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966A -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966A
KR20070090966A KR1020077014754A KR20077014754A KR20070090966A KR 20070090966 A KR20070090966 A KR 20070090966A KR 1020077014754 A KR1020077014754 A KR 1020077014754A KR 20077014754 A KR20077014754 A KR 20077014754A KR 20070090966 A KR20070090966 A KR 20070090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rod
receiving opening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오 라파엘 산타마리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09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은 유리 엔빌롭에 고정된 편향 요크를 구비한다. 유리 엔빌롭은 네크 및 퍼넬을 포함한다. 편향 요크는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이 제공된 전기적 절연성의 라이너를 포함한다. 라이너는 그 라이너의 후단 가까이에 배열된 로드(rod) 수납 개구부를 구비한다. 로드 수납 개구부는 수직 편향 코일과 수평 편향 코일 사이의 공간에서 라이너를 통해 연장된다. 로드는 로드 수납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클램프는 로드를 체결하는 잠금부를 구비한다. 잠금부는 로드 수납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로드를 밀어 네크와 체결되어, 편향 요크를 엔빌롭의 네크에 고정시킨다.
음극선관, 엔빌롭, 편향 요크, 코일, 라이너, 로드, 클램프

Description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SECURING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12월 31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Securing Device"인 미국 가출원번호 제60/640,928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 장치를 음극선관의 네크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 편향 요크는 일반적으로 절연 라이너(liner)로 분리된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을 포함한다. 절단된 콘 형상 내에 기본적으로 있는 페이라이트 부재는 라이너의 상부 위에 배치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에서 생성된 플럭스를 집중시킨다. 라이너는 기본적으로 퍼넬(funnel) 형상이고,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을 넘어 전자총으로 연장된 가요성 단부를 구비한다. 잠금 칼라 또는 클램프는 라이너의 가요성 단부의 외부 환형 표면에 배치된다. 잠금 칼라 또는 클램프는 라이너의 가요성 단부가 라이너의 가요성 단부를 음극선관의 길이 축을 따라 음극선관의 네크에 고정되도록 조여준다.
음극선관의 전체 깊이는 편향 요크의 길이에 의해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깊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편향 요크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선관의 깊이를 줄임으로써, 시장에 계속하여 도입되는 비음극선관 평판 패널 표시장치 같은 깊이가 감소된 새로운 유형의 화상 표시장치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음극선관은 유리 엔빌롭에 고정된 편향 요크를 구비한다. 유리 엔빌롭은 네크 및 퍼넬을 포함한다. 편향 요크는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이 제공된 전기적 절연성의 라이너를 포함한다. 라이너는 그 라이너의 후단 가까이에 배열된 로드(rod) 수납 개구부를 구비한다. 로드 수납 개구부는 수직 편향 코일과 수평 편향 코일 사이의 공간에서 라이너를 통해 연장된다. 로드는 로드 수납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클램프는 로드를 체결하는 잠금부를 구비한다. 잠금부는 로드 수납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로드를 밀어 네크와 체결되어, 편향 요크를 엔빌롭의 네크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 및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편향 요크 및 고정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 장치에 의해 음극선관의 네크에 부착된 편향 요크의 평면도이 다.
도 1은 유리 엔빌롭(2)을 구비한 음극선관(1)을 도시한다. 유리 엔빌롭(2)은 퍼넬(5)에 의해 연결된 직사각형의 면판 패널(3) 및 관형 네크(4)를 포함한다. 퍼넬(5)은 음극 버튼(6)으로부터 면판 패널(3)를 향해 네크(4)까지 연장된 내부의 도전성 코팅부(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면판 패널(3)은 뷰(viewing) 면판(8) 및 주변 플랜지 또는 측벽(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리 프릿(frit)(7)에 의해 퍼널(7)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인광 스크린(12)은 면판 패널(3)의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린(12)은, 예를 들면, 세 개가 한 조로 배열된 인광 라인을 구비한 라인 스크린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세 개가 한 조인 각 조는 세개의 인광 라인을 포함한다.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는 스크린(12)과 관련하여 미리 정한 만큼 이격된 상태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자총(13)은 네크(4) 내의 중심에 장착된다. 전자총(13)은 세 개의 인라인 전자빔, 즉, 중앙빔 및 두 개의 측면빔 또는 외부빔을 생성하여,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를 통해 수렴 경로를 따라 스크린(12)으로 향하게 한다.
