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428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428A
KR20070082428A KR1020060015266A KR20060015266A KR20070082428A KR 20070082428 A KR20070082428 A KR 20070082428A KR 1020060015266 A KR1020060015266 A KR 1020060015266A KR 20060015266 A KR20060015266 A KR 20060015266A KR 20070082428 A KR20070082428 A KR 2007008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ni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612B1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6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8Rotating tools; Mounting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에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고, 터치 스크린의 후방에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설치되므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 패널, 개구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 엘시디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과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E부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F부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배면도,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4: 실내기 6: 실외기
7,8: 냉매배관 10: 본체
12,14: 공기 흡입구 16,18: 보조 공기 토출구
20: 베이스 49: 캐비닛
50: 좌측 캐비닛 70: 우측 캐비닛
79: 베리어 79a: 후크
90: 후방 캐비닛 110: 전면 패널
112: 전면 하부 패널 120: 전면 상부 패널
122: 걸이홀부 123: 윈도우 홀
124: 가이드 126: 체결공
127: 체결부 130: 디스플레이
140: 마운터 141: 개구부
144: 체결공 145: 체결 보스
150: 터치 스크린 160: 디스플레이 커버
161: 조립체제어부 164,165: 방열공
166: 외부 기기 연결부 167: 스피커
170: 디스플레이 조립체 172: 엘시디
174: 엘이디제어부 175: 엘씨디연결선
176: 디스플레이 케이스 178: 좌표인식부
178a: 신호연결선 178b: 좌표연결선
180: 송풍기 181: 모터 마운터
182: 모터 186: 송풍팬
189: 오리피스 200: 열교환기
201: 제 1 열교환부 202: 제 2 열교환부
203: 제 1 커버 204: 제 2 커버
250: 토출구 유닛 252: 좌측 공기 토출구
254: 중앙 공기 토출구 256: 우측 공기 토출구
260: 하부 프레임 262: 외곽 프레임부
264: 종동 기어 설치부 268: 다리부
270: 상부 프레임 280: 그릴
300: 승강기구 302,306: 종동 기어
303,307: 기어부 312,314: 제 1 기어
316,318: 제 2 기어 322,324: 구동 기어
330: 회전 기구 332: 중앙 기어
333: 축결합부 334: 모터
334a: 회전축 340: 기어 홀더
341,342: 제 1 기어 관통홀 343: 축결합부 관통홀
344: 상향 걸림부 345: 수평 걸림부
350: 가이드 352: 설치부
355,356: 지지홈부 360: 안내부
370: 격자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조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 유닛이 승강되게 배치되고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 치한 것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2)와, 상기 베이스(502)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504)과, 상기 캐비닛(504)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과 양측에 전면 중앙 토출구(506)와 전면 좌,우 토출구(508)가 각각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510)과, 상기 베이스(502)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의 중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504)의 전면 하부와의 사이에 전면 좌,우 흡입구(512)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514)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512)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502)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 흡입 그릴(516)과,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5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506) 및 전면 좌,우 토출구(508)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기(518)와, 상기 송풍기(51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열/냉각되도록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과 상기 캐비닛(504)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에는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506)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전면 중앙 토출구(50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복수개의 그릴(57)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508) 내측을 보호함과 아울러 전면 좌,우 토출구(508)를 개폐하는 베인(509)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에는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506)를 개폐하기 위해 상하 구동 패널(511a)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 구동 패널(511a)를 승강시키는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승강기구(511b)가 장착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511a)의 상승시 상기 상하 구동 패널(511a)과 전면 상부 패널(510)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후 구동 패널(511c)이 진퇴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후 구동 패널(511c)를 진퇴시키는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진퇴기구(511d)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518)는 상기 좌,우 흡입구(512)와 근접하도록 상기 캐비닛(504)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520)는 상단이 상기 캐비닛(504)의 상부를 향하고, 하단이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의 하부를 향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520)는 냉매가 통과하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이루어진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도록 상기 냉매관이 접촉되게 관통하고 소정의 높이 및 전후 폭을 갖는 복수개의 핀과, 상기 복수개의 핀의 좌측단에 배치되는 좌측 채널과, 상기 복수개의 핀의 우측단에 배치되는 우측 채널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520)의 하단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20)의 표면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드레인 팬(522)이 장착되며, 상기 드레인 팬(52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연장되는 드레인 호스(524)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530)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530)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31)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533)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530)에는 디스플레이(511)가 배치되는 윈도우 홀(532)과, 복수개의 버튼(533)이 전후 누름되게 배치되는 버튼 홀(5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11)는 상기 윈도우 홀(532)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535)와,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53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엘이디(536)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536)가 실장되는 기판(5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530)의 후방에는 상기 버튼(533)의 누름시 스위칭되는 텟 스위치(538)가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530)의 