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345A -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345A
KR20070083345A KR1020060016566A KR20060016566A KR20070083345A KR 20070083345 A KR20070083345 A KR 20070083345A KR 1020060016566 A KR1020060016566 A KR 1020060016566A KR 20060016566 A KR20060016566 A KR 20060016566A KR 20070083345 A KR20070083345 A KR 2007008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portabl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message
collabo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204B1 (ko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2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14Smokers'' requisites, e.g. pipe cleaners
    • B29L2031/7416Smokers'' requisites, e.g. pipe cleaners for cigars or cigarett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1차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정보 카드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인증 정보 카드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공동 작업 시스템과 접속하여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통합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 서비스의 이용 절차를 줄일 수 있다.
그룹웨어, 보안 인증, 보안 접속, 단일 사용 승인(SSO : Single Sign On)

Description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METHOD FOR GROUP WARE SERVICE AUTHENTICA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웨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그룹웨어 기능을 제공하는 공동 작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정보 확인을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모바일 그룹웨어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룹웨어란 공통의 과업 혹은 목표를 공유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협동하는 사람들의 그룹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외부인이 사용하지 못하는 사원ID로 접속이 가능한 회사프로그램) 제품을 말하며, 달력을 공유한다거나, 공동 집필, 전자우편 처리, 공유 데이터베이스 접근, 서로를 볼 수 있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전자 화상회의 등 사람들에게 의견과 자원을 공유하여 개개인의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종래의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산되어 있던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고 업무 과정도 표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기업 내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랜(LAN) 또는 전화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개인 컴퓨터를 통해서 서류 작성, 결재는 물론, 문서 보관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기업 그룹 내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기업 메일, 게시판, 일정관리, 주소록, 전자결재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그룹웨어의 사용은 일관된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고 그룹웨어의 사용으로 인한 페이퍼 서류의 감소와 기존 작성된 서류의 데이터베이스화로 동일 반복 서류 작성시 업무효율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공동 작업이 가능한 서비스의 이용시마다 사용 인증을 확인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의 이용시마다 인증 정보를 입력함으로 개인 정보의 노출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각각의 서비스 이용시 수행하던 인증 절차 대신에 한 번의 인증 절차로 접속을 해제하기 전까지 다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 도록 하는 방법과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룹웨어 서비스의 이용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증 정보 카드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통합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그룹웨어 서비스 이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1차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정보 카드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1차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1차 인증 확인받고,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2차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확인받아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동 작업 서비스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 정보 카드에 포함된 1차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송신한 후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1차 인증 허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2차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2차 인증 허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웨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상기 그룹웨어 기능을 제공하는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 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4세대 광대역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02), 메모리부(104), 입력부(106), 표시부(108), 통신부(110), 인증 정보 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시 인증 정보 카드(112)에 저장된 1차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부터 1차 인증 확인받고,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2차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확인받아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2)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롬, 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다.
인증 정보 카드(112)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하기 위한 1차 인증 정보(예 : 인증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유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사원 코드번호 등)를 저장한다. 상기 인증 정보 카드(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한 외장 메모리를 포함한다.
입력부(106)는 숫자키 버튼들과, 네비게이션 키 및 문자 입력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2차 인증 정보를 상기 제어부(102)로 제공한다.
표시부(1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공동 작업 서비스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과 통신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과 연결 후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따른 서비스 화면을 수신받는다.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은 통신부(122), 서버 제어부(124),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126)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12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126)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인증을 확인하는 1차 인증 정보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사용가능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2차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1차 인증을 통하여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100)인지 확인하고, 2차 인증을 통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한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2)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공동 작업 시스템 접속 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 접속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2)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예 : 대기 모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 접속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정보 카드(112)에 1차 인증 정보(예 : 개인인증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유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사원 코드번호 등)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100)인지 확인하기 위한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부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거나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실패 메시지를 표시부(108)에 출력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2차 인증 정보(예 :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2차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차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2차 인증 정보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 가능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정보이며, 상기 1차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카드(112)를 이용한 타인의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2차 인증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각각의 서비스 이용시 수행하던 인증 절차 대신에 한 번의 인증 절차로 접속을 해제하기 전까지 다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통합된 단일 사용 승인(SSO : Single Sign On) 정보를 이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102)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부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거나, 인증 실패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실패를 알 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08)에 출력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2)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 확인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 제어부(124)는 3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접속 허가를 요청하는 1차 인증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301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 정보(예 : 사원코드,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3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126)를 검색하여 상기 1차 인증 정보가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에 허가된 인증 정보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126)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인증을 확인하는 1차 인증 정보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사용가능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2차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1차 인증 정보가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이 허가되지 않 은 인증 정보이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의 접속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1차 인증 정보가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이 허가된 인증 정보이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1차 인증 허가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재확인한다.
한편,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2차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3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126)를 검색하여 상기 2 차 인증 정보가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에 허가된 인증 정보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의 접속에 허가되지 않은 정보이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의 접속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인증 정보가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이 허가된 인증 정보이면,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인증 허가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버 제어부(124)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3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으로 접속 요청한 인증 정보가 허가된 인증 정보인지 확인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접속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의 사용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 내에 허가된 서비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룹웨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보안성을 높인 접속 장치 및 방법으로 공동 작업 시스템(120)과 접속하여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12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각각의 서비스 이용시 수행하던 인증 절차 대신에 한 번의 인증 절차로 접속을 해제하기 전까지 다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12)

