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633A -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633A
KR20070079633A KR1020060010391A KR20060010391A KR20070079633A KR 20070079633 A KR20070079633 A KR 20070079633A KR 1020060010391 A KR1020060010391 A KR 1020060010391A KR 20060010391 A KR20060010391 A KR 20060010391A KR 20070079633 A KR20070079633 A KR 2007007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handover
mobile communication
flag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9633A/ko
Publication of KR2007007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듀얼모드 단말에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후 셀 선택 방법으로, 통신 중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이 종료될 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방송 제어 채널을 복호하여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를 검사하고,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하면, 상향 시스템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셀 선택, 이종망, 2G, 3G, GSM, WCDMA

Description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E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STING DIFFERENT NETWORK}
도 1은 WCDMA 방식 및 GSM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핸드오버 후 셀의 선택 시 제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모드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후 셀 선택 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와 거리의 제약 없이 음성 통 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최초 도입 시기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다중 접속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다중 접속 방법들을 예로 살펴보면, 시간 분할 다중접속 방식과,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방식 및 코드 분할 다중접속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의 다중접속 방식들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기 다른 형태의 시스템으로 진화하게 되었다. 초기에 유럽에서는 상기 다중접속 방식들 중 시간분할 다중접속 방식 및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북미 방식으로 대표되는 미국, 한국 등의 국가에서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에 음성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에서 점차로 발전하여 음성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러한 발전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보다 많은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에 기인한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들이 변화하면서 각 시스템에 맞는 통신 규약 등이 새롭게 변경된다. 왜냐하면,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들의 종류와 그 구성들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단말들은 시스템들의 변화에 맞춰 다양한 통신 규약들을 제공해야만 한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들은 모든 단말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때까지 또는 법적으로 규정된 시간까지는 이전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야만 한다. 따라서 단 말의 공급자들은 이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통신 규약을 가지는 듀얼모드 단말을 생산하여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듀얼모드 단말이란, 서로 다른 통신 규약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한다. 이러한 듀얼모드 단말들은 서로 다른 망(이하 "이종망"이라 함)간에 핸드오버가 제공되어야 하며, 각 망들과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초기 전원이 투입될 경우 또는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자신이 위치한 셀을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셀이란, 기지국의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셀"의 의미는 옴니(omni)형 기지국의 경우에는 기지국의 영역 전체를 의미하고, 섹터형 기지국의 경우에는 기지국의 특정 섹터를 의미한다.
그런데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듀얼모드 단말들은 셀을 선택할 경우 일반적으로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1시스템"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시스템을 "제2시스템"이라 한다.
단말은 초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통신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이동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시스템의 셀을 먼저 검색하고, 상기 제1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선택하도록 한다. 만일 제1시스템의 셀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시스템의 셀을 검색하여 선택한다. 또한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와 같이 제1시스템 및 제2시스템에서 모두 제공 가 능한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실제의 예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실 예로서 유럽 방식의 제2세대(2G)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의 시스템과 제3세대(3G) 시스템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시스템에서 듀얼모드를 제공하는 단말에서 호(call)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후 호가 종료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GSM 시스템과 WCDMA 시스템간에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경우 특정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에 다시 어떠한 시스템으로 복귀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GSM 시스템에서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듀얼모드 단말은 WCDMA 시스템의 셀을 서빙 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WCDMA 시스템에서 GSM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듀얼모드 단말은 GSM 시스템의 셀을 서빙 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셀(Serving Cell)이란,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위치 등록 및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셀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로 듀얼모드 단말을 제조하는 회사에서는 기본적으로 2G 시스템보다는 3G 시스템이 존재한다면 3G 시스템의 셀을 서빙 셀로 두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시 듀얼모드 단말에서 수행되는 절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WCDMA 방식 및 GSM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핸드오버 후 셀의 선택 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의 경우는 2G(GSM)와 3G(WCDMA)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음성 통신(voice call)을 수행하는 중에 3G 시스템의 셀에서 2G 시스템의 셀로 핸드오버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이다. 상기 따라서 상기 절차는 3G 시스템의 셀에서 음성 호를 연결하고,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 핸드오버 후에 GSM 호 연결 상태에서 호가 완료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절차이다.
