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299A -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299A
KR20070086299A KR1020077013613A KR20077013613A KR20070086299A KR 20070086299 A KR20070086299 A KR 20070086299A KR 1020077013613 A KR1020077013613 A KR 1020077013613A KR 20077013613 A KR20077013613 A KR 20077013613A KR 20070086299 A KR20070086299 A KR 2007008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oups
data message
receiv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019B1 (ko
Inventor
다부드 몰크다르
제라드 티. 포스터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기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기(100)는,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기(101)를 포함한다. 무선 조건 프로세서(107)는 전파 채널 경로 손실 또는 간섭 레벨 등의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한다.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무선 환경 특성에 응답하여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데이터 메시지는 송신 유닛(105)에 의해 송신된다. 본 발명은 제어 데이터의 불연속 송신에 특히 적합할 수 있는 유연하고 효율적인 불연속 송신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신호 송신 방법

Description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A TRANSMITTE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RADIO SIGNALS THEREFOR}
본 발명은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에 한하지 않지만,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송신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적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나누어지며, 그 각각의 셀들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다. 기지국들은 기지국들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고정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된다. 이동국은 자신이 위치하는 셀 내의 기지국에 의해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비스된다.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은 업링크로 알려져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통신은 다운링크로 알려져 있다.
기지국들을 상호접속하는 고정 네트워크는 임의의 2개의 기지국 간에 데이터를 라우팅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이에 의해 셀 내의 이동국이 임의의 다른 셀의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망(PSTN)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상호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국이 지상선 전화 및 지상선에 의해 접속되는 기타의 통신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라우팅, 허가 제어, 자원 할당, 가입자 과금, 이동국 인증, 등의 기능을 포함하여, 종래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능 중 다수를 구비한다.
최근, 대부분의 유비쿼터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으로 알려진 2세대 통신 시스템이다. GSM은 주파수 반송파를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8개의 이산 시간 슬롯으로 분할하여 사용자 구분이 성취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알려진 기술을 이용한다. 기지국에는 단일의 반송파 또는 다수의 반송파가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반송파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를 위해 사용된다. 이 반송파는 이동국들이 서로 다른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취득된 정보는 최초의 액세스 또는 핸드오버 중에 적절한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GSM TDMA 통신 시스템의 그 이상의 설명은 "The GSM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by Michel Mouly and Marie Bernadett Pautet, Bay Foreign Language Books, 1992, ISBN 2950719007)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모바일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3 세대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다. 가장 광범위하게 채택되는 3세대 통신 시스템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상이한 스프레딩 및 스크램블링 코드를 할당하여 사용자 구분이 성취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초한다. 할당된 코드와의 곱셈에 의해 통신이 확산되어, 광대역폭 상에서 신호 가 확산되도록 한다.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역확산시켜 원래 신호를 재생하도록 코드들이 사용된다. 각 기지국은 파일럿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 전용의 코드를 가지며, 이는 GSM에 있어서는 서빙 셀을 판정하기 위하여 다수 셀들의 측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이 있으며, 이는 현재 전개되고 있다. CDMA, 특히, UMTS의 광대역 CDMA(WCDMA) 모드의 그 이상의 설명은 'WCDMA for UMTS' (Harri Holma (editor), Antti Toskala (Editor), Wiley & Sons, 2001, ISBN 0471486876)에서 찾을 수 있다.
UMTS CDMA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를 구비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RAN의 일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또한, 다른 통신 시스템들과 인터페이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는 과금 등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운용 및 관리 기능의 많은 것을 수행한다. RAN은 에어 인터페이스의 일부분인 무선 링크 상에서 무선 사용자 장비를 지원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무선 사용자 장비는 이동국, 통신 단말, PDA, 랩탑 컴퓨터, 임베디드 통신 프로세서,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통신하는 임의의 통신 요소일 수 있다. RAN은 UMTS에서 노드 Bs로 알려진 기지국뿐만 아니라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통신과 노드 Bs를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를 구비한다.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기지국 및 이동국은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어 데이터를 또한 통신한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는, 예컨대, 전력 제어 데이터 또는 측정 리포트 데이터 등의 개별 서비스 또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시스템 시그널링 및 사용자 제어 평면 시그널링(user control plane signaling) 등의 복수의 진행중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 데이터는 개별 물리 채널 상에서 송신되거나, 사용자 데이터와 물리 채널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사용자 데이터 채널 및 논리적 제어 데이터 채널은 동일한 물리 데이터 채널 상으로 시간 다중화될 수 있다.
