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033A -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033A
KR20070084033A KR1020077010348A KR20077010348A KR20070084033A KR 20070084033 A KR20070084033 A KR 20070084033A KR 1020077010348 A KR1020077010348 A KR 1020077010348A KR 20077010348 A KR20077010348 A KR 20077010348A KR 20070084033 A KR20070084033 A KR 2007008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ignal
signal
pilot
insertion position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요시이
마사루 후쿠오카
크리스티앙 벵게르테르
아키히코 니시오
겐이치 미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6Pilot transmitters or receiver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or for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MCS 결정부(106)는 복수의 변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정보 생성부(108)는 선택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결정한다. 변조부(116)는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한다. 신호 배치부(118)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또한,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한다. 송신 RF부(124)는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RADIO TRANSMITTER AND PILOT SIGNAL INSERTING METHOD}
본 발명은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송신 장치가,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다중)한 뒤에, 데이터 신호를 무선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 경우,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채널 보상을 행한 뒤에,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의 변조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을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무선 수신 장치가 회선 품질 정보를 무선 송신 장치에 보고하여, 무선 송신 장치가 회선 품질 정보에 근거해서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703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 추정 정밀도에 관해서 요구되는 레벨은 변조 방식에 따라 다르다. 바꾸어 말하면, 일정 레벨 이상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파일럿 신호의 삽입 간격(또는 삽입량)이 변조 방식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예컨대,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가장 좁은 삽입 간격을 요구하는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전술한 가장 좁은 삽입 간격으로 삽입한 경우, 그 변조 방식과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양의 파일럿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스루풋의 개선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무선 송신 장치는,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하는 삽입 수단과,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은,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으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분산에 근거하는 파일럿 배치 결정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분산에 근거하는 파일럿 배치 결정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는 파일럿 배치 결정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는 파일럿 배치 결정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를 적용한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이라고 약기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적용한 이동국 장치(이하 「이동국」이라고 약기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의 기지국(100)은, 안테나(102), 수신 RF부(104), MCS 결정부(106), 정보 생성부(108), PL 생성부(110), SCCH 생성부(112), 부호화부(114), 변조부(116), 신호 배치부(118), IFFT부(120), GI 부가부(122), 송신 RF부(124) 및 안테나(126)를 갖는다.
수신 RF부(104)는, 도 2의 이동국(15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102)을 거쳐서 수신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 소정의 수신 RF 처리(예컨대,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를 실시한다. 수신 RF 처리가 실시된 신호는 MCS 결정부(106)에 출력된다.
MCS 결정부(106)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후술하는 회선 품질 정보(CQI)를 추출하고, 추출한 CQI에 따라, MCS(예컨대,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율)을 결정한다. 변조 방식의 결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현재의 다운 링크의 회선 품질에 대하여 최적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결정된 MCS는 정보 생성부(108), SCCH 생성부(112), 부호화부(114) 및 변조부(116)에 출력된다. 또, 회선 품질 정보는 CSI로 표시하는 일도 있다.
정보 생성부(108)는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이하 「데이터」라고 약기함)에 삽입하는 파일럿 신호(이하 「파일럿」이라고 약기함)의 구성(예컨대 삽입 간격이나 삽입량)을 입력된 MCS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정보 생성부(108)는, 예컨대, 선택된 변조 방식이 변경되었을 때에, 신호 배치부(118)에 의해서 데이터에 삽입되는 파일럿의 삽입 위치가 변경되도록 파일럿 구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그 구성을 나타내는 파일럿 구성 정보를 생성해서 PL 생성부(110) 및 신호 배치부(118)에 출력한다. 또, 파일럿 구성 정보는, 파일럿 구성을 명시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파일럿 구성의 변경분만을 나타내는 것이더라도 좋다.
PL 생성부(110)는 입력된 파일럿 구성 정보에 따라서 파일럿을 생성하여 신호 배치부(118)에 출력한다.
SCCH 생성부(112)는, 데이터의 송신 대상인 이동국(150)에, 입력된 MCS를 통지하기 위한 SCCH(Sheared Control Channel)를 생성하여 신호 배치부(118)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14)는 MCS 결정부(106)에서 결정된 부호화율로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변조부(116)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MCS 결정부(106)에서 결정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변조된 데이터는 신호 배치부(118)에 출력된다.
삽입 수단으로서의 신호 배치부(118)는 입력된 데이터, SCCH 및 파일럿을 입력된 파일럿 구성 정보에 표시된 파일럿 구성에 따라 배치한다. 전술한 각 신호는 주파수축 및 시간축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파일럿이 데이터에 삽입된다. 배치 처리가 실시된 신호는 IFFT부(120)에 출력된다.
