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801A -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 Google Patents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801A
KR20070083801A KR1020077009399A KR20077009399A KR20070083801A KR 20070083801 A KR20070083801 A KR 20070083801A KR 1020077009399 A KR1020077009399 A KR 1020077009399A KR 20077009399 A KR20077009399 A KR 20077009399A KR 20070083801 A KR20070083801 A KR 2007008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rtically aligned
disposed
predetermined
draw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이. 링
Original Assignee
왑텍 홀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왑텍 홀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왑텍 홀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20Details; Accessories
    • B61G9/24Linkages between draw-bar and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pring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철도용 운송 차량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이다. 상기의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는 제 1 부재와, 피벗 핀에 의해 일측 단부에서 제 1 부재에 피벗가능하게 그리고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부재를 포함하여, 경량의 알루미늄 철도용 운송 차량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볼스터로부터 철도용 운송 차량의 몸체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잭나이프처럼 구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부재에 대한 제 2 부재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계적 요소로 도입된다. 제 1 부재는 표준형의 "F"핀으로 요크에 고정된다. 요크는 철도용 운송 차량의 중심보의 전방 러그 및 후방 러그 사이에서 추가로 고정된다. 한 쌍의 테이퍼형 중력 웨지는 길이 방향의 슬랙을 보상하고, 후방 러그와 중력 웨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리프 스프링와 함께 제자리에 유지된다.

Description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VERTICALLY ALIGNING SLACKLESS DRAWBA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어떤 선택된 철도 선로 타입의 운송 차량(railway type freight car)을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인데, 철도 차량 편성(train consist)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운송 차량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철도 산업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는 이러한 장치는 다소 비용이 비싸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정렬 수단(vertical aligning means)을 갖는 향상된 타입의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slackless drawbar assembly)에 관한 것이며, 더욱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중력 웨지를 유지하는 데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철도용 운송 차량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절형 결합 장치(articulated coupling arrangements)는 철도 선로용 화물 차량의 산업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절형 결합 장치는, 철도용 운송 차량이 레일을 따라 진행할 때 결합부분에서 수직 및 측면 이동시 양쪽 방향으로 길이 방향 이동을 수용해야 한다. 현 대에는 철도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이 증대되면서, 철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는 여러 구성요소들과 관절형 결합 장치 간의 밀접한 접촉 관계(close butted relationship)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형 결합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밀접한 접촉 관계는 커플러(coupler) 및 드로바(drawbar)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슬랙리스 관절형 커플링 장치(slackless articulated coupling arrangements)을 이끌어 내게 되었다. 슬랙리스(slackless)라는 용어는 특별하게 설계된 드로바 또는 커플러가 길이방향의 유동 또는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심보(center sill) 내에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드래프트 기어 조립체(draft gear assembly)와 대개 함께 사용되는 커플러의 주요한 이점은, 트랙을 따라 철도용 운송 차량이 진행할 때 결합 부분에서 수직 이동시 뿐만 아니라 측면 이동시, 양쪽 방향으로 길이 방향 이동을 수용하는 데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운행시 만나게 되는 트랙의 곡선부를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커플러의 주요한 단점은 철도용 운송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키는 길이 방향의 유동 또는 슬랙(slack, 처짐; 느스함)이 있다는 것이다. 드래프트 기어 조립체 및 커플러의 부가적 단점은 구성요소의 수가 현저하게 많이 필요로 한다는 점과 설계의 복잡성 때문에 단가가 높다는 것이다.