현재의 많은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불연속적이다. 예를 들어, 보이스 및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는 낮은(또는 없는) 데이터율 통신을 갖는 시간 간격과 혼합된 높은 데이터율 통신의 간격으로 높은 폭주성을 갖는다. 송신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불연속 송신 동작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을 때 불연속 송신 모드에 진입한다. 불연속 모드에 있어서, 감소된 데이터 량이 송신되며, 통상 활용가능한 시간 분할로만 데이터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GSM 통신 시스템(DTX 동작으로 알려짐)의 불연속 송신에 있어서, 통신 링크에서 활용가능한 시간 슬롯의 서브셋에서만 데이터가 송신되므로, DTX 모드에서는 타임 슬롯 대다수에 대하여 간섭이 도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불연속 동작은 통상 송신될 데이터가 없을 때에 송신이 불연속적이기만한 비교적 느린 처리이다. 따라서, 데이터 내에 비교적 긴 정지구간이 있는 보이스 서비스 등의 사용자 데이터 서비스에 대하여 불연속 동작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불연속 동작은 제어 데이터 등의 다른 종류의 데이터에는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통상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통신되며,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이용되는 연속적인 제어 데이터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불연속 동작은 통상 제어 데이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 통신과 독립적으로 연속적으로 송신된다. 즉, 통신될 사용자 데이터가 없는 경우일지라도, 제어 데이터가 여전히 송신되어, 사용자 데이터가 없어도 간섭의 원인이 된다. 이 부가의 간섭은 성능을 저하시키고, 전체적으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UM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과 DPCCH(Dedicated Packet Control Channel)는 다운링크 내의 동일한 물리 채널 상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DPCCH의 송신은 고정된 전력 오프셋을 DPDCH 송신 전력에 적용함으로써 유도되는 송신 전력으로 연속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DPCCH의 송신은 DPDCH 상에 활동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계속적인 간섭원이다. 따라서, 종래의 접근법에서는 증가된 간섭,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감소된 성능, 및 전체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감소된 용량을 가져온다.
또한,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간단한 결정에 응답하여 불연속 동작이 수행된다. 이 접근법은 유연성이 없고, 현재 동작 조건의 최적화 또는 동작 조건의 동적인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이 유리할 것이며, 특히, 증가된 유연성, 감소된 간섭, 개선된 성능, 및/또는 증가된 용량을 허용하는 시스템이 유리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는 수단;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하는 수단;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및 수신기에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송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당할 경우에 그룹들의 서브셋을 송신하기만 함으로써 송신기로부터의 허용가능한 통신 성능을 성취하는 한편, 다른 통신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무선 환경 특성이 과도한 간섭을 도입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증가된 수의 그룹들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환경 특성이 높은 정도의 간섭이 도입될 것을 나타낸다면, 감소된 수의 그룹들이, 예컨대, 포함될 수 있다.
더 유연한 불연속 동작이 성취될 수 있으며, 및/또는 현재 조건에 적합한 불연속 동작이 제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간섭이 감소되어, 다른 통신에 대하여 향상된 성능과 전체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증가된 용량을 가져올 수 있다.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각각의 그룹은 적어도 일부 상이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정보 데이터는 중첩할 수 있지만, 2개의 그룹이 정확하게 동일한 정보 데이터에 배타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즉, 2개의 그룹이 전체적으로 중복적인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2개의 그룹이 동일한 정보 데이터의 에러 코딩에서 획득된 데이터만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데이터 메시지는, 예컨대, 단일 데이터 패킷일 수 있으며, 반연속적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으며, 불연속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으며, 또는, 예컨대, 복수의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특징에 따르면, 무선 환경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와의 사이의 전파 채널의 채널 특성을 포함한다. 데이터 메시지 내의 정보 데이터의 선택은 송신에 사용되는 전파 채널의 현재 특성에 적응화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채널 조건에 일치하는 유연한 불연속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채널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와의 사이의 전파 채널의 품질 특성을 포함한다.
