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258A -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258A
KR20070079258A KR1020060009834A KR20060009834A KR20070079258A KR 20070079258 A KR20070079258 A KR 20070079258A KR 1020060009834 A KR1020060009834 A KR 1020060009834A KR 20060009834 A KR20060009834 A KR 20060009834A KR 20070079258 A KR20070079258 A KR 2007007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preference
function
data broadcasting
broadcasting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9258A/ko
Priority to US11/452,368 priority patent/US20070180460A1/en
Priority to EP07290058A priority patent/EP1816853A3/en
Priority to CNA2007100079494A priority patent/CN101014102A/zh
Publication of KR2007007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9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dedicated tools, e.g. video decoder software or IPMP to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Native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 일부 중복되거나, 일부에만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와, 상기 제공 받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The method of managing the option of User Preference in broadcasting receiver which can receive data broadcasting, the class/interfac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플랫폼(Platform)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간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e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f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g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h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i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j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k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701:방송 수신기 102: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103: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
104: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
105: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
106:하드웨어 107: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108: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
109: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
702:지상파 수신부 703:케이블 수신부
704:외부입력 수신부 705:DOCSIS
706:오디오/비디오 디코더 707:오디오/비디오 출력부
708:제어부 709:SDRAM
710:플래쉬 메모리 711:케이블 카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상용화될 경우,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가정내 TV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탑박스(set top box) 또는 셋탑박스를 내장하고 있는 방송 수신기(예를 들어, DTV 등등)의 경우, 데이터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지상파 방송 신호, Composite/S-Video/Component/RGB/HDMI/DVI/IEEE1394에 따른 입력 신호 등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기는 화면 밝기(brightness), 명암비(contrast), 선명도(sharpness) 등의 화질 설정 기능 뿐만 아니라, 영상비(Aspect Ratio), 오디오 언어(Audio Language), 캡션 기능, 자동 켜짐/꺼짐 기능, 그리고 아동 시청 보호(Parental Control)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화질 설정 기능의 경우,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하지 않고 있으나, 그 외의 기능들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송 수신기의 기능 중 일부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제공하는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지원하지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탑박스를 탑재하고 있는 방송 수신기에, 종래의 데이터 방송 규격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째,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지원하는 방송 수신기의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중복되는 기능을 설정하고, 실행시킬지 불분명한 바,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에러 결과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영상비(Aspect Ratio) 설정 기능을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영상비(Aspect Ratio) 설정 방법은 다소 다르거나, 또는 전혀 다를 수도 있다.
즉,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메뉴에서의 영상비(Aspect Ratio) 설정 화면은, '자동(Auto)', '4:3비율', '16:9비율', 'Zoom1', 'Zoom2', 'Horizon', 'Cinema Zoom' 등의 다양한 설정을 지원하는 반면, 방송국 등이 송출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GUI 화면에서, 영상비 설정을 위해 단순히 '4:3비율', 그리고 '16:9비율'의 두가지 옵션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나아가 동일한 옵션이라도 전혀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 대,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GUI 메뉴 화면은, '4:3비율'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GUI 메뉴 화면은, 'Standard' 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GUI 메뉴 화면은, '16:9비율'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GUI 메뉴 화면은, 'Full Screen' 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영상비를 설정하는 것 자체가 매우 혼란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영상비가 '4:3비율'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영상비가 '16:9비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어떤 기준에 따라 영상비를 변경해야 하는 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둘 째,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지원하지 않지만,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지원하는 방송 수신기의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송 수신기가 고장난 것으로 사용자가 오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을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지 않음), 데이터 방송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을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이 다른 출력 모드(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모드, Video 1 모드, Video 2 모드 등등)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데이터 방송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특정 기능이 데이터 방송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로서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제공하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만 지원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일관되게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어서, 예기치 못한 에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a)단계)와, 상기 제공 받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b)단계)와,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 는 사용자 선호 정보(User Preference Information)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서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User Preference Information)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User Preference Information)라는 용어 대신에,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이라는 용어로 설명을 개시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이란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이 의미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a), (b),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존재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일부로써, 추가된 형태로 정의되거나, 또는 새롭게 추가시킨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 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Class)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구조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읽을(reading)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설정하는 기능 또는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존재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일부로써, 추가된 형태로 정의되거나, 또는 새롭게 추가시킨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 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일부 중복되거나, 삭제된 경우, 에러(Error)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방송 모드에서 특정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보다 일목요연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제1실시예)'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예에 대한 설명(제2실시예)'과,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제어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에 대한 설명(제3실시예)'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의 메써드(Method)의 일예에 대한 설명(제4실시예)'과,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시간 흐름순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제5실시예)'과,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설명(제6실시예)'으로 나누어 서술하도록 하겠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프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예를 들어, 디지털 티브이 등등)(101)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나 누어 살펴 보면,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02),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 Nativ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07),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하는 하드웨어(106)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은, 일예로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일예로 OCAP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당해 제1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도,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OCAP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OCAP 데이터 방송 규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데이터 방송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를 고려할 때, 이 점은 명백하다.