최근에,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는 커플러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드래프트 기어 조립체에 대한 요구를 거의 제거했다. 더욱이, 이러한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단가의 전체적 감소뿐만 아니라 철도용 운송 차량의 공차 상태 중량(empty weight) 감소라는 바람직한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중요하고 공통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공통된 단점은 슬랙리스 드로바 조립체가, 철도용 운송 차량이 레일 따라 진행할 때 결합 부분에서 수직 및 측면 방향의 이동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것이며, 따라서, 특히 곡선로 운행시 플랜지 상승 탈선(flange climb derailment)의 가능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더욱이, 슬랙리스 드로바는, 마모된 바퀴를 가진 차량과 새 바퀴를 가진 차량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철도용 운송 차량의 인접 배치된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이 주어지면, 그 때 슬랙리스 드로바는 수직 평면 내에 어떤 각도 상태로 배치되고, 이는 새 바퀴를 가진 철도용 운송 차량에 부가적인 수직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슬랙리스 드로바가 한 쌍의, 알루미늄으로된 경량 구조의 석탄 운반용 철도용 운송 차량 또는 공차 상태의 차량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연결할 때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 예에서, 수직 평면내에 각을 가진 상태로 배치된 슬랙리스 드로바는 볼스터로부터 운송 차량의 분리를 유발하거나 심지어, 레일로부터 전체 운송 차량이 들려올려지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한 쌍의 철도 차량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연결하는 부분의 측면 움직임을 감소시키고, 더욱 중요하게는, 상기 측면 움직임에 의한 바퀴(Wheel) 및 레일의 마모를 줄이고 플랜지 상승 탈선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 부하에 대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술된 논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및 측방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랙리스 드로바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랙리스 장치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포켓 캐스팅(pocket casting)(중심보에 고정되어 있음)의 후방 벽과, 드로바 부재 또는 커플러의 끝단에 맞대인 상태로 안착되는 종동 블럭(follower block) 사이에 테이퍼형(tapered;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 중력 타입의 웨지(wedge)를 사용하는 것이다. 중력 웨지(gravity wedge)는, 포켓 케스팅의 단부 벽으로부터 멀어지고 커플러 또는 드로바 부재의 몸체의 끝단에 견고하게 기대도록, 종동 블럭에 힘을 가하는 경향이 있다. 구성요소들의 마모가 계속해서 일어나 종동 블럭과 커플러 또는 드로바 부재 사이의 길이방향 간극(clearance)을 증가시킬 때, 간극 또는 슬랙은 중력 웨지의 하강에 의해 끊임없이 죄어진다.
미는 힘을 받는 철도용 운송 차량에서, 길이 방향의 힘(longitudinal force)은 슬랙리스 커플러 또는 드로바 부재가 종동체(follower), 슬랙리스 장치의 포켓 단부 벽 및 중력 웨지에 대해 압축되도록 한다.
당기는 힘을 차량이 받을 때, 길이 방향 힘은 중력 웨지가 철도용 운송 차량이 미는 힘을 받는 상태에 있을 때 잠금가능하며 중력 하에서 하강 가능한 조건을 형성하는 포켓 단부 벽으로부터 슬랙리스 드로바 또는 커플러를 분리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위에서 상술된 논의를 유념한 상태에서, 슬랙리스 레일 차량 커넥터 조립체(slackless railcar connector assembly)를 위한 종래 타입의 중력 웨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 기술의 중력 웨지는 미국 특허 제5,573,126호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중력 웨지의 양쪽 표면 또는 하나의 표면 상에 정밀한 공차로 가공된 구멍 내에 놓여지며, 중력 웨지의 양쪽 표면 또는 하나의 표면을 지나 약간 돌출되며, 작지만 그러나 조절된 갭(gap)이 중력 웨지의 표면(들)과 인접한 표면(들) 사이에 대칭적으로 존재하게 하는, 전통적인 압축 스프링 또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복원 수단을 구비한 테이퍼 형태의 중력 웨지가 개시되어 있다. 철도 차량을 미는 힘(부하)가 해제될 때, 커넥터 조립체에 작용되는 유일한 잠금력(locked-in force)은 복원 수단의 압축 비율에 의해 제어된다. 미는 부하 또는 압축 부하가 해제될 때, 중력 웨지는, 이어져 발생하는 인장 부하 때까지, 복원 수단이 제공되어 중력 웨지를 제자리에 유지시킴에 따라, 수직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중력 웨지의 단점 중 하나는, 정밀한 공차로 구멍을 가공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구조적 안정성과 당김 부하 조건에서 중력 웨지의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복원 수단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컨대, 온도, 습도, 먼지 및 습기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중력 에지의 유지 성능(retainment)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철도용 운송 차량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를 제공한다. 상기의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는 제 1 부재와, 피벗 핀으로 일측 단부에서 제 1부재에 피벗가능하게 그리고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은 제 2 부재가 제 1 부재에 대한 관계에서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가 실질적인 측면 평면 내에 유지하게 하고, 경량의 알루미늄 철도용 운송 차량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볼스터로부터 철도용 운송 차량의 몸체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부재는 표준형의 "F"핀으로 타측 단부에서 요크에 추가로 고정되며, 요크는 철도용 운송 차량의 중심보의 전방 러그 및 후방 러그 사이에서 고정된다. 한 쌍의 테이퍼형 중력 웨지는 후방 러그와 중력 웨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리프 스프링을 구비하여 제자리에 유지되고 길이 방향의 슬랙을 보상한다. 잭나이프처럼 구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부재에 대한 제 2 부재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계적 요소로 도입된다.