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63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633A
KR20070087633A KR1020077014911A KR20077014911A KR20070087633A KR 20070087633 A KR20070087633 A KR 20070087633A KR 1020077014911 A KR1020077014911 A KR 1020077014911A KR 20077014911 A KR20077014911 A KR 20077014911A KR 20070087633 A KR20070087633 A KR 20070087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termining whether
decoding
padding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209B1 (ko
Inventor
존 엠. 해리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7Synchronising arrangements using pulse stuffing for systems with different or fluctuating information rates or bit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4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할 때 및 송신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할 때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210)는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한다.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을 때, 수신기는 프레임을 적절히 디코딩하기 위해 패딩 비트에 대한 그의 지식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202)는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에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고 프레임의 비패딩된 부분에 제2 전력 레벨을 할당하기 위해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디코딩, 패딩 비트, RLP/RLC, TCP/IP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에 관한 것이다.
음성 또는 데이터 등의 정보가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그 정보가 아직 디지털 형태가 아닌 경우 디지털화되고, 통신 장치의 각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에 의해 처리된다. 디지털화된 데이터는 이어서 공지의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처리된다.
프로토콜의 계층화된 표현(layered representation)은 통상적으로 프로토콜 스택으로 알려져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호 연결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스위트(suite)이며, 이는 스택 내의 프로토콜 중 2개, 즉 송신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이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5개의 계층을 포함하며, 이들 계층은, 최상위로부터 최하위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이다.
링크 계층, 즉 계층 2 기능(functionality)이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조립할 때, 그 계층은, 프레임을 채우기 위한 페이로드(payload)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아무런 실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 미리 정해진 비트 스트링, 예를 들어, 제로들의 스트링인 패딩(padding)을 프레임에 부가한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프레임이 상당한 양의 패딩을 포함하는 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역방향 또는 순방향 링크 프레임은 20% 내지 50%나 되는 패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이 사용되는 경우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제어 프레임, 특히 역방향 링크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로 송신되는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50%를 넘는 패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역방향 및 순방향 링크 RLP IDLE, NAK 및 FILL 프레임은 송신되는 프레임의 대략 70% 내지 90%를 구성하며, 일반적으로 대략 마지막 140 비트가 패딩, 즉 모두 제로이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패딩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의 다른 예는 발신 및 페이지 응답 메시지(origination and page response message)(대략 20% 패딩)와 이동국 확인 응답(mobile station acknowledgement)(대략 90% 패딩)이다.
계층 2 기능은 또한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뢰성있는 데이터 송신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신뢰성있는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계층 2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실되었던 데이터 프레임을 재송신하기 위해 RLP/RLC 또는 다른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TCP 등의 신뢰성있는 송신 계층 프로토콜은 메시지가 그의 목적지에 완전하고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도달하고 송신된 순서대로 도달하도록 보증하기 위해 RLP/RLC를 사용할 수 있다.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무선 전파(wireless propagation)는 프레임의 데이터에 에러를 유입시킬 수 있다. 신뢰성있는 송신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수신측 통신 장치가 수신된 프레임을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없을 때, 대응하는 송신측 통신 장치는 부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을 재송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프레임을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없는 수신측 통신 장치는 에러있는 프레임을 식별하는 NAK를 송신측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NAK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송신측 통신 장치는 프레임을 재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수신된 프레임을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는 수신측 통신 장치는 정확하게 디코딩된 프레임을 식별하는 ACK를 송신측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측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특정의 프레임에 대한 AC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송신측 통신 장치는 프레임을 재송신한다.
그 결과, 에러가 있게 수신되어 제대로 디코딩될 수 없는 프레임이 재송신되어, 중요한 대역폭 및 시스템 용량을 소비하게 된다. 그렇지만, 송신된 프레임이 아무런 실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상당한 패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패딩 내에서 일어나는 에러는 프레임의 재송신을 야기할 수 있지만 전달되는 정보에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패딩을 포함하며 잘못 수신된 프레임의 재송신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수신측 통신 장치 및 송신측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도 2의 수신측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도 2의 수신측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딩된 프레임을 송신함에 있어서 도 2의 송신측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이다.
