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628A -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 Google Patents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628A
KR20070078628A KR1020060009068A KR20060009068A KR20070078628A KR 20070078628 A KR20070078628 A KR 20070078628A KR 1020060009068 A KR1020060009068 A KR 1020060009068A KR 20060009068 A KR20060009068 A KR 20060009068A KR 20070078628 A KR20070078628 A KR 2007007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communication network
wcdma
networ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017B1 (ko
Inventor
노정민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17B1/ko
Priority to US11/652,382 priority patent/US8068446B2/en
Priority to CNA2007100077357A priority patent/CN101009896A/zh
Publication of KR2007007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패킷 서비스 시 도먼트(dormant) 상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도중에 발생하는 도먼트(dormant)혹은 프리저베이션(preservation)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으로 진입한 경우 현재의 패킷 호를 종료하고 서비스 가능한 새로운 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행동을 취할 경우 바로 패킷 호 재접속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신 모드를 찾을 수 있다.
도먼트, WCDMA, CDMA

Description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멀티모드 단말기{METHOD OF PROCESSING EFFECTIVE DORMANT IN PACKET SERVICE AND THE MULTI-MODE TERMINAL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제어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제어흐름도.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멀티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방식은 현재 2세대인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및 유럽형 이동통신(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에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시스템과 같은 3세대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3세대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해당 망을 설치하여야 하나, 현재 2세대망이 이미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꺼번에 제거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과도기적으로 이러한 2세대망의 기반 시설을 이용하면서 대도시 일부 지역부터 3세대망이 설치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2세대 CDMA방식과 3세대인 WCDMA 방식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서비스 측면에서 경제적이기 때문에, WCDMA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기존 2세대 CDMA도 지원할 수 있는 멀티모드 단말기로 제작된다. 이런 단말기의 가장 큰 특징은 대기상태에서 WCDMA와 CDMA 두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대기 핸드오버(IDLE HANDOVER) 기능과, 통화중에 WCDMA 음영지역에 들어갈 경우 CDMA로 통화 끊김 없이 모드를 전환하는 트래픽 핸드오버(TRAFFIC HANDOVER) 기능, 그리고 패킷타입의 데 이터 호를 모드를 전환하여 다시 접속하는 패킷 호(Packet Call) 재접속 기능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2세대 방식인 CDMA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만 단말기 입장에서는 순간적으로 모드를 바꿔서 핸드오버 및 재접속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진다.
한편,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무선망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접속 요금을 낮출 수 있는 기술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그중에 하나로 패킷 서비스의 경우 비교적 장시간 사용할 경우 요금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로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동안 단말기를 도먼트(Dormant) 상태에 두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도먼트란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 접속이 끊긴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사용자의 요구가 입력되면 접속 상태로 되도려주는 기술을 말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패킷 호의 경우에도 그 패킷 호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상태지만 무선망과의 데이터를 주고 받지 않는 상태를 도먼트(dormant) 또는 프리저베이션(preservation) 상태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도먼트 상태는 단말기 또는 시스템의 무선 링크를 관리하는 곳에서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무선 네트워크와 주고 받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진입한다. 만일 도먼트 상태에 진입하면 사업자 입장에서는 무선 자원을 아끼기 위해서 무선 링크를 해제하고, 패킷 호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필요한 IP주소 등과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을 나타내는 QoS(Quality of Service)만을 저장해둔다. 그 후 다시 타이머를 돌려서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를 주고 받지 않으면 동작중인 어플리 케이션을 종료하고 저장해둔 주소와 QoS 정보도 삭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모드 단말기(50)는 WCDMA 망(20~40) 즉, 중첩지역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CDMA 단독 지역(10)에 진입하면 WCDMA 기지국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CDMA 기지국을 탐색한 후, CDMA 기지국이 발견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여 핸드오버를 완료한다. 이와 반대로 중첩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인 듀얼모드 단말기(50)는 소정 조건에 따라 다시 WCDMA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WCDMA 망이 GSM망일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동일하게 수행된다.
하지만 도먼트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영지역이나 경계지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접속을 시도할지라도 바로 재접속 상태로 돌아오기 어렵다.
