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619B1 -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619B1
KR101469619B1 KR1020080079969A KR20080079969A KR101469619B1 KR 101469619 B1 KR101469619 B1 KR 101469619B1 KR 1020080079969 A KR1020080079969 A KR 1020080079969A KR 20080079969 A KR20080079969 A KR 20080079969A KR 101469619 B1 KR101469619 B1 KR 10146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area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189A (ko
Inventor
김현진
박용국
곽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619B1/ko
Priority to US12/534,273 priority patent/US20100039412A1/en
Priority to PCT/KR2009/004460 priority patent/WO2010018965A2/en
Publication of KR2010002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시부와, 표시부에 연결된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마련하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변화 여부에 따라 표시부의 일정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부의 화면 변화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표시부의 화면 변화 시, 표시부의 일정 영역을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표시부, 화면 변화, 컨텐츠, 분포, 동작 제어, 돌출, 침하

Description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Movement Control System For Display Unit And Move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모듈의 기계적 동작을 표시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표시모듈의 기계적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 국민의 85% 이상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자 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입력 신호 생성 방식으로 터치스크린을 적용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적용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동작을 보다 유연하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출력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등의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역동적이며 데이터 변환에 따른 상호 작용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오감만족을 달성할 수 있는 단말기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의 기계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부의 화면 변화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과정; 상기 표시부의 화면 변화 발생 시,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이 표시부의 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는, 문자, 숫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표 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변화 발생 여부를 검사하고, 화면 변화 발생 시, 상기 모터 구동부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표시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컨텐츠들의 다양한 표시에 대하여 표시부에 출력되는 일정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의 화면 변화를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분포 형태, 컨텐츠들의 사용빈도수, 컨텐츠들의 표시 영역 분할 형태, 컨텐츠들의 스크롤바 포함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이미지 등의 다양한 표시 형태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의 기계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서 컨텐츠는 문자나 숫자, 이미지 그 자체로서도 이해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시, 단말기 일측에 입력 신호에 따라 숫자가 표시되는 경우, 본 발명은 숫자가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풀 스크린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전화번호 입력 시, 하단 영역에 키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은 키패드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일부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 구성 중 표시모듈의 구성만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표시모듈(20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추가로 별도의 입력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무선주파수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입력부(110) 및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표시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200)의 기계적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표현에 있어서 시청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표시모듈(200)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적인 요소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20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며, 출력된 형태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 모터(130) 및 모터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모듈(200)은 표시부(120)와 표시부(120) 일측에 배치되는 모터(130) 및 모터(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140)를 포함하며, 표시부(120) 일측 방향의 상하 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표시부(120) 중앙 배면에 표시부(120)를 고정하는 고정 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모듈(20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모터 구동부(140)가 동작하여 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모터(130)가 상하 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모터(130) 상부에 놓여지는 표시부(120)가 상하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모터(130)는 표시부(120)의 제1 측부 및 제2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 동작을 수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20)는 제1 방향의 상하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2 방향의 상하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각 측부에 배치된 모터의 동시 동작에 따라 사선 방향의 상하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30)의 동작은 모터 구동부(140)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200)을 어떠한 방향으로 동작시킬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구동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20)는 단말기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컨텐츠 표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입력부(11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컨텐츠들은 표시부(120)의 일정 영역에 전부 또는 일부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2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20)는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영상을 표현하는 패널, 패널의 광 선택적 투과를 제어하는 패널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표시모듈(200) 동작 제어 및 표시부 출력 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130)는 모터 구동부(140)가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모터 구동부(140)로부터 업 또는 다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모터(130)는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수행하여 모터(130) 상단에 놓여지는 표시부(120)를 일방향의 상하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모터(130)는 모터 구동부(1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하로 동작할 수 있는 모터 예를 들면 서보 모터, 스텝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서보 모터는 모터 구동부(140)로부터 상하 운동을 위하여 회전에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모터는 정밀한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빠른 회전 운동을 통하여 표시부(120)의 상하 운동을 빠르게 수행할 수 도 있다.