후방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미도시)이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11)와 텟 스위치(538)는 상기 전면 상부 패널(510)의 하부나 컨트롤 패널(530)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기판과 전선 및 커넥터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518)의 구동시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5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520)에 의해 냉각/가열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556) 및 전면 좌,우 토출구(558)를 통해 실내기 의 상부 전방을 향해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상부 패널(510)의 하부에 윈도우 홀(532)과 버튼 홀(534)이 각각 형성된 컨트롤 패널(530)이 설치되고, 컨트롤 패널(530)의 배면 혹은 전면 상부 패널(510)의 하부 전면에 디스플레이(537)와 텟 스위치(538)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 그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디스플레이(537)를 통해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37)가 점차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는 추세인데, 대형의 디스플레이(537)를 컨트롤 패널(530)에 설치할 경우 컨트롤 패널(530)에 디스플레이(537)를 조립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컨트롤 패널(530)이 디스플레이(537)의 무게를 지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면서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나 전면 패널을 고급화할 수 있는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설치된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체결되는 마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터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이 걸어 설치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마운터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방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된 엘씨디(LC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조립체는 상기 엘시디를 제어하는 엘시디제어부를 더 포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엘씨디의 테두리와 후방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제어하는 조립체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체제어부와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조립체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도록 장착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설치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4)는 실외기(6)와 냉매배관(7)(8)으로 연결되고 복수대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실내(I)를 보다 신속하게 입체 냉/난방 시킨다.
상기 복수대의 실내기(2)(4)는 냉매배관(7)(8)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2대가 냉매배관(7)(8)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상승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하강되는 토출구 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상하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승강을 위해 상면 및 내부가 상하로 개방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과 배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구(12)(14)가 형성되는 바, 실내 공기의 신속한 흡입을 위해 적어도 두면 이상에 공기 흡입구(12)(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좌측면 하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우측면 하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14)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2)와 우측 공기 흡입구(14)가 형성되는 이외에,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별도의 공기 토출구(16)(18)가 상기 토출구 유닛(250)과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좌측면의 상부에 좌측 보조 공기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우측면의 상부에 우측 보조 공기 토출구(18)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전면과 배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토출구(252)(254)(256)가 형성되고, 공조된 공기를 신속하고 입체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삼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252)(254)(2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에 공기 토출구(252)(254)(256)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D-D선 단면도이다.
상기 본체(1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 및 상면에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캐비닛(49)과, 상기 캐비닛(49)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 패널(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좌측 캐비닛(50)과 우측 캐비닛(70)과 후방 캐비닛(90)과 전면 패널(110)이 올려져 설치되는 베이스 인스톨부(22)와, 상기 베이스 인 스톨부(2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열교환기(200)가 올려짐과 아울러 열교환기(20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팬부(4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에서 상향 돌출된 좌측 판부(41)와, 상기 좌측 판부(41)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에서 상향 돌출된 우측 판부(41)와, 상기 좌측 판부(41)와 우측 판부(42)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배수홀(43)이 형성된 상측 박스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박스부(44)에는 상기 배수홀(43)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 호스(45)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20)는 플라스틱 사출되어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드레인 팬부(40)를 베이스 인스톨부(22)와 일체로 돌출 성형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팬부(40) 특히, 상기 상측 박스부(43)의 하부에 개구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개구부(46)의 하단을 막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베이스 커버(4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의 저면이 실내의 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과 접촉되는 별도의 베이스 패널(48a) 위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가 올려져 체결되는 베이스 패널(48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본체(10)를 실내의 벽 등과 이격시키는 이 격부재(48b)가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49)은 상기 베이스(2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좌측 캐비닛(50)과, 상기 베이스(2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 우측 캐비닛(70)과, 상기 베이스(2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5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51)와, 상기 좌측면부(51)의 선단에서 절곡된 좌측 전면부(52)와, 상기 좌측면부(51)의 후단에서 절곡된 좌측 배면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50)은 상기 좌측면부(51)의 하부에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2)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좌측 보조 공기 토출구(16)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50)에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2)에 좌측 흡입 그릴(54)이 배치된다.