예컨대, 케이블 뿐만 아니라, 지상파, 위성 방송을 통한 데이터 방송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 1 내지 6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방송을 통해 데이터 방송을 전송 받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하드웨어(106)는 TV 제조업자 등에 의해, 초기 생산시부터 셋팅되어 있으며, 튜너(Tuner),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 그래픽스(OSD) 등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하드웨어(106)에는 어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이 탑재되며, 상기 어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위에는 상기 튜너, 비디오 디코더 등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 스 드라이버(Device Driver)와, 기타 소프트웨어(Other Software)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이 탑재된다. 그리고, 별도로 상기 Native 어플레이케이션(107)이 탑재된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은 자바(Java)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105)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위에 AWT, HAVi, JavaTV 등의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방송국 등이 전송하여, 상기 방송 수신기(101)에 다운로드(download)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상기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105) 상에서 동작하며, AWT, HAVi, JavaTV 등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튜너, 비디오 디코더 등의 하드웨어(106)를 제어한다.
즉,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의 기능은,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이 제공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 예를 들어, AWT, HAVi 등등)에 의해 제한되는데, 사실상 상기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기(101)의 거의 모든 하드웨어가 조작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는 예를 들어, 자바 클래스 패키지(Java class package)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 EPG, VOD, 그리고 Watch TV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은, 방송 수신기가 동작하는 가장 초기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다른 OCAP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삭제 등을 관장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의 매니저(Manager) 역할을 담당한다. 즉, 데이터 방송업자 등의 정책을 담은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은, 예를 들어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EPG는,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TV 가이드(Guide) 기능 뿐만 아니라, 채널 업/다운(up/down) 등의 방송 수신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는 Watch TV 프로그램의 성격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EPG를 이용하여, 페이 퍼 뷰(Pay-per-view)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Watch TV는, TV를 시청하기 위한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존의 Native 어플리케이션(107)이 수행하던 기능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VOD(Video-On-Demand)는, 일반적인 VOD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RVOD(Real VOD), NVOD(Near VOD)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 디스크(Hard Disc)가 있을 경우, 상기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VOD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Native 어플리케이션(107)은, 전술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같이 방송국 등에 의해 전송 및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이 아니고, 방송 수신기(101)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방송 수신기(101)의 제작시부터 삽입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Native 어플리케이션(107)이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 션의 플랫폼P(104) 및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통신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예컨대 JNI(Java Native Interface)를 통한 방법이 있다.
상기 JNI는 자바(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C, 혹은 C++과 같은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C, 혹은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자바(Java)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필요한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자바 버츄얼 머신(105)에 의해 지원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해서, 상기 하드웨어(106)의 메모리(미도시)에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을 저장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에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109)를 추가시킨다. 다만, 상기 User Preference Table(108), AppUserPreference(109)의 명칭은 일예에 불과하며, 후술할 설명에 따라, 상기 User Preference Table(108), AppUserPreference(109)를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을 탑재한 방송 수신기(101)에서, 사용자는 리모컨 또는 로컬키(Local Key)의 "TV/Video" 버튼 등을 이용하여, 지상파 방송 모드(Antenna), 케이블 방송 모드(Cable), 비디오 1(Video 1), 그리고 비디오 2(Video 2) 등의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입력 모드 및 특정 기능의 설정 및 실행 등과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이 동작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 이션(107)의 기능을 중재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추가적으로 정의한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다양한 실시예들,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은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상에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상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이 상기 SDRAM 상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테이블(108)의 내용은 상기 방송 수신기(101)가 부팅(Booting)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간의 협상을 통해 재작성된다.