IFFT부(12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한다. GI 부가부(122)는 IFFT 처리가 실시된 신호의 소정 위치에 GI(Guard Interval)를 부가한다. 송신 RF부(124)는, GI가 부가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송신 RF 처리(예컨대, D/A 변환, 업 컨버트 등)를 실시하고, 송신 RF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안테나(126)를 거쳐서 송신한다.
도 2의 이동국(150)은 안테나(152), 수신 RF부(154), GI 삭제부(156), FFT부(158), 정보 추출부(160), 정보 복호부(162), 신호 분할부(164), 채널 추정부(166), CQI 생성부(168), 송신 RF부(170), 안테나(172), SCCH 복호부(174), 복조부(176) 및 복호부(178)를 갖는다.
수신 RF부(154)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152)를 거쳐 서 수신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 소정의 수신 RF 처리(예컨대,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를 실시하고, 수신 RF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GI 삭제부(156)에 출력한다. GI 삭제부(156)는, 입력된 신호의 소정 위치에 삽입된 GI를 삭제하고, GI 삭제 후의 신호를 FFT부(158)에 출력한다. FFT부(158)는, GI 삭제 후의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고, FFT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정보 추출부(160)에 출력한다.
정보 추출부(160)는, FFT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신호 분할부(164)에 출력하고, 또한, 파일럿 구성 정보가 배치된 부분을 FFT 처리가 실시된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정보 복호부(162)에 출력한다.
정보 복호부(162)는 입력된 신호를 복호하여 파일럿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파일럿 구성 정보는 신호 분할부(164)에 출력된다.
신호 분할부(164)는 FFT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입력된 파일럿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SCCH 및 파일럿이 각각 배치된 부분으로 분할한다.
채널 추정부(166)는 파일럿이 배치된 부분의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채널 추정의 결과로서 얻어진 회선 품질은 CQI 생성부(168), SCCH 복호부(174) 및 복조부(176)에 통지된다.
CQI 생성부(168)는 통지된 회선 품질을 나타내는 CQI를 생성하여 송신 RF부(170)에 출력한다.
SCCH 복호부(174)는 SCCH가 배치된 부분의 신호를 통지된 회선 품질에 근거하여 채널 보상을 행하면서 복호한다. 복조부(176)는 통지된 회선 품질에 근거하 여 채널 보상을 행하면서, 데이터가 배치된 부분의 신호를 복호된 SCCH에 표시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복조한다. 복호부(178)는 복조된 데이터를 복호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150)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국(150)이 다운 링크의 CQI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S1). CQI를 수신한 기지국(100)은 SCCH(또는 MCS)와 파일럿 구성을 결정한다(S2).
그리고, 기지국(100)의 신호 배치부(118)에서는, 결정된 파일럿 구성에 따라 파일럿이 데이터에 삽입된다. 파일럿 구성의 예로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4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경우의 파일럿 구성을 나타내고, 도 5는 변조 방식이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의 파일럿 구성을 나타낸다.
변조 다치수가 16QAM에 비해서 작은 QPSK인 경우는, 시간축 상에서의 파일럿의 삽입 간격이 16QAM의 경우에 비해서 좁다. 또한, QPSK의 경우, 주파수축 상에서는 파일럿 삽입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데 반하여, 16QAM의 경우는 주파수축 상에서 파일럿이 소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16QAM의 경우는 QPSK의 경우에 비해서 파일럿 삽입량이 많다. 즉, 신호 배치부(118)는 파일럿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한다.
파일럿이 데이터에 삽입된 후, 기지국(100)은 SCCH, 파일럿 구성 정보 및 데이터를 각각 송신한다(S3). 또, SCCH의 송신은, 고정 주기로 행하여지더라도 좋 고, 가변 주기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각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150)은 SCCH 및 파일럿 구성 정보를 복호하고 나서 데이터를 복호한다(S4).
상기 동작에 따라서, 기지국(100)과 이동국(150) 사이에서는 하기의 순서로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150)으로부터 CQI가 송신된다. 이 CQI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데이터 #1의 송신 제어에 이용되게 된다. 즉, 기지국(100)으로부터는, 데이터 #1용 CQI에 근거하여 생성된 SCCH가 송신되고, 이어서, 데이터 #1용 CQI에 근거하여 생성된 파일럿 구성 정보가 송신되며, 이어서, 그 파일럿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파일럿이 데이터 #1과 함께 송신된다.
