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339A -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 - Google Patents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339A
KR20070085339A KR1020077010833A KR20077010833A KR20070085339A KR 20070085339 A KR20070085339 A KR 20070085339A KR 1020077010833 A KR1020077010833 A KR 1020077010833A KR 20077010833 A KR20077010833 A KR 20077010833A KR 20070085339 A KR20070085339 A KR 2007008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manager
upper layer
layer bandwidth
backup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로프 스켈렌
울프 보딘
요아킴 요한슨
요아킴 노르가드
Original Assignee
오페락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페락스 아베 filed Critical 오페락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7008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의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페일오버시에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를 백업하기 위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에 관한 것이다.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은 자원 맵(130)을 포함하며 상기 IP 네트워크 하위계층(150)으로부터의 대용량 자원을 역시 상기 IP 네트워크에 위치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통해 사전 할당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자원 맵(130)의 복제본-이것은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을 백업하고 있다-및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A RESILIENCE SOLUTION FOR TOP TIER BANDWIDTH MANAGERS}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관리를 위한 구성(arrangements)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IP 네트워크에서 상위계층(top tier) 대역폭 관리자-예컨데, 엑세스(access)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resilience)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네트워킹 추세는 유무선 유닛(units)에 "완전 IP 방식(IP all the way)"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의 몇몇 목적은 인프라구조를 단순화하고,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며, 그리고 통신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요구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IP 네트워크들 내에의 서비스 차이 및 동적 대역폭 관리를 지원하는 확장가능한(scalable) 솔루션들이 필요하다.
인터넷 프로토콜들이 설계되었을 때의 주요 목표는 기존 네트워크들을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주요 목표들은 다양한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데 있어 보편성(generality) 및 장애시의 생존성(survivability)이었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상기 IP 프로토콜 조합(protocol suite)은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시그널링 및 플로우별(per-flow) 전송 상태(forwarding state)를 요구하지 않는 비연결(connectionless) 데이터그램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구조가 큰 네트워크들로 확장되고 많은 단대단(end-to-end) 연결을 만드는 애플리케이션(예컨데,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지원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은 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수직적으로(vertically) 최적화된 네트워크들 상에 구축(built)되어왔다. 이러한 설계 원칙에 따른 네트워크들은 그 목적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새로운 애플리케이션들을 용이하게 지원하지 못하며, 많은 경우에서 다양한 자원(resource)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지 못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여러 네트워크를 병행하여 운영하는 비용이 높다는 것도 밝혀졌다.
초창기의 IP는 범용 통신 솔루션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IP 기술은 현재 전형적인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과 지연 민감(delay-sensitive)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 모두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적절하고 저렴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기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논리적으로(및 물리적으로) 분리된(separate) IP 네트워크들이 사용된다. 각 IP 네트워크는 꽤 예측가능한(predictable) 대역폭 요구사항들을 갖는 민감한 애플리케이션들(예컨데, IP 전화(telephony))의 서브셋만을 서비스한다. 애플리케이션들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전체 대역폭 요구량은 예측될 수 있다. 그리하여, 그 네트워크는 수직적으로 최적화된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동일 트래픽 모델들을 사용하여 크기가 정(dimensioned)해질 수 있다. IP 기술상에서 동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원 요청 없이, 저렴한 IP 장비들의 이점이 얻어진다.
네트워크 운영자들은 이제 여러 개의 병렬적인 네트워크들을 유지하는 고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 추세 중 하나는 동일한 논리 IP 네트워크(즉, 인터넷)상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 요구들을 가진, 모든 종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운영함으로써, 인프라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IP 네트워크상의 애플리케이션 이질성(heterogeneity)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연구 및 표준 단체들에서, QoS 지원의 개발은 인터넷에 대한 시그널링된 솔루션(수직적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솔루션들과 다소 유사한)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지금은 보다 무상태 솔루션(stateless solutions)이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까지 발전하여왔다.
