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732A -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732A
KR20070080732A KR20060012148A KR20060012148A KR20070080732A KR 20070080732 A KR20070080732 A KR 20070080732A KR 20060012148 A KR20060012148 A KR 20060012148A KR 20060012148 A KR20060012148 A KR 20060012148A KR 20070080732 A KR20070080732 A KR 2007008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ceived
modem
base station
e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호
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1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732A/ko
Publication of KR2007008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73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ESN를 분실 단말 리스트로 관리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ESN을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ESN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의 상기 분실 단말 리스트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상기 이동 단말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를 포함한다.
불법 복제, ESN, MIN, 이동 단말, 분실

Description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SYSTEM AND METHOD FOR FORBIDDING ILLEGAL DUPLICATION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메모리의 논리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 함은, 단말까지 고정적인 유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이동 통신 시 스템은 물론, 무선 랜, 와이브로(Wibro), 이동 애드 혹(Mobile Ad Hoc)네트워크 등 을 들 수 있다.
이동 통신은 넓은 지역에 걸쳐 가입자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중에도 통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시스템이 셀룰러 방식의 시스템이다. 셀룰러 시스템이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의 제한과 가입자 수용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으로 서비스 지역을 여러개의 작은 구역, 즉 셀(Cell)로 나누어서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진 두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주파수를 재사용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셀룰러 시스템 중 제일 처음 등장한 기술이 AMPS(Advance Mobile Phone System)과 TACS(Total Access Communication Services)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이며, 이를 1세대 이동통신이라 칭한다. 1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만으로는 급격히 증가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기가 어려워졌고,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의 음성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 등으로 인하여 1세대의 이동통신 보다 진보한 디지털 방식의 2세대 이동통신이 등장하게 되었다.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아날로그인 음성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음성 부호화를 실시한 후, 디지탈 변복조 방식으로 사용하며, 800M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다원접속 방식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서비스 및 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의 IS-95(CDMA 방식), IS-54 (TDMA 방식)과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이 있다. 또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시스템은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분류되며, 1.8~2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자들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었다. 하지만, 인터넷의 출현 및 사용자들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요구 등은 새로운 무선 플랫폼의 등장을 예고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방식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2000)과 같은 3세대 이동 통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은 전화번호인 MIN(Mobile Identifier Number)과 이동 단말의 제조사에서 부여하는 ESN(Electornic Serial Number)를 저장하고 있다.
MIN은 사용자가 서비스 업체에 가입하여 부여받게 되는 번호로서 사용중에 사용자 또는 타인에 의해 그 번호가 임의대로 변경될 수 있다. 하지만 ESN은 제조업체에서 부여되는 고유정보로 한번 후여된 ESN은 변경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 그 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현재 이동 단말의 ESN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수 없도록 되어 있지만, 이동 단말이 파워 온/오프 등의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등록 과정을 수행하면서, ESN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악의를 갖은 타인이 도용한 이동 단말로부터 ESN을 읽을 수 있는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거나 불법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개발한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손쉽게 ES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최 근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ESN과 MIN을 알아내어 불법 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 단말의 불법복제는 이동 단말의 전자적 고유번호인 ESN을 다른 이동 단말에 입력시켜 당시 상기 다른 이동 단말에 입력되어있던 기존의 ESN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기존에 대부분의 방법들은 이러한 불복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ESN 외에 인증키(암호화 알고리즘)값을 별도로 부여하는 형태로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어느 정도 불법복제의 가능성을 낮출수는 있으나, 고도로 발전하는 해킹 프로그램 툴(Tool)로 인하여 결국에는 인증키를 풀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며, 불복복제는 계속 이루어질 가능성이 많다.