반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이 상기 플래쉬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방송 수신기(101)가 부팅(Booting)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간의 협상 및 상기 테이블(108)의 재수립 과정이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의 버젼(Version)이 바뀌어 새로운 데이터 방 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다운로드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간의 협상 및 상기 테이블(108)의 재수립 과정이 필요하다.
다만,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108)에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에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야 하며, 상기 새로운 라이브러리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에 추가하겠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등의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간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라이브러리(Library)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에 대해서는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 제 2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 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i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k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 성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 상기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 기설정된 특정 기능을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예로, "User Preference ID", "User Preference Value",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 그리고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 라는 변수(member)를 가지는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변수(member)의 명칭은 일예에 불과하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종류를 열거하는 테이블이다. 도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더 많은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ID 값이 11이상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Value" 는, 특정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0'인 경우(즉, 영상비(Aspect Ratio) 기능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1'인 경우(즉,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기능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2'인 경우(즉, 아날로그 캡션 서비스(Analog Closed Caption Service) 기능인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3'인 경우(즉, 디지털 캡션 서비스(Digital Caption Service) 기능인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4'인 경우(즉, 클로즈드 캡션 글자체(Closed Caption Font Type) 기능인 경우),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5'인 경우(즉, 클로즈드 캡션 글자 크기(Closed Caption Font Size) 기능인 경우),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6'인 경우(즉, 클로즈드 캡션 글자색(Closed Caption Text Color) 기능인 경우),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7'인 경우(즉, 클로즈드 캡션 배경색(Closed Caption Background Color) 기능인 경우),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8'인 경우(즉, 오디오 언어(Audio Language) 기능인 경우),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9'인 경우(즉, 아동 시청 보호(Parental Control) 기능인 경우),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ID" 가, '10'인 경우(즉, 사용자 언어(User Language) 기능인 경우),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 는, 상기 "User Preference Value" 를 변경하는 권한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는 테이블이다. 다만, 도 4에서는 단순히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구분만을 고려하였으나,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 는, 상기 "User Preference Value" 를 읽은 후, 적용할 권한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는 테이블이다. 다만, 도 5에서는 단순히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구분만을 고려하였으나,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 와, 상기 "User Preferene Use Authority" 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 기능을 설정하는 프로세스(Process)와, 상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적용하는 프로세스(Process)는 일정한 시간차이를 두고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발생된 시점의 환경에 따라 권한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 와, 상기 "User Preferene Use Authority" 를 별도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 3 실시예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에 접근하고,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에 새로운 라이브러리(Library)(109)를 제공한다. 다만, 상기 새로운 라이브러리의 명칭으로 "AppUserPreferen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명칭은 일예에 불과하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사용한다는 것은 다음 4가지 권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권한 : 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권한 (readUserPreferencePermission).
(2) 권한 : User Preference Value의 내용을 갱신할 수 있는 권한(writeUserPreferencePermission).
(3) 권한 :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의 내용에 대한 갱신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requestUserPreferenceSettingAuthorityUpdatePermission).
(4) 권한 :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의 내용에 대한 갱신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requestUserPreferenceUseAuthorityUpdatePermission).
다만, 상기 (1)번 권한의 경우, 하나로 정의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의 각 항목(Value, Setting Authoroty, Use Authority)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르게 권한을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3)번, (4)번 권한의 경우, 갱신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인 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임의로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의 설정 권한(Setting Authority)과, 적용 권한(Use Authority)의 항목을 변경할 수 없고, 다만 상기 항목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4)번의 권한을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 등에 부여하는 방식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은 상기 (1) 내지 (4)번의 권한을 모두 가지고,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을 제외한 기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1)번 또는 (2)번 권한만을 가지도록 설정한다.
한편,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은 상기 (1) 내지 (4)번의 권한을 모 두 가지도록 설정한다.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을 제외한 기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모든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 이유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만이 협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지나치게 협상 이벤트(Event)가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 메써드(Method)에 대하여, 호출하는 각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만약,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메써드(Method)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그 호출을 무시(Throw)한다.