패딩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재송신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할 때 및 송신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할 때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apriori knowledge)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활용한다.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을 때, 수신기는 프레임을 적절히 디코딩하기 위해 패딩 비트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활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에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고 프레임의 비패딩된 부분에 제2 전력 레벨을 할당하기 위해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코딩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상기 패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할당되는 제2 전력 레벨보다 작은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 통신 장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코딩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 통신 장치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상기 패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할당되는 제2 전력 레벨보다 작은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100)은, IS-95 및 95-B, IS-2000, CDMA2000, CDMA1X, CDMA1xEV-DO, CDMA1xEV-DV 등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을 활용하는 통신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당업자라면 통신 시스템(100)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아키텍쳐의 후속 세대[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와 같은 4세대(4G) 시스템 등의, 다양한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하고 있는 셀룰러 전화, 무 선 전화, 또는 무선 통신-지원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102)에 무선으로 통신될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등과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와 같은 제어기(132)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노드 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122)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공중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되는 통화권 영역(112)에 위치하는 MS(102)와 같은 이동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중 인터페이스(114)는,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링크 트래픽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링크 시그널링 채널, 이를테면 FCCCH(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 및/또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를 비롯한, 다수의 논리 및 송신 채널을 갖는 순방향 링크(116)를 포함한다. 순방향 링크는 또한 PCH(Paging Channel)와 같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2000 1XEV-DO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기능은 경로 갱신 프로토콜(Route Update Protocol)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공중 인터페이스(114)는 또한, FCH(Fundamental Channel)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링크 트래픽 채널,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링크 시그널링 채널, 및 ACH(Access Channel) 또는 EACH(Enhanced Access Channel)와 같은 액세스 채널을 비롯한, 다수의 논리 및 송신 채널을 갖는 역방향 링크(118)를 포함한다.
MS(102) 및 송수신기(122)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이들의 조합,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다른 장치와 같은, 각자의 프로세서(104 및 12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4 및 124) 즉, 각각 MS(102) 및 송수신기(122)의 특정의 동작/기능은, 대응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세서와 연관되어 있는 각자의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 이를테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이들의 등가물 등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 루틴의 실행에 의해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 각각은 또한 다수의 서로 다른 프레임 유형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패턴의 패딩 비트를 유지한다. 미리 정해진 패턴의 패딩 비트(padding bit) 각각은 프로세서가 이러한 프레임을 조립 또는 디코딩할 때 대응하는 프레임 유형을 패딩하기 위해 연관된 프로세서(104 및 12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방향 또는 순방향 링크 RLP IDLE, NAK 및 FILL 프레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 각각은 이러한 프레임의 마지막 140 비트에 패딩으로서 삽입될 수 있는, 제로 스트링과 같은, 대략 140 비트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 각각은 또한 발신 및 페이지 응답 프레임과 MS 확인 응답에서 패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MS(102) 및 송수신기(122) 각각은 또한 각자의 수신기(108 및 128) 및 각자의 송신 기(110 및 130)를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은 각자의 프로세서(104 및 124)에 연결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MS(102), 송수신기(122) 및 제어기(132) 각각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MS, 송수신기 및 제어기의 각자의 프로세서(104, 124 및 134)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는 MS(102) 및 송수신기(122) 내에, 보다 상세하게는 각자의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에 저장되어 있고 각자의 프로세서(108 및 128)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명령어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수신기 기능이 송수신기(122)에 구현될 때 역방향 링크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수신기 기능이 MS(102)에 구현될 때 순방향 링크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른 대안으로서 하드웨어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이를테면, 무선 통신 장치 MS(102) 및 송수신기(122)의 하나 이상에 구현된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과도한 실험없이 이러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용이하게 제조 및 구현할 수 있다.