그리고, 이동국(150)에서는, 수신한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그리고 채널 추정 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CQI가 송신된다. 이 CQI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데이터 #2의 송신 제어에 이용되게 된다. 즉, 기지국(100)으로부터는, 데이터 #2용 CQI에 근거하여 생성된 SCCH가 송신되고, 이어서, 데이터 #2용 CQI에 근거하여 생성된 파일럿 구성 정보가 송신되며, 이어서, 그 파일럿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파일럿이 데이터 #2와 함께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조 방식 또는 회선 품질에 근거하여 파일럿의 삽입 위치, 즉 삽입 간격이나 삽입량을 변경하기 때문에, 변조 방식마다 필요 충분한 양의 파일럿 신호를 이동국(150)에 송신할 수 있어,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150)에서는, 수신한 파일럿 구성 정보에 표시된 파일럿 삽입 위치에 따라 파일럿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파일럿 구성은 전술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성을 공통 파일럿의 구성 및 개별 파일럿의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다치수가 최소인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성을 공통 파일럿의 삽입만으로 실현한다. 그리고, 그 변조 방식에 비해서 변조 다치수가 큰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성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별 파일럿을 추가 삽입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경우, 파일럿 구성 정보는 추가 삽입 위치만을 나타내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정보 생성부(108)에서의 파일럿 구성의 결정은 회선 품질에 따라 적응적으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지연 분산이 큰 경우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선 품질의 주파수 방향의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주파수축 상에서의 파일럿 삽입 간격이 변동의 크기에 따라 좁아지도록 파일럿 구성을 결정하고, 전파로 추정을 그 변동에 추종시킨다. 한편, 지연 분산이 작은 경우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선 품질의 주파수 방향의 변동이 작다. 따라서, 주파수축 상에서의 파일럿 삽입 간격이 변동의 크기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파일럿 구성을 결정하여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예컨대, 도플러 주파수가 높은 경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선 품질의 시간 방향의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시간축 상에서의 파일럿 삽입 간격이 변동의 크기에 따라 좁아지도록 파일럿 구성을 결정하고, 전파로 추정을 그 변동에 추종시킨다. 한편, 도플러 주파수가 낮은 경우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선 품질의 시간 방향의 변동이 작다. 따라서, 주파수축 상에서의 파일럿 삽입 간격이 변동의 크기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파일럿 구성을 결정하고,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일럿 구성 정보는 파일럿 구성을 특정 이동국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 예컨대 스케줄링 시스템의 경우는,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모든 이동국이, 각 이동국으로의 파일럿 구성 정보를 복호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신호 배치부(118)에서는, 개별 파일럿이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시분할로(예컨대, 이동국 #1→이동국 #2→이동국 #3→이동국 #1의 순서로) 송신되도록 파일럿의 삽입을 행한다. 한편, 예컨대 이동국 #1에서는, 이동국 #1용의 파일럿 구성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국 #2, 이동국 #3용의 파일럿 구성 정보도 복호한다. 그리고, 이동국 #1은 이동국 #1∼# 3에 각각 할당된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따라서, 채널 추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구성을 통신 대역 전체에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캐리어 블럭마다 파일럿 구성을 변경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서브캐리어는 톤(Tone)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지국(100)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OFDM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는, 공간 방향의 축이 증가된다. 이 경우, 파일럿 구성을 공통 파일럿의 구성 및 개별 파일럿의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한다. 그리고, 공통 파일럿 의 스트림을 공간 분할한다. 이동국에서는, 공간 분할된 공통 파일럿 및 개별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를 이동국에 적용하더라도 좋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기지국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Node B, 이동국은 UE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럭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럭의 집적화를 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4년 11월 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23868호에 근거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의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기지국 장치나 이동국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하는 삽입 수단과,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갖는 무선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송신 수단은 생성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은, 복수의 변조 방식에 공통되는 삽입 위치를 고정하고,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하는 삽입 위치를 상기 공통되는 삽입 위치 이외로 변 경하는 무선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은, 복수의 변조 방식에 공통되는 삽입 위치에 공통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상기 공통되는 삽입 위치 이외에 개별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무선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송신 수단은 생성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
  6.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데이터 신호에 삽입하는 삽입 위치가 변경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분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는 채널 추정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복수의 변조 방식에 공통되는 삽입 위치에 삽입된 공통 파일럿 신호와, 상기 공통되는 삽입 위치 이외에 삽입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 수단은, 자국으로의 개별 파일럿 신호에 부가하여, 자국 이외의 타국으로의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는 무선 수신 장치.