음극선관(1)은 외부 자기 편향 요크(14)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며, 여기에서 외부 자기 편향 요크(14)는 세 개의 빔이 스크린(12) 상의 직사각형 래스터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스캔하도록 하는 자기장에 그 빔을 구속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14)는 기본적으로 퍼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기적 절연성의 라이너(15)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5)는 그 외 면(16)에 부착되는 수직 편향 코일(17) 및 그 내면(18)에 부착된 수평 편향 코일(19)을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직 편향 코일(17)은 라이너(15)의 외면(16)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고, 수평 편향 코일(19)은 라이너(15)의 내면(18)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대안으로 수평 편향 코일(19)이 라이너(15)의 외면(16)에 부착되고 수직 편향 코일(17)이 라이너(15)의 내면(18)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17, 19)은 라이너(15)의 후단부(20)로부터 대략 라이너(15)의 전단부(21)까지 연장된다.
기본적으로 절단된 콘 형상인 페라이트 부재(22)는 라이너(15)의 외면(16) 상부에 배치된다. 로드 수납 개구부(23)는 페라이트 부재(22)와 라이너(15)의 후단부(20) 사이에 형성된다. 로드 수납 개구부(23)는 라이너(15)를 통해 외면(16)으로부터 내면(18)까지 연장된다. 로드 수납 개구부(23)는 그 로드 수납 개구부(23)가 라이너(15)를 통해 수직 편향 코일(17)과 수평 편향 코일(19) 사이의 공간(42)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어, 그 로드 수납 개구부(23)가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17, 19)의 위치 결정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로드 수납 개구부(23)가 라이너(15)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로드 수납 개구부(23)가 다른 배열로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퍼넬 부착 장치(24)는 라이너(15)의 전단부(21)에 배치된다. 퍼넬 부착 장치(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5)의 전단부(21)를 퍼넬(5)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웨지 또는 플런저(25)를 구비한다. 퍼넬 부착 장치(24)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을 것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14)는 고정 장치(26)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26)는 캡(27), 환형 링(28), 로드(29), 및 잠금 칼라 또는 클램프(30)를 포함한다. 캡(27)은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면(31) 및 환형 외벽(32)을 갖는다. 로드 수납 개구부(23)에 대응하는 절단부(cut-out; 33)가 외벽(32)에 형성된다. 상면(31)은 네크 수납 개구부(34)를 구비한다. 환형 링(28)은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로드 수납 개구부(23) 및 절단부(33)에 대응하는 쓰루홀(35)을 구비한다. 환형 클램프 수납 홈(groove; 37)은 쓰루홀(35)과 근사하여 환형 링(28)의 외면(36)에 형성된다. 각각의 로드(29)는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헤드(39)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38)를 포함한다. 잠금 칼라 또는 클램프(30)는 환형 잠금부(40) 및 조임 부재(41)를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잠금부(40)는 환형 구성을 하고 있지만, 잠금부(40)가 실질적으로 C형상일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클램프(30)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26)를 편향 요크(14)에 조립하기 위해, 라이너(15)의 후단부(20) 상에 캡(27)이 삽입된다. 캡(27)은 라이너(15) 상에 제공된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17, 19)이 캡(27)의 외벽(32) 내부에 수납되고, 절단부(33)가 로드 수납 개구부(23)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환형 링(28)은 쓰루홀(35)이 절단부(33) 및 로드 수납 개구부(23)와 정렬되도록 캡(27)의 위에 삽입된다. 그 후, 로드(29) 각각의 샤프트(38)가 쓰루홀(35)에 부 분적으로 삽입된 다음 절단부(33) 및 로드 수납 개구부(23)를 통과한다. 클램프(30)는 환형 링(28)의 주위에 느슨하게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14)를 엔빌롭(2)에 조립하기 위해, 엔빌롭(2)의 네크(4)는 그 네크(4)가 후단부(20)로부터 돌출할 때까지 라이너(15)의 전단부(21)에 삽입된다. 편향 요크(14)가 적절히 정렬되었으면, 클램프(30)의 조임 부재(41)를 작동시켜 환형 링(28) 주위의 잠금부(40)를 조인다. 잠금부(40)가 조여짐에 따라, 로드(29)의 헤드(39)를 가압하고, 로드(29)의 헤드(39) 및 잠금부(40)가 클램프 수납 홈(37)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잠금부(40)는 로드(29)의 샤프트(38)를 안쪽으로 가압하여 엔빌롭(2)의 네크(4)와 체결됨으로써, 후단부(20)를 네크(4)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퍼넬 부착 장치(24)의 플런저(25)가 엔빌롭(2)의 퍼넬(5)에 체결되어 전단부(21)를 퍼널(5)에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 장치(26)는 라이너(15) 상의 수직 편향 코일(17)과 수평 편향 코일(19) 사이의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편향 요크(14)를 엔빌롭(2)에 고정시킴으로써, 라이너의 길이를 궁극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편향각이 115도를 넘는 CRT 및 전자총이 수직으로 배향된 CRT용으로 특히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인광 스트라이프는 수평으로 배향되고 개별 전자빔 라인은 수직으로 스캐닝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몇몇 가능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다수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체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26)에서 환형 링(28)을 제거할 수도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클램프(30)는 환형 링(28) 대신 캡(27) 주위를 죌 수 있다. 클램프(30)가 캡(27) 주위를 조이는 경우에는, 로드(29)의 샤프트(38)가 안쪽으로 가압되어 네크(4)와 체결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한정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하고자 하며, 게다가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전범위로 부여된다.