상기 좌측 흡입 그릴(54)에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5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좌측 프리 필터(55)가 착탈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50)에는 상기 좌측 프리 필터(55)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좌측 고성능 필터(56)가 구비되는 바, 상기 좌측 캐비닛(50)에는 상기 좌측 고성능 필터(56)가 착탈되는 좌측 필터 가이드(57)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50)은 상기 좌측 보조 공기 토출구(16)에 좌측 토출 그릴(58)이 배치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70)은 상기 좌측 캐비닛(50)과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우측 캐비닛(7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71)와, 상기 우측면부(71)의 선단에서 절곡된 우측 전면부(72)와, 상기 우측면부(71)의 후단에서 절곡된 우측 배면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70)은 상기 우측면부(71)의 하부에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14)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우측 보조 공기 토출구(18)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70)에는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14)에 우측 흡입 그릴(74)이 배치된다.
상기 우측 흡입 그릴(74)에는 상기 우측 흡입 그릴(7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우측 프리 필터(75)가 착탈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70)에는 우측 프리 필터(75)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우측 고성능 필터(76)가 구비되는 바, 상기 우측 캐비닛(70)에는 상기 우측 고성능 필터(76)가 착탈되는 우측 필터 가이드(77)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70)은 상기 우측 보조 공기 토출구(18)에 우측 토출 그릴(78)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상기 좌측 캐비닛(50)의 좌측 전면부(52) 상부와 상기 우측 캐비닛(70)의 우측 전면부(72)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를 전후 구획하는 베리어(7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9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부(91)와, 상기 배면부(91)의 좌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좌측 캐비닛(50)의 좌측 배면부(53)와 결합되는 좌측 결합부(92)와, 상기 배면부(91)의 우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우측 캐비닛(70)의 우측 배면부(73)와 결합되는 우측 결합부(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90)은 일측에 상기 배수 호스(45)와 후술하는 열교환기의 냉매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관통홀(94a)이 형성된 배관 커버(94)가 장착되는 바, 상기 배면부(91)의 하부에 상기 배관 커버(94)가 장착되는 배관 커버 장착부(9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49)은 상기 좌측 캐비닛(50)의 좌측 배면부(53)에 돌출된 후크가 상기 후방 캐비닛(90)의 좌측 결합부(92)에 형성된 걸이홀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우측 캐비닛(70)의 우측 배면부(73)에 돌출된 후크가 상기 후방 캐비닛(90)의 우측 결합부(93)에 형성된 걸이홀에 삽입되어 걸린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베이스(20) 특히, 베이스 인스톨부(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면 하부 패널(112)과, 상기 좌측 캐비닛(50)과 우측 캐비닛(7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상부 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하부 패널(112)은 배면 하부에 상기 베이스(20)의 베이스 인스톨부(22)에 걸림되는 배면 하부 패널(114)이 설치되고, 배면 상부에 열교환기(200)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231)에 부착/분리되는 브래킷(115)이 장착되는 배면 상부 패 널(1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하부 패널(112)은 고급화함과 아울러 강도를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면 하부 패널(114)과 배면 상부 패널(116)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하부 패널(114)에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22)의 전방부 상면에 형성된 걸이홈(37)에 하향 삽입되어 전/후/좌/우 걸림되는 걸이 리브(115)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 하부 패널(112)의 하단에는 하단 데코 부재(117)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 하부 패널(112)의 상단에는 중앙 데코 부재(118)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상단에는 상단 데코 부재(121)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베리어(79)의 전방에서 상기 베리어(79)에 걸어 설치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12)(14)로 흡입시켜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기(180)와, 상기 공기 흡입구(12)(14)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20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180)는 상기 열교환기(200)의 상측에 설치된 모터 마운터(181) 와, 상기 모터 마운터(181)에 설치된 모터(182)와, 상기 모터(182)의 회전축(183)에 축설된 송풍팬(185)과, 상기 모터 마운터(181)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185)을 둘러싸는 오리피스(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185)은 원통형의 허브(186)와, 상기 허브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187)와, 상기 허브(186)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182)의 회전축(183)이 결합되는 원판부(1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리피스(190)는 상기 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중앙부의 유로가 상부 및 하부의 유로 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제 1 열교환부(20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201)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 열교환부(202)와, 상기 제 1 열교환부(201)와 제 2 열교환부(20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일측을 막도록 결합된 제 1 커버(203)와, 상기 제 1 열교환부(201)와 제 2 열교환부(20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타측를 막도록 결합된 제 2 커버(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상기 제 1 커버(203)의 상단 좌측과 상기 제 2 커버(204)의 상단 좌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200)의 상단 좌측과 상기 좌측 캐비닛(50)의 좌측면부(51) 사이를 막는 좌측 기밀 부재(205)와, 상기 제 1 커버(203)의 상단 우측과 상기 제 2 커버(204)의 상단 우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200)의 상단 우측과 상기 우측 캐비닛(70)의 우측면부(71)와의 사이 를 막는 우측 기밀부재(20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 특히, 상기 송풍기(180)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을 상하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기구(300)와,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승강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180)에서 송풍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350)가 설치된다.
