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277A - 액정표시패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277A
KR20070080277A KR1020060011415A KR20060011415A KR20070080277A KR 20070080277 A KR20070080277 A KR 20070080277A KR 1020060011415 A KR1020060011415 A KR 1020060011415A KR 20060011415 A KR20060011415 A KR 20060011415A KR 20070080277 A KR20070080277 A KR 2007008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electrode
common electrod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조성환
김종성
박정우
홍성철
서봉선
염호남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277A/ko
Publication of KR2007008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 따라 색순도 및 반사율 조절이 가능한 액정표시패널이 개시된다.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각 화소부에는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 어레이 기판와 마주보고, 제1 공통전극, 제1 공통전극과 대향하는 제2 공통전극 및 제1 및 제2 공통전극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위차에 의해 색순도가 조절되는 전기 변색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 기판,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외부광의 광도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광센서 유닛 및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압 조절에 따라서 색순도를 조절시킴으로써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 및 반사 모드의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컬러필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컬러필터 기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광센서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투과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반사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베이스 기판 115 : 게이트 절연막
120 : 소오스 전극 125 : 드레인 전극
100 : 어레이 기판 200 : 컬러필터 기판
300 : 광센서 유닛 400 : 액정층
본 발명은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에 따라 색순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반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내부 광을 투과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내부 광을 투과시키거나 외부 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소부는 내부 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과 외부 광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동작 모드는 상기 내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투과 모드와 외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반사 모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은 상기 반사 모드의 색재현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한편, 상기 반사 모드의 색재현성은 반사율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상기 반사 모드의 색재현성이 높아질수록 반사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드에서 반사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반사 모드의 색재현성을 상기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기 반사 영역의 컬터필터 층에 라이트 홀(light hole)을 형성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컬러필터층에 라이트 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라이트 홀 부근에서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라이트 홀이 형성된 컬러필터층 상에 컬러필터층의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기본적으로 라이트 홀 영역의 주변에 단차를 완전히 제거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에 관한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반사 모드에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 컬러필터 기판, 광센서 유닛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각 화소부에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이 형성된다. 컬러필터 기판은 상기 어레이 기판와 마주보고,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과 대향하는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공통전극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위차에 의해 색순도가 조절되는 전기 변색층을 구비한다. 광센서 유닛은 상기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외부광의 광도에 따라 상기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액정층은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에 의하면, 전압 조절에 따라서 색순도를 조절시킴으로 써 반사 모드의 반사율 및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100), 어레이 기판(100)에 대향하는 컬러필터 기판(200), 상기 어레이 기판(100) 상에 형성되며 외부광의 광도를 감지하는 광센서 유닛(300) 및 상기 어레이 기판(100)과 컬러필터 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400)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00)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게이트 배선들(GLn-1, GLn), 게이트 배선들(GLn-1, GLn)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호 평행한 데이터 배선들(DLm-1, DLm), 게이트 배선들(GLn-1, GLn) 및 데이터 배선들(DLm-1, D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TFT), 투과 전극(TE) 및 반사 전극(RE)을 포함한다.
상호 인접하는 게이트 배선들(GLn-1, GLn) 및 상호 인접하는 데이터 배선들(DLm-1, DLm)에 의하여 화소부가 정의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TFT)는 어레이 기판(100) 위에 형성되며, n번째 게이트 배선(G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105)과, 상기 m번째 데이터 배선(DLm)에 연결된 소오스 전극(120) 및 투과 전극(TE) 및 반사 전극(R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 전 극(125)을 포함한다.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GLn) 및 게이트 전극(105)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n번째 게이트 배선(GLn) 및 게이트 전극(105)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층(115)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5)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115) 위에는 활성층(116)과 저항성 접촉층(118)을 포함하는 채널층(117)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층(117) 상에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0, 125)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0, 125)은 상기 m번째 데이터 배선(DLm)과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어레이 기판(100)은 상기 스위칭 소자(TFT) 위에 보호 절연층(130) 및 유기 절연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절연층(130) 및 유기 절연층(140)은 상기 드레인 전극(12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145)이 형성되며, 상기 콘택홀(145)을 통해 투과 전극(TE)과 드레인 전극(1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과 전극(TE)은 상기 화소부가 정의된 영역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과 전극(TE) 위의 일부 영역에 반사 전극(RE)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화소부의 화소 전극(PE)은 투과 전극(TE) 및 반사 전극(RE)으로 형성된다. 상기 화소부는 상기 반사 전극(RE)에 의해 투과 영역(TA)과 반사 영역(RA)으로 구획되며, 상기 유기 절연층(140)은 상기 반사 영역(RA)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위 칭 소자(TFT)와 상기 투과 전극(TE)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투과 영역(TA)은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이 투과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으로 입사되는 제1 광(L1)을 투과시키는 영역이다. 상기 반사 영역(RA)은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이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으로 입사되는 제2 광(L2)을 반사시키는 영역이다.