Claims (20)

  1. 네크 및 퍼넬을 구비하는 유리 엔빌롭에 고정된 편향 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편향 요크는,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이 제공된 전기적 절연성의 라이너 - 상기 라이너는 라이너의 후단부 가까이에 정렬된 로드 수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는 상기 라이너를 통해 상기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 사이의 공간에서 연장됨 -, 및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네크와 체결되어 고정된 로드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는 상기 로드를 체결하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로드를 안쪽으로 밀어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네크와 체결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은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라이너의 전단부 가까이까지 연장되는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라이너의 외면 상부 위에 배치된 페라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는 상기 페라이트 부재와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 상에 배치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와 정렬된 절단부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캡의 외벽 위에 배치된 환형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링은 절단부와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와 정렬된 쓰루홀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링은 상기 클램프를 수납하는 상기 쓰루홀에 근사한 그 환형 링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클램프 수납 홈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라이너의 전단부에 정렬된 퍼넬 부착 장치를 더 포함 하고, 상기 퍼넬 부착 장치는 상기 엔빌롭의 퍼넬을 체결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편향각이 115도를 초과는 음극선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수직으로 배향된 전자총, 수평으로 배향된 인광 스트라이프 및 수직 스캔 라인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11.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로서,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이 제공된 전기적 절연성의 라이너 - 상기 라이너는 그 라이너의 후단부에 근사하여 정렬된 로드 수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는 상기 라이너를 통해 상기 수직 편향 코일과 수평 편향 코일 사이의 공간에서 연장됨 -, 및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네크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로드
    를 포함하는 편향 요크.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램프는 상기 로드를 체결하는 환형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 기 로드를,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를 통해 안쪽으로 밀어 넣는 편향 요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은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라이너의 전단부 가까이까지 연장되는 편향 요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외면 상부 위에 배치된 페라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는 상기 페라이트 부재와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편향 요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후단부 상에 배치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와 정렬된 절단부를 구비하는 편향 요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벽 위에 배치된 환형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링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로드 수납 개구부와 정렬되는 쓰루홀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링은 상기 클램프를 수납하는 상기 쓰루홀에 근사한, 그 환형 링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클램프 수납 홈을 구비하는 편향 요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전단부에 정렬된 퍼넬 부착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편향각이 115도를 초과하는 음극선관.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은 수직으로 배향된 전자총, 수평으로 배향된 인광 스트라이프 및 수직 스캔 라인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KR1020077014754A 2004-12-31 2005-01-28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KR20070090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092804P 2004-12-31 2004-12-31
US60/640,928 2004-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966A true KR20070090966A (ko) 2007-09-06

Family

ID=3498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754A KR20070090966A (ko) 2004-12-31 2005-01-28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03888A1 (ko)
KR (1) KR20070090966A (ko)
CN (1) CN101095207A (ko)
WO (1) WO20060734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8207A (en) * 1974-02-01 1974-11-12 Trw Inc Mounting assembly for a convergence coil
US4186414A (en) * 1978-09-05 1980-01-29 Zenith Radio Corporation Self-contained adjustable yoke mounting system
NL7907717A (nl) * 1979-10-19 1981-04-22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gekleurde beelden.
DE3017367A1 (de) * 1980-05-07 1981-11-1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lenkspule, insbesondere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KR910004065Y1 (ko) * 1988-12-13 1991-06-13 삼성전관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30004295Y1 (ko) * 1990-12-06 1993-07-10 삼성전관 주식회사 편향 요크
ATE157814T1 (de) * 1994-07-01 1997-09-15 Thomson Tubes & Displays Elektronenstrahl-ablenksystem für kathodenstrahlröhren
US5821842A (en) * 1996-05-10 1998-10-13 Videocolor, S.P.A. Deflection yoke locking arrangement
FR2751786B1 (fr) * 1996-07-25 1998-10-16 Thomson Tubes & Displays Dispositif de fixation d'un deviateur sur le col d'un tube a rayons cathodiques
JPH11288675A (ja) * 1998-04-03 1999-10-19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US6841925B2 (en) * 2002-06-07 2005-0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eflection yo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5207A (zh) 2007-12-26
WO2006073411A1 (en) 2006-07-13
US20080203888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821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KR960016263B1 (ko) 수상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0966A (ko)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JPH11345580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陰極線管の偏向装置
US4697120A (en) Color display system with electrostatic convergence means
US6509681B1 (en) Deflection yoke for color cathode ray tube
EP0270153B1 (en) Picture display device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KR20010005585A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KR20070090979A (ko) 음극선관 편향 요크 고정 장치
US6700319B2 (en) Cathode-ray tube having a tension mask with microphonics control
KR950001339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EP1515357A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0140573Y1 (ko) 편향요크의 리드와이어 고정구조
KR200289327Y1 (ko) 편향요크의 네크구조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200365169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구조
JP2000057966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20038833A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JP2004524670A (ja) 内部磁気遮蔽体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KR20060004754A (ko)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 고정구조
KR20030043515A (ko) 강화된 지자기 차폐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
KR20030009998A (ko) 편향요크
JP2003070013A (ja) 地磁気補正装置と陰極線管
JP2003036801A (ja) 偏向ヨーク付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