단말은 호가 완료되면, 100단계에서 GSM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 절차(Location update procedure)를 수행한다. 그런 후 단말은 102단계로 진행하여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Routing area update procedure)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그런 후에 단말은 104단계에서 이미 수신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인 SI2quater에 따라서 WCDMA 이웃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106단계로 진행하여 WCDMA 이웃 셀이 InterRAT 셀 재선택 기준(criterion) 만족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통해 검사할 수 있다.
<WCDMA to GSM InterRAT cell reselection criterion> If RLA_C < Qsearch_I, the measurement of 3G cell is performed. - Qsearch_I is received in SI2quater * Criterion 1. RSCP > FDD_Qoffset + RLA_C of Serving cell(GSM) 2. RSCP > FDD_Qoffset + RLA_Cn where n = 0,1…k where k is the number of suitable neighbouring cells 3. Ec/No >= FDD_Qmin The above condition should be satisfied for the period of 5 seconds FDD_Qoffset = FDD_Qoffset + 5dB When the cell reselection is occurring within previous 15 seconds
상기 검사결과 셀 재선택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은 108단계로 진행하여 2G 시스템의 셀에서 3G 시스템의 셀로 InterRAT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106단계의 검사 결과 셀 재선택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110단계로 진행하여 GSM 모드를 수행한다.
그런데, 순간적으로 3G 시스템의 셀 영역 중 약전계 지역에서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InterRAT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GSM 호를 끊게 되면 대기(idle) 상태에서 강한 3G 시스템의 이웃 셀(neighbor cell)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3G 시스템의 셀에서 2G 시스템의 셀로 InterRAT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G 영역에서 위치 갱신 절차와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를 차례대로 수행 후에 InterRAT 셀 재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2G 시스템의 셀 영역에서 위치 갱신 과정 또는 라우팅 영역 갱신 과정 중에 갱신에 실패하는 경우 단말은 위치 갱신 또는 라우팅 영역 갱신을 위해 재시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재시도가 발생하면, 2G 시스템의 셀에서 3G 시스템의 셀로 InterRAT 셀 재선택 시간이 20~30초 더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뿐만 아니라, 2G 도메인에서 위치 갱신 또는 라우팅 영역 갱신에 의한 시그널링으로 인해 무선 자원(air resource)을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심한 경우 2G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시 네트워크에서 아무런 응답이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20~30초 동안 수신되는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셀 선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셀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수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종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서 셀 선택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종망과 무선 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부와; 핸드오버 플래그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기지국으로 송신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 중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의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이 종료될 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방송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복호하도록 제어하여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를 검사하고,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여 상향 시스템 등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듀얼모드 단말에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후 셀 선택 방법으로, 통신 중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이 종료될 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방송 제어 채널을 복호하여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를 검사하고,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하면, 상향 시스템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모드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11)는 핸드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듀얼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부(212)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시스템에 맞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1)는 본 발명에 따라 셀 선택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셀 선택의 제어는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에서 더 살피기로 한다.
무선부(212)는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RF)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며, 무선부(212)를 통해 제어부(211)로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RF) 신호로 변환하여 공중(Air)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부(212)는 듀얼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모듈로 구성된다. 제어부(211)은 무선부(212)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특성에 맞춰 복조, 디인터리빙 및 복호 동작을 제어하며, 음성 신호인 경우 오디오입출력부(213)를 통해 스피커(SKP)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11)는 오디오입출력부(213)의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부호화, 인터리빙 및 변조하여 무선부(212)로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에 필요한 각종 제어 데이터가 제어부(211)에 입력되면 이들의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여 무선부(212)로 제공한다. 또한 무선부(2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제어부(211)로 제공한다.
메모리(215)는 핸드폰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하는 각종 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ISHO_flag_for_LU 플래그 비트를 저장한다. 상기 ISHO_flag_for_LU 플래그 비트 비트는 통신 중에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플래그를 설정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에서 더 살피기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구동을 위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메모리(215)에 타이머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하거나 또는 앞에서 상술한 제어부(211)에 구비되어야 한다.