라우터에서 플로우별 QoS 관리를 사용하는 솔루션들의 확장성 문제로 인해, 차별화된 서비스(differntiated service, 이하 "diffserv") 구조로 알려진 새로운 접근방식이 IETF에서 채택되었다. 이의 목표는 라우터에서의 플로우별 상태를 피함으로써 확장가능한 QoS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라우터들에 의해 패킷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처리(홉 단위 동작(per-hop behaviour))를 식별하는 작은 라벨(diffserv 필드로서 알려진)을 IP 패킷 헤더들이 포함한다는 것이 그 기본 개념이다. 그 결과, 코어 라우터들은 몇 개의 포워딩 클래스(forwarding classes)로 설정되며 상기 라벨들은 패킷들을 상기 클래스들로 매핑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구조는 상기 네트워크 경계영역에서의 감시(policing)기능과 패킷 마커들(packet markers)에 의존하여 의도된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차별화된 서비스들의 하나의 이점은 상기 모델이 인터넷을 성공적으로 만든 유리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상호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물리적 네트워크들을 통해 확장가능(scalable)하며 무상태(stateless)의 포워딩을 지원한다. 그러나, 상기 표준 모델은 라우터에서의 차별화된 포워딩으로 한정되고 그 결과 최종 사용자들에게 예측가능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질적인 서비스(비교적 최선 노력서비스(best-effort service)들보다는 낫지만, 트래픽이 전송되는 곳과 그때 다른 것들에 의해 초래된 부하에 의존적임)는 라우터에서의 diffserv 지원 그리고 준 정적(semi-static) 승인 제어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역폭 관리 메카니즘에만 의존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양적인(최소 기대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자원들은 대역폭 관리 메카니즘들에 의해 동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고, 맡은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상에 충분한 자원들이 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 동적 승인 제어를 수반하여야 한다.
동적 승인 제어를 수행하는 엔티티는 본 명세서에서 대역폭 관리자(manager)로 불린다. 이 엔티티는 자원 맵을 관리함으로서 이용가능한 자원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유입하는 대역폭 요청들에 대한 승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대역폭 관리자는 또한 이전에 승인된 대역폭 예약(reservations)의 이력을 저장한다.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이용가능한 자원들의 전체량, 이전의 예약에 의해 현재 예약된 양 및 요청된 대역폭의 양에 기반하여 대역폭에 대한 새로운 요청을 승인하는 결정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역폭 관리 자들은 승인 제어를 수행하고 일단 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더 이상 그 요청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네트워크의 상위계층(top tier) 및 하위계층(bottom tier) 모두에서 정확한 대역폭 제어를 제공해야 한다. 상위계층의 일 예로는 엑세스(access) 네트워크를, 하위계층의 예로는 코어(core)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위계층에서의 대역폭 관리자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top tier bandwidth manager)로서, 하위계층에서의 대역폭 관리자는 하위계층 관리자(bottom tier manager)로서 언급된다. 나아가, 본 출원에서 엑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관리자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access bandwidth manager)로서 언급되며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관리자는 코어 대역폭 관리자로(core bandwidth manager)서 언급된다.
IP 전화와 같은 서비스들로부터 유입되는 매우 높은 비율의 호 승인 요청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상위계층에서의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과 하위계층에서의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과 함께 2-계층 구조가 요구된다.