  1. 그룹웨어 서비스 이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이 허가된 휴대용 단말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1차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정보 카드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인증 정보 카드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 카드에 저장된 상기 1차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2차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확인의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공동 작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이 허가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을 확인하는 1차 인증 정보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사용가능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2차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1차 인증 요청 메시지 또는 2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에 허가 된 인증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허가된 인증 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인증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2차 인증을 완료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다른 서비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1차 인증 정보 또는 2차 인증 정보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에 허가되지 않은 인증 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그룹웨어 서비스 이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공동 작업 서비스 모드가 선택되면, 인증 정보 카드에 포함된 1차 인증 정보 를 이용하여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송신한 후 상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1차 인증 허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2차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상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2차 인증 허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 또는 상기 2차 인증 허가 메시지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거나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1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에 허가된 1차 인증 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허가된 인증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1차 인증 허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1차 인증 허가 메시지의 송신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2차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2차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에 허가된 인증 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허가된 인증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2차 인증 허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1차 인증 정보 또는 2차 인증 정보가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의 접속에 허가되지 않은 인증 정보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접속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은 2차 인증을 완료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다른 서비스의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인증 절차를 생략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16566A 2006-02-21 2006-02-21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KR10120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66A KR101209204B1 (ko) 2006-02-21 2006-02-21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66A KR101209204B1 (ko) 2006-02-21 2006-02-21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345A true KR20070083345A (ko) 2007-08-24
KR101209204B1 KR101209204B1 (ko) 2012-12-06

Family

ID=3861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66A KR101209204B1 (ko) 2006-02-21 2006-02-21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94A1 (ko) * 2011-10-28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사용 승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134B1 (fr) 1998-10-22 2001-01-26 Sfr Sa Procede d'acces a un serveur de services a partir d'une station mobile, module d'identification d'abonne et terminal correspondants
JP2001034520A (ja) 1999-07-27 2001-02-09 Nec Corp データベースの格納情報共有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94A1 (ko) * 2011-10-28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사용 승인 방법 및 장치
US9560526B2 (en) 2011-10-28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sign-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204B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725B2 (en) Printing device capable of authorizing printing limitedly according to user level, prin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thereof
US8255464B2 (en) Conta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203738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authentication control program
EP150738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an external apparatus
JP2002111888A (ja) 携帯端末遠隔制御方法
WO2008029723A1 (fr) Système de gestion d'utilisation de données
US20070136820A1 (en) Server apparatus, clien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JP202214400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8033391A (ja) デジタル複合機
JP2009116726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5623B2 (ja) 情報管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13797A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システムおよび文書印刷方法
JP72007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209204B1 (ko) 그룹웨어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방법
JP202016654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322383A (ja) ネットワーク情報アクセス装置及び同装置のための情報記憶装置
JP2008217712A (ja) メールサーバアクセス方法及び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8134935A (ja) 決済システム、認証決済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07172176A (ja) 認証装置
US11971973B2 (en) Uilization control system, use permit issuance device, uiliz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JP4718131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9290525A (ja) 出席確認システム
WO2016122090A1 (ko) 일회용 접속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JP2017084394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12375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