상기 모터 구동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모터(1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30)에 전달한다. 즉, 제어부(160)가 표시부(120)에 출력된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120)의 어떠한 부분을 어떠한 높이로 상하 운동시킬지 여부에 대하여 결정하고, 그 결과를 모터 구동부(140)에 전달하면, 모터 구동부(140)는 전달받은 신호를 서보 모터의 회전각도 값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모터 구동부(140)는 회전각도 값을 모터(130)에 전달한다. 이러한 모터 구동부(140)는 모터(130)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 즉 모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 값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모터(130)에 전달하여 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 여, 타 단말기나 서버 등 외부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표시부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를 부팅 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 목록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표시모듈 동작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60)에 로딩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동작 제어 프로그램은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단말기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상술한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목록에 대응하는 정보와, 각 아이콘 및 목록이 표시부(120) 상에 출력되는 위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표시부(120)에 출력되어 있는 영역과 표시부(120)에 출력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영 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160)는 스크롤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기능 제어를 수행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해당 구성들에게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변화를 검사하고, 컨텐츠들의 변화 여부에 따라 표시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모듈(2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배치여부, 배치된 컨텐츠들의 사용 빈도수, 컨텐츠들의 링크 관계, 컨텐츠의 검색, 컨텐츠 표시에 있어서 스크롤바 등의 표시 여부에 따라 표시모듈(200)의 운동량 및 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이외에 별도의 입력부(110) 예를 들면 키패드, 핫키, 보조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동일하게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리고 단말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포함될 수 있는 무선주파수부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200)의 운동량과 운동방향을 결정하고, 표시모듈(200)을 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역동적이며 감각적인 정보 전달 및 사용자의 다채로운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표시모듈(200)의 운동량과 운동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배치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량과 운동방향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검색하기 위하여 입력부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컨텐츠들의 좌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표시부(120)의 중앙 기준으로 표시부(120)를 일정 영역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중앙을 기준으로 우상 영역을 제1 영역, 우하 영역을 제2 영역, 좌하 영역을 제3 영역, 좌상 영역을 제4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놓여 있고, 제3 영역에는 두개의 컨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이 놓여 있으 며, 제4 영역에는 4개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각각 놓여 있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제4 영역에 가장 많은 컨텐츠 아이콘이 배열된 것으로 인식하고, 모터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4 영역이 다른 영역들보다 전면으로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모터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측벽 중앙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모터와,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측벽 중앙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제1 모터 및 제2 모터는 상하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제4 영역을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표시부(120)에 출력된 컨텐츠들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량과 운동방향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은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며, 각 메뉴 아이콘에 표시된 번호는 메뉴 아이콘들의 사용 빈도 등수를 나타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즉,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 아이콘이 1번, 일정 기간 동안 가장 적게 사용한 메뉴 아이콘이 4번이 될 수 있다. 각 메뉴 아이콘의 사용 빈도수는 제어부가 일정 기간 동안 활성화되는 아이콘들의 활성화 횟수를 누적시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1번 메뉴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다른 메뉴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보다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오른쪽 측벽 중앙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모터와 아래쪽 측벽 중앙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는 모터 구동부에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 다. 그러면, 모터 구동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회전시켜 표시부(120)와 체결되어 있는 모터를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4번 메뉴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됨으로, 1번 메뉴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돌출 또는 침하되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120)의 돌출 및 침하 동작을 지지하기 위하여 표시부(120)의 중앙 하부에 표시부(120)를 고정하되 표시부(120)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는 탄성 고정체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표시부(120)에 출력된 컨텐츠들의 링크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량과 운동방향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부팅 시키고 대기화면이 표시되면, 메뉴 중 특정 메뉴 예를 들면 음악 파일 검색을 위해 MP3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MP3 기능 활성화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 중 MP3 기능 활성화에 따라 재생될 수 있는 목록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좌측에 상위 항목이 배치되고, 우측에는 좌측 상위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하위 항목들이 표시된다. 