채널 특성은, 예를 들어, 경로 손실, 간섭 레벨(및/또는 노이즈 레벨), 및/또는 수신기에서의 수신된 신호 레벨일 수 있다. 송신기에서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전파 채널 품질 특성에 의해 영향(impact)을 받을 수 있으며, 도입되는 간섭은 전파 채널 품질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전파 채널 품질 특성에 따라서 유연하게 불연속 동작을 조정하는 것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이 많이 좋다면, 매우 낮은 송신 전력이 필요하고, 그 결과, 도입되는 간섭이 무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큰 수(또는 전체)의 그룹들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품질이 매우 나쁘다면, 매우 높은 송신 전력이 요구되고, 그 결과, 도입되는 간섭이 크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적은 수의 그룹들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고, 이에 의해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되는 간섭, 다른 통신의 성능, 송신되는 데이터 량, 및 송신기로부터의 통신의 성능의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향상되고 더욱 유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채널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채널의 변화율 특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룹들 중 일부가 전파 채널 성질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변화율 특성에 따라서 이러한 그룹들을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시킴으로써, 통신 정보 데이터의 갱신율이 전파 채널 변동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과 간섭과의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향상되고, 동적이고, 및/또는 유연하게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무선 환경 특성은 간섭 특성을 포함한다. 간섭 특성은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내의 수신기 또는 다른 수신기들에서의 조합된 간섭 레벨의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간섭 특성은 송신기의 셀에 얼마나 많은 부하가 걸려있는지의 표시 또는 송신기의 이웃하는 셀에 얼마나 많은 부하가 걸려있는지의 표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이러한 간섭이 얼마나 중대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 데이터의 통신과 간섭의 감소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환경 특성은 분산도 특성을 포함한다. 이는 많은 실시예에 있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각각의 비트는 데이터 메시지의 상이한 필드와 관련된다. 이는 낮은 복잡도의 구현과 효과적인 성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서 효과적이고, 유연하고, 동적이고, 적응성 있는, 및/또는 고성능의 불연속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 중 적어도 일부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서 효과적이고, 유연하고, 동적이고, 적응성 있는, 및/또는 고성능의 불연속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불연속 송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제어 데이터의 불연속 송신에 적합한 유연한 접근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데이터 메시지 내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사용자 데이터 특성에 따라서 서브셋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메시지는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는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불연속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데이터의 불연속 동작은 사용자 데이터의 특성에 따를 수 있다.
이는 많은 실시예에 있어서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가 감소된 간섭으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데이터의 불연속적인 송신 동작이 사용자 데이터의 현재 특성 및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데이터 특성은 사용자 데이터 활동도(activity) 특성을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 활동도 특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율 표시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불연속 상태 또는 동작을 나타내는 불연속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가 정상적인 송신 모드에서 동작되면, 제어 데이터 그룹 전체가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데이터가 불연속 송신 모드에서 동작되면, 제어 데이터는 그룹의 하나의 서브셋 만을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불연속 송신 모드에서 동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 조건에 대하여 제어 데이터 동작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그룹들은 상이한 통신 계층에 속하는 그룹들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그룹들은 물리 계층에 속하는 그룹들의 제1 서브셋 및 그 상위 계층에 속하는 그룹들의 제2 서브셋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통신 계층들은 OSI 계층적 모델의 상이한 계층들일 수 있다. 상위 계층은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등의 물리 계층보다 상위의 계층이다.
본 특징은 하나 이상의 통신 계층에 대한 그룹들의 서브셋만을 선택함으로써 증가된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감소된 간섭을 갖는 효율적이고 유연한 통신 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이한 통신 계층들의 그룹들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이한 계층들에 대하여 낮은 복잡도의 불연속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적인 간섭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각 계층의 처리 및 알고리즘은 서로 독립적이어서, 계층 조직과 일치하며, 설계 및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 제1 계층의 그룹들은, 어느 상이한 계층의 그룹들이 데이터 메시지 내의 포함을 위해서 선택되는지에 관하여 알거나 고려치 않고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메시지는 상이한 통신 계층들의 네스트된 헤더(nested header)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이다. 이는 상이한 계층들에서 그룹들을 선택하기 위해 특히 유익한 효율적인 구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생성 수단은 무선 환경 특성의 무선 품질 표시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그룹을 포함하고, 무선 품질 표시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1 그룹을 포함하지 않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유익한 성능을 갖는 낮은 복잡도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생성 수단은 정보 데이터의 변화율에 따라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하도록 또한 동작가능하다.