다만,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의 각 메써드(Method)에 대해서는, 제4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의 경우, 자바(Java)로 작성되어,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 상에서 구동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C언어 또는 C++언어와 같은 자바(Java) 이외의 언어로 작성했다고 가정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에 접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의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에 대한 동작 방법 자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의 구현 방법과 동일하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다르게 정의할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의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로의 접근 및 갱신 작업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은, 다른 모든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잘 알고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 자체, 또는 다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영상비(Aspect Ratio)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지 또는 영상비의 설정을 채널 전환 후, 적용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해 잘 알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설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은 자신의 기능 실행 중에, 다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으로부터 어떤 기능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만약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이 모두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와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을 어떻게 중재할 지 문제된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에 대해서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만이 지원을 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지원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와 상기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 를 모두 '1'의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도 4및 도 5 참조). 즉,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만이 특정 기능을 설정(Setting)하고, 적용(Use)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과,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모두 동일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3가지 태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과,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모두 권한을 요청하는 경우, 항상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이 해당 기능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항상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이 해당 기능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GUI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설정한다.
다만, 상기 GUI 화면은,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여,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의 기능을 설명하면,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의 내용을 읽거나, 갱신하고자 할 때, 이를 중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이 가진 기능에 비추어, "User Preference Setting Authority"와, "User Preference Use Authority"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 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해 주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가 가지고 있도록 설계한다.
다만, 상기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이 자신이 해당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의 변경 내용을 알고자 할 경우,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통해 리스너(Listener)를 등록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이 변경될 경우,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등록된 리스너(Listener)들을 호출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에게 상기 테이블(108)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 제 4 실시예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의 메써드(Method)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후술할 메써드(Method)들은 기능 구분과, 명칭 측면에서 일예에 불과하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이해함이 타당하다.
우선,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다음과 같은 상속 관계(Class Hieararchy)를 가질 수 있다.
java.lang.object
l
+--- org.dvb.application.AppUserPreference
그리고,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다음과 같은 메써드(Method)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함수명(변수(parameter));' 식으로 기술한 후, 기술된 함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public void requestUserPreferenceSettingAuthority(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특정 기능(preferenceID)에 대하여 설정 권한(Setting Authority)를 요구할 때,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정 권한(Setting Authority)을 요청할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void requestUserPreferenceUseAuthority(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대하여 사용 내지는 적용 권한(Use Authority)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내지는 적용 권한(Use Authority) 을 요청할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USER_PREFERENCE_VALUE readUserPreferenceValue(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대하여 설정된 값을 읽고자 할 때,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반환값은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상기 preference ID가 '1'의 값을 가진다면, 즉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기능이 선택된 경우(도 2참조), 반환값은 도 3b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이 값을 읽을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 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USER_PREFERENCE_SETTING_AUTHORITY readUserPreferenceSettingAuthority(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대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설정 권한(Setting Authority)을 가졌는지 여부를 알고자 할 경우,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반환값은 도 4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이 값을 읽을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 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USER_PREFERENCE_USE_AUTHORITY readUserPreferenceUseAuthority(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대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내지는 적용 권한(Use Authority)을 가졌는지 여부를 알고자 할 경우,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반환값은 도 5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이 값을 읽을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 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void writeUserPreferenceValue(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USER_PREFERENCE_VALUE preferenceValue);
상기 메써드(Metho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대하여 설정값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메써드(Method)이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preferenceValue는,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 ID)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상기 preference ID가 '1'의 값을 가진다면, 즉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기능이 선택된 경우(도 2참조), 상기 preferenceValue는 도 3b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이 값을 읽을 권한이 없는 경우, 에러( 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public void addUserPreferenceListener(AppUserPreferenceListener, preferenceListener);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preferenceID에 대하여, Value, Setting Authority, Use Authority 등의 변경 사항을 알고자 하는 경우, 상기 메써드(Method)를 사용하여, 리스너(Listener)를 등록할 수 있다.
만약, 호출을 요구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리스너(Listener)를 등록할 권한이 없다면, 즉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읽을 권한이 없다면, 에러(java.lang.SecurityException)를 발생(Throw)한다.
그리고, 상기 AppUserPreferenceListener는 상기 AppUserPreference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기 위한 리스너 인터페이스(Listener interface)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public interface AppUserPreferenceListener extends java.util.EventListener;
한편, 상기 AppUserPreferenceListener는 다음과 같은 메써드(Method)를 가질 수 있다.
public void appUserPreferenceChanged(USER_PREFERENCE_ID preferenceID);
예컨대, 해당 특정 기능(preferenceID)에 대하여, Value, Setting Authority, Use Authority가 변경될 경우, 상기 함수가 호출된다.
