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733A -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733A
KR20070078733A KR1020070008542A KR20070008542A KR20070078733A KR 20070078733 A KR20070078733 A KR 20070078733A KR 1020070008542 A KR1020070008542 A KR 1020070008542A KR 20070008542 A KR20070008542 A KR 20070008542A KR 20070078733 A KR20070078733 A KR 20070078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ffline
code
online
simpl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590B1 (ko
Inventor
희 한
Original Assignee
희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 한 filed Critical 희 한
Publication of KR2007007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2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20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rinse-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의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와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매칭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중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한 후, 오프라인 컨텐츠 이용자가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코드를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부여하고, 온라인 컨텐츠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부여한 후,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와 온라인 컨텐츠의 URL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컨텐츠 공급자 서버;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오프라인 매체를 구입한 후 오프라인매체에 기록된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간편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편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찾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중개서비스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종이매체, URL, DNS, 간편코드, UNS, 휴대폰

Description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 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SIMPLE CODE OF OFF-LINE CONTENTS }
도 1은 종래에 URL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직접 접근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종래에 카메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바코드 형식의 URL을 인식하는 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 접근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인쇄매체에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인쇄매체에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문에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휴대폰을 이 용하여 제공하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PC에서 이용하여 제공하는 절차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전용 단말기와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프라인 매체 110: 간편코드
120: 사용자 단말기 200: 온라인 컨텐츠 제공 서버
210: 컨텐츠 URL 300: 중개서비스시스템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의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와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매칭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간편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온라인상에 저장된 콘텐츠를 엑세스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호출하기 위한 여러 가 지 방법들이 고안되어 왔다. 이 중에 웹 방식은 웹 사이트를 만들고 그 하위 디렉토리에 컨텐츠를 위치시키고 이 컨텐츠의 위치를 URL로 표시하여 인터넷상에서 링크에 의하여 직접 호출할 수 있게 고안되어 졌다. 또한 웹 사이트에서는 트리 구조로 컨텐츠를 분류저장해 놓고, 임의의 웹 페이지에서 보편적인 이름(예: 청와대)에 해당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URL을 링크시켜 단순히 링크된 이름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러한 온라인상에서의 링크방식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해당 컨텐츠의 URL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웹상의 컨텐츠 명칭을 단순 클릭하여 해당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간편성이 있다.
한편, 오프라인상의 매체에 기술된 이름(예컨대, 종이매체에 인쇄된 "청와대"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상의 매체에 그 컨텐츠가 위치한 웹 사이트 주소(도메인 이름) 또는 URL을 직접 기술할 수 밖에 없다.