먼저,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의 패킷 서비스 요청에 따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즉, 제어부(120)는 200단계 내지 220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설정된 패킷 타입의 통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나서 더이상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예컨대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 WCDMA 기지국(100)에서는 도먼트 상태로 들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이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WCDMA 기지국(10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WCDMA 모뎀(110)으로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해제 시킨다. 메시지 수신 시 WCDMA 모뎀(110)은 도먼트 상태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235단계에서 제어부(120)에 알린다.
하지만 단말기는 210단계 내지 215단계에 해당하는 ACTIVATE PDP CONTEXT 절차에 의해서 획득한 IP주소와 QoS 정보는 계속 가지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종료시키지 않는다. 그 후 다시 WCDMA 기지국(100)에서는 도먼트 타이머를 동작시키는데, 도먼트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WCDMA 모뎀(11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240단계 내지 245단계에서와 같이 DEACTIVATE PDP CONTEXT 절차를 거쳐서 단말기에게 할당한 IP 주소와 QoS 정보를 삭제한다. 이어, 250단계에서 호 종료 메시지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WCDMA 기지국(100)에서는 도먼트 상태에서 음영지역이나 경계지역으로 들어가더라도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착신 호나 단문 메시지 등 WCDMA 망으로부터의 서비스를 처리하지 못한다.
이어, 도 3을 참조하여 CDMA 모드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DMA 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300단계 내지 320단계를 거쳐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이 무선으로 CDMA 기지국(140)과 데이터를 주고 받던 중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CDMA 기지국(140)에서 도먼트 상태로 들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어떤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 사용자가 정보를 보기 위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다음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접속이 일시 중단된다. 이와 같이 CDMA 모뎀(1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CDMA 기지국(140)은 325 단계에서 해제 명령(Release Order) 메시지를 CDMA 모뎀(130)으로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해제시킨다.
한편, 해제 명령을 수신한 CDMA 모뎀(130)은 이때부터 도먼트 상태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330단계에서 도먼트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DORMANT INDICATION)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하지만 미리 획득한 IP주소와 QoS 정보는 계속 가지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종료시키지 않는다. 그 후 다시 CDMA 모뎀(130)에서 도먼트 타이머를 동작시켜 CDMA 기지국(140)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할당받은 IP 주소와 QoS 정보를 삭제하고, 335단계에서 호 종료 메시지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먼트 상태에서는 음영지역이나 경계지역으로 들어가더라도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대기 상태로 복귀하고 나서야 음영지역인지 경계지역인지를 판단하여 모드 전환을 시도한다. 따라서 도먼트 상태에서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네트워크에서 수신하는 메시지를 처리하지 못하고 기다리게 된다. 또한 CDMA 모드에서는 주기적으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에 들어있는 WCDMA 오버레이 비트(overlay bit)를 확인하여 모드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도먼트 상태에서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하더라도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WCDMA로 전환하지 못하고 CDMA에 머물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멀티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에 패킷 서비스 시 도먼트(dormant) 상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도중에 발생하는 도먼트(dormant)혹은 프리저베이션(preservation)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으로 진입한 경우 현재의 패킷 호를 종료하고 서비스 가능한 새로운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통신 불량 지역 예로 음영지역 ,경계지역 또는 중첩지역을 들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행동을 취할 경우 바로 패킷 호 재접속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신 모드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 멀티모드 단말기는 CDMA, WCDMA, GSM, GPRS 중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멀티모드 단말기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로 CDMA와 WCDM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특히 WCDMA 모드에서 CDMA 모드로 핸드오버 되는 경우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는 CDMA, WCDMA, GSM, GPRS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동 통신 기술의 적용이 가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모드 단말기가 WCDMA 모드 및 CDMA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일 경우 그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모드에 따른 동작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WCDMA 모뎀(450)과 CDMA 모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모뎀(440, 450)은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46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모드 단말기는 WCDMA 신호 및 CDMA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이 안테나 단을 통해 송수신되는 WCDMA 신호 및 CDMA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Diplexer)(410), WCDMA 신호 및 CDMA 신호를 각각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RF부(420, 430), 이 각각의 RF부(420, 430)로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해당 처리 모듈을 통해 프로세싱하는 각각의 모뎀(440, 4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WCDMA 모뎀(450) 및 CDMA 모뎀(440)은 단일 칩으로 구성된 모뎀 칩이거나 칩 내의 DSP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의 멀티모드 단말기 구조는 단일 안테나일 경우에 필요한 각 구성부들을 구현한 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가 W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CDMA RF(420)만 일시적으로 전원 오프된 상태가 되며, 안테나, 듀플 렉서(410), WCDMA RF(430) 및 WCDMA 모뎀(450)은 전원 온 상태이므로 단말기는 WCDMA 모드로 동작한다. 