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말단에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를 허용하고,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에 대한 차량 롤링을 허용하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이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경량의 철도용 운송 차량 응용분야에서 볼스터로부터 차량 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를 제공하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의 철도용 운송 차량에서 플랜지 상승 탈선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향상된 유지성의 중력 웨지를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많은 목적과 이점들이 아래에서 상세히 개시되지만,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들은 아래의 본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 및 부가된 청구범위와 연결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의 부분 평면도로서, 인접한 철도용 운송 차량의 중심보를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의 2차원 부분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3-3선을 따라 도시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의 제 2 부재의 도시한 2차원 단면도.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명확성과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들에서 설명된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아래에서는 여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전체가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됨; vertically aligning slackless drawbar)가 설명된다. 상기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는 한 쌍의 철도 선로 운송용 타입 차량(미도시)의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들을 실질적으로 반 영구적인(semi-permanent) 방식으로 서로 연결한다. 상기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는 요크(전체가 도면 부호 110으로 표시됨; yoke)에 결합된(coupling) 제 1 부재(전체가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됨)와, 피벗 핀(14)으로 제 1 부재(2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부재(전체가 도면 부호 50으로 표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핀(14)은 각 단부에서 한 쌍의 체결구(파스너;fastener)에 의해 유지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부분적으로 도시됨)의 제 1 단부는, 철도 차량(미도시)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표준적인 구조의 제 1 중심보(center sill; 전체가 도면 부호 100으로 도시됨)의 개방단(102) 내부로 연장된다.
제 1 단부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22)을 구비하는데, 상기 볼록한 표면(22)은, 전방 러그(104; front lug)와 후방 러그(106; rear lug) 사이의 보(100;sill) 내에 유지되기 위해, 제 2 단부(122) 및 제 1 단부(120)를 갖는 요크(110)의,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112)에 맞대인 상태로 끼워 맞춤된다.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22)은 거의 측면인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 각각에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된다. 테이퍼형 중력 웨지(130; tapered gravity wedge)는 길이방향의 슬랙을 제거하기 위해, 요크(100)의 후방 부분(114; rear portion)과 제 1 중심보(100)의 후방 러그(106) 사이에 배치된다. 후방 부분(114)은, 중력 웨지(130)의 제 2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과 협력하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profile)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력 웨지(130)의 제 2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 파일은 후방 부분(114)의 제 1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부재(20)는, 제 1 부재(20)의 "F"핀 개구(24)와 요크(110) 내에 배치된 제 1 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116; vertically aligned concentric aperture)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준형의 "F" 타입 핀(98)에 의해 요크(110) 내에 고정된다. 개구(24)는 제 1 부재(20)의 회전시 도움을 주기 위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제 1 단부의 중심을 향해 테이퍼진(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치된) 형태로 배치된 한 쌍의 벽면(26)을 포함한다.
미리 결정된 힘과 미리 결정된 템퍼(temper)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 스프링(16)이 후방 러그(106)과 중력 웨지(130) 사이에 배치되어, 중력 웨지(130)가 제자리를 유지하고 중력 웨지(130)가 견인 조건(draft condition)에서 하강하여 잠금되는 것을 방지하다. 종래 기술과 대비되는 상기 리프 스프링(16)의 장점은 여러 가지 환경 요인에 대한 높은 복원력에 있으며, 이로 인해 중력 웨지(130)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 1 부재(20)의 제 2 단부는 제 1 측면 부분(32), 제 2 측면 부분(34), 상부면 부분(36) 및 바닥면 부분(38)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cavity, 전체로서 도면 부호 30으로 표시됨)을 포함한다. 제 1 측면 부분(32) 및 제 2 측면 부분(34) 모두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제 1 부재(20)의 중심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 2 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40)가 피벗 핀(14)과 맞물림 되기 위해 바닥면 부분(38)과 상부면 부분(36) 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슬리브 베어링(44; sleeve bearing)은 피벗 핀(14)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2 의 한 쌍의 개 구(40) 각각 내에 배치된다.