제어부는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들의 링크 관계를 판단하고, 좌측 상위 항목이 배치되어 있고, 우측에 하위 항목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120)의 우측 또는 좌측이 좌측 또는 우측보다 높게 돌출 또는 낮게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0)는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들의 링크 관계에 따라 우측이 좌측보다 높게 돌출되거나, 좌측이 우측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컨텐츠 검색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량과 운동방향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상단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어 입력창과, 검색어 입력 후,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이 마련된다. 여기서, 확인 창은 버튼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의 경우 검색어 입력 후 검색 과정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검색어 입력창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창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입력부가 있는 경우, 입력부가 포함하는 별도의 확인키로 대체될 수 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는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저장부(15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 목록들을 검색어 입력창의 하단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20)는 상단에는 검색어 입력창이 배치되고, 하단에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는 표시부(120) 상단에 마련된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어가 입력되기 이전 과정 즉,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을 위한 메뉴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에서는 표시부(120) 상단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표시부의 영역이 구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입력 후, 검색 과정이 완료되어 검색어 입력창 하단에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경우,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표시부(120)의 하단이 검색어 입력창 있는 표시부(120) 상단보다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표시부(120)가 상단 및 하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검색어 입력창이, 하단에는 검색된 컨텐츠 목록이 표시될 경우, 제어부는 검색어를 입력하기 이전에는 표시부(120) 상단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목록이 검색되면 표시부(120) 하단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변화에 따라 운동 방향이나 운동량이 결정되어 동작하므로, 정보 전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촉각적이며 상호작용적인 전달이 가능하다.
도 7은 스크롤바 표시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량과 운동방향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 중 스크롤이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 검색들 예를 들어, 사진 검색, 앨범 검색, 웹 페이지 검색, 목록 검색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단말기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 선택 예를 들어 사진 검색에 따라, 특정 사진을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120)는 일측에 다른 사진이 더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장자리 영역에 다른 사진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다른 사진들이 더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단에 스크롤바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가 특정 사진 또는 사진들을 검색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하면,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사진들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한 후, 검색된 사진들을 표시부(12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수개의 사진의 크기를 재조정하여 표시부(120)에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사진을 표시부(120)에 출력하고, 다른 사진들은 표시부(120)에 출력하지 않는 대신에, 아진 검색한 사진들이 남아 있음을 스크롤바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스크롤바 표시에 있어서, 특정 사진을 표시부(120) 크기보다 크게 보여주는 경우에도 스크롤바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진 검색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웹 페이지 검색이나 목록 검색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검색의 경우, 표시부(120)는 전체 웹 페이지의 일부를 표시하며, 나머지 웹 페이지의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는 스크롤바를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목록 표시의 경우에도, 표시부(120)는 목록 중 일부 목록을 표시하는 한편, 아직 표시되지 않은 목록들이 더 있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측에 스크롤바를 표시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표시부(120) 일측에 스크롤바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120)는 스크롤바가 이동할 방향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돌출 또는 침하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표시부(120)에 스크롤바가 표시된 경우, 스크롤바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검사하고, 스크롤바가 이동할 방향의 표시부(120)가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모터 구동부 및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그림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는 표시부 우측에 검색할 사진이 더 있음을 알 수 있고, 스크롤바를 통하여 사진 검색에 있어서, 스크롤바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스크롤바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아직 검색되지 않은 사진들을 검색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우측 표시부(120)가 좌측 표시부(120)보다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수개의 사진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스크롤바가 이동한 후,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면, 제어부는 현재 표시부(120)에 표시된 사진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사진의 개수와 우측에 배치된 사진의 개수를 비교하여 보다 많은 사진이 배치된 영역의 표시부(120)가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제어부는 현재 표시부(120)에 표시된 사진을 기준으로 이미 검색된 좌측 사진과 아직 검색되지 않은 우측 사진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표시부(120)를 수평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요약하면, 제어부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스크롤바의 버튼이 스크롤바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버튼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120)의 돌출 또는 침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버튼이 스크롤바의 정중앙에 위치하면 표시부의 기계적 동작이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고, 정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면, 배치된 쪽의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스크롤바가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 자체를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를 이용한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기가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 과정을 수행하고, 부팅 완료 후에, 기 설정된 