다만, 상기 특정 기능(preferenceID)는 도 2에 기술된 값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 제 5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도 1 내지 도 5 부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 등,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판단한다(S601).
다만,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은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과 직접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통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과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에 대해서는, 제 1 내지 4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판단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을 메모리에 저장시킨다(S602).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은 도 2 내지 5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초기에는 디폴트(default)값으로 셋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에 접근하고, 특정값을 읽어내거나, 갱신하며, 방송 수신기의 특정 기능을 구현한다(S603).
- 제 6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도 1 내지 도 6 부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제어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701)는, 지상파 수신부(702), 케이블 수신부(703), 외부입력 수신부(704), DOCSIS(705), 오디오/비디오 디코더(Audio/Video Decoder)(706), 오디오/비디오 출력부(707), 제어부(708), SDRAM(709),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710), 그리고 케이블 카드(Cable Card)(7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기(701)는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티브이(DTV), 또는 iDCR(bi-directional Digital Cable Ready) TV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 카드(711)의 주된 역할은 암호화된(Scrambled) 케이블 방송 신호에 대하여, 암호를 해제(Descramble)하는 것이다.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수신부(703) 내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는 인-밴드 튜너(In-band Tuner)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신호를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는 아웃 오브 밴드 튜너(Out Of Band Tuner)가 탑재되어 있고, 또한 DOCSIS 모뎀을 별도로 탑재할 수 있어서, 상기 케이블 카드(711)와, 케이블 방송 사업자 등의 선택에 의해, 상기 OOB 튜너와 DOCSIS 모뎀을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지상파 수신부(702)는 VSB(Vestigial SideBand) 신호를 전송 받아, 복조(Demodulation)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A/V 디코더(706)로 전달한다. 다만, 상기 A/V 디코더(706)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MPEG 비디오 디코더가 될 수 있고, 오디오 디코더는 AC3 오디오 디코더가 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신부(703)는 내부에 2개의 튜너를 내장하고 있는데, 인-밴드 튜너와, OOB 튜너이다. 특히, 상기 인-밴드 튜너는 QAM 신호만을 수신하며, 상기 OOB 튜너는 QPSK 또는 QA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밴트 튜너를 통해 수신된 QAM 신호는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방송 정보가 포함된 신호로서, 상기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는 암호화(Scrambled)되어 있거나, 또는 암호화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Unscrambled). 다만, 상기 QAM 신호는 암호화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일단 상기 케이블 카드(711)로 전달되어, 암호화를 푸는 과정(Descrambling)을 거친 후, 다시 A/V 디코더(706)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OOB 튜너를 통해 수신된 QAM/QPSK 신호와 DOCSIS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카드(711), 상기 제어부(708), 그리고 케이블 헤드엔드(Cable Headend)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어부(708)는 예를 들어, 마이컴(Micom)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7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Native 어플리케이션(107),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 그리고 튜너 등의 하드웨어(106)들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Driver) 및 기타 필요한 소프트웨어들을 저장시킨다. 다만,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는 일예에 불과하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701)의 전원이 켜지는 순간, 상기 제어부(70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들은 상기 SDRAM(709)으로 옮겨져서, 실행된다.
다만, 상기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709)도 일예에 불과하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국 등은, 데이터 방송을 통해,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을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상기 SDRAM(709)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기(101,701)의 전원을 온(On) 시킬 때 마다, 매번 동일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을 다운로드 하지 않기 위해,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을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는 상기 SDRAM(709) 또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SDRAM(709) 또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의 차이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8)는 상기 SDRAM(709) 또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108)을 이용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기능의 설정, 적용 권한 등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 실행 관리 어플리케이션(103), Native 어플리케이션(107)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108) 및 상기 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109) 등은 상기 플래쉬 메모리(710), 상기 SDRAM(709) 등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제어부(708)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701)가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제어부(708)가 제어한다.
구체적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제공하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만 지원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일관되게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어서, 예기치 못한 에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1)

  1.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b) 상기 제공 받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 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b),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존재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일부로써, 추가된 형태로 정의되거나, 또는
    새롭게 추가시킨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송신소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방법.