이와 다르게 단말기가 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전원 상태가 바뀌게 되어 CDMA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WCDMA 모뎀(450)은 CDMA 모뎀(440)으로부터 통신 경로(460)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와 통신하는 프로세서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두 개의 모뎀(440, 450)을 조율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없이 단지 그 두 모뎀(440, 450)으로만 구성되므로 어느 하나의 모뎀이 마스터 역할을 해야한다. 통상적으로 WCDMA 모뎀(450)이 마스터 역할을 함과 동시에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담당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도 같이 수행한다. 반면에 CDMA 모뎀(440)은 마스터 모뎀인 WCDMA 모뎀(450)의 제어 하에 동작하게 된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data application)(470)은 각 모뎀(440, 450) 중 어느 하나의 모뎀을 통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WCDMA 모뎀(450)과 CDMA 모뎀(440) 간에 1:1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경로(460)를 구현하여 패킷 서비스 도중 도먼트 또는 프리저베이션 상태가 발생했을 때 상호 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WCDMA 모뎀(450)에서 CDMA 모뎀(440)으로 직접 지시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두 모뎀(440, 450)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즉, 제어 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해당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모뎀(440, 450) 자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 부분이 모두 탑재된다. 이에 따라 WCDMA 모뎀(450)과 CDMA 모뎀(440)은 각각 마스터(master)와 슬래이브(slave)로 동작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도먼트 상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WCDMA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기가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 진입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의 패킷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500단계에서 패킷 호 발신(PS CALL ORIGINATION) 메시지를 WCDMA 모뎀(450)에 전달한다. 그러면 WCDMA 모뎀(350)은 505단계에서 서비스 요청(GM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WCDMA 기지국(48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단말기와 WCDMA 기지국(370) 사이에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이하 'PDP') 컨택스트(CONTEXT)가 활성화(Active)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로부터의 패킷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가 WCDMA 기지국(480)을 통해 특정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PDP 컨택스트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WCDMA 모뎀(450)은 510 단계 내지 515단계에 걸쳐 PDP 활성화 요청 메시지(ACTIVE PDP CONTEXT REQUEST)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PDP 활성화 응답 메시지(ACTIVE PDP CONTEXT RESPONSE)를 수 신하게 되면 호 연결(CALL CONNECT) 메시지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 전달하여 패킷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응답 메시지(ACTIVE PDP CONTEXT RESPONSE)는 패킷 호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IP주소, QoS 정보 등을 포함하므로 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525단계에서와 같이 그 할당된 IP를 통해 패킷 타입의 통로(PACKET BEARER)가 설정되어 패킷 서비스가 시작된다. 즉,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이 무선으로 WCDMA 기지국(480)과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주고받다가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 WCDMA 기지국(480)에서는 도먼트 상태로 들어갈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데이터 통신의 경우 단말기가 항상 여러 개의 채널을 잡고 있을 경우 주파수 효율이 낮아져서 통신 불량 상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무선 자원을 해제하여 다른 사용자가 원할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에 따라 도먼트 기능이 사용된다. 만일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단말기와 통신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WCDMA 기지국(48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WCDMA 모뎀(450)으로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해제시키면서 도먼트 타이머를 구동하기 시작한다.
한편, WCDMA 모뎀(450)에서는 그 RRC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도먼트 상태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535단계에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도먼트 알림 (DORMANT INDICATION) 메시지를 전달한다. 하지만 단말기는 ACTIVATE PDP CONTEXT 절차에 의해서 할당받은 IP주소와 QoS 정보는 계속 가지고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종료시키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도먼트 상태가 종료된 후 대기 상태를 거쳐야만 다른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도먼트 상태에서도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할 경우에 다른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모드 단말기는 사용자가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으로 이동할지라도 바로 재접속 상태로 되돌아와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WCDMA 모뎀(450)은 WCDMA 망에서 브로드캐스트한 SIB 인디케이터(indicator)에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지시가 들어있는지를 확인하거나 현재의 무선 환경의 수신세기를 측정한다.