이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반면, 더 적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정보 데이터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면, 앞 서 수신된 정보를 갱신하지 않은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그룹은 무시할 수 있는 중요도로 데이터 메시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현재 정보 데이터 그룹과 이전에 수신된 정보 데이터 그룹과의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정보 데이터의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의 정보 데이터의 변화율이 판정된다. 이는 많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용적인 구현과 유익한 성능을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생성하는 수단은 데이터 메시지 내의 누락 그룹의 표시를 포함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수신기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성능을 조정하도록 수신기의 정보를 통신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지는 각 그룹에 대하여 데이터 메시지에 그 그룹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는 GSM 셀룰러 통신 시스템 등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 또는 UMTS 등의 3세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송신기는 특히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은 수신기를 포함하며, 수신기는 앞서 송신된 정보 데이터 그룹에 따라서 서브셋에 포함되지 않는 그룹의 정보 데이터를 판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그룹의 송신이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판정하는 낮은 복잡성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채널 정보 데이터의 그룹이 데이터 메시지로부터 제거되면,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앞서 송신된 채널 정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채널이 크게 변하지 않는 한, 이러한 영향은 무시 가능하며, 및/또는 수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에 따르면, 무선 신호들을 수신기에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하는 단계;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특징, 및 장점들과 기타의 양태,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고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를 위해서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다.
도 2는 UM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DCH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 특히, GSM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촛점을 맞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적용예에 한하지 않으며, 많은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100)를 나타낸다. 송신기(100)는 자세하게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기일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촛점을 맞출 것이다.
송신기(100)는 복수 그룹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기(101)를 구비한다. 데이터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및/또는 송신기(100)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는 통상 정보의 성질 또는 기원에 관련된 적당한 기준에 따라서 상이한 그룹들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제어 정보가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통신될 수 있으며, 그룹 각각은 하나의 특정 종류의 제어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UM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DPCCH는 TPC(Transmit Power Commnads)를 위한 필드, TFCI(Transmi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s)를 위한 필드, 및 파일럿 심볼을 위한 필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의 제1 그룹은 TPC 데이터를 구비하며, 제2 그룹은 TFCI를 구비하며, 제3 그룹은 파일럿 심볼을 구비할 수 있다.
정보 데이터의 그룹은 단일 비트를 포함하여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에러 코드 채널 데이터 비트들 또는 정보 데이터 비트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이한 그룹이 동일한 정보로부터 유도된 비트 스트링을 구비는 등의 상이한 그룹들이 중복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2개의 그룹은 동일한 정보 데이터로부터 유도된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자세하게는, 상이한 그룹들은 동일한 정보 데이터에 관한 중복 데이터를 배타적으로 구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룹들은 임의의 중복 채널 코딩 또는 변조 동작에 앞서 동일하지 않은 정보 데이터 그룹들에 관계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그룹들은 데이터 메시지의 상이한 필드들에서 운반되어야 하는 비중복적이고 분리된 정보 데이터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 비트의 각 그룹은 데이터 메시지의 상이한 필드에 관련된다.