공중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송신되는 음성,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 등의 정보가 MS(102) 또는 송수신기(122)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아직 디지털 형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그 정보는 복조되고(demodulated), 디지털화되며, 각자의 프로세서(104 및 124)에 의해 수행되는 하 나 이상의 작업에 의해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화된 데이터는 시스템(100)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 및 공지의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공지의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명령어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이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 및 공지의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제어 메시지를 조립한다.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 이를테면 시스템(100)의 레벨에서, 시스템의 다수의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방식이 개발되었다. 프로토콜 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의 모든 데이터 비트를 해석하는 방식을 규정한다. 네트워크 설계를 간단화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계층화하는 몇가지 공지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프로토콜 계층화는 네트워크 설계를 기능 계층들로 분할하고 이어서 각각의 계층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인 프로토콜을 할당한다. 프로토콜 계층화(protocol layering)를 사용함으로써, 프로토콜이 단순화되어 있으며, 각각의 프로토콜은 수 개의 잘 정의된 작업을 갖는다. 그후, 프로토콜은 유용한 완전체(whole)로 조립될 수 있고, 개개의 프로토콜은 필요에 따라 제거 또는 대체될 수 있다.
프로토콜의 계층화된 표현은 통상적으로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시스템(100)은 공지의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지만, 당업자라면 신뢰성있는 통신을 구현하는 임의의 프로토콜 스택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최상위로부터 최하위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포함한다. 계층 2, 즉 링크 계층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개체들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기능적 및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계층 2는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있는 송신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신뢰성있는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계층 2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실되었던 데이터 프레임을 재송신하기 위해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또는 다른 자동 재송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TCP 등의 신뢰성있는 프로토콜은 메시지가 그의 목적지에 완전하고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그리고 송신된 순서대로 도달하도록 보증하기 위해 RLP/RLC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의 송신측 통신 장치(202) 및 수신측 통신 장치(210)의 블록도(200)이다. MS(102) 및 송수신기(122) 각각은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할 때 송신측 통신 장치(202) 또는 수신측 통신 장치(210) 중 어느 하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송신측 통신 장치(202) 및 수신측 통신 장치(210)는 각각 공중 인터페이스(114)의 다운링크(116) 및 업링크(118)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고 신뢰성있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자체로서, 송신측 통신 시스템(202) 및 수신측 통신 시스템(210) 각각은 수신된 프레임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부정확하게 수신된 또는 디코딩된 프레임의 재송신을 요청 또는 제공하며, 또한 양호한 프레임, 소거된 프레임 및 DTX 간을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측 통신 장치(202)는 무선 송신기(204), 인코딩 장치(206), 및 RLP(Radio Link Protocol) 발생기(208)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들(206 및 208) 각각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송신 장치의 프로세서, 이를테면, MS(102) 및 송수신기(122)의 프로세서(104 및 124) 등에 구현될 수 있거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드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RLP 발생기(208)는 장치 사용자에 대한 디지털화된 음성 데이터 등의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외부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 등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WAP) 브라우저(도시 생략), VoIP(voice-over-IP) 애플리케이션 또는 디스패치 애플리케이션(dispatch application)으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를 수신한다. RLP 발생기(208)는 데이터에 대해 계층 2 기능, 이를테면, 데이터를 RLP 데이터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는 것 및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RLP 순서 번호(sequence number)를 프레임에 첨부하는 것 등을 수행한다. RLP 발생기(208)는 또한, 예를 들어, 프레임 유형 데이터 필드, 이를테면, RLP IDLE 프레임, NAK 프레임 또는 FILL 프레임 등의 계층 2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전달되고 있는 프레임의 유형을 식별해주고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길이 데이터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잠재적으로 전달되고 있는 패딩의 양을 식별해주는 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RLP 발생기(208)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프레임을 채우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RLP 발생기는 프레임을 채우기 위해 패딩을, 바람직하게는, 0의 스트링 등의 미리 정해 진 비트 스트링을 프레임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LP 발생기(208)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단일의 프레임을 완전히 채우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거나 정수개의 프레임을 채우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마지막 프레임이 단지 일부만 채워진 채로 있을 수 있다.