그 중에서도 수신세기를 이용할 경우 WCDMA 모뎀(450)은 540단계에서 현재 수신세기가 미리 정해진 수신세기 기준값 이하가 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WCDMA 기지국(480)에서는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도먼트 타이머를 구동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도먼트 처리 과정은 WCDMA 기지국(480)에서의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만일 모니터링 결과가 신호세기가 그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비로소 WCDMA 모뎀(450)은 545단계에서 호 종료(CALL DISCONNECT) 메시지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전달한다. 이어, WCDMA 모뎀(450)은 550단계 내지 555단계를 거쳐 WCDMA 기지국(480)과의 연결 자체를 끊기 위한 DEACTIVATE PDP CONTEXT 절차를 수행하면서 할당받은 IP주소와 QoS 정보 등을 삭제하고 초기화한다. 이와 같이 WCDMA 모뎀(450)은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한다고 파악되는 경우 WCDMA 기지국(480)의 도먼트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기 다릴 필요없이 도먼트 상태로부터 빨리 벗어나기 위해 직접 WCDMA 기지국(480)과의 패킷 호를 종료하여 모드 전환한다.
따라서, 모드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WCDMA 모뎀(450)은 56단계에서 CDMA 모뎀(440)의 전원을 온 시키는 메시지(CDMA POWER ON)를 통신 경로(460)를 통해 전달한다. 그러면 CDMA 모뎀(440)에서는 전원 온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565단계에서 자신이 켜졌음을 알리는 메시지(CDMA POWER ON INFORM)를 WCDMA 모뎀(450)에 전달한다. 이어, CDMA 모뎀(440)에서는 570단계 내지 575단계에서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시스템 등록을 수행한다. 즉, CDMA 모뎀(440)은 570단계에서 CDMA 망 등록을 위한 등록 메시지(REGISTRATION)를 CDMA 기지국(490)에 전달하고, 이에 대응하여 575단계에서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할 경우 망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지한다. 이와 같이 CDMA 망에 등록할 경우 CDMA 모뎀(440)은 580단계에서 WCDMA 모뎀(450)으로 등록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REGISTRATION INDICATION)를 전달한다.
그러면 WCDMA 모뎀(450)은 585단계에서 현재 CDMA로 진입함을 알리는 메시지(CDMA INSERVICE)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587단계에서 CDMA 모뎀(440)에 패킷 호 발신(PS CALL ORIGINATION)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CDMA 모뎀(440)은 CDMA 기지국(490)과의 패킷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CDMA 모뎀(440)이 590단계에서 패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QUEST)를 전송하면, CDMA 기지국(490)에서 그 요청에 대응하여 패킷 호 접속을 위한 IP를 할당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트래픽 채널 완료 메시지(TRAFFICE CHANNEL COMPLETE)를 CDMA 모뎀(44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CDMA 모뎀(440)은 592단계에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패킷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CALL CONNECT)를 전달함으로써 595단계에서와 같이 패킷 타입의 통로(PACKET BEARER)가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먼트 상태에서 WCDMA 기지국(370)과의 패킷 호 종료 시 중단되었던 패킷 서비스가 CDMA 기지국(490)으로 패킷 호 재접속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모드 단말기를 통해 어떤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 도먼트 상태로 된 후 그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으로 이동할지라도 새로운 모드로 전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음 행동을 취할 경우 바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재접속 상태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제어흐름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600단계에서 패킷 서비스 접속 후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주고 받는 데이터가 없는 도먼트 상태에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도먼트 상태로 진입한 경우 단말기는 605단계에서 WCDMA 망에서 브로드캐스팅되어 SIB에서 내려오는 WCDMA, CDMA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여 인디케이터값이 CDMA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인디케이터값이 CDMA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는 640단계에서 호 종료 이벤트를 발생한다. 즉, 호 종료 메시지(CALL DISCONNECT)가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645단계에서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드 전환을 위한 동작 은 도 5의 550단계 내지 597단계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605단계에서 인디케이터가 CDMA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610단계에서 신호세기 카운터 변수인 t를 0으로 초기화 하고, 615단계에서 약전계 타이머를 구동하면서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시작한다. 약전계 타이머는 1초단위로 동작하는데 단말기는 620단계에서 타미어가 만료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단말기는 625단계에서 신호세기 카운터 값 t가 신호세기 카운터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만족하지 않으면 단말기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신호세기가 신호세기 기준값 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고, 낮을 경우 635단계에서 t에 1을 더하여 신호세기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 후 615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은 소정 주기로 수신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약전계 타이머가 만료될 때마다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와 수신신호 세기 기준값을 비교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625단계에서 신호세기 카운터 값 t가 신호세기 카운터 기준 값에 도달할 경우 단말기는 640단계로 진행하여 호 종료 이벤트를 발생하여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전달한 후에는 WCDMA 기지국(480)으로 DEACTIVATE PDP CONTEXT 절차를 통해서 할당받은 IP주소와 QoS 정보 등을 삭제하고 초기화한다.