또한, 최근 들어 이동 전화 가입 후 부여받은 MIN번호와 고유제조번호 ESN을 롬 라이터를 이용하여 복제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로 여러 개의 이동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는 무선 회선을 도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사업자에게 손해를 끼칠 뿐 아니라, 적법한 사용자에게 과다한 요금이 부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타인이 도용한 이동 단말을 하드웨어적으로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ESN(Electronic Serial Number)를 분실 단말 리스트로 관리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ESN을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ESN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의 상기 분실 단말 리스트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상기 이동 단말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할 시 기지국을 탐색하고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해 상기 탐색된 기지국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있을 경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거나 상기 무선 송신부로 송신되는 변조 및 부호화하는 모뎀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원래 이동 단말의 사용자(102)는 이동 단말(100)을 분실할 경우 유/무선 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사업자의 콜센터(106)로 분실 사실을 통보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의 기능을 정지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콜센터(106)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해당하는 ESN을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로 전송하여 상기 ESN이 저장된 이동 단말은 분실된 이동 단말임을 등록시킨다.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는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콜 센터로부터 수신한 ESN을 분실 단말 리스트에 추가시켜 분실 단말의 정보를 관리한다.
만일 불법 사용자(110)가 상기 이동 단말(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이동 단말(100)은 기지국(Base Station)(112)과 무선으로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기지국(112)은 상기 이동 단말(100)과 세션 수행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114)로 상기 이동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자신의 ESN을 기지국(112)으로 전송하고, 기지 국(112)은 상기 ESN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교환기(114)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 교환기(114)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로 전송하여 현재 상기 이동 단말(100)이 적법한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고 있는지를 검사한 후 적법한 사용자일 경우 호 설정을 하고, 음성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 사용자(102)의 분실 신호에 의해 기 등록된 분실 이동 단말(100)들에 대한 분실 단말 리스트들을 저장하고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114)는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로부터 상기 ESN에 해당되는 이동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 즉, 분실 여부등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 단말(100)이 분실 접수가 된 이동 단말이라면, 상기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소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기능 정지 메시지(p1=1)를 기지국(112)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되는 스케줄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인증 및 동기획득을 위한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받는데 여기에 기능정지 메시지를 같이 보내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이동 단말(100)을 악용할 목적으로 습득한 불법 사용자(110)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불법 사용자(110)가 상기 이동 단말(100)을 불법 복제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저장되어있던 ESN을 지우고 새로운 ESN을 기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불법 사용자(110)가 상기 이동 단말(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필수적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가장 근접한 기지국(112)를 탐색한 뒤, 상기 기지국(112)과 동기를 맞추거나 호 할당, 사용자 인증 등의 세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에 저장된 ESN을 기지국(112)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ESN을 수신한 기지국(112)은 이동 통신 교환기(114)로 상기 수신된 ESN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114)는 상기 수신된 ESN이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108)에 등록된 분실 단말에 해당하는 ESN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ESN 이 상기 분실된 이동 단말(100)의 ESN이 맞다면, 상기 기지국(112)을 통해 소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기능 정지 메시지(p1=1)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소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 과정 도중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가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전원 인가시 기본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해 필요한 플래시 메모리의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영역에 미리 기능 정지 메시지 영역으로 할당된 영역에 p1=1로 할당을 한다. 후술할 제어부(216)는 주기적으로 상기 시스템 설정 영역을 감시하여 p1=1이면 기능 정지를 위한 하드웨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기능 정지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전원이 인가되자 마자 바로 하드웨어 기능이 정지되고, 다시 전원을 끄로 인가를 하여도 기능이 정지되어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이동 단말(100)은 무선 송수신부(200), 모뎀(202), 오디오 처리부(204), 키입력부(204), 영상 처리부(208), 표시부(210), 전원 발생부(212), 클럭 발생부(214), 제어부(216) 및 메모리(218)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200)는 제어부(216)의 제어 하에 기지국(112)와의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02)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04)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0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송수신부(20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04)는 무선 송수신부(20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216)에 포함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206)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전원 키와 같은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216)로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208)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이미지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전원 발생부(212)는 상기 이동 단말(100)의 각 블록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도 2에서는 모뎀(202)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다른 모든 구성들에게도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216)는 키입력부(206)에 구비된 전원버튼이 사용자에의해 눌러지면, 전원 발생부(212)로하여금 각 구성들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발생부(212)는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216)의 제어에 의해 모뎀(202)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클럭 발생부(214)는 모뎀(202)의 동작을 위한 이네이블 클럭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16)는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온도 보상용 수정 발진기(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 TCXO)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TCXO 이네이블 신호를 오프시킨다.