어레이 기판(100)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더 포함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상기 화소부에 형성된 스토리지 공통배선(150)과, 상기 스토리지 공통배선(150)의 일부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된 금속 패턴(1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공통배선(150)과 상기 금속 패턴(160)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115)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 패턴(160)은 상기 드레인 전극(12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패턴(160) 위에는 상기 콘택홀(145)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컬러필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컬러필터 기판(200)은 베이스 기판(201), 제1 공통전극층(210), 제2 공통전극층(230) 및 컬러필터층(24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01)은 투명한 재질로서 광을 투과시킨다. 베이스 기판(201)은, 예를 들면, 유리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통전극층(210)은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필터층(140)에 제1 전압을 인가한다. 제1 공통전극층(21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통전극층(230)은 상기 제1 공통전극층(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컬러필터층(240)에 제2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컬러필터층(240)은 상기 제1 및 제2 공통전극층들(210, 23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컬러필터층은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 변색층(electrochromic layer)에 대응된다. 상기 컬러필터층(240)은 염료 입자(pigment particle)를 포함하는 솔벤트(dyed solvent) 필름(24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층(230)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전계 형성시 모바일 이온(mobile ion)을 발생하는 전해질 필름(electrolyte film; 243)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층(240)은 적색 염료가 혼합된 솔벤트 필름(241R)에 대응하는 제1 전기 변색 패턴(240R)과, 녹색 염료가 혼합된 솔벤트 필름(241G)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변색 패턴(240G) 및 청색 염료가 혼합된 솔벤트 필름(241B)에 대응하는 제3 전기 변색 패턴(240B)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바람직하게 전계 형성시 Li+, H+, NA+, OH- 의 모바일 이온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이온을 가지는 전해질 물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러필터층(240)에 제1 전계가 형성될 경우, 상기 컬러필터층(240)의 상기 전해질 필름(243)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은 전기 분해 되어, 전해질층 내부에 모바일 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솔벤트 필름(241)은 상기 모바일 이온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져 고순도의 색으로 변한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층(240)에 제2 전계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전기 분해 되지 않아 모바일 이온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솔벤트 필름(241)은 저밀도화 되어 상대적으로 저순도의 색으로 변한다.
컬러필터 기판(200)은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1)을 소정의 영역들을 구획하고, 광을 차단시킨다. 이상에서는 상기 차광 패턴(220)이 상기 제1 공통전극층(210) 위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 차광 패턴(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상기 차광 패턴(220) 위에 제1 공통전극층(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컬러필터 기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컬러필터층(240)의 제1 면 및 제2 면에는 제1 공통전극층(210) 및 제2 공통전극층(230)이 각각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통전극층(210)에 인가되는 제1 전압(+)이 상기 제2 공통전극층(230)에 인가되는 제2 전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가질 경우,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전기분해 된다. 전기분해된 상기 전해질필름(243)은 모바일 음이온(OH-)(243a)이 발생하며, 상기 모바일 음이온(OH-)(243a)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갖는 제1 공통전극층(210)측인 솔벤트 필름(241)으로 이동한다.
상기 솔벤트 필름(241)은 상기 모바일 음이온(OH-)(143a)이 포함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상기 컬러필터층(240)은 상대적으로 고순도의 색으로 변한다.
일반적으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투과 모드에서는 제1 광(L1)이 액정표시패널을 한 번 투과하고, 반사 모드에서는 제2 광(L2)이 액정표시패널을 두 번 투과하는 광경로 특성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투과 모드의 색순도는 반사 모드의 색순도 보다 높게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컬러필터층(240)이 고순도의 색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투과 모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통전극층(210)에 인가되는 제1 전압(-)이 상기 제2 공통전극층(230)에 인가되는 제2 전압(+)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가질 경우,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전기 분해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모바일 음이온(OH-)(143a)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솔벤트 필름(241)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져 상기 컬러필터층(240)은 상대적으로 저순도의 색으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컬러필터층(240)이 저순도의 색을 변하는 경우는 상기 반사 모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층(240) 위에 형성된 상기 제2 공통전극층(230)은 상기 화소부(P)에 형성된 투과 및 반사 전극(TE, RE)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어레이 기판(200)의 화소 전극(PE), 액정층(400) 및 제2 공통전극층(230)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가 정의된 다.