도 1은 종래에 URL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공간의 컨텐츠를 직접 호출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책과 같은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10)는 기록된 컨텐츠를 분류하고 식별하기 위하여 책의 제목( 저자, 출판사 등...)(11)과 같이 책의 내용을 대표하는 대표 명칭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책에 실린 개별 컨텐츠들(12)은 컨텐츠가 그림일 경우에는 "그림1", "그림 2" .. 와 같이 순서적으로 번호를 매겨서 식별하고 있고, 내용의 경우는 장이나 절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책에 기록된 컨텐츠에 대응하여 온라인상에 추가로 제공할 컨텐츠(21)가 있을 경우에 종 래에는 해당 페이지에 추가로 제공할 컨텐츠가 존재하는 사이트(20)의 도메인 이름이나 주소, 또는 해당 컨텐츠의 URL(13)이 인쇄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40은 인터넷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프라인 매체(10)에 URL을 기록하여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의 컨텐츠에 접근하는 방식은, 웹 사이트(20)의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여러 단계를 거친 하위 디렉토리에 온라인 컨텐츠(21)가 위치할 경우에 URL의 길이가 길어 인쇄매체에 기록하기도 어렵고, 또 이를 브라우져에 입력시키기도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책에 기록된 문장이나 사진을 보조하는 추가 컨텐츠를 웹상에서 직접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나타나지 못하였다. 즉, 책에 기록하는 컨텐츠와 웹상의 컨텐츠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각각 분리되어 존재하고 있다. 간혹 부록으로 CD에 추가 컨텐츠를 넣어서 책과 함께 제공하거나 해당 책에 대한 웹사이트를 만들어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는 책을 읽다가 관련 추가 컨텐츠를 직접 호출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위에 해당 컨텐츠의 웹상에서의 이름인 URL을 바코드로 인쇄(13')하고, 이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나 카메라(51)로 읽어 들여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호출하는 방안이 한국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번호 10-2005-0030711호로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에 카메라 휴대폰을 이용한 바코드 URL 인식방법 개념도로서, 휴대폰(50)에서 카메라(51)에 의한 바코드 리딩 방식은 추가 컨텐츠 제공이 필요한 모든 곳에 바코드(13')로 URL을 인쇄하여 이를 휴대폰 카메라(51)로 읽어들이고, 휴대폰에 장착된 바코드 인식기(52)로 해석하여 통신모듈(53)과 인터넷(40)을 경유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20)의 온라인 컨텐츠(21)로 직접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추가 컨텐츠 제공이 필요한 모든 곳에 수 많은 바코드를 인쇄하므로써 책 내부 지면의 모양을 부자연스럽게 하고, 휴대폰으로 여러 번 촬영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휴대폰에 바코드 인식을 위한 장치를 부착하므로써 비용의 상승과 카메라가 휴대폰에 부착되어 있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만약, 책의 지면에, 추가 제공이 필요한 컨텐츠의 위치가 손쉽게 표시될 수가 있고 이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일 대 일로 추가 컨텐츠를 직접 호출할 수 있다면, 책은 정제된 컨텐츠의 내용을 기록하고 웹상에, 종이 매체에 담지 못한 추가 컨텐츠, 예를 들면 동영상이나 각종 참조 컨텐츠, 사진, 오디오 컨텐츠를 책의 지면 상의 문맥이나 위치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더러 각종 잡지에 등장하는 옷이나 상품을 온라인과 연계하여 판매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온라인상에 저장된 콘텐츠를 호출하기 위해 URL 대신에 간편코드를 부여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할 수 있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코드를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부여하는 단계;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와 상기 온라인 컨텐츠의 URL을 매칭시켜 중개서비스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에 간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이 상기 입력된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찾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이용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코드를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부여하고,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부여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와 상기 온라인 컨텐츠의 URL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컨텐츠 공급자 서버;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오프라인 매체를 구입한 후 오프라인매체에 기록된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간편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편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찾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중개서비스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공급자가 오프라인 인쇄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이하, '오프라인 컨텐츠'라 한다)와, 이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여는 온라인 서버상에 저장된 추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이하, '온라인 컨텐츠'라 한다)를 각각 제작한 후,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하기 위한 URL 대신에 소정의 코드(이를 '간편코드'라 한다)를 해당 오프라인 컨텐츠에 부여하여 온라인상의 해당 컨텐츠를 쉽게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간편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하기 위해서는 간편코드를 해당 URL로 변환해주는 중개서비스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URL에 대응되어 인쇄매체에서 사용될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방법과, 이 간편코드를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시에 URL로 번역하여 온라인 컨텐츠를 제공해 주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 그리고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를 이동통신 단말기나 전용 컨텐츠 단말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URL에 대응되어 인쇄매체에서 사용될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를 사용한 컨텐츠 호출 개념도이다.