대기화면을 S101 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기화면이 표시되면,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입력부 또는 표시부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표시부 일측에 터치스크린을 마련하여 입력부가 생성하는 입력신호와 동일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표시부에 터치스크린이 마련된 경우, 단말기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S103 단계에서, 별도의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 제어부는 S101 단계로 리턴 하여 대기화면이 표시되는 상황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S103 단계에서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변화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텐츠 표시 변화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여 숫자나 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입력 신호, 메뉴 키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메뉴들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입력 신호, 목록 검색을 위한 검색창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목록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웹 서버 접속에 따라 스크롤바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기 위한 입 력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표시부에 출력될 컨텐츠들의 목록이나, 컨텐츠들의 사용빈도수, 컨텐츠 검색 시 스크롤바 포함 여부, 컨텐츠들의 분포 형태 등을 검사하고, 각각의 경우가 기 설정된 특정 조건 즉, 표시부의 특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제어부는 상술한 입력신호가 표시부의 특정 영역을 돌출 또는 침하시키도록 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S107 단계로 분기하여 컨텐츠 표시별 표시부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분포 형태, 컨텐츠의 사용빈도수, 컨텐츠의 스크롤바 포함 여부, 컨텐츠의 표시 영역 분할 여부 등을 고려한 후, 설정된 조건에 따라 표시부의 특정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가 표시부의 컨텐츠 변화와 관계없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영상 수집을 위한 카메라 동작, 방송 시청에 따른 방송화면 출력 등 컨텐츠들의 표시 변화와 관련이 없는 신호인 경우, S1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기능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S11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표시 변화에 대한 표시부의 기계적 동작 제어를 계속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유지하고자 하면, S103 단계로 분기하여,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숫자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의 속성에 따라 표시부의 기계적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표시모듈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컨텐츠 분포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사용빈도수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배치되는 컨텐츠 분포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커서의 위치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롤바 표시에 따른 표시모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단말기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9)

  1.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가 화면의 일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분포 형태,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 및 컨텐츠의 표시 영역 분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보다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과정은,
    상기 표시부를 일정 영역별로 구분하는 과정; 및
    상기 구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영역별 분포 형태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표시된 컨텐츠들의 사용 빈도수를 검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들 중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컨텐츠가 배치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영역 분할 형태를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을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과정은,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검색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스크롤바 표시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스크롤바가 표시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스크롤바 표시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스크롤바의 버튼이 스크롤바에 배치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버튼이 스크롤바에서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버튼이 위치하는 표시부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과정은,
    상기 버튼이 상기 스크롤바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상기 표시부를 수평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버튼이 상기 스크롤바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버튼이 배치된 위치의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10.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분포 형태,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 및 컨텐츠의 표시 영역 분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 구동부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 변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경우, 상기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보다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일정 영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영역별 분포 형태를 검사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사용 빈도수를 검사하고, 상기 컨텐츠들 중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컨텐츠가 배치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 분할 형태를 검사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을 검사하여,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검색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표시부 영역이 다른 표시부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스크롤바 표시를 확인하고, 상기 스크롤바가 표시된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스크롤바 표시를 확인한 후, 상기 스크롤바의 버튼이 스크롤바에 배치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버튼이 스크롤바에서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버튼이 위치하는 표시부 영역이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이 상기 스크롤바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상기 표시부를 수평 유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버튼이 상기 스크롤바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버튼이 배치된 위치의 표시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돌출 또는 침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장치.