표시부(216)는 액정 표시 판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ic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216)에는 핸드폰의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 모터 및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6)는 현재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키 패드(117)는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값을 생성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핸드오버 후 셀 선택 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 선택 시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11)는 300단계에서 3G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2G 시스템으로 InterRAT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과정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핸드오버 절차에 대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어부(211)는 300단계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추가된 플래그인 "ISHO_flag_for_LU"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상기 플래그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라 칭한다. 또한 제어부(211)는 302단계에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1로 설정한 이후 2G 시스템인 GSM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신을 수행을 한 후 제어부(211)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즉, 상기 키 패드(217)로부터 호 종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2G 시스템인 GSM 시스템으로부터 호 종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304단계로 진행하여 GSM 시스템과 호를 종료한다.
이후 제어부(211)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무선부(212)를 제어하여 방송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 BCCH)을 수신한 후 복호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211)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 제어 채널로부터 SI2quater 파라미터가 복호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SI2quater 파라미터가 복호되지 않은 경우 31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었는가를 검사한다.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에서는 타이머의 설정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타이머는 SI2quater 파라미터가 복호되었는가 처음 검사할 때,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방송 제어 채널을 복호할 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타이머 값을 달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5초로 설정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머는 도 2의 메모리(215)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211)의 내부에서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1)는 310단계의 검사결과 타이머가 만료하였다면 3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제어 채널을 계속하여 복호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SI2quater 파라미터가 복호된 경우 제어부(211)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호된 SI2quate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셀을 재선택할 것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312단계의 검사결과 셀을 재선택할 경우 제어부(211)는 3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4단계로 진행하여 2G 시스템인 GSM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을 수행한다. 그런 후 제어부(211)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2G 시스템 상에서 라우팅 영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 RAU)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에 312단계에서 31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11)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다시 0으로 리셋한다. 이를 통해 다음 번에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다시 핸드오버가 발생할 경우 본 발명의 제어 흐름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리셋한 후 제어부(211)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3G 시스템 상에서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하고, 322단계로 진행하여 3G 상에서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G 시스템 영역에서 통신이 종료된 후 3G 시스템으로 위치 등록 및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을 "상향 시스템 등록 과정"이라 칭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새로이 추가하고, 통신 중에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마다 플래그가 세팅된다. 따라서 단말은 2G에서 호가 끊어지면 빠르게 2G 시스템에서 3G 시스템으로 InterRAT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InterRAT 핸드오버 후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ISHO_Flag_for_LU) = 1로 세팅하고, 2G 시스템에서 호가 종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5초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나서 SI2quater를 디코딩할 때까지 단말 동작을 계속 수행하고, SI2quater 정보를 얻게 되면 이를 가지고 2G 시스템에서 3G 시스템으로 InterRAT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을 수행하게 된다. 이의 결과로, interRAT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게 되면 3G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및 라우팅 영역 갱신을 수행하여 불필요하게 2G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하는 과정을 막아준다. 즉, 가능한 경우를 판단하여 상향 시스템 등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보통의 경우 3G 시스템에서 2G 시스템으로 InterRAT 핸드오버 후에 2G 시스템의 호를 끊게 되면, 서빙(serving) 셀, 이웃 셀, 3G 이웃 셀을 측정하게 되고,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복호한다. 그런 후에 위치 갱신 요구(Location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기까지 대략 4 ~ 5초 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타이머를 5초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SI2quater를 찾아내는 것은 정상 동작을 지연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키지는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이후에 셀을 선택할 경우 미리 설정된 플래그 값을 이용하여 3G 시스템에 등록할 것인지 또는 2G 시스템에 등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빠르게 셀을 선택할 수 있으며,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셀 선택이 빨라지므로 호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듀얼모드 단말에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후 셀 선택 방법에 있어서,
    통신 중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를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이 종료될 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방송 제어 채널을 복호하여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를 검사하고,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하면, 상향 시스템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은,
    2세대 망인 GSM 시스템의 기지국과 3세대 망인 WCDMA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향 시스템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GSM 시스템의 기지국에 위치 등록 및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향 시스템 등록은,