통상,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10)인 책이나 잡지는 책 제목이나 잡지명과 같이 해당 책이나 잡지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표하는 명칭(11)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책이나 잡지에 실린 개별 컨텐츠들(12)은 컨텐츠가 그림일 경우에는 "그림1", "그림 2" .. 와 같이 순서적으로 번호를 매겨서 식별하고 있고, 내용의 경우는 장이나 절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책을 웹 사이트에 대응시키면, '책 제목'은 책 내부의 각종 컨텐츠를 대표하는 도메인 이름에 해당되고, 해당 '그림의 번호'나 '페이지'는 책 제목에 대응하는 도메인과 해당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절대경로(URL)에 해당된다고 볼 수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100) 공간에는 오프라인 컨텐츠(100)가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온라인상의 서버(200) 공간에는 온라인 컨텐츠(210)가 있다. 컨텐츠 공급자는 오프라인 컨텐츠(100)를 배포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라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100)에 기록된 컨텐츠를 지정하기 위한 간편코드(110)를 부여하고, 오프라인상의 컨텐츠(100)에 대응하는 온라인상의 컨텐 츠(210)를 웹 사이트의 하위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이때 온라인상의 컨텐츠(210)의 위치는 URL로 지정되고, 간편코드(110)는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 전체를 지정하는 제1 코드(이를 U코드라고도 한다:111)와 해당 인쇄매체의 내부에 기록된 개별 컨텐츠를 지정하는 제2 코드(이를 UU코드라 한다:112)로 지정된다.
컨텐츠 공급자는 오프라인 컨텐츠를 배포하기 전에 온라인 컨텐츠를 구축한 후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 간편코드(110)와 대응하는 URL을 등록한다(1). 이에 따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다음 표1과 같이 오프라인 컨텐츠(100)에 부여된 간편코드(110)와 이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210)의 URL을 매핑시키는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다.
간편코드 URL
제1 코드 제2 코드
U001 UU0001 http://www.kipo.net/patent/change/kkk1.html
U001 UU0002 http://www.kipo.net/patent/change/kkk2.htm
U001 UU0003 http://www.kipo.net/patent/change/kkk3.htm
이후 오프라인 인쇄매체를 구독하는 사용자가 온라인상의 추가 컨텐츠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 때는 종래와 같이 복잡한 URL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입력한다(2). 이에 따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된 간편코드를 데이터베이스의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대응하는 URL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에 알려주고(3),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20)가 변환된 URL을 통해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한다(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URL의 입력없이도 간편코드로 쉽게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억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오프라인 인쇄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에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방법은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에 기록된 전체 컨텐츠를 지정하는 제1 코드(U코드)를 부여하는 단계와, 해당 인쇄매체의 내부에 기록된 개별 컨텐츠에 대해서는 다시 제2 코드(UU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인쇄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책의 표지에 제1 코드(111)를 부여하는 예이고, 도 5는 간편코드를 바코드와 문자 및 숫자방식으로 인쇄한 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를 신문에 적용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라 책(혹은 잡지)에 간편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은 도 4와 같이 책의 맨 앞장(10a) 또는 뒷장(10b)에 책에 대한 제1 코드(111)를 기록하고, 책의 내용에는 순서대로 별도의 제2 코드(112)를 부여(예컨대, 0003)하여 사용한다. 책 자체에 부여되는 제1 코드(111)는 책의 제목과 저자, 출판사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 명칭으로서, 사람이 인쇄매체를 식별하던 명칭을 그대로 사용(예컨대, U제3의물결지경사엘빈토플러)하거나 필요시 숫자(예컨대, U 23456789)로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 코드(111)는 휴대폰의 카메라나 바코드 리더기로 읽어 들일 수 있게 도 5와 같이 바코드(111b)와 함께 인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드(111)는 해당 책 내부에 있는 각 개별 컨텐츠들을 대표하는 명칭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코드(111)를 인쇄매체에서 사용하는 책 제목 등의 자연스런 명칭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나머지 책 내부의 각각의 컨텐츠는 책 내에서의 순서대로 별도의 제2 코드(112)를 부여(예:0003)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폰이나 사용자 단말기로 간편코드를 입력시에 제1 코드(111)를 한번만 입력한 후, 다음부터는 요구되는 각 개별 컨텐츠의 간편코드는 제2 코드(112)만을 키패드로 간단히 입력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이때 제1 코드가 바코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코드 리더기나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PC를 사용하여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 접속한 경우에는 제1 코드(111)를 입력하고 나면 각 개별 컨텐츠는 서너 자리의 숫자로 된 제2 코드(112)만을 입력하거나 단순 클릭에 의해서 URL입력 없이 해당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코드(112)는 책의 내용상에 필요한 곳에 간편하게 번호를 인쇄하여 사용되므로 기존의 책 인쇄 방식을 해치지 않고, 자연스러운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사용은 한정된 지면으로 인하여 종이매체에 기록하지 못한 추가 컨텐츠를 책의 생산자가 온라인으로 직접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게 도와 주며, 사용자는 책을 읽으면서 온라인과 연동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
한편, 현재 각 신문사는 신문에 게시된 기사의 내용을 보완하는 동영상을 해당 신문사의 웹사이트에서 동영상 페이지에서 모두 한번에 모아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러한 추가 컨텐츠가 있는지를 신문을 보고 알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알더라도 신문사 사이트를 단계적으로 클릭하여 찾아가야 하므로 복잡하다.