전체의 서버 사이트가 이용 불가능하게 될 수 있는 재해 상황에서 서비스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리적 페일오버(fail-over) 솔루션이 필요하다. 원격의 스탠바이(standby) 대역폭 관리자에 모든 상태(state)를 계속적으로 동기화(synchronize)하는 것이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동기화될 상태(state)의 수를 최소화되도록 하는 솔루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상태(call state)가 동기화하는 동안 계속적인 서비스 가용성을 제공함으로써, 대역폭 관리자 페일오버 동안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정의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및 청구항 제 12 항의 특징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자원 맵을 백업하고 있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의 복제본 및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상기 호 상태가 동기화하는 동안 계속적인 서비스 가용성을 제공함으로써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동안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을 백업하고 있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의 복제본 및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호 상태가 동기화하는 동안 지속적인 서비스 가용성을 제공함으로써 대역폭 관리자 페일오버동안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IP 주소 인수(takeover)에 의해 결함(failed)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페일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사용중인 라우팅 프로토콜이 상기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IP 주소로의 새로운 경로를 선언함으로써, 이 IP 주소를 인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1차 및 2차 주소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페일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될 상기 상태들 중 하나는 기 승인되어 활성화 된 호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될 상기 상태들 중 하나는 사전 할당된 대용량(in bulk) 자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정상 운영과 병행하여 호 상태 동기화를 전송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로의 별도 연결 또는 버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기 승인된 호들이 보다 느린 타임스케일(slower timescale)로 리프레쉬(refresh)되는 동안 즉각적으로 신규 호들을 처리(handl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신규 호 시도들을 처리 하기 전에 풀(full)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완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동기화를 스킵(skipp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활성 호를 주기적으로 리프레쉬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위계층은 엑세스 층이고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이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백업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위계층이 코어 네트워크이고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코어 대역폭 관리자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상기 자원 상태가 상기 코어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되고 그리고 활성화되었던 호들이 타임아웃(time out) 될 동안 신규 요청들(호들)을 다룸(serving)으로써 마이그레이션 되기(migrated)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복원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들 간에 지속적인 상태의 복제(replication)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일괄(aggregated) 대량 예약을 이용하여 코어 대역폭 관리자와의 호별 동기화를 피함으로써, 코어 대역폭 관리자로의 시그널링이 최소화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상기 예약들이 몇몇 대량 예약들로 일괄적으로 되기 때문에, 코어를 통한 자원들의 동기화가 빠르다는 것이다. 이는 자원 맵의 빠른 복구 및 지속적인 서비스 가용성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승인 제어를 위한 액티브(active)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의 정상적인 운영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바이(standby)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로의 페일 오버 동안의 운영을 도시한다.
도 3은 기존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에서 신규 엑세스 백업 대역폭 관리자로의 전환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파악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가 면밀하고 완전하도록,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대역폭 관리자는, 도 1a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도 1a는 일 가입자로부터 타 가입자로의 호들을 위한 클라이언트(110)로부터의(예, 호 에이전트로부터의) 수신 요청을 처리하는 상위계층에서의 액티브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를 도시한다. 도면들(1a-1b)에서의 상위계층은 엑세스 네트워크로서 그리고 하위계층은 코어 네트워크로서 예시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QoS를 보장하기 위해 단대단(end-to-end) 대역폭 관리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이에 관여하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들은 코어 대역폭 관리자들(140)에게 코어 네트워크상의 대역폭을 요청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150)상에 충분한 자원들이 있음을 역시 검증할 것이다. 코어 네트워크를 통한 이들 요청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엑세스 네트워크들 간에, 대용량 대역폭 예약들을 사전 할당함으로써 수행된다.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들(120)이 코어(150) 전반에 걸친 대용량 예약들의 사전 할당에 기초하여 코어 대역폭에 대한 자체적인(local) 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대역폭 관리자(140)가 개별적인 호들에 대한 대역폭 요청들을 처리하는데 관여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코어 대역폭 관리자(140)가 낮은 비율/긴 홀딩 타임(low-rate /long-holding-time)의 대용량 예약들을 다루는 동안,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120)는 높은 비율/짧은 중단시간(high-rate/short-holding-time)의 예약들을 다루게 된다.