도 4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19a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컨트롤 박스이고, 도 4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19b는 상기 컨트롤 박스(119a)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는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기판이며, 도 4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119c는 상기 컨트롤 박스(119a)의 전면을 막는 박스 커버(119c)이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과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E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60)과,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52)과의 사이에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와 중앙 공기 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270)과,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와 중앙 공기 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60)은 외곽 프레임부(262)와, 후술하는 종동 기어(302)(306)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종동 기어 설치부(264)와, 상기 외곽 프레임(262) 과 종동 기어 설치부(264)를 연결하는 다리부(2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부(262)는 전체적으로 중앙이 상하로 개구된 사각 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 기어(302)(306)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기어 설치홀(265)(266)이 상하 형성된다.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는 상기 종동 기어(302)(306)가 체결부재(304)(308)로 체결되는 체결공(264a)(264b)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268)는 상기 외곽 프레임부(262) 내측면과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의 사이에 복수개가 전후/좌우/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60)은 상기 하부 프레임(260)과 상부 프레임(270)의 사이 중에서 배면부를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270)과 결합되는 차폐부(26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폐부(269)는 상기 그릴(280)을 거는 걸이홈이 형성된 좌,우 리브(269a)(269b)가 배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70)은 상기 그릴(280)을 거는 걸이홈이 형성된 좌,우 걸이 리브(271)(27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70)은 후술하는 구동 기어(322)(324)의 상단과의 간섭이나 충돌을 피하기 위한 회피홈부(273)(274)가 움푹 패이게 형성되거나 회피홀부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7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276)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280)은 복수개가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와 중앙 공기 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 모두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250)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승강을 돕는 롤러(282)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282)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 특히,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외곽 프레임부(262)의 네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롤러(282)는 복수개가 전후 혹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토출구 유닛(250)에는 상기 롤러(282)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부(284)가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주변에 탄성용 슬릿(286)(288)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용 슬릿(286)(288)은 상기 롤러 설치부(284)의 좌,우측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F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승강 기구(300)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 특히, 하부 프레임(260)의 종동 기어 설치부(264)에 설치된 복수개의 종동 기어(302)(306)와; 상기 종동 기어(302)(306)의 각각에 치합된 제 1 기어(312)(314)와, 상기 제 1 기어(312)(31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기어(316)(318)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와; 상기 복수개의 제 2 기어(316)(318)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동 기어(302)(306)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 기어(302)(306)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부와, 상기 통부의 내둘레 중 일부에만 상기 제 1 기어(312)(314)와 치합되게 돌출 형성된 기어부(303)(307)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303)(307)는 상기 종동 기어(302)(306)의 내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303)(307)는 상기 제 1 기어(312)(314)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종동 기어(302)(306)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에 체결부재(304)(308)로 체결되도록 체결공(305a)(309a)이 형성된 체결편(305)(309)이 외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312)(314)는 워엄 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기어(316)(318)는 평 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기어(316)(318)는 상기 제 1 기어(312)(314)의 하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 기구(330)는 상기 제 2 기어(316)(318)의 각각에 치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 2 기어(316)(318)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된 중앙 기어(332)와, 상기 중앙 기어(332)를 회전시키는 모터(334)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기어(332)는 상기 제 2 기어(316)(318)와 같이 평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기어(332)는 상기 모터(334)의 회전축(334a)을 에워싸면서 결합되는 축결합부(333)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기구(330)는 상기 모터(334)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3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35)로 체결되는 모터 마운터(3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 기구(300)는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와 중앙 기어(332)중 적어도 하나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막는 기어 홀더(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 홀더(340)는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와 중앙 기어(332) 중 어느 하나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막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막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와 중앙 기어(332) 모두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막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하나의 기어 홀더(340)가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와 중앙 기어(332) 모두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막도록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어 홀더(340)는 상기 제 1 기어(312)(314)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제 1 기어 관통홀(341)(342)이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 관통홀(341)(342)은 상기 제 2 기어(316)(318)가 상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제 2 기어(316)(318)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더(340)는 상기 중앙 기어(332)의 축결합부(333)가 관통되는 축결합부 관통홀(343)이 형성된다.