본 발명을 신문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문의 상단이나 하단에 제1 코드(24)를 인쇄하고, 각 기사의 마지막에 제2 코드(25,26)를 인쇄해 놓으면 사용자는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서 제1 코드와 제2 코드로 된 간편코드를 입력하여 바로 해당 동영상을 볼 수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제1 코드는 저장되어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사용자는 제2 코드만으로 해당 컨텐츠를 손쉽게 호출할 수 있다. 특히, 보고자하는 개별 컨텐츠가 연속된 경우는 휴대폰이나 키보드의 상하 커서 또는 마우스만으로 다음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코드를 각종 잡지나 서적에 적용시 온라인상의 추가 컨텐츠를 책의 내용과 자연스럽게 직접적으로 연계 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 각종 사용자 단말기(120)를 매개로 하여 종이매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통합된 새로운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코드를 부여하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컨대, 책에서의 추가 컨텐츠 제공 위치 순서에 따른 일련 번호(예:UU 001, UU002..)를 제2 코드로 부여할 수 있고, 책의 페이지를 제2 코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일 페이지에 여러 개별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페이지에 식별번호를 첨가하여( 예컨대, 25 페이지의 3번째는 " UU 25.3"으로 부여) 제2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기타 특정 기호나 숫자, 글자로 부여하거나 기존의 표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 그림1-1, 사진 2-1 등) 이외에도 상기 사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앞이나 뒤에 추가적인 코드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2] 간편코드를 URL로 번역하여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를 연동하는 서비스 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위한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의 등록을 위한 관리서버(310)와, 사용자에게 중개를 위한 웹서버(320), 그리고 간편코드와 URL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이 저장된 데이타베이스(330)로 구성된다.
컨텐츠 제공자는 자신의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저장한 온라인 컨텐츠들의 위치정보인 URL과 자신의 인쇄 매체에서 사용할 간편코드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의 관리서버(310)를 통해 데이타베이스(33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120)가 간편코드를 인터넷(102)를 경유하여 웹서버(320)에 보내오면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이 이 간편코드를 URL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20)가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절차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업체(예; 잡지사)가 자신의 책에서 사용할 간편코드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 등록한다(1). 이때 등록하는 간편코드의 내용은 제1 코드 및 제2 코드와 이에 대응되는 온라인상의 컨텐츠 명칭인 URL들이다.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간편코드와 URL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어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업체는 자신의 인쇄매체에 간편코드를 삽입 인쇄하여 책자로 발간하고, 이를 판매 배포한다(2).
그리고 사용자가 책의 내용중에 추가 컨텐츠를 얻고자 할 때는 책 속에 기록된 간편코드(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하여 입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 간편코드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으로 보낸다(3,4).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수신된 간편코드에 대응되는 URL을 DB에서 검색하여 해당 URL을 사용자 단말기(120)에 보낸다(5). URL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URL을 사용하여 최초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컨텐츠를 호출하여 재생 사용한다(6).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는 서비스 주체와 컨텐츠 제공자가 분리되어 운영되거나 또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서 상기 변환을 하도록 체계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어느 방법도 본 발명의 사상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 명백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와 PC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휴대폰에 적용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를 PC에서 사용하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휴대용 컨텐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PMP 등)에 적용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가 잡지를 읽다가 간편코드를 사용할 필요가 발생하면, 도 9와 같이 먼저 휴대폰(400)의 간편코드 메뉴로 이동한다. 이어 잡지의 제1 코드(110)를 키패드(410)로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이때 카메라(420)가 부착된 간편코드 서비스 휴대폰(400)의 경우에는 바코드로 된 제1 코드(110)를 카메라(40)로 촬영할 수도 있다.