상기 액정층(400)은 어레이 기판(100)과 컬러필터 기판(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은 투과된 광을 액정의 배향에 따라 조절하여 그 상부의 컬러필터층(240)에 조사한다.
한편, 상기 액정층(400)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반사 영역(RA)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셀 갭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투과 영역(TA)의 제1 셀 갭(d1)과 상기 반사 영역(RA)의 제2 셀 갭(d2)의 관계는 상기 투과 영역(TA)을 투과하는 제1 광(L1)의 경로와 상기 반사 영역(RA)을 투과하는 제2 광(L2)의 경로의 관계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셀 갭(d1)은 상기 제2 셀 갭(d2)의 두 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광센서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광센서 유닛(300)은 화소 전극(PE)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10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광센서 유닛(300)을 외부광을 수광하여 컬러필터 기판(200)의 제1 및 제2 공통 전극층들(210, 230)에 전압을 인가한다. 광센서 유닛(300)은 센서 트랜지스터부, 충전부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부는 센서 게이트 전극(310), 감광층(315), 센서 소오스 전극(316) 및 센서 드레인 전극(318)을 포함한다. 센서 게이트 전극(310)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게이트 전극(310)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후술하는 충전부의 제1 투명전극(320)에 제어 신호를 전 달한다. 감광층(315)은 외부로부터 광을 감지하여 감지된 광의 광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센서 소오스 전극(316) 및 센서 드레인 전극(318)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센서 소오스/드레인 전극(316, 318)은 상기 감광층(315)을 매개로 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센서 소오스/드레인 전극(316, 318)은, 상기 감광층(315)이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가질 경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충전부는 제1 투명전극(320), 제1 투명전극(320)에 대향하는 제2 투명전극(328) 및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20, 328)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325)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센서 트랜지스터부로부터 발생된 광전류를 전하 형태로 저장한다. 제1 투명전극(320)은 상기 센서 드레인 전극(3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 전류를 인가받는다. 한편, 제2 투명 전극(328)은 상기 센서 게이트 전극(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게이트 전압을 인가받는다.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20, 328)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20, 328)은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부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360), 반도체층(365), 스위칭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66, 368)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부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선택적으로 방출한다.
스위칭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66, 368)은 충전부의 제2 투명전극(3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360)의 신호에 따라 반도체층(365)이 전기 적으로 도통된다. 전기적으로 도통된 채널층(365)이 스위칭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66, 36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스위칭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66, 368)은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하들을 방출하여 구동회로부(미도시)에 광량 데이터를 인가한다. 광량 데이터를 인가받은 구동회로부는 소정의 전압을 컬러필터 기판(200)의 제1 및 제2 공통 전극층들(210, 230)에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컬러필터 기판(200)의 컬러 필터층(240)은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저순도 또는 고순도의 색순도를 갖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투과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반사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의 컬러필터 기판(300)은 제1 전극(310), 제2 전극(33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0, 330) 사이에 개재된 전기 변색 패턴(340)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변색 패턴(340)은 염료 입자(341a)가 혼합된 솔벤트층(341)과 모바일 이온(343a)을 발생하는 전해질층(343)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층(343)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0, 33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층(343)은 모바일 음이온(OH-)(343a)을 발생하는 전해질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3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투과 모드시 상기 제1 공통전극(210)에는 상기 제2 공통전극(230)에 인가되는 제2 전압보다 높은 전위의 제1 전압(+)이 인가된다. 이 에 의해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전기분해 되어 모바일 음이온(OH-)(243a)을 발생한다. 상기 모바일 음이온(OH-)(243a)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갖는 제1 공통전극(210) 측인 솔벤트 필름(241)으로 이동하여 상기 솔벤트 필름(241)의 밀도를 높인다. 이에 의해 상기 컬러필터 층(240)은 상대적으로 고순도의 색을 갖는다.
