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410A -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410A
KR20070089410A KR1020060019416A KR20060019416A KR20070089410A KR 20070089410 A KR20070089410 A KR 20070089410A KR 1020060019416 A KR1020060019416 A KR 1020060019416A KR 20060019416 A KR20060019416 A KR 20060019416A KR 20070089410 A KR20070089410 A KR 2007008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rearrangement
menu item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6001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9410A/ko
Publication of KR2007008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16Serving trays suspended from handles positioned centrally above the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83Serving tray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빈도 또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메뉴의 배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메뉴항목들을 구비하는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항목들 중 임의의 메뉴항목 선택 시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빈도수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뉴항목들 각각의 사용빈도수에 따라 메뉴항목들을 재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메뉴, 사용빈도, 사용자 정의, 재배치, 내비게이션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METHOD FOR REPLACING MENU IN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메뉴 재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재배치를 위한 사용빈도 카운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빈도 또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메뉴의 배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전자기기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전자기기의 각종 기능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기능을 사용한다. 특히, 현재 내비게이션 단말기, 핸드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은 고기능화 되거나 다수의 전자기기들이 하나의 전자기기로 통합되어 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통합 전자기기나 고기능화 되고 있는 전자기기들의 메뉴의 항목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들의 메뉴 항목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의 원하는 메뉴항목을 찾기 어렵거나 여러번의 동작을 거쳐야만 해당 항목 찾을 수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빈도 또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메뉴의 배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재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메뉴항목들을 구비 하는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항목들 중 임의의 메뉴항목 선택 시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빈도수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뉴항목들 각각의 사용빈도수에 따라 메뉴항목들을 재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다수의 메뉴항목들을 구비하는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면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에서 이동할 제1메뉴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할 메뉴항목 선택 후 이동할 위치의 제2메뉴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 항목을 사용할 때마다 해당 메뉴 항목의 사용빈도수를 갱신하고, 화면을 전환하거나 전원 공급 시 상기 각 메뉴 항목들의 사용빈도수에 따라 자동으로 메뉴 항목들을 재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 른 전자기기는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한 사용빈도수를 카운트(Count)하고 카운트된 사용빈도수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들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 항목 재배치 모드를 설정하고, 메뉴항목 제배치 모드에서 임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항목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를 상기 선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이란 상기 선택된 위치의 메뉴 항목과 이동할 메뉴 항목과의 위치 교환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고, 전자기기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재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메뉴 재배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재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제어부(10)와 저장부(20)와 지도데이터 DB(30)와 입력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와 GPS 모듈(6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라 메뉴 재배치를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2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영역과, 메뉴 항목별 사용빈도수를 저장하는 변수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각종 설정값들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지도데이터 DB(30)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4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40)는 본 발명의 사용자 정의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 재배치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지도데이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을 표시하고, 메뉴 모드에서 다양한 메뉴항목들을 가지는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GPS 모듈(60)은 다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들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재배치를 위한 사용빈도 카운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211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211)에 디스플레이된 버튼 또는 메뉴 모드에서의 메뉴항목이 클릭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뉴 모드에서의 메뉴항목에는 버튼과 체크박스가 있다. 이때 경로 탐색 버튼 및 목적지 설정 버튼과 메뉴 설정버튼과 같은 기본 버튼들은 사용빈도수 카운트에서 제외된다. 또는 최상위 버튼, 즉 메인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버튼들은 사용빈도수 카운트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버튼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211단계에서 상기 메뉴항목이 클릭되면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클릭된 메뉴항목이 초기화 버튼인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초기화 버튼이면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빈도수들을 초기화하고, 초기화 버튼이 아니면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부(20)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메뉴 항목에 대한 사용빈도수를 증가된 사용빈도수로 갱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에서 참조번호 410은 사용빈도수에 따른 메뉴 재배치 적용전의 메뉴 화면들이고, 420은 사용빈도수에 따른 메뉴 재배치 적용 후의 메뉴 화면들을 나타낸다.
제어부(10)는 311단계에서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뉴 재배치 이벤트는 메뉴항목 선택, 즉 입력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버튼 또는 체크박스가 선택되거나 클릭될 때 발생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0)는 312단계로 지행하여 메뉴 자동 재배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뉴 자동 재배치 기능 또한 메뉴의 환경설정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V)를 하여 설정 및 설정해제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312단계에서 상기 메뉴 자동 재배치 기능이 설정되 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321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메뉴 배치를 유지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31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저장부(20)로부터 버튼 및 체크박스 사용빈도수를 리드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사용빈도수를 크기에 따라 정렬한다.
상기 315단계 후 제어부(1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정렬된 사용빈도수에 따라 메뉴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도 5a를 예를 들면 환경설정 메뉴에서 지도1, 지도2, 지도3, 안내, 시스템1 및 시스템2 버튼 중 지도1 버튼의 사용빈도수가 제일 높고, 상기 지도1 버튼의 메뉴항목에서 '2D 차량방향 전방확대' 항목의 사용빈도수가 10이고, '우화면 2D 차량방향 전방확대' 항목의 사용빈도수가 9이고, 지도3의 '입체 랜드 마크 표시' 항목의 사용빈도수가 13이고, 일방통행 심볼 표시 항목의 사용빈도수가 5인 경우 제어부(10)는 상기 사용빈도수를 읽고, 사용빈도수의 크기에 따라 '입체랜드 마크 표시', '2D 차량방향 전방확대', '우화면 2D 차량방향 전방확대' 및 '일방통행 심볼 표시' 항목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항목들을 지도1 버튼에 대한 메뉴 항목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도1 버튼에 대한 메뉴 항목에 있었던 메뉴항목들은 자신의 위치로 이동한 메뉴항목이 이전에 있었던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도1의 '2D북쪽고정 전방확대'항목은 자신의 위치에 배치된 'U-턴 심볼 표시' 항목이 있었던 지도 3 버튼 메뉴의 두 번째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도 4a에서는 사용빈도수가 제일 높은 지도1 버튼의 메뉴 항목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각 버튼들에 우선순위값을 주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메뉴항목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좌측이 우선순위가 제일 높고, 우측이 제일 낮은 경우 좌측의 버튼에 대한 메뉴 항목에 사용빈도수가 높은 메뉴항목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a의 경우에는 상기 두 경우다 모두 동일게 적용될 것이다.
상기 도 3에서는 메뉴항목 재배치 이벤트가 메뉴항목, 즉 버튼이나 체크박스가 선택되거나 클릭되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전원이 공급되어 내비게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뉴항목 재배치 이벤트는 입력부(40)로부터 메뉴 재배치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의 참조번호 430은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적용전의 메뉴 화면이고, 참조번호 440은 사용자 정의에 따른 메뉴 재배치 적용 후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0)는 401단계에서 입력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 명령은 입력부(40)의 메뉴 재배치 키 입력에 의한 키데이터일 수도 있고, 입력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에 의해 선택되거나 클릭된 버튼에 의한 데이터일 수도 있다.
상기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를 설정하고, 메뉴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 설정 후 제어부(10)는 405단계에서 이동할 제1메뉴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제1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406단계에서 선택된 제1메뉴항목을 저장부(20)에 저장하고, 407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할 위치의 제2메뉴항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이동할 위치의 제2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408단계에서 상기 제2메뉴항목을 저장한다.
상기 408단계 후 제어부(1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위치를 교환한다.
도 5b를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에서 지도3 버튼을 선택한 후 시스템2 버튼을 선택하면 지도3 버튼과 시스템2 버튼의 위치가 교환된다. 도 5b에서는 1, 2, 3, 4의 순서로 4번의 메뉴항목 위치 교환이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메뉴의 항목들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는 빈도수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메뉴 항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6)