대안적 실시예로서, 제 1 부재(20)와 제 2 부재(50)의 결합은 나사산을 가진 체결구 특히, 소율더 스크루(shoulder screw) 타입의 체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멍들(40) 중의 하나는 상기 쇼율더 스크류의 나사산 부분에 정합되는 나사산을 가진다. 소율더 스크류 타입의 체결구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이거나 특정한 용도에 적합하게 미리 결정된 치수로 가공된 특제 체결구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감소 개구(44)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량 감소 개구(44)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의 중간 부분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미리 결정된 형상을 가진다.
제 2 부재(50)의 제 1 단부는 구멍(30)의 제 1 측면 부분(32) 및 제 2 측면 부분(34)에 각각 정합 대응하는 제 3 경사 표면 부분(52; third tapered surface portion) 및 제 4 의 경사 표면 부분(54; fourth tapered surface portion)을 포함한다.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50)의 측면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고, 철도용 운송 차량이 잭나이프처럼 구부려지는 현상(jackknifing)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부재(20) 및 제 2 부재(50) 사이에는 미리 결정된 간극(18; clearnace)이 디자인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재(50)의 제 1 단부는, 피벗 핀(14)의 측면 방향 회전 및 수직 방향 미끄럼 움직임 동안 작용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직경의 피벗 핀 개구(56) 내에 배치된 슬리브 베어링(58)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2 부재(50)의 제 2 단부는, 인접한 철도용 운송 차량(미도시)의 제 2 중심보(전체가 도면부호 200으로 표시됨, center sill) 내에 배치된,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202)에 맞대어 끼워 마춤되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60)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60)은 거의 측면인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표면(72)을 갖는 한 쌍의 드로바 리테이너(70; drawbar retainer)는 중심보(200)의 전방 러그(204)에 접하고 있다. 상기 구형 표면(72)은, 도 3 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50)의 제 2 단부의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구형인 표면 부분(62)에 맞대어 끼워 맞춤된다.
제 2 부재(5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감소 개구(64; weight-reducing aperture)를 포함하는 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의 중간 부분을 통과하여 형성된 미리 결정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인접한 철도용 운송 차량들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수직방향 변위는, 본 발명에서는, 제 1 부재(20)에 대한 관계에서 수직방향으로 제 2 부재(50)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슬리브 부싱(58; sleeve busing) 내의 피벗 핀(14)의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에 보상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직 정력 슬랙리스 드로바는 수직 방향 변위를 방지하며 더욱 중요하게는 경량의 철도용 운송 차량에 적용된 볼스터(bolster)를 가진 차량 몸체의 분리(disengagement) 현상을 최소화하는 실질적으로 측면의 평면 내에 유지된다.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10)의 측면 움직임은 피벗 핀(14)에 대한 제 2 부재(50)의 피벗가능한 결합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경량의 운송 차량에서 플랜지 상승 탈선(flange climb derailment)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형 표면(62) 및 볼록한 표면(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제 2 부재(50)의 선회 동작은 잭나이프처럼 구부려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된 간극(18)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기술자는, 본 발명의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는, 길이, 수직 및 측면 이동 움직임을 수용함으로써 경량의 철도용 운송 차량에서 슬랙리스 커플러(slackless coupler)를 대신하여 낮은 단가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간결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부재의 길이방향 슬랙 조정은 실질적으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10)의 제 1 부재의 슬랙 조정과 실질적으로 미러 이미지(mirror image)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따라서, 슬랙 조절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어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한 것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풍부하고 명확하고 간결하고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변경, 변형, 동일 및 대체물의 사용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5)

  1. 한 쌍의 철도용 운송 차량의 인접하게 위치한 단부들을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로서,
    (a) 제 1 중심보의 후방 러그 및 전방 러그 사이에 유지되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요크로서,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 후방 부분 및 제 1 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를 가지는 요크;
