068054A (ko) 차량 탑승자 간 자료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491125A (zh) 远程多媒体信息接收方法及终端
KR101856974B1 (ko) 야외에서 개인방송시 시청자와 크리에이터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인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
CN106375803A (zh) 直播信息的处理方法、处理装置及处理系统
KR102315542B1 (ko) 관찰 카메라 영상 제공 방법
KR101950355B1 (ko)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
KR101630018B1 (ko)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2005197945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KR101970200B1 (ko) 영상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sns 서버로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16213A (ko)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KR100887899B1 (ko) 개인방송용 웹 카메라와, 그에 따른 인터넷 서버에서의개인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