이어 제2 코드를 키패드(410)로 입력하고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해 엔터를 누른다. 만일, 간편코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폰의 경우는 간편코드 사이트 주소를 사전에 연결되도록 미들웨어(430)에 삽입시켜 놓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의 미들웨어(430)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로 된 간편코드(110)를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 전송하고,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간편코드를 수신받고 이를 DB에서 검색하여 요청된 URL을 휴대폰(4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바코드 형태의 간편코드의 경우는 바코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서 이를 해석하여 해당 URL을 검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의 미들웨어(430)가 중개서비스시스템(300)으로부터 해당 요청 컨텐츠의 URL을 수신받고, 휴대폰의 미들웨어(430)가 수신된 URL을 사용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 상의 컨텐츠를 호출하여 휴대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디스플레이, 스피커 등)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만일, 간편코드를 지원하도록 별도의 미들웨어가 설치된 휴대폰이 아닌 경우는 휴대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간편코드 사이트에 접속하고, 간편코드를 입력하므로써 간편코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 서비스는 별도의 휴대폰 미들웨어 수정 없이 중개서비스시스템의 웹서버(320)를 통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카메라가 없는 모든 휴대폰이나 PDA, PMP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휴대폰에 간편코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제1 코드 리스트를 저장 검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코드만을 키패드로 입력하여 해당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게 고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PC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PC는 휴대폰에 비하여 이동성이 떨어지고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바코드 형태의 간편코드를 촬영하기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PC에서는 휴대폰과는 달리 브라우져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간편코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 10과 같이 사용자를 위한 간편코드 중개서비스용 웹사이트(300)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브라우져를 통해서 간편코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간편코드를 입력하면 제2 코드의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보여주고 이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컨텐츠 제공자용 서버(200)의 해당 URL로 자동 연결시키도록 한다.
사용절차를 설명하면 도 10과 같이, 사용자는 중개서비스시스템(300) 내의 간편코드 웹사이트를 브라우져로 호출하고, 간편코드 웹페이지를 통하여 제1 코드를 입력한다(S1,S2).
이어, 간편코드 웹사이트는 입력된 제1 코드에 해당되는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고 해당 간편코드의 제2 코드 전체를 링크 형태로 화면에 보여 준다(S3).
사용자는 원하는 제2 코드를 키보드나 마우스로 클릭하여 해당 컨텐츠를 호출하고, 해당 컨텐츠는 사용자 PC에서 재생된다(S4,S5).
이 방법을 적용 시에는 사용자 측에는 추가적인 비용이나 변경이 없이, 컨텐츠 제공자나 간편코드 서비스 제공자가 간편코드 웹사이트 운영만으로 간편코드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3] 전용 컨텐츠 단말기와 리모컨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를 연동하는 서비스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간편코드를 적용하는 책이 동영상이나 음성파일의 재생을 추가 컨텐츠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단말기의 앞에 위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편안한 장소에서 기대어 책을 읽다가 필요한 추가 컨텐츠를 그 위치에서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한 방법으로 도 11과 같은 간편코드 리모컨 장치를 고안하였다.
간편코드 리모컨 장치는 간편코드 입력을 위한 리모컨(550)과 단말기용 센서(540)와, 센서용 드라이버(520), 그리고 전용 컨텐츠 단말기(500)에 입력된 간편코드를 간편코드 사이트와 연결하는 전용 프로그램(510)으로 구성되어 진다. 리모컨(550)의 파워(또는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전용 컨텐츠 단말기(500)는 이 신호를 센서(540)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이 데이타는 센서의 드라이버(520)를 경유하여 전용 프로그램(510)을 구동시킨다.