데이터 생성기(101)는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브셋 프로세서(103)에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때로는 모든 그룹들을 선택하여, 데이터 메시지의 전체 필드들을 채울 수도 있는 반면, 다른 경우에, 그룹의 일부만 또는 아무 그룹도 선택하지 않음으로서, 일부 필드가 빈 데이터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순방향 에러 정정, 인터리빙, 변조, 상위변환(upconversion), 및 증폭을 수행하여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기(도시 생략)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수신기(105)에 결합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송수신기(105)는 불연속 송신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특히, 송수신기(105)는 고정된 데이터율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따라서,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소모되는 총 시간은 데이터 사이즈와 어느 그룹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의존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메시지는 상이한 그룹들에 관련된 상이한 필 드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송수신기(105)는 그룹이 포함되는 필드들의 시간 간격에서 송신하지만, 그룹이 포함되지 않은 필드의 시간 간격에서는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어진 시간 간격은 데이터 메시지의 송신용으로 할당되며, 송수신기는 서브셋 프로세서(103)에 의해 선택된 모든 그룹들을 송신하도록 진행한 후, 이 시간 간격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송신은 종료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연속 제어 채널은 새로운 제어 메시지가 각 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하는 이산 프레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새로운 제어 데이터 메시지의 송신은 이전 데이터 메시지에 바로 후속하여, 연속 채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된 제어 데이터 메시지는 프레임보다 더 짧은 시간 간격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이 있은 후 다음 프레임이 시작하여 새로운 데이터 메시지가 송신될 때까지 송신이 없는 시간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송수신기(105)는 또한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하는 무선 조건 프로세서(107)에 결합된다. 무선 환경 특성은 예를 들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현재 경로 손실의 표시일 수 있으며,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레벨 메시지에 응답하여 판정될 수 있다.
무선 조건 프로세서(107)는 서브셋 프로세서(103)에 결합되며,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될 그룹들을 선택한다.
특정 예로서,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각 그룹에 대한 임계치에 현재 경로 손실을 대조할 수 있으며, 경로 손실이 임계치 미만이면, 그룹이 포함되고, 경로 손실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경로 손실이 임계치 미만이면, 비교적 낮은 송신 전력이 요구되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다른 통신에 대하여 비교적 낮은 간섭을 가져오며,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있어서의 자원 사용과 영향이 비교적 낮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의 그룹을 송신하는 장점은 증가된 간섭의 단점을 능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룹이 포함된다.
그러나, 경로 손실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비교적 높은 송신 전력이 요구된다. 이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통신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간섭을 가져오며, 따라서,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자원 사용과 영향이 비교적 높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의 그룹을 송신하는 장점은 증가된 간섭의 단점을 능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룹은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있어서의 장점과 단점 사이의 크게 개선된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성취될 수 있다.
상이한 그룹들에 대한 임계치는, 경로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서, 데이터 메시지의 필드들이 순차적으로 비어져,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여 발생하는 간섭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유연하고 점진적인 불연속 송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여 생기는 총 간섭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데이터 량은 경로 손실에 따라 변하여 이러한 비교적 일정한 간섭을 성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의 송신기는 매우 유연하고, 동적이며, 점진적이고, 효과적인 불연속 송신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송신기는 정보 데이터의 개별 그룹들이 송신에 의해 발생되는 실제 간섭에 따라서 송신에 포함 또는 배제되도록 한다. 도 1의 예의 불연속 송신은, 종래의 불연속 동작과 대조적으로, 제어 데이터에 적합하며, 간섭의 저감과 제어 데이터 송신간의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더 낮은 복잡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경로 손실 외에 많은 다른 무선 환경 특성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채널 특성, 특히,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채널의 품질 특성이 어느 그룹을 포함시켜야 하는지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정보 데이터의 그룹을 송신함으로써 초래되게 되는 간섭의 양호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호한 전파 조건에서는 낮은 송신 전력과 낮은 간섭으로 신뢰성 있는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덜 양호한 전파 조건에서는, 송신 전력이 높아야 하므로, 높은 레벨의 간섭을 가져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환경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와의 전파 경로에 특정적이지 않은 특성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환경 특성은 수신기 측의 총 간섭 또는 잡음 레벨에 관련될 수 있다. 