상기 축결합부 관통홀(343)은 상기 중앙 기어(332)가 상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중앙 기어(332)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더(340)는 상기 제 1 기어 관통홀(341)(342)과 축결합부 관통홀(343)의 각각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 2 기어(316)(318)와 중앙 기어(332)가 상향 걸림되는 판체부인 상향 걸림부(344)와, 상기 상향 걸림부(344)의 외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기어(316)(318)와 중앙 기어(332)가 수평 방향으로 걸림되는 플랜지부인 수평 걸림부(3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 홀더(340)는 상기 가이드(300) 특히, 후술하는 설치부(352)에 체결부재(346)로 체결되도록 체결공(347)이 형성된 체결편(348)이 외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50)는 상기 회전 기구(330) 특히, 모터(334)가 설치되는 설치부(352)와, 상기 설치부(352)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가 상하 방향으로 내삽되는 안내부(360)와, 상기 설치부(352)의 주변에 형성된 격자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350) 특히, 설치부(352)에는 상기 모터(334)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35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334)를 둘러싸는 모터 보호 리브(35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50) 특히, 설치부(352)에는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가 올려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의 회전축(323)(32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홈부(355)(35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50) 특히, 설치부(352)에는 상기 기어 홀더(340)의 체결공(347)과 대응되는 체결공(357)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352)는 전체적으로 판체 특히,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60)는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와 다리부(26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의 기능을 함과 아울러 상기 격자부(370)를 통과한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의 기능을 하고, 공기와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의 상호 간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 및 중앙 기어(332)를 보호하는 기어 박스의 기능을 하는 것로서,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 및 중앙 기어(332)의 주변을 에워싸기 위해 전체적으로 박스 특히,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60)는 후술하는 외곽 가이드(380)와의 사이로 공기가 상하 통과하도록 상기 외곽 가이드(380)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60)는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가 직접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승강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268)가 접촉되면서 승강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종동 기어 설치부(264)가 약간의 틈을 갖고 여유있게 내삽되도록 상기 종동 기어 설치부(264)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268)가 상하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용 슬릿(36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내용 슬릿(362)은 복수개가 상기 다리부(268)와 대응되게 상기 안내 부(360)를 따라 이격 형성된다.
상기 격자부(370)의 상면에는 필터(372)가 배치된다.
상기 격자부(370)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372)가 걸림되는 필터 걸림 리브(37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60)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 외곽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외곽 가이드(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곽 가이드(380)는 상기 좌측 보조 공기 토출구(16)를 향하는 면에 공조 공기의 통과를 위한 좌측 개구부(38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보조 공기 토출구(18)를 향하는 면에 공조 공기의 통과를 위한 우측 개구부(382)가 좌우 형성된다.
상기 외곽 가이드(380)에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승강을 감지하도록 발광부(383)와 수광부(384)가 기판(385) 위에 이격되게 실장된 포토 센서(388)가 설치된다.
상기 포토 센서(388)는 상기 기판(385)이 상기 외곽 가이드(380)의 외측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86)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385)에 체결공(387)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 가이드(380)는 상기 포토 센서(388) 특히, 상기 기판(385)의 체결공(387)과 대응되는 체결공(389)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 가이드(380)에는 상기 발광부(383)와 수광부(384)가 상기 외곽 가이드(380)를 관통하여 외관 가이드(38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39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300)는 상기 회전 기구(330)의 모터(334)를 덮도록 상기 설치부(352)의 저면에 설치되는 설치부 커버(3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부 커버(392)는 체결공(39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350) 특히, 설치부(352)의 하측에서 상기 설치부(35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94)로 체결된다.