전용 프로그램(510)은 전용 브라우져(530)를 통하여 자동으로 간편코드 웹사이트와 연결하고, 사용자가 리모컨(550)으로 간편코드를 입력 시에 리모컨의 신호를 식별하여 웹페이지에 간편코드를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안한 전용 브라우져(530)는, 사용자 편리성을 위하여 전용 브라우져에 키보드로 간편코드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전용 브라우져(530)가 등록되거나 최근 사용한 간편코드의 리스트를 저장하며, 이를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로 제시하므로서 리모컨으로 간편코드를 매번 입력하지 않고 방향키만으로도 간편코드 호출이 가능하도록 간편코드 전용 브라우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종이매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리모컨(550)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호출 재생할 수 있게 하므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을 확장시켜 준다. 이 장치를 아동용 도서를 읽어주는 서비스에 적용할 경우는 그 절차는 아래와 같다.
먼저, 출판사는 아동도서의 동화구연 음성파일을 동화책의 페이지 별로 스트리밍 파일로 만들어 URL을 부여하고 온라인상에 저장해 둔다. 이어, 제1 코드(이 경우 리모컨의 키패드로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동화책의 제목과 출판사 이름 대신에 숫자 형태의 간편코드 사용)와, 제2 코드(이 경우 동화책의 페이지)와 해당 URL을 중개서비스시스템(300)에 등록한다.
그리고 동화책 표지나 뒷장에 간편코드를 인쇄하고, 간편코드 서비스 사용법을 책에 첨부한다. 이어, 사용자는 동화책을 펴고 리모컨(550)의 시작버튼을 눌러 전용 컨텐츠 단말기(500) 안의 간편코드 전용 프로그램을 가동시킨다. 이어, 동화책의 간편코드를 리모컨 숫자 키패드로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이에 따라, 간편코드를 수신한 중개서비스시스템(300)은 해당 코드의 URL을 링크시킨 제1 코드 리스트를 전용 브라우져에 나타낸다.
이후 사용자는 제2 코드 또는 방향키를 사용하여 해당 제2 코드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눌러 실행시킨다. 사용자 전용 단말기는 해당 URL의 컨텐츠를 연결하여 동화구연 파일을 재생한다. 이후 다음 페이지를 사용 시에는 상,하,좌,우 키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상의 컨텐츠 주소인 URL을 오프라인상의 컨텐츠 코드와 일대일로 매칭시켜 중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종이매체의 공간적/비용적 제한 사항을 극복하고 온라인 컨텐츠 공간과 자연스럽게 통합시키므로 별도의 추가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종 서적에 적용하므로써 비용과 공간의 문제로 종이에 모두 인쇄하지 못한 추가적인 문자, 그림, 동영상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웹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직접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간편코드를 적용한 서적은 다 른 서적에 비하여 보다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때, 출판사는 발간하는 책마다 웹사이트를 만들 필요가 없다.
둘째, 주요 내용만을 요약하여 종이로 인쇄 출간하고, 나머지는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공하므로써 출판 비용을 줄이고, 인터넷과 통합된 새로운 책의 발간이 가능하다.
셋째, 책을 읽어주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음악책, 동화책이나 어학 책에 적용시 새로운 시장의 형성이 가능하다.
넷째, 사용자는 책마다 다른 사이트를 접속하여 필요 컨텐츠를 찾을 필요가 없이 중개서비스를 위한 간편코드 중개서비스사이트를 통하여 단일 인터페이스로 필요한 추가 컨텐츠의 호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간편코드 리모컨 사용 시는 원격에서 온라인 컨텐츠의 직접 재생이 가능하다.
다섯째, 휴대용 컨텐츠 단말기(예: 휴대폰) 사용시에는 카메라가 없어도 키패드로 간편하게 간편코드 사용이 가능하고, 바코드를 책 내부에 인쇄하여 책의 모양을 해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바코드의 인식을 위하여 휴대폰에 인식장치의 설치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추가 컨텐츠 요청 시마다 매번 카메라로 바코드를 촬영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한번 연결 후에는 상하좌우 키로 다음 컨텐츠의 호출이 가능하므로 매번 카메라로 촬영하는 핫코드 서비스에 비하여 편리하다.