    (b) 상기 요크 내에 배치된 상기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에 정합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의 제 1 단부를 갖는 제 1 부재로서, 상기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은 거의 측면인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 각각에서 볼록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단부는 수직으로 정렬된 "F"핀 구멍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측면 부분, 제 2 측면 부분, 상부면 부분 및 바닥면 부분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갖는 제 2 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구멍의 상기 상부면 부분과 상기 바닥면 부분 내에 배치된 제 2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된, 제 1 부재;
    (c) 제 1 단부를 갖는 제 2 부재로서, 상기 제 1 단부는 제 3 경사 표면 부분, 제 4 경사 표면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미리 결정된 직경의 수직 정렬 피벗 핀 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중심보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에 정합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의 제 2 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은 거의 측면인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 각각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부는 실질적으로 구형인 표면 부분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 제 2 부재;
    (d)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제 1 부재에 피벗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피벗 핀;
    (e)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를 상기 요크에 고정하는 표준 타입의 "F"핀;
    (f) 상기 제 2 중심보의 전방 러그에 맞대어 끼워 마춤되고,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제 2 단부 내에 배치된 상기 실질적으로 구형인 표면 부분에 정합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구형인 표면을 갖는, 한 쌍의 드로바 리테이너;
    (g) 길이 방향 슬랙을 보상하기 위한 한 쌍의 중력 웨지; 및
    (h) 상기 후방 러그와 상기 중력 웨지 사이에 배치된, 미리 결정된 힘 및 미리 결정된 템퍼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리프 스프링 한 쌍으로서, 중력 웨지들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상기 한 쌍의 중력 웨지가 견인 조건에서 하강하고 잠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 스프링 한 쌍;을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 내에 배치된 상기 수직 정렬 "F"핀 개구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상기 제 1 단부의 중심을 향해 테이퍼진 한 쌍의 벽면을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1 측면 부분 및 상기 제 2 측 면 부분은 미리 결정된 각도로 상기 제 1 부재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4.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슬리브 베어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슬리브 베어링은, 상기 피벗 핀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2 의 한 쌍의 개구 각각 내에 배치된 각 베어링을 구비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의 중간 부분을 통과하는 미리 결정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중량 감소 개구를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피벗 핀 개구 내에 배치된 슬리브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를 통과하는 미리 결정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중량 감소 개구를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후방 부분은 제 1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웨지는 상기 요크의 상기 후방 부분의 상기 제 1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과 동일한 제 2 의 미리 결정된 테이퍼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0.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간극이 상기 제 1 경사 표면 부분 및 상기 제 3 의 경사 표면 부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간극은 상기 제 2 경사 표면 부분과 상기 제 4 경사 표면 부분 사이에 더 형성되며, 상기 미리 결정된 간극은 상기의 인접 한 철도용 운송 차량이 잭나이프처럼 구부려지는 것과 상기 제 2 부재의 측면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은 상기 제 1 부재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 2 부재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은 상기 제 1 부재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 2 부재의 측면 방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타입의 "F"핀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수직 정렬 "F"핀 개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표준 타입 "F"핀은 상기 요크의 제 1 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 내에 더 배치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피벗 핀 개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벗 핀은 상기 제 1 부재의 제 2 의 한 쌍의 수직 정렬 동심 개구 내에 더 배치되는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가진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쇼울더 타입 스크류 및 특제 가공된 소율터 타입 스크류인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KR1020077009399A 2004-10-22 2005-10-19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KR20070083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71,656 2004-10-22