  1. 다수의 메뉴항목들을 구비하는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항목들 중 임의의 메뉴항목 선택 시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빈도수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뉴항목들 각각의 사용빈도수에 따라 메뉴항목들을 재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상기 메뉴항목 선택 시 발생함을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시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재배치 이벤트가 상기 전자기기의 입력부로터 메뉴 재배치 키의 입력에 의해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뉴 재배치 이벤트 발생 후 메뉴 자동 재배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메뉴 자동 재배치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빈도수에 따른 메뉴 재배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다수의 메뉴항목들을 구비하는 메뉴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재배치 모드 명령이 입력하면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항목 재배치 모드에서 이동할 제1메뉴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할 메뉴항목 선택 후 이동할 위치의 제2메뉴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 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19416A 2006-02-28 2006-02-28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KR20070089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416A KR20070089410A (ko) 2006-02-28 2006-02-28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416A KR20070089410A (ko) 2006-02-28 2006-02-28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410A true KR20070089410A (ko) 2007-08-31

Family

ID=3861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416A KR20070089410A (ko) 2006-02-28 2006-02-28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9410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158A (ja) * 1997-12-25 1999-07-21 Nec Mobile Commun Ltd 移動無線装置
KR100283180B1 (ko) * 1998-12-17 2001-04-02 윤종용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기능 선택방법
KR20010097418A (ko) * 2000-04-22 2001-11-08 강원희 사용횟수/최근사용순서를 기반으로 메뉴를 표시하는휴대용 단말기
KR20020015753A (ko) * 2000-08-23 2002-03-02 서평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및 장치
KR20030029174A (ko) * 2001-10-05 200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콘 위치 변경 방법
KR20040028027A (ko) * 2002-09-28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93234A (ko) * 2003-04-22 200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다이내믹 메뉴 구성장치 및 선택방법
KR20090034662A (ko) *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158A (ja) * 1997-12-25 1999-07-21 Nec Mobile Commun Ltd 移動無線装置
KR100283180B1 (ko) * 1998-12-17 2001-04-02 윤종용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기능 선택방법
KR20010097418A (ko) * 2000-04-22 2001-11-08 강원희 사용횟수/최근사용순서를 기반으로 메뉴를 표시하는휴대용 단말기
KR20020015753A (ko) * 2000-08-23 2002-03-02 서평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및 장치
KR20030029174A (ko) * 2001-10-05 200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콘 위치 변경 방법
KR20040028027A (ko) * 2002-09-28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93234A (ko) * 2003-04-22 200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다이내믹 메뉴 구성장치 및 선택방법
KR20090034662A (ko) *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93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997926B2 (ja) 携帯端末で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配置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75054B1 (ko) 표시장치 및 그 조작방법
US905292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 application indicator therein
US2016034995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635767B (zh) 移动终端的菜单显示方法
US860511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3725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CN101267471B (zh) 用于移动终端的空闲屏幕布置结构和空闲屏幕显示方法
EP2618547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0885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dle screen of portable terminal
US936723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7522488A (ja) 車両用の制御システム
CN101178631A (zh) 计算机系统及其方法
CN103164112A (zh) 使用握持传感器的基于用户的用户终端显示控制装置和方法
CN105677136A (zh) 一种图标排序的方法及装置
US88420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ymbols on a terminal input area
KR100818991B1 (ko)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CN102027442B (zh) 便携式通信终端及其显示方法和装置
JP2007515728A (ja) 車両用の制御システム
KR20070089410A (ko) 전자기기의 메뉴 재배치 방법
US20130321711A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20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765266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278252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