여섯째, 사용한 URL을 모두 휴대폰이나 컴퓨터에 저장할 필요가 없이 간편코드(책제목)만을 저장하여 메뉴방식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휴대폰처럼 저장공간과 검색이 제한적인 경우에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일곱째, 잡지나 팜플렛에 적용시에는 동영상이나 추가 컨텐츠의 제공은 물론 직접 구매나 예약 등이 가능하므로 종이매체의 광고를 직접 온라인 쇼핑몰로 확장이 가능하다. 특히, 잡지사의 경우는 별도의 쇼핑몰 구축 없이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가 있고, 잡지별로 동일 상품도 다른 간편코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잡지별 광고를 통한 상품판매 효과를 측정할 수가 있다.

Claims (9)

  1.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코드를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부여하는 단계;
    컨텐츠 공급자가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와 상기 온라인 컨텐츠의 URL을 매칭시켜 중개서비스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에 간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이 상기 입력된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찾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코드는
    오프라인상의 인쇄매체 전체를 지정하는 제1 코드와, 해당 인쇄매체의 내부에 기록된 개별 컨텐츠를 지정하는 제2 코드로 계층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인쇄매체를 지정하기 위한 책 제목이나 잡지명, 신문제목 혹은 숫자나 문자의 조합이고, 상기 제2 코드는 해당 책이나 잡지의 페이지나 그림번호 혹은 숫자나 문자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코드는 바코드형식으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방법.
  5.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매체의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 이용자가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간편코드를 상기 오프라인 매체의 컨텐츠에 부여하고, 상기 온라인 컨텐츠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부여한 후, 상기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와 상기 온라인 컨텐츠의 URL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컨텐츠 공급자 서버;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오프라인 매체를 구입한 후 오프라인매체에 기록된 오프라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간편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편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찾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중개서비스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급자 서버와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은 단일 서버에 구축되고, 상기 컨텐츠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컴퓨터나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간편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간편코드를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으로부터 간편코드에 대응하는 URL을 수신하면, 수신된 URL을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 상의 온라인 컨 텐츠를 호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들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간편코드 입력용 리모컨;과
    상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시키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상기 센서를 통해 수신된 리모컨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간편코드 웹페이지를 컴퓨터 화면에 열어 주고, 입력된 간편코드를 상기 중개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여 대응하는 URL을 획득한 후 상기 URL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컨텐츠를 억세스하여 재생해주는 전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용 컨텐츠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매칭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08542A 2006-01-27 2007-01-26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89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150 2006-01-27
KR1020060009150A KR20060119732A (ko) 2006-01-27 2006-01-27 온라인상에 저장된 정보 호출을 위한 간이코드 부여 방법과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 연동 서비스 체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33A true KR20070078733A (ko) 2007-08-01
KR100889590B1 KR100889590B1 (ko) 2009-03-20

Family

ID=377065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150A KR20060119732A (ko) 2006-01-27 2006-01-27 온라인상에 저장된 정보 호출을 위한 간이코드 부여 방법과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 연동 서비스 체계
KR1020070008542A KR100889590B1 (ko) 2006-01-27 2007-01-26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150A KR20060119732A (ko) 2006-01-27 2006-01-27 온라인상에 저장된 정보 호출을 위한 간이코드 부여 방법과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 연동 서비스 체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24690A1 (ko)
KR (2) KR20060119732A (ko)
WO (1) WO20070867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58B1 (ko) * 2008-02-29 2010-03-02 주식회사 지오다이스 특정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캡션 데이터를 제공하는장치 및 서버
WO2016125932A1 (ko) * 2015-02-05 2016-08-11 에스피테크놀러지주식회사 온/오프라인 연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907A2 (en) * 2011-01-14 2012-08-02 CHANG, John S.M.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gmented experience of products and marketing materials using barcodes
KR20160060173A (ko) * 2014-11-18 2016-05-30 윤재근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정보 관리 방법
CN106780665A (zh) * 2016-11-28 2017-05-31 秘境(上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贺卡定制系统及基于该贺卡定制系统的定制方法