2-계층 구조의 개념은 많은 다른 레벨들 및 위치들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그러한 구성에 역시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2-계층 구조는 예컨데 엑세스 네트워크 확장성을 위해 엑세스 네트워크 내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엑세스 내의 하위계층은 엑세스 네트워크 자원 맵을 유지하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로 표현될 수 있고,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들의 상기 상위계층은 호 승인 요청들을 수신하고 하위계층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에 자원들을 사전할당하며, 그리고 상기 하위계층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는 코어 대역폭 관리자에 자원들을 사전할당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적어도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들에 적용된다. 매우 큰 대규모 엑세스 토폴로지에 있어서는, 심지어 상위계층 엑세스 대 역폭 관리자들도 엑세스 네트워크 부분들에 대한 자원 맵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전형적으로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가 다른 지역들에 위치하고, 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백업으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백업들을 갖는다는 것에 기반하는 지리적(geographical) 대역폭 관리자 복원성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도 1b에서 백업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로서 도시된다. 도 1b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와 동일하다.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는 자신이 백업하는 대역폭 관리자(120)의 네트워크 자원 맵(용량 할당 맵)(130)의 복제본을 유지관리하고 그리고 상태들을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하위계층 네트워크-전형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에 걸친 사전 할당들 또는 수락된 대역폭 예약들의 현재 상태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액티브(120) 및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 모두는, 자원 맵(130)의 변경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며, 상기 자원 맵은 현재 토폴로지 및 제공된 자원의 양에 대한 정보(즉, 2-계층, 라우팅 그리고 MPLS)를 포함한다. 액티브에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의 페일오버는 접근불능의 대역폭 관리자의 IP주소가, 사용중인 라우팅 프로토콜이 이 IP 주소로의 새로운 경로를 선언함에 따라, 상기 접근 불능의 대역폭 관리자의 백업에 의해 인수되는 IP 인수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들이 1차 및 2차 주소를 갖도록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액티브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의 페 일오버의 경우에, 대역폭 관리자들 간의 상태의 풀 동기화를 위해서는 방대한 수의 상태들이 동기화되어야 한다.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예컨데,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가 호 비율을 1000호/초까지 처리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120초의 평균 호 지속시간( call duration)은 120000의 액티브 호를 제공한다.
만약 페일오버 시간이 짧아져야 한다면 이 데이터 양을 동기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그리고 서비스는 동기화가 완료될 때까지 중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지리적 페일오버시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태들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구현되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의 복원성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 최소화하는 단계는 상위계층 및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 간의 동기화(auditing)를 통해 대용량 대역폭이 네트워크의 하위계층-예컨데, 코어 네트워크-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전 할당되고 그리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대량 자원들의 사전 할당기능을 사용함으로써 기 승인된 호들의 유연한(flexible) 재동기화가 허용되는 방식으로-즉, 다른 대역폭 관리자들과의 자원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진다-수행되어 진다. 대역폭 관리자들 간의 동기화(auditing)는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풀(Pull):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예컨데,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가 하위계층 관리자(예컨데, 코어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자원 할당 상태를 요청한다.
푸쉬(Push):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페일오버시에 상기 자원 할당 상태를 전송한다.
재할당(Re-allocation): 하위계층 대역폭에서의 상기 자원 할당 상태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의해 리셋(reset)되며 재할당된다.
대역폭의 사전 할당은, 심지어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일시적인 중단 동안에도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에서의 지속적인 호별 단대단 서비스 가용성을 제공한다. 대량 대역폭의 사전할당은 역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들에서의 시그널링을 낮춰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진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가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상에서 이용가능하게 되기 전에 동기화되어야 하는 상태를 최소화함으로써, 하나의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의 빠른 페일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네트워크 자원 맵으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주로 두 개의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상태 소스가 있다:
-네트워크의 하위계층에 사전 할당된 자원들(예, 코어 네트워크 및 코어 자원 상태) 그리고
-기 승인되어 활성화된 호(호 상태).
하위계층에 사전 할당된 자원이 대용량 예약들이기 때문에,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되는 예약들의 수는 최소화된다. 그러나 활성화된 호의 수는 동기화될 필요가 있는 상당 양의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 상태 동기화는 클라이언트(예, 호 에이전트)와,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간의 별개의 연결 또는 버퍼를 도입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호 상태 동기화를 정상 운영과 병행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길게 지속되는(long-lived) 호들에 대한 동기화를 보장할 수 있게 하지만, 반면 많은 수의 짧은 호들은 재동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종료될 수도 있다.