  9.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럿 신호의 삽입 위치를 선택된 변조 방식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
    를 갖는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KR1020077010348A 2004-11-08 2005-11-07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KR20070084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3868 2004-11-08
JPJP-P-2004-00323868 2004-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033A true KR20070084033A (ko) 2007-08-24

Family

ID=3631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348A KR20070084033A (ko) 2004-11-08 2005-11-07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07158A1 (ko)
EP (1) EP1804391A1 (ko)
JP (1) JPWO2006049282A1 (ko)
KR (1) KR20070084033A (ko)
CN (1) CN100578953C (ko)
BR (1) BRPI0517688A (ko)
WO (1) WO20060492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66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881B2 (ja) * 2005-12-08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適応変調制御装置、送信機、受信機、及び、適応変調制御方法
US7801084B2 (en) * 2006-06-09 2010-09-21 Intel Corporation Doppler frequency determination for mobile wireless devices
US8243850B2 (en) 2006-10-24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77634B1 (en) * 2006-10-26 2016-02-24 Fujitsu Limite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pilo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and terminal apparatus
JP5159274B2 (ja) 2006-11-30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WO2008073246A2 (en) * 2006-12-07 2008-06-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ining signals and information bits
KR101360350B1 (ko) * 2007-08-21 2014-02-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한 링크 적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4869407B2 (ja) * 2008-01-07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Mimo通信システム
WO2010082319A1 (ja) 2009-01-14 2010-07-22 富士通株式会社 装置、チャネル品質推定方法および送信方法
JP5487294B2 (ja) 2009-03-18 2014-05-07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チャネル状態情報を有するレファレンス信号を送信するシステム
CN101841358B (zh) 2009-03-20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基站和移动台
CN101888636B (zh) * 2009-05-14 2013-10-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测量导频的配置和检测方法和装置
US8565336B2 (en) 2011-02-08 2013-10-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constitu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739382A (zh) * 2011-03-25 2012-10-17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解调导频的调整方法及系统
CN103354478A (zh) 2011-03-31 2013-10-16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链路自适应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JP5327292B2 (ja) * 2011-08-29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EP2733900A1 (en) * 2012-11-19 2014-05-2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Alignment of MIMO-OFDM transmissions between multiple antenna paths
US9735919B2 (en) * 2014-05-09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Updates to MU-MIMO rate adaptation algorithm
CA3065394C (en) * 2015-03-06 2022-05-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roadcast signal frame generat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frame generating method using bootstrap and preamble
CN105072061B (zh) * 2015-07-03 2019-04-19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设备
CN106559204B (zh) * 2015-09-29 2020-05-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导频的配置方法及装置
CN110177070B (zh) * 2019-05-28 2022-01-11 北京星网锐捷网络技术有限公司 信号解调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46C (zh) * 1998-05-13 2004-08-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接收由基站发送的信号的移动台的装置和方法
JP2000004212A (ja) * 1998-06-12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線推定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US7027464B1 (en) * 1999-07-30 2006-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FDM signal transmission scheme, and OFDM signal transmitter/receiver
JP4284773B2 (ja) * 1999-09-07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及び通信方法
JP3522619B2 (ja) * 2000-01-05 2004-04-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リアcdma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
JP2001339758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3872950B2 (ja) * 2000-10-05 2007-01-24 株式会社東芝 周波数分割多重伝送信号受信装置
JP5079189B2 (ja) * 2001-04-13 2012-11-21 Kddi株式会社 多ビームセルラ無線基地局、移動機及びスペクトラム拡散信号送信方法
JP2003060609A (ja) * 2001-08-10 200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3158499A (ja) * 2001-11-20 2003-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4256158B2 (ja) * 2002-12-26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904550B2 (en) * 2002-12-30 2005-06-07 Motorola, Inc. Velocity enhancement for OFDM systems
KR100606105B1 (ko) * 2003-07-04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 탐색장치 및 방법
KR100943624B1 (ko) * 2003-09-15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66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37448A (ko) * 2016-10-04 2018-04-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8953C (zh) 2010-01-06
BRPI0517688A (pt) 2008-10-14
CN101048951A (zh) 2007-10-03
JPWO2006049282A1 (ja) 2008-05-29
EP1804391A1 (en) 2007-07-04
WO2006049282A1 (ja) 2006-05-11
US20080107158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4033A (ko) 무선 송신 장치 및 파일럿 신호 삽입 방법
US10476645B2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018821B2 (en) OFDM fram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9670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239600B1 (ko) 이동국 장치, 기지국 장치 및 cqi 보고 방법
US9178597B2 (en) Method of updating transmission channel information based on eaves-dropping of beamformed signals
US820843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74352B2 (en) Wireless transmitter, wireless recei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33186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антенн
KR101109979B1 (ko)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방법
US20100190486A1 (en) Radio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device and cdd mode judging method
KR101403105B1 (ko) 귀환 데이터 전송 방법, 귀환 데이터 생성 방법 및 데이터스케줄링 방법
JP2004120730A (ja) 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装置と受信装置
US2011028650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quality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KR20150024109A (ko) 다중 안테나기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