제어부(2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기지국(112)과의 세션 설정을 위해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역에 저장하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메모리(218)의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16)는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역에 기능 정지 메시지가 저장되어있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상기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동 단말(100)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216)는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해 모뎀(202)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하드웨어 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하기와 같다.
먼저 첫 번째 방법으로 제어부(216)는 정상 모드(Normal Mode)로 설정되어 있는 현재 이동 단말(100)의 상태를 테스트 모드 또는 디버깅 모드 등의 일반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모드로 이동 단말(100)의 상태를 변경시킨다.
두 번째 방법으로 제어부(216)가 모뎀(2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발생부(212)로 하여금 모뎀(202)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제어부(216)가 모뎀(202)에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발생부(214)를 제어하여 TCXO의 동작을 중단한다.
네 번째 방법으로는 제어부(216)가 무선 송수신부(200)로 입력되는 IQ 신호의 입력 파워를 포화시켜 샘플링이 안되도록 함으로써 모뎀(202)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216)가 상기 이동 단말(100)의 하드웨어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써,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방지한다.
메모리(218)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18)는 플래쉬 롬(Flash ROM)이며, 상기 메모리(218)는 크게 이동 단말(100)이 기본적으로 동작하기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정보들이 저장되는 시스템 설정 영역가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영역으로 구분되며 자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 메모리(218)의 논리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2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 영역(300)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역(302)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는 상기 이동 단말(100)이 데이터 송수신 및 세션 설정을 위해 필요한 기지국(112)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 부팅을 위한 코드 와 ESN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다. 반면 어플리케이션 영역(302)은 예컨대 전화번호부나, 주소록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사용자 임의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정지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 저장되며, 제어부(216)가 주기적으로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상술한 실시 예들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100)의 기능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불법사용자(110)가 상기 습득한 이동 단말(100)에 새로운 ESN을 쓰기위해 이동 단말(100)의 전원을 온 할 시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역(300) 에 저장되고, 제어부(216)는 상술한 예들과 같은 방법으로 이동 단말(100)의 하드웨어 적인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불법 사용자(110)가 이동 단말(100)에 대한 실행 코드들이 저장된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불법 사용자(110)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 제어부(216)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400단계에서 제어부(216)는 키입력부(206)를 통해 전원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0단계에서 전원키가 인가되었다면, 402단계에서 제어부(216)는 가장 근접한 기지국을 탐색하고, 4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12)과 세션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16)는 기지국(112)로 ESN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112)은 이동 통신 교환기(114)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100)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114)가 상기 이동 단말(100)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미 앞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404단계의 세션 설정 과정 도중 406단계에서 기지국(112)으로부터 기능 정지 메시지(406)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216)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반면,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부(216)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412단계에서 제어부(216)는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218)의 시스템 설정 영 역(300)에 기능 정지 메시지가 저장되었는지를 검사하고, 414단계에서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상기 시스템 설정 영역(300)에 저장되어있다면, 416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4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6)가 상기 이동 단말(100)의 하드웨어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이동단말(100)을 다시 획득을 하여 기능정지 해제를 요청할 경우, 콜센터는 기능해제 요청을 기지국에게 내린다. 그러면 기지국은 기능정지해제 메시지(p1=0)을 이동 단말(100)에게 내려주고 이동 단말은 전원인가시 제어부(216)가 첫 검색을 통해 기능정지 해제 메시지를 득하면 하드웨어는 기능정지를 풀게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즉시 정상적인 이동 단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분실한 이동 단말을 습득한 불법 사용자가 상기 습득한 이동 단말을 동작시킬 수 없으므로 분실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ESN 불법복제를 통한 불법 사용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Claims (19)

  1.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ESN(Electronic Serial Number)를 분실 단말 리스트로 관리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ESN을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ESN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의 상기 분실 단말 리스트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상기 이동 단말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호 설정 및 세션 설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4.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ESN(Electronic Serial Number)를 분실 단말 리스트로 관리하는 과정과,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ESN을 이동 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이동 통신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ESN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 서버의 상기 분실 단말 리스트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상기 이동 단말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호 설정 및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방법.
