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828A -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828A
KR20070079828A KR1020060010820A KR20060010820A KR20070079828A KR 20070079828 A KR20070079828 A KR 20070079828A KR 1020060010820 A KR1020060010820 A KR 1020060010820A KR 20060010820 A KR20060010820 A KR 20060010820A KR 20070079828 A KR20070079828 A KR 2007007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main
items
sub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970B1 (ko
Inventor
권용환
임진호
김성우
이금구
성기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9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메인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와;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항목이 선택되어 메인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경우, 메뉴화면이 서브항목 방향으로 진입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메뉴항목들간의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뉴화면의 표시방법{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에서, 메뉴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 30 : 신호 프로세서부
35 : 신호 처리부 37 : UI 생성부
50 : 디스플레이부 70 : 제어부
80 : 사용자 선택부
본 발명은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항목을 검색하는 경우,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개선한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모니터, PDP장치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하게 변하는 신호 처리부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조정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조정메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고 함)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조정메뉴를 보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다양한 기능의 조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조정하기 위한 메뉴항목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또는 해당 메뉴항목의 세부적인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서 Depth개념이나 페이지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되는 사용자조정메뉴의 메뉴항목들 중 소정의 메뉴항목에 해당하는 세부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의 메뉴항목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항목, 즉 상기 메뉴항목의 서브항목을 표시하게 된다. 즉, 표시되던 메뉴항목은 하위메뉴항목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조정메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Depth개념이나 페이지개념을 활용하여 메뉴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한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의 사용자조정메뉴와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하는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지시된 항목의 사이즈 및 색상 또는 휘도레벨을 조정하여 지시되지 않은 항목과 지시된 항목을 사용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하거나, 지시된 항목의 표시톤을 낮춰 배경화면과 사용자조정메뉴를 겹쳐서 동시에 보이도록 표시하는 하프톤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여전히 2D(2-Dimension)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항목이 선택되어 메인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경우, 메뉴화면이 서브항목 방향으로 진입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메뉴항목들간의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메인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와;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메인항목의 사이즈가 크게 표시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가상의 축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서브항목의 사이즈가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 중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항목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으로 저면을 향해 기 울어져 보이도록 3D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디지털 텔레비전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반드시 디지털 텔레비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 프로세서부(30)와, 디스플레이부(50)와, 사용자 선택부(8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면과 같이 방송국 등의 외부소스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5) 및 방송신호를 채널에 따라 튜닝하는 튜너(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후술할 신호 프로세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모듈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은 CRT(Cathode 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이 DLP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광학엔진을 포함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모듈이 LCD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신호 프로세서부(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로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각 디스플레이부(50)는 각 디스플레이모듈의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모듈구동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튜너(10)는 안테나 등의 신호수신부(15)를 통해 수신된 복수 채널 중 후술할 제어부(70)로부터의 선국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채널을 튜닝한다.
신호 프로세서부(3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가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 프로세서부(30)는 UI 생성부(37)와 신호 처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프로세서부(30)는 방송신호가 디지털신호인 경우, 필요에 따라 역다중화부(31) 및 디코더(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는 튜너(10)로부터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입력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며, 디코더(33)는 역다중화부(31)에서 분리된 각각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부(35)에 출력한다.
UI(User Interface) 생성부(37)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35)에 출력한다. 여기서, UI 생성부(37)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OSD생성부, 그래픽카드의 일 영역, 영상을 3D(3-Dimension)로 처리할 수 있는 3D 그래픽 엔진 및 해당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UI 생성부(37)는 후술할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메뉴를 갖는 인터페이스 화면(메뉴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는 복수의 메인항 목과 메인항목에 대한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I 생성부(37)가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를 후술할 바와 같이 원근감을 갖도록 3D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UI 생성부(37)는 2차원좌표에서 메뉴를 처리하며, 사용자가 3차원으로 느낄 수 있도록 거리에 따른 표시상태를 달리할 수 있다.