간섭(잡음을 포함함) 레벨이 높다면, 비교적 높은 송신 전력이 요구되어, 많은 간섭이 도입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환경 특성은 데이터를 송신하여 발생하는 간섭 의 량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고, 임의의 추가 간섭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무선 환경 특성은 셀 내의 총체적인 부하 또는 간섭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셀에 부하가 가벼운 경우, 총체적인 간섭 레벨은 낮고, 추가 간섭은 어떠한 영향 없이 쉽게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부하가 셀의 용량에 근접한 경우, 임의의 부가 간섭은 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셀의 부하가 주어진 임계치 미만이라면 모든 그룹들을 송신하지만, 부하가 이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서브셋만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환경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와의 사이의 전파 채널의 변화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데이터는 전력 제어 명령 등의 채널 조건에 관한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국이어서) 전파가 빠르게 변화한다면,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들이 항상 포함될 수 있는 반면, (예를 들어, 수신기가 고정 장치이어서) 전파가 느리게 변화한다면,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한 그룹들은 경우에 따라서만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환경 특성은, 예컨대, 수신기, 송신기,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측정되는 특성 또는 성질에 따라서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도가 낮은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 대 간섭비를 리포트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환경 특성으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UM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DCH(Dedicated Channel)에 적용하는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송신기(10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DCH의 구조를 나타낸다. DCH는 시간 다중화된 DPCCH 및 DPDCH를 구비한다. 자세하게는, DCH의 프레임(200)은 TPC(Transmit Power Command)를 포함하는 제1 DPCCH 필드(201), 이어서, DPDCH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필드(203)를 포함한다. 제2 필드(203)에 이어서 TFCI(Transmit Format Combination Indication)을 포함하는 DPCCH 필드인 제3 필드(205)를 포함한다. 프레임의 제4 필드(207)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DPDCH 필드이며, 마지막 제5 필드(209)는 파일럿 심볼을 포함하는 DPCCH 필드이다.
UMTS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203 및 207)의 불연속 송신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전체 필드를 채울 사용자 데이터가 불충분하다면,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송신된 후, DPDCH 필드의 잔여 간격 동안 스위치 오프(switch-off)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불연속 송신은 송신 대기중인 데이터 량에 따라서만 수행되며, DPCCH의 제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불연속 동작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DCH는 여전히 간섭을 도입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생성기(101)는 5개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DCH의 프레임의 데이터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대응한다. 그 후,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이들 그룹 중 어느 것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예를 들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현재 전파 채널이 양호하며, 셀의 부하가 낮다면,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모든 그룹들을 포함하여 전체 DCH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전파 채널이 감쇠 환경이고, 및/또는 부하가 크다 면,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예를 들어 데이터 중 TPC 그룹 및 TFCI 그룹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와 파일럿 심볼만을 포함하는 DCH 프레임 데이터 메시지가 송신되어,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어느 그룹을 포함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데이터 액티비티에 따라서 제어 데이터 그룹들을 포함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데이터가 불연속 동작에 있지 않다면 항상 전체 데이터를 포함하고, 사용자 데이터가 불연속 송신 모드에 있다면 제어 데이터가 필드에서 생략되도록만 할 수 있다.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의 변화율에 따라서 데이터 메시지를 위한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정보가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라면,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전체 데이터 메시지에 해당 그룹을 포함시킬 수 있는 반면, 정보가 느리게 변화하는 데이터라면, 전체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서, 송신기는 예를 들어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표시에 따라서 수신기와 송신기와의 사이의 전파 채널의 변동을 트랙킹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채널이 빠르게 변화한다면, 채널 변동을 트랙킹하여 신뢰성 있는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속의 전력 제어 루프를 동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채널이 느리게 변화한다면, 생성된 송신 전력 제어가 비교적 드물게만 변화할 수 있으며, 저속 전력 제어로도 충분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예를 들어 DCH 프레임의 하나 걸러씩 TPC 데이터를 생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정보 데이터의 변화율이 판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브셋 프로세서(103)가, 예컨대, 해당 서브셋 데이터 메시지 그룹들 간의 차이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드가 수치값을 갖는다면, 현재 수치값과 마지막으로 수신기에 송신된 수치값과의 사이의 차이가 판정되어, 이 차이가 주어진 레벨을 초과할 때만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수신단에서 충분히 중요할 것 같은 경우에만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는 앞서 송신된 정보 데이터 그룹에 따라서 생략된 필드의 정보 데이터를 판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복잡도가 낮은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는 관련 필드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지막으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로부터 정보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앞서 수신된 복수의 데이터 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외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기(101)로부터 생성된 정보 데이터 그룹들은, OSI(Open Standards Institute) 계층 모델과 같은 계층 모델의 상이한 통신층에 속하는 그룹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하게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신되는 많은 데이터 패킷들이 더 낮은 계층이 더 높은 데이터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헤더를 추가하는 헤더의 네스트된 구성(nested arrangement)을 갖는 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기는 제1 층의 제1 헤더에 관련되는 데이터 그룹의 제1 셋트 및 제2 층의 제2 헤더에 관련되는 데이터 그룹의 제2 셋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합한 기준에 따라서 제1 헤더를 위한 데이터를 선택하고, 또 다른 기준에 따라서 제2 헤더를 위한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2개의 기준이 동일할 수 있음).