KR102257874B1 (ko) * 2020-09-18 2021-05-28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3438228B (zh) * 2021-06-23 2022-08-23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应用的登录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727A (en) * 1996-02-01 1999-08-17 Ikeda; Takashi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via digital codes
US6061738A (en) * 1997-06-27 2000-05-09 D&I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network using message aliasing functions having shadow callback functions
JPH11328076A (ja) * 1998-05-14 1999-11-30 Atex: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1084378A2 (en) * 2000-05-01 2001-11-08 R.R. Donnelley & Sons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ng a web page to a client device based on printed publications and publisher controlled links
KR20000054472A (ko) * 2000-06-08 2000-09-05 김봉경 바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7762B1 (ko) * 2000-09-22 2004-09-08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서적 등에 부가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6072A (ko) * 2000-11-07 2002-05-16 황기수 계층적 구조의 코드를 사용한 인터넷 자동 접속 방법 및시스템
US20030120749A1 (en) * 2001-12-21 2003-06-26 Kotzin Micha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ternet content for a wireless device
US8271489B2 (en) * 2002-10-31 2012-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oto book system and method having retrievable multimedia us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code
KR20040081890A (ko) * 2003-03-17 2004-09-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코드 패턴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01739A (ko) * 2003-05-26 2004-12-03 이양호 핫넘버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 상품 판매 광고 방법 및 그시스템
US20050162699A1 (en) * 2004-01-22 2005-07-28 Fuji Photo Film Co., Ltd. Index printing device, instant film, service server, and servicing method
KR100692660B1 (ko) * 2004-03-24 2007-03-13 주식회사 아이콘랩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6114827A1 (ja) * 2005-04-06 2006-11-02 Content Idea Of Asia Co., Ltd. 透過型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付き物品、二次元コードの印刷方法および表示方法
US20060282500A1 (en) * 2005-06-13 2006-12-14 Yutaka Kiuchi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anaging symbol an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58B1 (ko) * 2008-02-29 2010-03-02 주식회사 지오다이스 특정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캡션 데이터를 제공하는장치 및 서버
WO2016125932A1 (ko) * 2015-02-05 2016-08-11 에스피테크놀러지주식회사 온/오프라인 연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6714A1 (en) 2007-08-02
US20090024690A1 (en) 2009-01-22
KR100889590B1 (ko) 2009-03-20
KR20060119732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200B2 (ja) 取り込まれたレンダリングテキストに基づくコンテキスト動的広告
KR100889590B1 (ko) 오프라인 컨텐츠의 간편코드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를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온라인 컨텐츠 연동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US65358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an interactive electronic representation of a conventional static media object
US20120036429A1 (en) Electronic book system and content server
JP5096619B2 (ja) ホームページ統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981570A (zh) 用于与内容对象集成、关联和交互的开放式架构
WO2005029353A1 (ja) 注釈管理システム、注釈管理方法、文書変換サーバ、文書変換プログラム、電子文書付加プログラム
CN1146119A (zh) 交互式记录/再现媒体和再现装置
JP2001524238A (ja) 印刷本用の追補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
US20140019835A1 (en) Digital Book Provision System
US20050188057A1 (en)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ed therei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to implement contents service method
JP200727986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電子商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705853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70182826A1 (en) Data access, resolution, and delivery method through the use of multi-bit digital icons
JP424819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0140250A (ja) 情報提供管理システム、情報提供管理方法及び情報提供管理プログラム
KR200900007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 녹음방식의 소리책 제작 시스템 및방법
KR102576742B1 (ko) 정보 링크 시스템, 정보 링크 프로그램, 및 정보 링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0929925B1 (ko)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62342B1 (ko)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8001123B2 (en) Open source publishing system and method
JP2010244499A (ja) 印刷紙面上にあるデジタル画面等による仮想的に複数項目をリアルタイムに情報受信、及び変更システム
JP4963259B2 (ja) サーバ装置
KR100505344B1 (ko) Urn 기능을 사용한 네임 식별자 다중 변환 서비스 및 시스템
KR20110066041A (ko) 3차원 가상현실 e-book 콘텐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