  13.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Class)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구조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읽을(reading)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library).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송신소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20.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 옵션을 설정하는 기능 또는 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기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기설정된 사용자 선호 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종류, 상기 기능의 1개 이상의 실시예, 상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기존재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일부로써, 추가된 형태로 정의되거나, 또는 새롭게 추가시킨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AppUserPreference) 라이브러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 권한 또는 설정된 특정 기능에 대한 적용 권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선호 테이블(User Preference Table)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8.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고, 방송 송신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29.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송신소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플랫폼(platform)과 관련된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 옵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KR1020060009834A 2006-02-01 2006-02-01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KR20070079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834A KR20070079258A (ko) 2006-02-01 2006-02-01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US11/452,368 US20070180460A1 (en) 2006-02-01 2006-06-14 Method for managing the option of user's preference in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ata broadcasting, class/interfac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broadcast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class/interface structure
EP07290058A EP1816853A3 (en) 2006-02-01 2007-01-16 Method for managing the option of user's preferences in a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ata broadcasting and broadcast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class/interface structure
CNA2007100079494A CN101014102A (zh) 2006-02-01 2007-02-01 管理用户基准选项的方法、类/接口结构及广播接收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834A KR20070079258A (ko) 2006-02-01 2006-02-01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58A true KR20070079258A (ko) 2007-08-06

Family

ID=3800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834A KR20070079258A (ko) 2006-02-01 2006-02-01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80460A1 (ko)
EP (1) EP1816853A3 (ko)
KR (1) KR20070079258A (ko)
CN (1) CN1010141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192B2 (en) * 2007-06-21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Closed captioning preferences
US20090049500A1 (en) * 2007-08-01 2009-02-19 Hiroshi Aoki Receiving device
TWI378465B (en) * 2007-10-26 2012-12-01 Mstar Semiconductor Inc Storage device and access method of digital tv setting information
CN101534377A (zh) * 2008-03-13 2009-09-16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根据节目内容自动改变字幕设定的方法与系统
US8730301B2 (en) * 2010-03-12 2014-05-20 Sony Corporation Service linkage to caption disparity data transport
US9173004B2 (en) * 2013-04-03 2015-10-27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trans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4261B1 (en) * 1999-10-05 2007-10-16 Intel Corporation Broadcasting and processing multiple data formats
US6690425B1 (en) * 2000-06-22 2004-02-10 Thomson Licensing S.A. Aspect ratio control arrangement in a video display
US7448058B2 (en) * 2003-03-10 2008-11-04 Mark A. Heyner Method for enabling a television user to control operation of application programs on a programmable television controller
US20050149973A1 (en) * 2004-01-06 2005-07-07 Fang Henry Y. Television with application/stream-specifiable language selection
KR20070024496A (ko) * 2004-02-23 2007-03-02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보안 미디어 컴퓨팅 환경을 위한 비디오 출력 생성 방법,컴퓨터 비디오 시스템, 케이블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케이블 데이터 입력 카드
US8201191B2 (en) * 2004-06-30 2012-06-12 Time Warner Cab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ation of network software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6853A3 (en) 2010-05-19
US20070180460A1 (en) 2007-08-02
EP1816853A2 (en) 2007-08-08
CN101014102A (zh)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442B2 (en) Selection of electronic content and services
US20230360679A1 (en) Application tune manifests and tune state recovery
US957827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8752116B2 (en) Method for partly updating software in network television
CA2627294C (en) Infrastructure for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s
US20030009769A1 (en) Trusted application level resource advisor
US20090119708A1 (en) User interface display without output device rendering
US9124931B2 (en) Managing a TV application for over-the-top TV
US9621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KR20070079258A (ko)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선호옵션 제어 방법,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구조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US20170085948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014101B (zh) 管理数据广播的应用的方法、类/接口结构及广播接收机
CN111757176B (zh) 流媒体文件安全播放方法及显示设备
KR100750141B1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해상도 제어 방법, 장치 및그 디지털 데이터 방송 수신기
JP2009044401A (ja) 受信装置
EP3720139A1 (en) Controlling connected tv with a mobile device
SUNDARESHMAN Digital Set Top Box (STB)-Open Architecture/Interoperability Issues
JP2017169225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取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