상기 설치부 커버(392)는 일종의 모터 커버로서, 상기 송풍기(180)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격자부(370)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부가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배면도이다.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최대 상승시 상기 발광부(382)와 수광부(384) 사이를 막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된 상승 감지용 돌기(296)와,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최대 하강시 상기 발광부(382)와 수광부(384) 사이를 막도록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일면 상부에 돌출 형성된 하강 감지용 돌기(2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베리어(79)의 전방에서 상기 베리어(79)에 걸어 설치되는 바, 상기 전면 상부 패널(102)과 베리어(79) 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이수단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과 베리어(79) 중 일측에는 후크(79a)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79a)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부(12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베리어(79)의 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후크(79a)가 돌출되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에 상기 후크(79a)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부(122)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베리어(79)의 전방에서 상기 베리어(79)에 걸어 설치되는 바,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과 베리어(79) 중 일측에는 후크(79a)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79a)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부(12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베리어(79)의 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후크(79a)가 돌출되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에 상기 후크(79a)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부(122)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디스플레이(130)의 일부가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개구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30)가 설치되는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운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마운터(140)가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배면측에 상하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가이드(124)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은 상기 마운터(140)와 체결부재(125)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26)을 갖는 체결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터(1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30)의 일부가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123)와 대응되는 개구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터(140)는 상기 체결부재(125)가 상기 체결부(127)의 체결공(126)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27)의 체결공(126)과 대응되는 체결공(142)을 갖는 체결보스(1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아바타 등과 같은 그래픽 기능을 지원하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형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TFT-LC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개구부(123)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150)과, 상기 전면 패널측 특히, 상기 마운터(14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60)와; 상기 터치 스크린(150)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50)은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직접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외선 검출선을 격자 모양으로 배열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막이 띠고 있는 전하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 격자 모양으로 흐르게 한 적외선이나 초음파가 차단되는 것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50)은 디스플레이 조립체(170)가 나타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70)의 전면에 접착 테이프나 접착재 등의 고정수단 혹은 후크 등의 걸이 수단 등으로 고정되거나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의 개구부(123) 주변이나 마운터(140)의 개구부(141) 주변에 접착 테이프나 접착재 등의 고정수단 혹은 후크 등의 걸이 수단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사각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이 개구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70)를 제어하도록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조립체제어부(161)가 설치된다.
상기 조립체 제어부(16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1a)로 체결되는 바, 상기 조립체 제어부(161)에는 체결공(161b)이 형성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상기 조립체 제어부(161)의 체결공(161b)에 대응되는 체결공(161c)을 갖는 체결보스(161d)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161a)가 상기 조립체 제어부(161)의 체결공(161b)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체결보스(161d) 체결공(161c)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는 상기 마운터(140)와 체결부재(162)로 체 결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체결공(163)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터(1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체결공(163)과 대응되는 체결공(146)을 갖는 체결보스(147)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162)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체결공(163)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터(140)의 체결보스(147) 체결공(146)에 체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는 방열공(164)(165)이 형성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70)의 후방에 일부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 제어부(161)의 후방에 일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외부기기연결부(166)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기기연결부(166)를 통해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data)를 전달받아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에서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음악파일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기기연결부(166)에는 외부스피커를 연결하는 스피커연결홀(166a)과 유에스비(USB)를 연결하는 유에스비연결홀(166b), 다른 저장수단인 카드 형태의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카드연결홀(166c) 등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기기연결부(166)에는 외부 기기를 연결하거나 탈거하고자 할 때 외부 기기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홈(166d)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스피커(167)가 장착된다.
상기 스피커(390)는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음악이나 멜로디 등을 출력하거나 상기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으 로서,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상기 스피커(390)의 안착을 안내하는 스피커안착리브(167a)가 스피커(167)의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안착리브(167a)는 전방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39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스피커(167)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이나 멜로디가 디스플레이 커버(300)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스피커홀(167b)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70)는 상기 터치스크린(150)의 후방에 배치된 엘씨디(172, LCD)와, 상기 엘씨디(172)를 제어하는 엘시디 제어부(174)와, 상기 엘씨디(172)의 테두리와 후방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와, 상기 터치스크린(321)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좌표를 인식하는 좌표인식부(1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씨디(172)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전력이 적고, 부피가 작아 널리 이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일종으로 액정이 가지는 여러 가지 성질 가운데 전압을 가하면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엘씨디(172)는 두장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액정을 담고 투명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가하여 분자의 배열 방향을 바꾸어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키게 되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게 된 다.