또는, UI 생성부(37)는 3차원엔진을 포함하여, 컨텐츠정보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모델링(Modeling)하고, 3 차원 형상을 2 차원 평면에 투영(Projection)하고, 생성된 3 차원 형상의 색상과 명암을 추가(Rendering)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랜더링과정은 그래픽에 그림자나 색채의 변화와 같은 3 차원적인 질감을 더하여 현실감을 추가하는 과정으로서, 감추어진 면의 제거(Hidden Surface Removal), 쉐이딩(Shading),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I 생성부(37)가 3차원 엔진을 포함하여 3차원 좌표계로 각 컨텐츠정보의 표시상태를 산출하여 각 컨텐츠정보를 원근감을 갖는 3차원 좌표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면, 2차원좌표로 처리한 것보다 보다 개선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5)는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신호 처리부(35)에서 별도로 처리한 화면과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70)에 소정의 키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선택부(80)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입력키, 버튼, 리모콘 및 마우스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부(8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제어부(70)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메뉴의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 역시 제어부(7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70)는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메뉴를 생성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처리부(3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메인항목 중 하나가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도 2a, 도 3a 및 도 4a의 z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처리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70)는 3D엔진을 사용하여 메뉴화면을 3D환경으로 보이도록 처리할 수도 있으며, 2D 엔진을 사용하지만 메뉴화면이 3D환경으로 보이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 중 선택된 메인항목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메인항목만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이 메인항목 보다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 멀리 위치하여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메뉴화면(51)을 도시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서 메뉴화면(51)의 표시가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메인항목(53, 55 및 57)을 도시하였다. 도 2a 내지 도 4b에서는 메인항목(53, 55 및 57) 및 서브항목(61, 63 및 65)이 각각 3개 마련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제어부(70)는 메뉴화면(51)의 표시가 선택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항목(Main 01(53), Main 02(55) 및 Main 03(57))을 갖는 메뉴화면(51)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인항목인 Main 02(55)가 선택되면, 도 3a와 같이 메뉴화면(51) 내의 메인항목들(53, 55 및 57)이 가상의 축(z축)을 따라 이동하듯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인 Main 02(55)가 가상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 (30)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메인항목들(53, 55 및 57)이 가상의 축(z축)을 따라 점점 더 전방으로 이동하듯이 표시되고, 선택된 메인항목(53, 55 및 57)이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만큼 기울어져 보이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 메인항목(53, 55 및 57) 후방에 선택된 메인항목(55)에 대한 서브항목(Sub 01(61), Sub 02(63) 및 Sub 03(65))이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도 2b, 도 3b 및 도 4b는 각각 도 2a, 도 3a 및 도 4a에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메인항목(53, 55 및 57)을 위에서 본다고 가정한 경우, 가상의 카메라(90)의 위치와 메인항목(53, 55 및 57)의 위치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즉, 도 2a와 같은 메뉴화면(51)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경우, 카메라(90)의 위치와 메인항목(53, 55 및 57) 간의 위치가 도 2b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되어 도 3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경우, 가상의 카메라(90)의 위치는 메인항목(53, 55 및 57)에 대하여 점차 가까워진다. 따라서, 가상의 카메라(90)의 위치는 도 3b와 같이 변경된다. 즉, 가상의 카메라(90)은 참조번호 90'에 해당하는 가상의 카메라(90')의 위치로 변경된다. 그리고, 카메라(90)의 위치는 소정 거리까지 점차 더 가까워져서 도 4a와 같이 메뉴화면(51)이 표시되는 경우, 가상의 카메라(90)의 위치는 도 4b와 같이 조절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51)은 메인항목(도 2a 내지 도 4의 53, 55 및 57)과 서브항목(61, 63 및 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항목은 메인항목의 서브항목이며, 메인항목의 다음 계층에 속한다. 그리고, 서브항목은 서브항목에 대한 서브항목도 필요한 만큼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따라,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뉴화면(51)의 표시가 선택되는 경우(S11),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53, 55 및 57)을 갖는 메뉴화면(51)을 생성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하고,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메뉴화면(51)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처리부(35)를 제어한다(S13). 이 때, 메인항목(53, 55 및 57)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항목(53, 55 및 57) 역시 3차원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S15),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53, 55 및 57)이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53, 55 및 57)이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제어부(70)는 각 메인항목(53, 55 및 57)의 사이즈가 크게 보이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S17). 디스플레이부(50)의 메뉴화 면(51)의 사이즈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메인항목(53, 55 및 57)의 사이즈가 점점 커지면 메뉴화면(51)의 사이즈에 따라,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55)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메인항목만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S19). 여기서, 제어부(70)는 도 2b,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카메라(90)가 점차 메인항목(53, 55 및 57) 및 서브항목(61, 63 및 65)을 향해 이동하고, 가상의 카메라(90)에 촬상되는 메뉴항목들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것처럼, 메뉴화면(51)이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55)이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할 수 있다(S21). 이 때, 선택된 메인항목(5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저면을 향해(y축의 아랫 방향) 기울어져 보이도록 3D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선택된 메인항목은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되며, 메뉴화면(51)에서 위측, 아래측, 좌측, 우측 등 다양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인항목(55)은 방문이 열리듯이 z방향의 우측으로 회전되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항목(53, 55 및 57)들의 모양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55)에 대한 서브항목(61, 63 및 65)이 메뉴화면(51)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S23).