  7. 이동 단말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할 시 기지국을 탐색하고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해 상기 탐색된 기지국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기능 정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있을 경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는 상기 메모리의 시스템 설정 영역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모뎀의 동작 전원 공급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정상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또는 디버깅 모드로 상태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모뎀의 동작을 위한 클럭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온도 보상용 수정 발진기(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 TCXO)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과 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무선 송수신부로 입력되는 IQ 신호의 입력 파워를 포화시켜 상기 모뎀이 샘플링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13.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거나 상기 무선 송신부로 송신되는 변조 및 부호화하는 모뎀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의 시스템 설정 영역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모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발생부로 하여금 상기 모뎀의 동작 전원 공급을 중단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모뎀에 동작 클럭을 인가하는 클럭 발생부로 하여금 클럭 공급을 중단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럭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온도 보상용 수정 발진기(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 TCXO)의 동작을 중단시킴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무선 송수신부로 입력되는 IQ 신호의 입력 파워를 포화시켜 상기 모뎀이 샘플링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를 정상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또는 디버깅 모드로 상태를 변경시키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20060012148A 2006-02-08 2006-02-08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KR20070080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2148A KR20070080732A (ko) 2006-02-08 2006-02-08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2148A KR20070080732A (ko) 2006-02-08 2006-02-08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732A true KR20070080732A (ko) 2007-08-13

Family

ID=386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2148A KR20070080732A (ko) 2006-02-08 2006-02-08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7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50B1 (ko) * 2007-10-29 2008-01-29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디지털 기기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디지털 기기
WO2009155768A1 (zh) * 2008-06-27 2009-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管理方法和系统
KR101281099B1 (ko) * 2011-07-18 2013-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분실 및 도난의 피해 방지를 위한 인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50B1 (ko) * 2007-10-29 2008-01-29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디지털 기기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디지털 기기
WO2009155768A1 (zh) * 2008-06-27 2009-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管理方法和系统
KR101281099B1 (ko) * 2011-07-18 2013-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분실 및 도난의 피해 방지를 위한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048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азовой станцией информации о параметрах радиосвязи, поддерживаемых абонентски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в системе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lte
US7366542B2 (en) Wireless security
CN108702603B (zh) 一种通过虚拟客户识别模块进行通信的方法及设备
JP200306112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移動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083834A (zh) 通信卡、程序以及记录了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783552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airlink congestion and processing time associated with cipher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JP2010141838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2887971B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WO2018076553A1 (zh)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设备
KR20070080732A (ko) 이동 단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장치
JP5369709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不正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不正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WO2012100594A1 (zh) 终端避免模式间干扰的方法及系统
CN102695244B (zh) 根据服务通信类型选择基站收发机系统的方法和设备
KR20080066345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KR20040101518A (ko) 로컬링크를 통한 에뮬레이션된 장치의 동기화
KR100629448B1 (ko)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보안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시스템
JP2007156986A (ja) 端末装置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JP2002290546A (ja) 移動通信端末とその設定データ変更方法
JP2007067503A (ja)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における発呼方法
JP44583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US877476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iphering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er equipment operative with a plurality of radio access networks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7479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040992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acquiring packet service
CN101635993A (zh) 在无线通信用户设备中进行加密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