이 전략은 비교적 낮은 블록율(block rate)에 의존하여 서비스 초과신청(over-subscription)의 위험(즉, 서비스에 공급되는 것보다 더 많은 호들을 승인하는 것)이 낮아지게 되고 그리고 몇몇 경우에 신규 호 전에 승인된 호를 무효화(preempting)한다는 점에서의 다소의 불공정함은 받아들여질 수 있게 된다. 상대적으로 짧은 평균 호 지속시간을 가지는 음성 서비스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타임프레임 안에 기존 호 상태가 타임아웃 될 것이고 새로운 상태(신규 호로부터)가 만들어질 것이다. 이러한 전환 동안, 페일오버 후에 신규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활성 호들의 상태를 만드는데 다소의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고 그리고 재동기화 되지 않은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는 호들은 고려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초과신청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신규 백업 대역폭 관리자가 아직 모르는 다소의 활성화된 호들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상기 신규 백업 대역폭 관리자는 승인해야 하는 호들보다 더 많은 호들을 승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은 스마트한 재동기화를 이용함으로써 줄어들 수 있다. 기존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 신규 상위계층 백업 대역폭 관리자로의 전환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1. 기존 호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자원 맵 상의 한 지점에서의 예약된 자원의 양이다.
2. 페일오버 시간을 나타낸다. 이 지점에서 페일오버는 시작되고, 신규 호 상태(3)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상기 기존 호 상태는 타임아웃 되기 시작할 것이다.
3. 신규 호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신규 호 상태이다.
4. 현재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한 자원을 나타낸다. 이것은 페일오버 후에 바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되는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사전 할당된 획득된 자원 또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에서 제공된 로컬(local) 자원이다.
5. 잠재적인 초과 신청(over-subscription)을 나타낸다. 호 상태 마이그레이션의 짧은 시간 동안, 신규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4)에 따라 제공된 것보다 더 많은 호를 승인할 수 있다.
6. 장기(long term) 호들을 나타낸다. 이것들은 호 상태의 완전한 복구를 가속화하기 위해서, 마이그레이션 될 클라이언트로부터 동기화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별개의 재전송(resubmission) 연결(또는 버퍼 관리)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호 에이전트는 요구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일오버 전략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략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신규 호 시도들을 처리하기 전에 풀 동기화를 완료하지만, 우선순위가 높은 호들이 항상 먼저 처리된다. 이 전략을 사용하여 짧은 페일오버를 달성하는 것은 기 승인 호들에 최선의 공정성(fairness)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것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컴퓨팅 파워(computing power)를 필요로 한다.
-신규 호 시도와 병행하여 동기화를 처리한다. 이 방식에서는, 기 승인된 호들이 보다 느린 타임스케일(slower timescale)로 리프레쉬되는 동안 신규 호 시도들은 바로 처리될 것이며, 이는 상기 기승인된 호들이 신규 호 전에 무효화(preempting)될 위험성이 커짐을 의미한다. 그것은 신규 대역폭 관리자가 기 승인된 호의 리프레쉬가 수행되기 전에 기 승인된 호를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이것은 대역폭 관리자가 너무 많은 신규 호들을 승인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에 달려있다. 따라서 만약 초과예약(overbooking)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일단 기 승인 호의 리프레쉬가 수행되면, 상기 기 승인된 호는 무효화(preempting) 될 수도 있다. 페일오버 이후의 재동기화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성능 병목(performance bottleneck)이기 때문에, 이 예에 따라 활성 호들에 대한 예약들을 리프레쉬하는 호 에이전트의 능력은 페일오버 동안 신규 호들에 대한 최소 응답 시간을 제공한다.