    WCDMA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위치 등록 및 라우팅 영역 갱신 절차를 수행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5. 이종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서 셀 선택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과 무선 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고, 기지국으로 송신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를 제어하는 무선부와;
    핸드오버 플래그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부를 통해 통신 중에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시 시스템 하향 핸드오버 플래그의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이 종료될 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방송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복호하도록 제어하여 셀 재 선택을 위한 파라미터를 검사하고, 상향 시스템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여 상향 시스템 등록을 제어하 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KR1020060010391A 2006-02-03 2006-02-03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KR20070079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391A KR20070079633A (ko) 2006-02-03 2006-02-03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391A KR20070079633A (ko) 2006-02-03 2006-02-03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633A true KR20070079633A (ko) 2007-08-08

Family

ID=386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391A KR20070079633A (ko) 2006-02-03 2006-02-03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963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5393A (zh) * 2008-05-12 2012-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的方法、装置及终端
KR101311524B1 (ko) * 2011-10-27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망의 경계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의 망 천이 방법
CN103945362A (zh) * 2013-01-22 2014-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签约数据的方法及装置
US8862170B2 (en) 2010-12-22 2014-10-14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8867432B2 (en) 2011-08-09 2014-10-21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8868086B2 (en) 2011-11-30 2014-10-21 Kt Corporation Selectivel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US8964643B2 (en) 2011-10-26 2015-02-24 Kt Corporation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565606B2 (en) 2011-08-16 2017-02-07 Kt Corporation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radio unit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5393A (zh) * 2008-05-12 2012-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的方法、装置及终端
US10548023B2 (en) 2010-12-22 2020-01-28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10548024B2 (en) 2010-12-22 2020-01-28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8862170B2 (en) 2010-12-22 2014-10-14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9369194B2 (en) 2011-08-09 2016-06-14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8867432B2 (en) 2011-08-09 2014-10-21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9565606B2 (en) 2011-08-16 2017-02-07 Kt Corporation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radio units
US8964643B2 (en) 2011-10-26 2015-02-24 Kt Corporation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014146B2 (en) 2011-10-27 2015-04-21 Kt Corporation Network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KR101311524B1 (ko) * 2011-10-27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망의 경계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의 망 천이 방법
US8868086B2 (en) 2011-11-30 2014-10-21 Kt Corporation Selectivel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US9699695B2 (en) 2011-11-30 2017-07-04 Kt Corporation Selectivel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CN103945362A (zh) * 2013-01-22 2014-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签约数据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4609B2 (ja) Geranからutranへのシステム間セル再選択の改善
US8374152B2 (en) Cell selection system,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TWI475830B (zh) 支援新版utran方法及系統
KR101018543B1 (ko) 전용 gsm 모드에서 패킷 방송 제어 채널 셀에서의 3g측정
US20130217394A1 (en)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JP5397114B2 (ja)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KR20070079633A (ko) 이종망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장치 및방법
US20110319085A1 (en) Controller, radio network controller,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R102013003220A2 (pt) tunelamento expresso de pci acima de uma interconexão de e/s de multiprotocolo
KR2011005622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호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596940B (zh) 一种小区选择或重选方法及装置、终端
US20130252614A1 (en) Methods for preferably camping on and staying in a cell belonging to a high data transmission throughput ra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US20070222852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US20090036134A1 (en) Revision level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ation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US20210329519A1 (en) Cell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7869370B2 (en) Portable internet analyzer having handover test function
WO2011134383A1 (zh) 一种td-scdma小区的gsm邻区配置方法及设备
CN101873653B (zh) 一种小区重定向的方法和系统
US20090017820A1 (en)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11629439B (zh) 一种消息处理方法和消息处理装置
KR101012007B1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신호를스캐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224319B2 (en) Mobil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search method
US20050221831A1 (en) Routing area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essing a network through a secondary communication network
KR100702196B1 (ko) Wcdma fdd를 포함하는 단말의 주파수간 핸드오프및 시스템간 핸드오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