상기 엘시디 제어부(174)는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와 엘씨디연결선(175)으로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에는 상기 엘시디 연결선(175)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76a)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에는 상기 조립체제어부(16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원공급부(176b)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76b)에는 커넥터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면서, 조립체제어부(16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와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 장착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에는 체결공(177a)을 갖는 체결부(177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의 체결부(177b) 체결공(177a)과 대응되는 체결공(168a)을 갖는 체결부(168b)가 돌출 형성되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77c)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의 체결부(177b) 체결공(177a)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체결부(168b) 체결공(168a)에 체결된다.
상기 좌표인식부(178)는 대략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다수의 전장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좌표인식부(178)는 상기 터치스크린(150)과 신호연결선(178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와 좌표연결선(178b)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표인식부(17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330)의 배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79a)로 체결되는 바, 상기 좌표 인식부(178)의 상부와 하부에는 체결공(179b)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의 배면에는 상기 좌표인식부(178)의 체결공(179b)과 대응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체결부재(179a)가 좌표 인식부(178)의 체결공(178b)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176)의 체결공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엘씨디(172)에 형성되는 문자 또는 그림 정보가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나타낸 문자 및 그림 정보를 보고 터치스크린(150)을 손 또는 기타 물체로 압착하게 되면, 터치스크린(150)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상기 신호연결선(178a)를 통해 상기 좌표인식부(178)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좌표인식부(178)로 송신된 신호에 의해 좌표인식부(178)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좌표인식부(178)에 의해 파악된 좌표는 상기 조립체제어부(161)로 좌표전달선(178b)을 통해 전달되며, 좌표를 전달받은 조립체제어부(161)에서는 전달받은 좌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 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게 되면, 조립체제어부(161)는 다음 단계의 문자 또는 그림 정보를 상기 엘씨디연결선(175)을 통해 상기 엘씨디제어부(174)로 전달하게 되고, 엘씨디제어부(174)는 조립체제어부(161)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음 단계의 문자 및 그림 정보를 상기 엘씨디(172)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엘씨디(172)에는 상기 조립체제어부(161)에서 처리된 명령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와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는 작동 환경이 동시에 표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엘씨디(172)에 표시되는 문자 및 그림 정보들이 상기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조립체(170)와 조립체제어부(161)가 작동되면서 열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기는 상기 방열공(164)(165)을 통해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방열공(164)(165)을 통해 디스플레이 커버(16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60)와 베리어(79)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고, 디스플레이 커버(160) 내부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150)을 통해 냉방 운전 혹은 난방 운전을 입력하면, 상기 회전기구(330)의 모터(334)를 토출구 유닛 상승 모드로 구동시킨다.
상기 중앙 기어(332)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의 제 2 기어(316)(318)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는 회전축(323)(325)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기어(312)(314)에 치합된 복수개의 종동 기어(302)(306)는 상기 제 1 기어(312)(314)를 따라 상승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종동 기어 설치부(264)가 상기 안내부(36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다리부(268)가 상기 안내부(360)의 슬롯(36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종동 기어 설치부(264)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감있게 상승되고, 도 2 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됨에 따라, 좌측 공기 토출구(252)와 중앙 공기 토출구(254)와 우측 공기 토출구(256)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250)의 상승시 상기 중앙 기어(322)와 제 2 기어(316)(318)는 상기 기어 홀더(340)의 상향 걸림부(344)에 의해 상향 걸림되어 그 상방향으로의 흔들림이나 탈거가 제한되고, 상기 기어 홀더(340)의 수평 걸림부(34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걸림되어 흔들림이나 탈거가 제한되며,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는 하부가 안정감 있게 지지된 상태에서, 토출구 유닛(250)을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상승케 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 혹은 난방 운전시에 상기 열교환기(200)와 냉매 배관(7)(8)으로 연결된 실외기(6)에 장착된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송 풍기(180)의 모터(182)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열교환기(120)에는 냉매가 통과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200) 주변의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80)의 송풍모터(182) 구동시 상기 송풍팬(185)은 회전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4) 외부 공기는 상기 좌측 캐비닛(50)의 좌측 공기 흡입구(12)와 우측 캐비닛(70)의 우측 공기 흡입구(14)를 통해 좌측 캐비닛(12)과 우측 캐비닛(14)의 사이의 하부로 흡입된다.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좌측 필터(55)와 좌측 고성능 필터(56)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후 상기 열교환기(200)의 좌측 열교환부(201)을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14)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우측 필터(75)와 우측 고성능 필터(56)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후 상기 열교환기(200)의 우측 열교환부(20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부(201)과 우측 열교환부(202)의 사이 공간에서 혼합된 후, 상기 좌측 열교환부(201)과 우측 열교환부(202)의 사이의 상부로 흡인되며, 상기 오리피스(190)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185)의 상부로 회오리류를 형성하면서 송풍된다.