특정한 예로서, 데이터 생성기(101)는 2개의 상이한 계층으로부터 2개의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데이터 패킷은 서브셋 프로세서(103)에 공급될 수 있으며,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제1 헤더의 일부 데이터 성분과 제2 헤더의 일부 데이터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킬 데이터의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그 결과의 데이터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데이터 메시지 내의 누락 그룹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데이터 메시지의 각 필드에 대하여 하나의 비트를 갖는 데이터 필드를 첨부할 수 있다. 이 필드의 각 비트는 해당 필드가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 또는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수신기에 대하여 어느 데이터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통지하는 실용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신기가 수신되는 데이터 그룹들을 용이하게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을 나타낸다. 본 방법은 도 1의 송신기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단계 301에서 시작하여,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이 생성된다. 자세하게는, 데이터 생성기(10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301에 이어서, 단계 303에서는, 무선 환경 특성이 판정된다. 자세하게는, 무선 조건 프로세서(107)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할 수 있다.
단계 303에 이어서, 단계 305에서는,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 중 서브셋을 선택하여 데이터 메시지가 생성된다. 자세하게는, 서브셋 프로세서(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305에 이어서, 단계 307에서는, 수신기에 데이터 메시지가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서브셋 프로세서가 송수신기(105)에 데이터 메시지를 전달한 후, 송수신기(105)가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명확화를 위하여 상이한 기능 유닛과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들 사이의 임의의 적합한 기능의 분포가 본 발명을 폄하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도록 도시된 기능이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특정한 기능 유닛들에 대한 참조는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낸다기보다, 설명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의 참조로서 나타낸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잇다. 선택적으로는,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성분들은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논리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기능은 단일 유닛으로, 복수의 유닛들로,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유닛에서 구현되거나, 상이한 유닛들과 프로세서들 사이에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일부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명기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특징이 설명되는 것 같았지만, 당업자라면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서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하는 용어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열거하였지만, 예컨대, 단일 유닛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수단, 구성요소, 또는 방법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특징들은 상이한 청구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유리하게는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청구범위에의 포함은 특징의 결합이 쉽지 않거나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청구범위 하나의 카테고리의 특징의 포함은 다른 카테 고리로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며, 차라리, 특징이 동일하게 다른 청구범위 카테고리에 적절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청구범위 내의 특징의 순서는 특징들이 작용해야하는 임의의 특정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방법 청구범위의 개개의 단계의 순서는 단계들이 이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차라리,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참조가 복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a, an)", "제1(first)", "제2(second)", 등의 참조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0)

  1. 무선 신호들을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는 수단;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하는 수단;
    상기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기에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환경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채널의 채널 특성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특성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채널의 품질 특성,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파 채널의 변화율 특성, 간섭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각각의 비트는, 데이터 메시지의 상이한 필드, 사용자 데이터, 제어 데이터, 및 상이한 통신 계층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 는 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 메시지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시키고, 사용자 데이터 특성에 따라서 상기 서브셋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은 상이한 통신 계층들에 속하는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상이한 통신 계층들의 그룹들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는 상기 상이한 통신 계층들의 네스트된 헤더(nested header)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인 송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무선 환경 특성의 무선 품질 표시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그룹을 포함시키고, 상기 무선 품질 표시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그룹을 포함시키지 않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또한 현재 정보 데이터 그룹과 이전에 송신된 정보 데이터 그룹 사이의 차에 따라서 판정되는 상기 정보 데이터의 변화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들의 서브셋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 메시지 내의 누락 그룹의 표시를 포함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셀룰러 통신은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이전에 송신된 정보 데이터 그룹에 따라서 상기 서브셋에 포함되지 않는 그룹의 정보 데이터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10. 무선 신호들을 수신기에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무선 환경 특성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환경 특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정보 데이터 그룹의 서브셋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KR1020077013613A 2004-12-17 2005-11-18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 KR100869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7636.6 2004-12-17