-동기화 과정을 스킵(skip)한다. 이 전략은 호 에이전트가 신규 호를 바로 다루도록 한다. 대부분의 기 승인 호들은 꽤 짧은 타임프레임 내에 타임아웃 될 것이라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신규 호상태는 신규 호들로부터만 형성될 것이다. 상기 트랜지션 기간 동안,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대역폭의 신청초과(over-subscription)의 위험이 증가 될 것이다. 이 위험은 페일오버시의 호 손실율(call blocking rate)에 좌우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동기화(즉, 리프레쉬) 동안의 피크 로드를 줄이기 위해서, 활성 호들이 주기적으로 리프레쉬되는 리프레쉬 방안(scheme)이 도입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로드는 보다 긴 타임프레임(longer time-frame)에 걸쳐 분산될 것이고 그리고 짧은 시간 내 곧 타임아웃(short/soon-to-time-out)될 호들은 재동기화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제될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및 IP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IP 네트워크에서의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그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백업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자원 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IP네트워크에 위치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통해 상기 IP네트워크의 하위계층으로부터의 대량 자원을 사전할당하기 위한 것-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대역폭 관리자는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이다.
대역폭 관리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상의 프로세스 수단으로 직접 로딩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백업하고 있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의 복제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 및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로 이용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으 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노드 B상의 프로세스 수단이 백업 상위계층 관리자가 백업하고 있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자원 맵의 복제를 수행하는 단계들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및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역시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운영되도록 하는 IP네트워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이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자원 맵 을 포함하며 역시 상기 IP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통해 상기 IP 네트워크의 하위계층으로부터 대량의 자원을 사전할당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하며,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백업하기 위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체물들, 변형물 및 균등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것이다.

Claims (24)

  1. IP 네트워크에서의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페일오버시에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를 백업하기 위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로서,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는 자원 맵(130)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IP 네트워크에 위치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40)를 통해 상기 IP 네트워크 하위계층(150)으로부터의 대용량 자원을 사전 할당한다-를 포함하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60)는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백업하고 있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상기 자원 맵(130)의 복제본 및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2. 제 1 항에 있어서,
    IP 주소 인수에 의한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의 페일 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사용중인 라우팅 프로토콜이 상기 IP 주소로의 새로운 경로를 선언함으로써 상기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상기 IP 주소를 인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이 1차 및 2차 주소를 갖도록 설정함으로써,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의 페일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기화될 상기 상태들 중 하나가 기 승인되어 활성화된 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태들 중 하나가 상기 사전 할당된 대용량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별개 연결 또는 버퍼를 포함하며 상기 별개 연결 또는 버퍼는 정상 운영과 병행하여 호 상태 동기(call state synchronisation)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7. 제 6 항에 있어서,
    기 승인된 호들은 보다 느린 타임스케일로 리프레쉬 되는 한편 신규 호들을 즉시 처리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신규 호 시도들을 처리하기 전에 풀(full)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완료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9. 제 6 항에 있어서,
    동기화를 스킵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10. 제 6 항에 있어서,
    활성 호들을 주기적으로 리프레쉬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은 엑세스 계층이며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이고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백업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계층은 코어 네트워크이고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코어 대역폭 관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
