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255A - 화분의 습도 센서 - Google Patents

화분의 습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255A
KR20070091255A KR1020070083955A KR20070083955A KR20070091255A KR 20070091255 A KR20070091255 A KR 20070091255A KR 1020070083955 A KR1020070083955 A KR 1020070083955A KR 20070083955 A KR20070083955 A KR 20070083955A KR 20070091255 A KR20070091255 A KR 2007009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sensor
humidity
pot
circuit board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원
권영중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서인원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원, 이용인 filed Critical 서인원
Priority to KR102007008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255A/ko
Publication of KR2007009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의 습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화분의 지중 삽입관(6)이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로 되는 본체(5)의 상부에 태양 전지판(1)을 설치하여 에너지원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본체(5) 속에 습도 센서(10)를 장착하여 그 출력 신호가 내장된 마이컴(13)에 입력되어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값을 넘었을 때 발광 다이오드(3)를 점멸토록 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 내의 함수량이 부족함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화분 내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적기에 물을 줄 수 있어서 식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습도 센서, 태양 전지판, 마이컴, 발광 다이오드, 함수량.

Description

화분의 습도 센서{Humiditi Sensor of a Flowerpot}
식물의 성장 조건에 따라 수분의 공급을 원활히 하고자 화분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임.
화회를 재배하거나 나무, 분재등의 성장 조건에 따라 토양의 함수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임을 감안하여 적기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 있어서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이를 위하여 간단한 도구에 의해 화분의 습도를 측정하여 자동적으로 재배자에게 알려지도록 함으로서 일반인이 쉽게 인식하여 적기에 수분을 재배하고 있는 화분에 공급하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취급하기 용이한 습도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습도 센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실내인 경우에 있어 서는 실내 조명등으로부터, 또 실외인 경우는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을 받기 위해 태양 전지판으로 구성하고, 그러하지 못한 환경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습도 센서를 구성하는 회로의 전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형의 습도센서가 적합하고, 또한 공기중의 습도와는 완전히 차단된 환경하의 밀폐된 공간속에 설치하고 지중(화분 속)의 삽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습도를 측정하여 설계치 이하 또는 이상의 습도인 경우 이를 알리는 수단으로는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했다.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해결함으로서 화분 내의 습도를 자동 측정하여 알려지도록하여 전문인은 물론 일반인으로 하여금 적기에 습기를 화분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어서 생활 환경의 업 그래이드를 실현 시킬 수있어서 정서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부호 1은 태양 전지판이며, 2는 투명의 외부 보호덮개, 3은 발광 다이오드, 4는 기능선택 스위치로 이들은 모두 밑이 원뿔형 원통으로되는 지중 삽입관(6)과 연결된 원통형 본체(5)상면에 설치되고, 상기한 본체(5)의 외부 공간과는 완전히 차단된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9)이 고설(固設)되어 있고, 회로기판(9)의 윗면에는 회로 부품(8)들이 배열되고 그 아래 면에는 회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반도체 타입의 습도 센서(10)가 설치되어 지중 삽입관(6)의 하단 측에 천공된 습기 통로구(7)와 통기(通氣)되어 습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3은 태양 전지판 대신 건전지를 이용하는 예시도로 지중 삽입관(15)의 상면에 외부 덮개(2)와 발광 다이오드(3) 및 선택 스위치(4)가 배설되어 있을 뿐 지중 삽입관(15)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속에 습도센서(10)와 회로 기판(9)이 설치되고 하단측에 통로구(7)가 천공됨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것이므로 본체(5)의 상부는 외부에서 살포되는 물줄기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빛이 원활하게 투과되기 위한 투명의 보호덮개(2)를 닫은 다음 지중 삽입관(6)을 화분의 흙(도시하지 않음)속에 꽂을 수가 있다. 따라서 흙 속의 습도를 측정하는 회로기판(8)에 대한 회로도가 도4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즉 회로를 구성하는 중심부인 마이콤(13)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 전지판(1)으로부터 공급되어 각 회로부품(8)이 구동하도록 되며, 습기 통로구(7)로부터 유입된 습기는 습도센서(10)에 의해 감지되어 그 출력은 습도센서 변환회로(11)를 거처 상기한 마이콤(13)에 입력되고 이와 같은 신호는 기능선택 스위치(4)에 의해 정해 놓은 값에 의해 결정되어 값의 상한 또는 하한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가 점등 또는 점멸(點滅)을 계속하여 외부에 시각적으로 습기를 공급해 주는 시기를 자동적으로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도4에서 미 설명부호 12는 콘덴서를 의미하는 것이며, 도5는 도3의 태양 전지판(1) 대신 건전지(14)를 이용하여 마이콤(13)등을 구동토록 하는 경우의 회로도로 작용 효과는 도5에서와 같은 것이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단면 설명도, 도3은 변형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회로 설명도, 도5는 변형된 회로 설명도이다.
*****도면중 부호의 설명*****
1은 태양 전지판, 2는 외부 덮개, 3은 발광 다이오드,
4는 선택 스위치, 5, 15는 본체, 6은 지중 삽입관,
7은 통로구, 8은 회로부품, 9는 회로기판,
10은 습도센서, 11은 습도센서 변환 회로,
12는 콘덴서, 13은 마이콤, 14는 건전지를 의미한다.