인코딩 장치(206)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코딩 방식에 따라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코더(도시 생략), 이를테면, 컨벌루션 또는 터보 코더를 포함한다. 인코딩 장치(206)는 또한 프레임의 에러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오버헤드 비트를 발생하여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프레임화된 프레임에 그 오버헤드 비트를 적용하는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블록(도시 생략)을 더 포함한다. 인코딩된 데이터는 이어서 송신기(204)로 전달되고, 이 송신기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는 인터리빙되고(interleaved), 확산 코드(spreading code)에 의해 확산되며, 반송파 상으로 변조되고, 증폭되어 공중 인터페이스(114)와 같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측 통신 장치(210)로 송신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측 통신 장치(210)는 무선 수신기(212), 디코딩 장치(214), 및 RLP 수신기(216)를 포함한다. 구성요소(214 및 21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송신 장치의 프로세서, 이를테면 MS(102) 및 송수신기(122)의 프로세서(104, 124)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212)는 송신된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복조, 역확산(despread)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e)한다. 그 결과 신호는 디코딩 장 치(214)로 전달된다. 디코딩 장치(214)는 일반적으로 FEC 프로세싱 장치(206)에 의해 활용되는 코딩 방식에 따라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도시 생략), 이를테면, 컨벌루션 또는 터보 디코더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214)는 또한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는 순환 중복 검사(CRC) 블록을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214)는 공중 인터페이스(114)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유입되는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하고, 그에 의해 상당한 수의 에러가 수신된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래의 입력 데이터, 즉, 원래의 데이터 비트 및 프레임을 복원할 수 있다.
RLP 수신기(216)는 수신된 프레임에 대해 계층 2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RLP 수신기(216)는, 복원된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다면 디코딩 장치(214)로부터의 디코딩된 프레임을 복원한다. RLP 수신기(216)는 또한 RLP 순서 번호에 기초하여 원래의 송신된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RLP 수신기(216)가 누락된 순서 번호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 RLP 수신기는 송신측 통신 장치로, 예를 들어, 송수신기(122)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는 MS(102)로 또는 MS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는 송수신기로, NAK를 보내거나 NAK가 보내지도록 함으로써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RLP 수신기(216)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양호한 프레임을 중간 회로를 통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이를테면, 이메일 서버, 인터넷 또는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로 전달한다.
종래 기술에서, 디코더가 대응하는 공중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유입된 에러를 검출하고 그 에러를 정정하여 원래의 데이터 비트 및 프레임을 복원할 수 없는 경우, 그 프레임은 소거된 것으로 지정된다. 대응하는 RLP 수신기는 이어서 프레임의 재송신을 요청할 수 있거나 프레임을 확인 응답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프레임의 재송신이 있게 된다. 그렇지만, 수신된 프레임이 아무런 실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상당한 패딩을 포함하는 경우, 디코더는 패딩과 사용자 정보 간을 구별하지 못하며, 패딩에 일어나는 에러는, 이 에러가 전달되고 있는 정보에 중요하지 않더라도, RLP 수신기로 하여금 프레임의 재송신을 하게 할 수 있다.
패딩된 프레임의 재송신으로 인한 대역폭 및 시스템 용량의 낭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시스템(100)은 프레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다른,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수신측 통신 장치(210)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300)이다. 논리 흐름도(300)는 디코딩 장치(214)가 디코딩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프레임을 디코딩(304)할 때 시작(302)한다. 디코딩의 일부로서, 디코딩 장치(214)는 또한 프레임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RC)와 같은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고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연관된 프레임 품질 정보를 결정한다.
이어서, 디코딩 장치(214)는, 디코딩된 프레임 및 연관된 프레임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306)한다. 디코딩 장치(214)가 프레임이 양호한 것으로, 즉 정확하게 디코딩된 것으로 판단(306)하는 경우, 논리 흐름(300)은 종료(318)한다. 디코딩 장치(214)가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306)하는 경우, 디코딩 장치는 추가적으로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308)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함으로써,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헤더에 기초하여, 디코딩 장치(214)는 이어서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유형, 이를테면, 계층 2 제어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헤더의 계층 2 프레임 유형 데이터 필드를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헤더의 계층 2 길이 데이터 필드를 평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 길이가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유형인지 여부 또는 패딩이 프레임에 부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118) 또는 순방향 링크(116)를 통해 전달되는 프레임은 20% 내지 50%나 되는 패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이 사용되는 경우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RLP/RLC 제어 프레임과 같은 계층 2 제어 프레임, 특히 역방향 링크(118)의 DCCH로 송신되는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50%를 넘는 패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 RLP IDLE, NAK 및 FILL 프레임이 역방향 링크(118)와 같은 역방향 링크로 송신되는 프레임의 대략 70% 내지 90%를 구성하고, 일반적으로 대략적으로 이러한 프레임의 마지막 140 비트가 패딩, 즉 모두 제로이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패딩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118)를 통해 전달되는 프레임의 다른 예는 발신 및 페이지 응답 프레임(origination and page response frame)(대략 20% 패딩)와 이동국 확인 응답(mobile station acknowledgement)(대략 90% 패딩)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의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을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 이를테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에 유지되는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호 관련시킴으로써,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상호 관련(correlations)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디코딩 장치(214)는 길이가 각각의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의 길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마지막 테일 비트(tail bit)만을 상호 관련시킬 수 있다. 이 상호 관련에 기초하여, 디코딩 장치(214)는 이어서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들 중 하나와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상호 관련이 강하지 않은 경우,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레임의 디코딩된 비트와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들 중 하나 간의 상호 관련이 강한 경우,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무엇이 강한 상호 관련에 해당하는가는, 적절히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의 이점과 부적절하게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비용 간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는, 통신 시스템(100)의 설계자에 달려 있다.