US10/971,656 US7213718B2 (en) 2004-10-22 2004-10-22 Vertically aligning slackless draw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801A true KR20070083801A (ko) 2007-08-24

Family

ID=3571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99A KR20070083801A (ko) 2004-10-22 2005-10-19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13718B2 (ko)
KR (1) KR20070083801A (ko)
CN (1) CN101065282A (ko)
AU (1) AU2005299794A1 (ko)
CA (1) CA2583728A1 (ko)
GB (1) GB2433482B (ko)
RU (1) RU2007118950A (ko)
WO (1) WO2006047234A2 (ko)
ZA (1) ZA200702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780B2 (en) * 2005-06-07 2009-05-19 Wabtec Holding Corp. Spherical ball/race in coupler butt
CN102092402B (zh) * 2010-12-15 2013-02-20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滨湖煤矿 平板车联接装置
CN102717813A (zh) * 2012-05-23 2012-10-10 西南交通大学 一种具有钩尾圆弧接触和弹性止挡的重载车钩装置
CN102705351A (zh) * 2012-06-19 2012-10-03 无锡市百顺机械厂 过桥轴
CN103486122B (zh) * 2013-09-30 2015-07-29 江苏海鹏特种车辆有限公司 一种定位夹紧浮动销孔机构
EP2886413A1 (en) * 2013-12-23 2015-06-24 Ego International B.V.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CN104554328B (zh) * 2015-01-10 2017-05-17 周铭宇 球铰轴承式列车防连锁倾翻装置
US9701323B2 (en) 2015-04-06 2017-07-11 Bedloe Industries Llc Railcar coupler
CN105437892B (zh) * 2015-12-22 2017-10-10 常州市瑞泰工程机械有限公司 公铁两用车牵引装置
CN109572743A (zh) * 2018-12-13 2019-04-05 贵州赛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齿轨车与矿用平板车的拉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377A (en) * 1984-03-23 1985-11-12 Cornie Folkerts Hitch pin securing device
US4966291A (en) * 1989-08-18 1990-10-30 Mcconway & Torley Corporation Slackless rotary drawbar assembly
US5131548A (en) * 1991-05-23 1992-07-21 National Castings, Inc. Slackless, resilient drawbar system for a railway car
CA2156657C (en) * 1994-11-02 1999-06-15 Richard G. Beauclerc Gravity wedge for a slackless railcar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6686A1 (en) 2006-04-27
AU2005299794A1 (en) 2006-05-04
WO2006047234A2 (en) 2006-05-04
WO2006047234A3 (en) 2007-05-18
ZA200702858B (en) 2008-09-25
CN101065282A (zh) 2007-10-31
CA2583728A1 (en) 2006-05-04
US7213718B2 (en) 2007-05-08
GB0707240D0 (en) 2007-05-23
GB2433482B (en) 2007-12-05
GB2433482A (en) 2007-06-27
RU2007118950A (ru)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801A (ko) 수직 정렬 슬랙리스 드로바
CA2103228C (en) Slackless coupler connection for controlled buff/draft
US4456133A (en) Slackless railway coupler connection
US4580686A (en) Slackless self-adjusting rotary drawbar for railroad cars
US5305899A (en) Coupler follower with elastomeric wear pad for preventing metal to metal contact between the follower and the center sill side walls
JPH0358941B2 (ko)
US5172819A (en) Bearing assembly for an articulated coupling apparatus which connects adjacent ends of a pair of railway cars together
CA2121872C (en) Slackless buff gear connection system
US5598937A (en) Slackless drawbar assembly
US4966291A (en) Slackless rotary drawbar assembly
US5131548A (en) Slackless, resilient drawbar system for a railway car
CA2042076C (en) Locking assembly to secure a bearing assembly in an articulated coupl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djacent ends of a pair of railway cars
US5105955A (en) Spherical connector apparatus in an articulated slackless-type coupler arrangement used in a railway application
US5427257A (en) Drawbar assembly yoke casting
US5131331A (en) Articulated coupl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djacent ends of a pair of railway cars
US5415304A (en) Yoke casting for a drawbar assembly
US5271335A (en) Articulation assembly for rail cars
US5054630A (en) Slackless coupler connection for a railway vehicle
US6155442A (en) Drawbar for lightweight drawbar assembly
US7802689B2 (en) Articulated coupling apparatus
US6065622A (en) Spool for lightweight drawbar assembly
US6102222A (en) Lightweight drawbar assembly
US5394998A (en) Front draft stop for use in a drawbar assembly
USRE33985E (en) Slackless rotary drawbar assembly
US6131752A (en) Bearing block for lightweight drawb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