여기서,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5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항목(61, 63 및 65)이 가상의 축(z축) 방향을 따라서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그러면, 서브항목(61, 63 및 65)들은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므로, 제어부(70)는 각 서브항목(61, 63 및 65)들의 사이즈가 크게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S24). 이 때, 서브항목(61, 63 및 65)은 메인항목(53, 55 및 57)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선택된 메인항목(55)이 문처럼 열리면 서브항목(61, 63 및 65)이 표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메인항목(55)에 대한 서브항목(61, 63 및 65)이 메인항목(53, 55 및 57)과 다른 Depth(가상의 축인 z축 거리)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따라서, 메인항목(53, 55 및 57)과 서브항목(61, 63 및 65) 간의 관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인항목(53, 55 및 57)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메인항목(55)이 가상의 축(z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표시되고 메인항목(53, 55 및 57)이 점차 가깝게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된 메인항목(55)을 열고 진입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메인항목(55)을 열고 진입하면, 다시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항목(61, 63 및 65) 나타난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화면(51) 속으로 진입하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항목이 선택되어 메인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경우, 메뉴화면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진입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항목들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Claims (5)

  1.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항목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메인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와;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 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메인항목의 사이즈가 크게 표시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항목이 가상의 축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서브항목의 사이즈가 크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보이도록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인항목 중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항목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이 가상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도록 3D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인항목이 상기 가상의 축 방향으로 정면을 향해 기울어져 보이도록 3D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20060010820A 2006-02-03 2006-02-03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KR10123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20A KR101239970B1 (ko) 2006-02-03 2006-02-03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20A KR101239970B1 (ko) 2006-02-03 2006-02-03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828A true KR20070079828A (ko) 2007-08-08
KR101239970B1 KR101239970B1 (ko) 2013-03-06

Family

ID=3860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820A KR101239970B1 (ko) 2006-02-03 2006-02-03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805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60150565A (ko) * 2015-06-22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235B2 (ja) * 1996-03-19 2005-01-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探索装置
JPH1165802A (ja) * 1997-08-20 1999-03-09 Fujitsu Ltd 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
JPH1198431A (ja) * 1997-09-16 1999-04-09 Victor Co Of Japan Ltd 番組情報表示装置
JP2001351127A (ja) * 2000-06-07 2001-12-21 Sharp Corp データ表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805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60150565A (ko) * 2015-06-22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970B1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1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검색방법
KR10071126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9308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2056002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8849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389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rendering object in 3D graphic-based terminal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3272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39970B1 (ko)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US1036666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KR101239971B1 (ko)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KR1012399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84655A (ko) 영상표시장치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0691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2246904B1 (ko) 영상표시장치
EP4290943A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80064512A (ko) 입체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EP338926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985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6896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6633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0379361Y1 (ko) 쓰리디 단축키 기능을 가지는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