디코딩 장치(214)가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308), 논리 흐름(300)은 종료된다(316). 디코딩 장치(214)가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프레임이 일반적으로 패딩을 포함하는 유형인 것으로 판단(308)하는 경우, 또는 패딩 비트와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 간에 강한 상호 관련이 있는 경우, 디코딩 장치(214)는 추가적으로 헤더에 기초하여 예측된 패딩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310).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 RLP IDLE, NAK 및 FILL 프레임의 경우, 이러한 프레임의 대략 마지막 140 비트는 패딩, 즉 모두 제로이다. 다른 예로서, 발신 및 페이지 응답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대략 20% 패딩을 포함하고, MS 확인 응답은 일반적으로 대략 90% 패딩을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214)는, 양호하게는 예측된 패딩 비트 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패딩 패턴을 포함하는 재설정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패딩 비트의 적어도 한 비트를 연관된 미리 정해진 패딩 패턴의 대응하는 비트로 재설정한다(312). 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214)는 적어도 한 비트를 그 유형의 프레임에서의 패딩에 사용되는 미리 정해진 패턴, 이를테면, 제로 스트링의 대응하는 비트로 또는 강한 상호 관련을 갖는 미리 정해진 패턴의 대응하는 비트로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설정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어느 비트를 대체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비트들은 비트마다 분석될 수 있거나, 패딩 비트가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패딩 패턴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과도한 횟수의 프레임 재디코딩을 방지하기 위해, 재설정하는 단계는 이하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214)는 예측된 패딩 비트가 프레임 내의 전체 비트 수 또는 프레임의 페이로드 데이터 필드 중 차지하는 비율(fraction)을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214)는 이어서 비교값(comparison)을 생성하기 위해 이 비율을 문턱값, 예를 들어 90%와 비교할 수 있다. 이 비교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그 비율이 문턱값을 초과할 때, 예측된 패딩 비트는 예측된 패딩 패턴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예측된 패딩 비트를 예측된 패딩 패턴으로 재설정한 것에 응답하여, 디코딩 장치(214)는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 장치(214)로 전달한다.
디코딩 장치(214)는 이어서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한다(314). 디코딩의 일부로서, 디코딩 장치(214)는 또한 재설정된 프레임에 대해 순환 중복 검사(CRC)와 같은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고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연관된 프레임 품질 정보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논리 흐름(300)은 종료한다(3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코딩 장치(214)는 수신된 프레임을 처음으로 디코딩할 때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수신측 통신 장치(210)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400)이다. 논리 흐름도(400)는 디코딩 장치(214)가 수신된 프레임의 디코딩을 개시할 때(404) 시작된다(402). 디코딩의 일부로서, 디코딩 장치(214)는 프레임의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을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 이를테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6 및 126)에 유지되는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호 관련시킨다. 이 상호 관련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디코딩 장치(214)는 길이가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의 길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마지막 테일 비트만을 상호 관련시킬 수 있다.