그 후 CDMA 모뎀(440)의 전원을 켜고 등록(REGISTRATION) 메시지를 통해 CDMA 망에 등록한다. 만약 등록이 실패할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반면,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CDMA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다는 CDMA INSERVICE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CDMA로 패킷 호를 다시 연결하고 서비스를 받기 시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는 CDMA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기가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 진입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의 패킷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700단계에서 패킷 호 발신(PS CALL ORIGINATION) 메시지를 CDMA 모뎀(440)에 전달한다. 그러면 CDMA 모뎀(440)은 CDMA 기지국(490)과의 패킷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CDMA 모뎀(440)이 705단계에서 패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QUEST)를 전송하면, CDMA 기지국(490)에서 710단계에서 그 요청에 대응하여 패킷 호 접속을 위한 IP를 할당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 후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트래픽 채널 완료 메시지(TRAFFICE CHANNEL COMPLETE)를 CDMA 모뎀(44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CDMA 모뎀(440)은 715단계에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패킷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CALL CONNECT)를 전달함으로써 720단계에서와 같이 패킷 타입의 통로(PACKET BEARER)가 설정되어 패킷 호 서비스가 수행되게 된다.
CDMA 모드의 경우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이 CDMA 기지국(490)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중에 데이터 송수신이 끝나면 CDMA 기지국(490)에서 도먼트 상태로 들어갈지의 여부를 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지 화면을 보고 있을 경우 정지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끝나면 사용자가 다음 행동을 취하지 않는 한 단말기는 같은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신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시적으로 필요하지 않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부터 신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전송할 신규 데이터가 없을 때 CDMA 기지국(490)은 해제 명령(Release Order) 메시지를 CDMA 모뎀(440)으로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해제시킨다. 이때, CDMA 기지국(490)은 자체적으로 할당된 IP 주소, QoS 정보 등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해제 명령을 수신한 CDMA 모뎀(440)은 이때부터 도먼트 상태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730단계에서 도먼트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DORMANT INDICATION)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전달한다. 하지만 미리 획득한 IP주소와 QoS 정보는 계속 가지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종료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도먼트 상태에서 CDMA 모뎀(440)은 도먼트 타이머를 동작시키면서 735단계에서 중첩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따른 CDMA 모뎀(440)은 핑퐁 타이머도 함께 구동시켜 그 핑퐁 타이머가 구동되고 있을 때 WCDMA 망이 발견될 경우에는 도먼트 타이머를 중단하고 CDMA 모드로 넘어가도록 한다.
만일 735단계에서 중첩지역에 진입한 경우 CDMA 모뎀(440)은 740단계에서 내부 통신 경로(460)을 통해 WCDMA 모뎀(450)에 WCDMA 프로토콜을 활성화하라는 메시지(WCDMA ON LINE)를 전달한다. 그러면 WCDMA 모뎀(450)은 745단계 내지 750단계에 걸쳐 위치 등록을 위해 연결 설정 요구(GMM ATTACH REQUEST) 메시지를 WCDMA 기지국(480)으로 전송하여 GMM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 설정 허락(GMM ATTACH ACCEPT)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755단계에서 CDMA 모뎀(440)에 전원 오 프를 요청하는 메시지(CDMA POWER OFF)를 통신 경로(460)을 통해 전달한다. 이어, WCDMA 모뎀(450)은 760단계에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현재 WCDMA로 진입함을 알리는 메시지(WCDMA INSERVICE)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 전달한다.