  13.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는 자원 맵(130)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IP 네트워크에 위치한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통해 상기 IP 네트워크 하위계층(150)으로부터의 대용량 자원을 사전 할당한다-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로서,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페일오버시에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백업하기 위한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가 백업하고 있는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120)의 상기 자원 맵(130)의 복제본 및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페일오버시에 상태들을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와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IP 주소 인수에 의한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의 페일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사용중인 라우팅 프로토콜이 상기 IP 주소로의 새로운 경로를 선언함으로써 상기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의 상기 IP 주소를 인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네트워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이 1차 및 2차 주소를 갖도록 설정함으로써, 결함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로부터의 페일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네트워크.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기화되는 상기 상태들 중 하나가 기 승인되어 활성화된 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기화될 상기 상태들 중 하나는 상기 사전 할당된 대용량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정상 운영과 병행하여 호 상태 동기화를 전송하도록 된, 클라이언트로의 별개 연결 또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기 승인된 호들은 보다 느린 타임스케일로 리프레쉬되는 한편 신규 호들을 즉시 처리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신규 호 시도들을 처리하기 전에 풀 동기화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21. 제 19 항에 있어서,
    동기화를 스킵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22. 제 19 항에 있어서,
    활성 호들을 주기적으로 리프레쉬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은 엑세스 층이고 상기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이며 상기 백업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백업 엑세스 대역폭 관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24. 제 12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계층은 코어 네트워크이고 상기 하위계층 대역폭 관리자는 코어 대역폭 관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KR1020077010833A 2004-10-12 2005-09-22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 KR20070085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708304P 2004-10-12 2004-10-12
US60/617,083 2004-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339A true KR20070085339A (ko) 2007-08-27

Family

ID=3614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833A KR20070085339A (ko) 2004-10-12 2005-09-22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00442B1 (ko)
JP (1) JP2008516521A (ko)
KR (1) KR20070085339A (ko)
CA (1) CA2583293A1 (ko)
WO (1) WO2006041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8007B2 (en) 2012-01-18 2015-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n resilience framework for simplified and coordinated orchestration of multiple availability manag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704B1 (en) 1999-03-11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ailures of resource managers in a clustered environment
US6842763B2 (en) 2000-07-25 2005-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essage availability in a subsystem which supports shared message queues
JP2004527934A (ja) * 2001-01-16 2004-09-09 オペラックス エービー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マネージャ
WO2003085514A1 (en) * 2002-04-04 2003-10-16 Operax Ab Method for creating a map of available resources within an ip network
KR20050085155A (ko) * 2002-12-02 2005-08-29 오페락스 아베 레이어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계층적 자원관리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3293A1 (en) 2006-04-20
JP2008516521A (ja) 2008-05-15
EP1800442A1 (en) 2007-06-27
EP1800442A4 (en) 2011-11-16
EP1800442B1 (en) 2012-11-14
WO2006041373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f et al. Concepts for resource reservation in advance
US7656879B2 (en) Bidirectional QoS reservation within an in-band signaling mechanism
US72696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IP network with non-path dependent intra domain quality of service
Wolf et al. Issues of reserving resources in advance
AU2004302573B2 (en) A method for choos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eal-time traffic data
US7035279B2 (en) Flow allocation in a ring topology
US20050076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sources on a switched underlay network
Schelén et al. Resource sharing in advance reservation agents
Schill et al. Resource reservation in advance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partial ATM infrastructures
US20090003194A1 (en) Resilience Solution for Top Tier Bandwidth Managers
US7506050B2 (en) Method for checking transmission resources of a packet-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re are topology changes
JP3438857B2 (ja) ネットワークの通信品質制御システム及びトラフィック管理装置
US20070189316A1 (en) Method for Ensuring Reliability in Network
JP2008541554A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リソースのオーバーブッキング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帯域幅マネージャ
KR20070085339A (ko) 상위계층 대역폭 관리자에 대한 복원 솔루션
EP1758299A1 (en) A method ensuring the service reliability in the end-to-end service quality framework
JP3927386B2 (ja) 協調スケジューリング型QoS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Stüdi Quality of service for mobile ad hoc networks
WO2006042464A1 (fr) Procede permettant de gerer les ressources de branchement d'electricite
Zhao et al. A resource reservation scheme for synchronized distributed multimedia sessions
JP2005102012A (ja) スパニングツリープロトコル適用時における網資源管理装置
KR100372590B1 (ko) 가상 사설망에서의 링크용량 할당 방법
Nikou Advance Reservation on Network
Sallabi et al. New resource reservation architecture with user interactions
Chiueh Resource virtualization techniques for wide-area overla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