상기 송풍팬(185)의 상부로 송풍된 회오리류의 공기는 상기 격자부(370)를 통과하고 상기 안내부(360) 외벽면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바뀌고, 이후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내부로 송풍되며, 이후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 (252)와 중앙 공기 토출구(254)와 우측 공기 토출구(256)를 통해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삼면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 조작되면, 상기 실외기(6)의 압축기와 상기 송풍기(180)의 모터(182)는 구동 정지되고, 상기 회전기구(340)의 모터(334)는 토출구 유닛 하강 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회전기구(340)의 모터(334)가 토출구 유닛 하강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중앙 기어(332)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의 제 2 기어(316)(318)를 동시에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는 회전축(323)(325)을 중심으로 상기 토출구 유닛(250)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기어(312)(314)에 치합된 복수개의 종동 기어(302)(306)는 상기 제 1 기어(312)(314)를 따라 하강되며,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종동 기어 설치부(264)가 상기 안내부(360)의 상측에서 내부로 하강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 유닛(250)은 그 상승시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260)의 다리부(268)가 상기 안내부(360)의 슬롯(36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종동 기어 설치부(264)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감있게 하강되고, 도 3 와 도 7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 배치됨에 따라, 좌측 공기 토출구(252)와 중앙 공기 토출구(254)와 우측 공기 토출구(256)는 밀폐된다.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250)의 하강시 상기 중앙 기어(322)와 제 2 기어(316)(318)는 상기 토출구 유닛(250)의 상승시와 같이, 상기 기어 홀더(340)에 의해 흔들림이나 이탈이 제한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동 기어(322)(324)는 하부가 안정감 있게 지지되어, 토출구 유닛(250)을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하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0)이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에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고, 터치 스크린의 후방에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설치되므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측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플레이 커버에 방열공이 형성되 어 디스플레이 커버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조립체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한 전장 부품의 파손 또는 전장부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에 디스플레이 커버가 체결되는 마운터가 설치되어, 전면 패널을 금속 재질 등으로 할 수 있어 고급화할 수 있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면 패널이 걸어 설치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조된 공기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냉각 또는 가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면 패널을 캐비닛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터치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된 엘씨디(LC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아바타 등의 각종 그래픽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전면 패널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설치된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체결되는 마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이 걸어 설치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마운터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방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된 엘씨디(LC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조립체는 상기 엘시디를 제어하는 엘시디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엘씨디의 테두리와 후방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조립체를 제어하는 조립체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제어부와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조립체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도록 장착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설치된 스피커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15266A 2006-02-16 2006-02-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7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66A KR101270612B1 (ko) 2006-02-16 2006-02-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66A KR101270612B1 (ko) 2006-02-16 2006-02-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28A true KR20070082428A (ko) 2007-08-21
KR101270612B1 KR101270612B1 (ko) 2013-06-03

Family

ID=3861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66A KR101270612B1 (ko) 2006-02-16 2006-02-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6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12B1 (ko) * 2008-04-02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3988A (ko) * 2008-10-21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1482296B (zh) * 2008-01-07 2012-06-27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KR20150022416A (ko) *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250A (ja) 2002-08-12 2004-03-11 Toshiba Corp タッチ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タッチ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0629331B1 (ko) * 2004-03-11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50093993A (ko) * 2004-03-17 2005-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2296B (zh) * 2008-01-07 2012-06-27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KR100947612B1 (ko) * 2008-04-02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3988A (ko) * 2008-10-21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50022416A (ko) *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612B1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0357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03004B1 (ko) 공기조화기
KR1014875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061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759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7061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8223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832248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80055464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482296B (zh) 空调机
KR20080055455A (ko) 공기조화기
KR20080027679A (ko) 공기조화기
KR100609163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12307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223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15874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KR20100055929A (ko) 공기조화기
KR1005176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2013B1 (ko) 공기조화기용 하우징조립체
KR20080027809A (ko) 공기조화기
KR1009643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39510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