Claims (2)

  1. 밑이 원뿔형 원통으로 되는 지중 삽입관(6)과 연결된 원통형 본체(5)의 상면에는 태양 전지판(1)과 투명의 외부 덮개(2)및 발광 다이오드(3)와 기능선택 스위치(4)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5)의 상면과는 완전히 차단된 내부 공간에는 회로 부품이 배열된 회로기판(9)이 고설되고 반도체 타입의 습도 센서(10)가 상기 회로기판(9)의 아래 면에 설치되어 지중 삽입관(6)의 하단 측에 천공된 습기 통로구(7)와 통기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분의 습도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태양 전지판(1)대신 건전지(14)로 에너지를 공급토록됨을 특징으로하는 화분의 습도 센서.
KR1020070083955A 2007-08-21 2007-08-21 화분의 습도 센서 KR20070091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55A KR20070091255A (ko) 2007-08-21 2007-08-21 화분의 습도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55A KR20070091255A (ko) 2007-08-21 2007-08-21 화분의 습도 센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423U Division KR20090004264U (ko) 2009-03-25 2009-03-25 화분의 습도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255A true KR20070091255A (ko) 2007-09-10

Family

ID=3868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955A KR20070091255A (ko) 2007-08-21 2007-08-21 화분의 습도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372A (zh) * 2020-04-15 2020-07-10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具有66MHz载频检测模块的土壤水分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372A (zh) * 2020-04-15 2020-07-10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具有66MHz载频检测模块的土壤水分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26706Y (zh) 多功能水培装置
CN104542099A (zh) 一种新型植物种植箱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WO2017165935A1 (pt) Vaso eletroeletrônico modular com sistema automatizado de controles e monitoramento digital, utilizado para o aero cultivo de plantas em ambientes internos e externos
CN106134966A (zh) 生态种植箱
KR20090004264U (ko) 화분의 습도 센서
KR101868743B1 (ko)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409049B1 (ko) 조경용 화분
KR101335205B1 (ko) 무인 식물관리장치
KR20070091255A (ko) 화분의 습도 센서
KR20100097326A (ko) 차세대 어항
CN217389597U (zh) 一种缓存式自取水植物生长装置
KR20050043827A (ko) 화분 자동 물공급 시스템
CN105638424A (zh) 一种家庭多功能生态屋装置
CN205623464U (zh) 一种智能花盆
KR200416056Y1 (ko) 난 인큐베이터
CN208016425U (zh) 一种太阳能供电的智能花盆
CN206611887U (zh) 一种都市农业生态净化单元和系统
KR20180062252A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CN207885389U (zh) 植物种植容器
CN106718342A (zh) 充气浇水植物种植器
CN209251168U (zh) 一种新型观赏花盆
CN207460985U (zh) 种植大棚
KR20210085661A (ko) 조립구조를 갖는 실내용 스마트 수경재배시스템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