이 상관에 기초하여, 디코딩 장치(214)는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 중 하나와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08). 이러한 상호 관련이 강하지 않은 경우, 디코딩 장치(214)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프레임을 계 속하여 디코딩하고(410), 논리 흐름(400)은 종료한다(414). 이러한 상호 관련이 강한 경우, 디코딩 장치(214)는 정정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강하게 상관된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부터 벗어난 각각의 디코딩된 비트를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부터의 적절한 비트로 대체시킨다(412). 디코딩 장치(214)는 이어서 정정된 프레임에 대해 순환 중복 검사(CRC)와 같은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고,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연관된 프레임 품질 정보를 결정한다. 이어서, 논리 흐름(400)은 종료한다(414).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110 및 130)와 같은 무선 송신기(204)는, 조립된 프레임을 송신할 때,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딩된 프레임을 송신함에 있어서 송신측 통신 장치(202)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논리 흐름도(500)이다. 논리 흐름도(500)는 송신측 통신 장치(202), 특히 송신측 통신 장치의 무선 송신기(204)가 공중 인터페이스(114)와 같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수신(504)할 때 시작된다(502). 프레임의 헤더에 기초하고 연관된 프로세서(104 및 124)와 관련하여, 송신기(204)는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06). 예를 들어, 송신기(204)는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 유형인지 또는 패딩 비트의 포함을 나타내는 길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송신기(204)가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506), 송신기는 공지의 송신 전력 할당 방식에 따라 프레임을 송신하고(508), 논리 흐름(500)은 종료한다(516). 송신기(204)가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 이 있는 것으로 판단(506)하는 경우, 송신기는 추가적으로 연관된 프로세서(104 및 124)와 관련하여, 그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부분, 즉 프레임에서의 패딩 비트의 위치를 결정한다(510). 송신기(204)는 이어서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부분에 제1 전력 레벨을 할당(512)하고, 패딩 비트를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제2 전력 레벨을 할당한다. 논리 흐름도(300 및 400)가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을 정확하게 디코딩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은 프레임의 비패딩된 부분보다 더 큰 송신 에러가 있더라도 만족스럽게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에 할당되는 제1 전력 레벨은 프레임의 비패딩된 부분에 할당되는 제2 전력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딩 비트에 할당되는 전력 레벨이 유용한 정보 내용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헤더 데이터에 할당되는 전력 레벨보다 작도록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송신기(204)는 이어서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을 제1 전력 레벨로 송신(514)하는 반면, 프레임의 비패딩된 부분을 제2 전력 레벨로 송신한다. 이어서, 논리 흐름(500)은 종료한다(516).
수신된 프레임을 디코딩할 때 또한 송신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할 때,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100)은 시스템 대역폭을 절감하고 공중 인터페이스(114)에서의 잠재적인 간섭을 감소시킨다. 패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은 수신된 프레임에서의 비트를 대체시킴으로써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가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프레임이 재송신될 가능성이 감소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절감된다. 또한, 패 딩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패딩된 부분 및 비패딩된 부분에 전력을 할당하고 그에 의해 프레임에 할당되는 평균 전력량을 감소시키며, 이는 프레임의 송신으로부터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다른 곳에 할당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을 늘린다.
본 발명이 그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 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보아야 하며,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기술하였다. 그렇지만, 이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그리고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얻어지게 하거나 보다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요소(들)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한, 요구되는, 또는 필수적인 특징 또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따라서 일련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구성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본질적인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있는 경우,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의 사용은, 이러한 개체 또는 동작들 간에 임의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꼭 필요로 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단지 한 개체 또는 동작을 다른 개체 또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padding bits)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임 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디코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비율(fraction)을 결정하는 단계;
    비교값(comparison)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비율을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재디코딩(re-decode)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임 디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디코딩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부정확하게 디코딩되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재설정된 프레임(reset frame)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딩 비트를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디코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관되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재설정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비트 스트링의 적어도 한 비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부터의 비트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디코딩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코딩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a method for allocating power)으로서,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고 상기 패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제2 전력 레벨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할당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비율을 결정하는 수단;
    비교값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비율을 문턱값과 비교하는 수단; 및
    상기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을 재디코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수단은,