이후, CDMA 모뎀(440)은 WCDMA 모드로 동작할 준비를 하라는 명령으로 호 종료 메시지(CALL DISCONNECT)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에 전달한다. 그러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770단계에서 WCDMA 모뎀(450)에 패킷 호 발신(PS CALL ORIGINATION)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WCDMA 모뎀(450)은 775단계 내지 795 단계에 걸쳐 WCDMA 기지국(480)과의 패킷 호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775단계 내지 795단계에서의 동작은 통상의 과정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를 위한 제어흐름도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800단계에서 패킷 서비스 접속 후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주고 받는 데이터가 없는 도먼트 상태에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도먼트 상태로 진입한 경우 단말기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에서 내려오는 베이스 아이디(base ID) 항목의 특정 비트에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확인한다. 이 인디케이터는 단말기가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할 경우 현재의 통신망 모드를 새로운 통신망 모드로 전환하라는 지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805단계에서 인디케이터가 중첩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중첩지역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는 810단계에서 핑퐁 타이머를 구동하여 815단계에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단말기는 820단계에서 다시 중첩 지역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중첩지역인 경우 825단계에서 호 종료 이벤트(CALL DISCONNECT)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값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3G 서비스로 복귀하기 위한 핑퐁(Ping Pong)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만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핑퐁타이머가 구동 중에도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핑퐁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다시 인디케이터 값을 확인하고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호 종료 이벤트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 전송한다.
이 후, 단말기는 830단계에서 위치 등록이 성공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위치 등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핑퐁 타이머를 증가시켜 구동하여 중첩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다시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830단계에서 위치 등록에 성공할 경우 단말기는 835단계에서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이때, CDMA 모뎀(440)은 CDMA 기지국(490)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 및 QoS 정보를 삭제한다.
구체적으로, CDMA 모뎀(440)은 WCDMA 모뎀(450)을 ON LINE 모드로 전환한 후에 WCDMA 기지국(480)과 GMM ATTACH 절차를 통해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만약 등록이 실패하면 단말기는 WCDMA 모드을 취소하고 CDMA 모드로 복귀하며 3G 핑퐁 타이머 값을 공식에 따라 증가시킨 후 다시 구동한다. 만약 등록이 완료되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으로 WCDMA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는 메시지(WCDMA INSERVICE)를 전송한다. 그러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470)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CDMA로 패 킷 호를 다시 연결하고 서비스를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과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과정의 차이점은 CDMA 모드에서 할당받은 IP주소와 QoS 정보 등을 삭제하는 시점은 WCDMA 서비스를 획득한 이후에 한다는데 있다. 이는 WCDMA에서의 도먼트 처리 방법은 WCDMA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 CDMA 지역보다 그 수가 적기 때문에 3G Overlay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WCDMA 위치 등록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WCDMA 이외에 GSM, GPRS 지역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단말기는 WCDMA에서의 도먼트 상태에서 도먼트 타이머가 구동되는 사이에 통신 불량 지역에 들어갔을 때 자체적으로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도먼트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시점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또한, CDMA에서의 도먼트 상태에서 3G 핑퐁 타이머를 구동하여 통신 불량 지역에 들어갔을 때 다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패킷 호를 수행할 때 WCDMA 시스템과 CDMA 시스템 사이의 도먼트 처리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단말기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이기종 시스템 사이의 경계지역 및 음영지역, 중첩지역에서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서비스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28)

  1.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을 구비하는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통신망을 통한 패킷 서비스 중 도먼트 상태로 진입함을 인지하면, 상기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결과 통신 불량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패킷 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 2통신망을 통한 패킷 호로 접속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불량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 브로트캐스트되는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디케이터에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소정 주기로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가 임계 수신신호 세기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값이 임계 카운트값이 되면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불량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음영 지역, 경계 지역 및 중첩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패킷 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 1모뎀이 상기 각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모뎀을 전원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 2모뎀과 상기 제 2통신망 간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 2모뎀이 상기 제 2통신망으로 패킷 호를 접속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통신망은 WCDMA 망 및 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은 상기 WCDMA 망 및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은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이며 상기 제 2통신망은 CDMA 망이고,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모뎀이며 상기 제 2모뎀은 상기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을 구비하며,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하기 위한 멀티모드 단말기는,