상기 투과 모드시 상기 화소부(P)는 배면에서 입사되는 제1 광(L1)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투과 모드시 상기 제1 광(L1)은 고순도의 컬러필터 층(240)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화소부(P)는 고순도의 색을 발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모드시 상기 제1 공통전극(210)에는 상기 제2 공통전극(230)에 인가된 제2 전압(또는 공통전압) 보다 낮은 전위의 제1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전해질 필름(243)은 전기분해 되지 않으므로 모바일 음이온(OH-)(243a)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솔벤트 필름(241)은 상기 투과 모드시 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지며 이에 의해 상기 컬러필터 층(240)은 저순도의 색을 갖는다.
상기 반사 모드시 상기 화소부(P)는 전면에서 입사되는 제2 광(L2)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2 광(L2)은 상기 컬러필터 층(240)을 일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반사 전극(RE)에서 반사된 제2 광(L2)은 상기 컬러필터층(240)을 이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 모드시 상기 제2 광(L2)은 저순도의 컬러필터층(240)을 두 번 통과함으로써 상기 화소부(P)는 상기 투과 모드에서와 같이 고순도의 색을 발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색순도가 조절되는 전기 변색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사 모드 및 투과 모드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반사 모드의 구동시 반사되는 광의 반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영역의 컬러필터층에 색재현성 및 반사율을 고려한 라이트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차에 의한 액정의 광 특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더불어,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각 화소부에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과 전극 및 반사 전극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와 마주보고,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과 대향하는 제2 공통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공통전극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위차에 의해 색순도가 조절되는 전기 변색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외부광의 광도에 따라 상기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광센서 유닛;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 유닛은, 상기 외부광을 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는 센서 트랜지스터부, 상기 광전류를 전하형태로 저장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의 전하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층은 염료 입자가 혼합된 솔벤트층과, 전기분해되어 모바일 이온을 발생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층은
    제1 화소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 염료 입자를 구비하는 제1 솔벤트층과 제1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제1 전기변색패턴;
    제2 화소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2 염료 입자를 구비하는 제2 솔벤트층과 제2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제2 전기변색패턴; 및
    제3 화소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3 염료 입자를 구비하는 제3 솔벤트층과 제3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제3 전기변색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투과 전극을 통하여 투과되는 투과 모드시 내부광을 상대적으로 고순도의 색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반사 전극으로 반사되는 반사 모드시 외부광을 상대적으로 저순도의 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모드시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상기 제2 공통전극 보다 높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드시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상기 제2 공통전극 보다 낮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상기 반사 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와 반사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전극은 상기 화소부를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액정층의 셀 갭은 상기 반사 영역 보다 투과 영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KR1020060011415A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패널 KR20070080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15A KR20070080277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15A KR20070080277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77A true KR20070080277A (ko) 2007-08-10

Family

ID=3860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415A KR20070080277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27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36B1 (ko) * 2008-03-25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거울 기능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1027923A1 (ko) * 2009-09-04 2011-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기변색 필터가 구비된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678255B2 (en) 2014-11-26 2017-06-13 Samsung Display Co., Ltd. Light-transmissive display apparatus
KR20170136809A (ko) * 2016-06-02 2017-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36986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25615A (ko) * 2018-08-31 2020-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36B1 (ko) * 2008-03-25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거울 기능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1027923A1 (ko) * 2009-09-04 2011-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기변색 필터가 구비된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2301274A (zh) * 2009-09-04 2011-12-28 Sk电信有限公司 配备有电致变色过滤器的反射式显示装置
US9678255B2 (en) 2014-11-26 2017-06-13 Samsung Display Co., Ltd. Light-transmissive display apparatus
KR20170136809A (ko) * 2016-06-02 2017-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36986A (ko) * 2017-09-28 2019-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25615A (ko) * 2018-08-31 2020-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8521C (zh) 液晶显示装置及其改善显示品质的方法
US10698255B2 (en) Photoluminescenc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110076B2 (en) In-plane liquid crystal device with electric field shielding layer
KR10119704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0523927C (zh) 半透射式液晶显示装置
US8072564B2 (en)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a band-shaped retardation film extending outwardly to a parting area outside of a dummy pixel area
KR10119705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070059525A (ko) 컬러필터 기판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장치
KR20060136079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161646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00510911C (zh) 半透射式液晶显示装置
KR20060067289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0277A (ko) 액정표시패널
KR20060069080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4325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side visibility
KR101287702B1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9507824B (zh) 显示装置
KR2004008746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71160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0059B1 (ko) 스캐너 구동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22531B1 (ko) 미러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1923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317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0762A (ko) 양방향 표시 장치
JP2016090896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