KR1020080079969A 2008-08-14 2008-08-14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6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69A KR101469619B1 (ko) 2008-08-14 2008-08-14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534,273 US20100039412A1 (en) 2008-08-14 2009-08-0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displa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PCT/KR2009/004460 WO2010018965A2 (en) 2008-08-14 2009-08-11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displa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69A KR101469619B1 (ko) 2008-08-14 2008-08-14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89A KR20100021189A (ko) 2010-02-24
KR101469619B1 true KR101469619B1 (ko) 2014-12-08

Family

ID=4166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969A KR101469619B1 (ko) 2008-08-14 2008-08-14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39412A1 (ko)
KR (1) KR101469619B1 (ko)
WO (1) WO20100189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069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KR101231513B1 (ko) 2011-03-03 2013-02-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1570096B1 (ko) * 2014-06-03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N104635755B (zh) * 2014-12-03 2019-03-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显示器调整方法和设备
KR102530469B1 (ko) * 2016-01-08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877A1 (en) * 2002-09-25 2004-03-25 Satoshi Nakajima Interactive apparatus with tactilely enhanced visual imaging capability apparatus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JP2000321991A (ja) * 1999-05-14 2000-11-24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
US6509892B1 (en) * 1999-12-17 2003-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opographical interfacing
GB2363506B (en) * 2000-06-15 2004-08-18 Decoi Architects Ltd Display system
FR2810779B1 (fr) * 2000-06-21 2003-06-1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ment a relief evolutif
JP2002023651A (ja) * 2000-06-27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角度調整装置
US6636202B2 (en) * 2001-04-27 2003-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tactile display for computer screen
US7170534B2 (en) * 2001-06-27 2007-01-30 Sevit Co., Ltd. Automatic controll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image display direction
US6703924B2 (en) * 2001-12-20 2004-03-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ctile display apparatus
JP4115198B2 (ja) *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7138985B2 (en) * 2002-09-25 2006-11-21 Ui Evolution, Inc. Tactilely enhanced visual image display
US6819228B2 (en) * 2003-01-28 2004-11-16 Dwain Gipson Scanning braille presentation
TWI226571B (en) * 2003-08-27 2005-01-11 Benq Corp Interface apparatus combining display panel and joystick
US7092001B2 (en) * 2003-11-26 2006-08-15 Sap Aktiengesellschaft Video conferencing system with physical cues
US20070216601A1 (en) * 2004-03-31 2007-09-20 Pioneer Corporation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7342573B2 (en) * 2004-07-07 2008-03-11 Nokia Corporation Electrostrictive polymer as a combined haptic-seal actuator
US7382357B2 (en) * 2005-04-25 2008-06-03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emulated hard keys
US7957955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for text input
US20080204420A1 (en) * 2007-02-28 2008-08-28 Fuji Xerox Co., Ltd. Low relief tactile interface with visual overlay
US20090127425A1 (en) * 2007-11-21 2009-05-21 Frazer Daniel S Refrigerator with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877A1 (en) * 2002-09-25 2004-03-25 Satoshi Nakajima Interactive apparatus with tactilely enhanced visual imaging capability apparatuses and methods
JP2006500685A (ja) * 2002-09-25 2006-01-05 ユーアイエボル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触覚改良画像機能を備えた対話型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9412A1 (en) 2010-02-18
KR20100021189A (ko) 2010-02-24
WO2010018965A2 (en) 2010-02-18
WO2010018965A3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38B1 (ko)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770583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CN103119541B (zh) 用于在触摸设备中编辑主屏幕的方法和装置
US93297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ackground contents of virtual key input device
KR201200714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164112A (zh) 使用握持传感器的基于用户的用户终端显示控制装置和方法
JP2007251920A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高速アプリケーション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CN101836182A (zh) 编辑界面
KR20100124438A (ko)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2230914B (zh) 小程序的制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469619B1 (ko)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90002951A (ko) 디지털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태스킹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실행 방법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WO2014010158A1 (ja) 処理装置
KR100953881B1 (ko) 텍스트 응답 요소에서의 포커스를 억제하는 다기능 키입력을 갖는 줌 기능
WO2009031478A2 (en) Information processor,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2314294A (zh) 执行应用程序的方法
US20110099473A1 (en) Input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30083195A (ko) 터치를 이용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595072B (zh) 分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8509138B (zh) 一种任务栏按钮显示的方法及其终端
JP200714106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メニュー表示切り替え方法
US200701092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612939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表示データ編集方法
CN10369930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