    디코딩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수단;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부정확하게 디코딩되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재설정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딩 비트를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 재설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재설정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 비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수단은,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하는 수단은, 디코딩된 비트 스트링이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과 상관되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스트링의 적어도 한 비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비트 패턴으로부터의 비트로 대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코딩된 프레임에 전력을 할당하는 통신 장치로서,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패딩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제1 전력 레벨을 할당하고 상기 패딩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프레임의 부분에 제2 전력 레벨을 할당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패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헤더를 평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077014911A 2004-12-31 2005-1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951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26,740 US7415041B2 (en) 2004-12-31 2004-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26,740 2004-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633A true KR20070087633A (ko) 2007-08-28
KR100951209B1 KR100951209B1 (ko) 2010-04-05

Family

ID=3664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911A KR100951209B1 (ko) 2004-12-31 2005-1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15041B2 (ko)
KR (1) KR100951209B1 (ko)
WO (1) WO20060735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644A (ko) * 2013-01-16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장치와 블록 디코딩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5805B1 (ko) * 2007-11-0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수신 메시지 에러 정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2444B2 (en)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9055552B2 (en) *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514894B2 (en) * 2005-08-02 2013-08-20 Ellipti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nserting/removal padding from packets
US7489675B2 (en) * 2005-09-12 2009-02-10 Motorola, Inc. Method for indicating padding in a digital mobile radio system
US20090207790A1 (en)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11621B2 (en) 2005-10-27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non-sticky assign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988837B1 (ko) * 2005-11-18 201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952655B1 (en) * 2005-11-23 2016-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computer programm and base station for prediction based allocation of processing ressources in a non-serving base station
US7957307B2 (en) * 2007-03-14 2011-06-07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effects of packet loss in video transmissions
US7924950B2 (en) * 2007-11-08 2011-04-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ecoding encoded data frame having dummy bit sequences included therein
FR2924887B1 (fr) * 2007-12-07 2011-07-15 Tha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robuste d'en-tetes reseau compresses
JP5493459B2 (ja) 2009-05-08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0349440B2 (en) * 2016-04-11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chanism to activate and/or deactivate a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734A (en) * 1993-01-29 1994-12-06 Digital Ocean, In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
US5844918A (en) * 1995-11-28 1998-12-01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transmission/receiving method, digital communications method, and data receiving apparatus
KR100407356B1 (ko) * 1999-06-04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장치 및 방법
JP2001285861A (ja) * 2000-03-29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信号符号化装置
US6668349B1 (en) * 2000-04-14 2003-12-23 Hitachi, Ltd. Data recording/readback method and data recording/readback device for the same
US6934318B2 (en) * 2000-12-22 2005-08-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based frame rate determination
US20030012287A1 (en) * 2001-03-05 2003-01-16 Ioannis Katsavounidis Systems and methods for decoding of systematic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odes of selected data in a video bitstream
EP1308931A1 (de) * 2001-10-23 2003-05-0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Decodierung eines codierten digitalen Audio-Signals welches in Header enthaltende Rahmen angeordnet ist
US7177658B2 (en) * 2002-05-06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318187B2 (en) * 2003-08-21 2008-01-08 Qualcomm Incorporated Outer coding methods for broadcast/multicast content and relate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05B1 (ko) * 2007-11-0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수신 메시지 에러 정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92644A (ko) * 2013-01-16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장치와 블록 디코딩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US10205558B2 (en) 2013-01-16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reception apparatus, block decoding unit and method thereof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6757A1 (en) 2006-07-06
WO2006073550A3 (en) 2007-05-03
WO2006073550A2 (en) 2006-07-13
US7415041B2 (en) 2008-08-19
KR100951209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1849017B2 (en) Protocol synchronization for HARQ
CN100340091C (zh) 重新调度预定的传输
JP6081335B2 (ja) 逆方向リンクデータに対する順方向リンク肯定応答チャネルの操作
US8184607B2 (en) Preamble channel decoding
US8089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nd reliable data packet transmission
CN102571266B (zh) 一种传输块循环冗余校验的方法及装置
JP2008160742A (ja) 移動通信装置
JP2006253980A (ja) 受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772464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RQ data transmission
JPWO2007052719A1 (ja) 再送制御方法及び受信側装置
CN1464677A (zh) 通信网络中的数据重传方法
JP4708982B2 (ja) 再送制御方法及び受信側装置
KR100996088B1 (ko) 복합 자동 재전송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547169B (zh) 数据重传请求方法、请求装置、站点设备和接入点设备
KR101342647B1 (ko) 동기식 하이브리드 에이알큐를 사용하는 상향 공유 채널에대한 하향 피드백 채널에서의 오류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