GB0427636A GB2421402B (en) 2004-12-17 2004-12-17 A transmitte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radio signal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299A true KR20070086299A (ko) 2007-08-27
KR100869019B1 KR100869019B1 (ko) 2008-11-17

Family

ID=3409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613A KR100869019B1 (ko) 2004-12-17 2005-11-18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98799A1 (ko)
KR (1) KR100869019B1 (ko)
GB (1) GB2421402B (ko)
WO (1) WO200606546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14B1 (ko) * 2008-01-07 2015-03-0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0911B (zh) * 2009-02-06 2012-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本地交换的方法及系统
US9100922B2 (en) * 2010-11-09 2015-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ower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29935B2 (en) * 2021-02-26 2024-03-12 Landis+Gyr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to maintain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networke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0881B1 (en) * 1998-03-02 2004-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236864B1 (en) * 1998-11-27 2001-05-22 Nortel Networks Limited CDMA transmit peak power reduction
US7236462B2 (en) * 1999-10-04 2007-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ata exchange with a mobile asset considering communication link quality
EP1104216A1 (en) * 1999-11-23 2001-05-30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DE19958510A1 (de) * 1999-12-04 2001-06-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GB2358551B (en) * 2000-01-19 2004-01-07 Motorola Ltd A packet scheduler and method therefor
CA2310188A1 (en) * 2000-05-30 2001-11-30 Mark J. Frazer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channels configured responsive to reception quality
US20020080719A1 (en) * 2000-12-22 2002-06-27 Stefan Parkvall Scheduling transmission of data over a transmission channel based on signal quality of a receive channel
GB2383239B (en) * 2001-12-15 2004-03-17 Motorola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EP1324509B1 (en) * 2001-12-28 2010-11-17 NTT DoCoMo, Inc. Packet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7298719B2 (en) * 2002-04-15 2007-11-2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cheduling wireless downlink transmissions subject to rate constraints
EP1357767A1 (en) * 2002-04-23 2003-10-29 Lucent Technologies Inc.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locks, and a radio telecommunications base station
US7720043B2 (en) * 2002-11-20 2010-05-18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idle frames for early transmission of negative acknowledgement of frame receipt
KR100524737B1 (ko) * 2002-1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계층 레이어 상의 데이터 전송방법
FI20031702A0 (fi) * 2003-11-21 2003-11-21 Nokia Corp Useiden kantoaaltojen allokointi usealle käyttäjälle viestintäjärjestelmäss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14B1 (ko) * 2008-01-07 2015-03-0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US9591521B2 (en) 2008-01-07 2017-03-07 Alcatel Lucent Method of transmission,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019B1 (ko) 2008-11-17
WO2006065463A3 (en) 2006-08-10
GB2421402B (en) 2007-04-11
WO2006065463A2 (en) 2006-06-22
US20070298799A1 (en) 2007-12-27
GB2421402A (en) 2006-06-21
GB0427636D0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894B2 (en) Closed loop resource allocation
JP4302639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28613B1 (ko) 무선 링크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지국
KR101268196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US8583163B2 (en)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ng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US6804520B1 (en) Temporary service interrup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US70927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dynamic adjustment of a data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80052B2 (en) Closed loop resource allocation
KR100869019B1 (ko) 송신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신호 송신 방법
EP1181783B1 (en)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KR100824230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GB23917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selection in mobile communcation system.
KR200000715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버스트 전송의 조기 종료 방법
WO2005064972A1 (en) Method, terminal unit and base station unit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1651611A (zh) 调度授权状态指示信息的设置方法、装置和系统
KR20060116011A (ko) 고속 패킷 데이터 트랜스미션에 대한 전력 제어
KR20010004506A (ko)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슬롯단위의 순방향 프레임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