    제 1통신망을 통한 패킷 서비스 중 도먼트 상태로 진입함을 인지하면 상기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통신 불량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패킷 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 2모뎀이 상기 제 2통신망을 통한 패킷 호로 접속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 1모뎀과,
    상기 제 1모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 2통신망에 등록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 2통신망을 통한 패킷 호로 접속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기 제 2모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 브로트캐스트되는 인디케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디케이터에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소정 주기로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가 임계 수신신호 세기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임계 카운트값이 되면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도먼트 상태에서 음영 지역, 경계 지역 및 중첩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패킷 호 연결 지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통신망으로 패킷 호 종료를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제 1통신망과의 패킷 호가 종료되면 상기 각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모뎀을 전원 온 시키고, 과정과, 상기 제 2모뎀과 상기 제 2통신망 간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 2모뎀이 상기 제 2통신망으로 패킷 호를 접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통신망은 WCDMA 망 및 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은 상기 WCDMA 망 및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은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이며 상기 제 2통신망은 CDMA 망이고,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모뎀이며 상기 제 2모뎀은 상기 WCDMA 망 및 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을 구비하는 멀티모 드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통신망 모드에서 패킷 서비스 중 도먼트 상태로 진입함을 인지하면, 상기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결과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각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모뎀으로 제 2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을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등록이 성공할 경우 제 2통신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이 실패할 경우 상기 제 2통신망 모드로의 전환을 취소하고 상기 제 1통신망 모드로 복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의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 2통신망 모드로의 전환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신망 모드로의 전환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핑퐁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핑퐁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이 성공할 경우 상기 제 1통신망 모드 시 할당받은 IP 주소 및 QoS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통신망은 CDMA 망 및 W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은 상기 CDMA 망 및 W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은 CDMA 망이며, 상기 제 2통신망은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이고, 상기 제 1모뎀은 CDMA 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모뎀이며 상기 제 2모뎀은 상기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을 구비하며,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dormant) 처리하기 위한 멀티모드 단말기는,
    제 1통신망 모드에서 패킷 서비스 중 도먼트 상태로 진입함을 인지하면, 상기 도먼트 상태에서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각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모뎀으로 제 2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을 지시하는 상기 제 1모뎀과,
    상기 제 1모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 2통신망에 위치 등록하고, 위치 등록이 성공할 경우 제 2통신망 모드를 수행하는 제 2모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의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제 2통신망 모드로 의 전환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통신망 모드로의 전환 지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핑퐁 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핑퐁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통신 불량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재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뎀은,
    상기 위치 등록이 성공할 경우 상기 제 1통신망 모드 시 할당받은 IP 주소 및 QoS 정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통신망은 CDMA 망 및 W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은 상기 CDMA 망 및 W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은 CDMA 망이며, 상기 제 2통신망은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이고, 상기 제 1모뎀은 CDMA 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모뎀이며 상기 제 2모뎀은 상기 WCDMA, GSM, GPRS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 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09068A 2006-01-27 2006-01-27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KR10077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068A KR100770017B1 (ko) 2006-01-27 2006-01-27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US11/652,382 US8068446B2 (en) 2006-01-27 2007-01-11 Method of efficiently processing dormant state in packet service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CNA2007100077357A CN101009896A (zh) 2006-01-27 2007-01-29 在分组服务中有效处理休眠状态的方法以及多模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068A KR100770017B1 (ko) 2006-01-27 2006-01-27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28A true KR20070078628A (ko) 2007-08-01
KR100770017B1 KR100770017B1 (ko) 2007-10-25

Family

ID=3832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068A KR100770017B1 (ko) 2006-01-27 2006-01-27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8446B2 (ko)
KR (1) KR100770017B1 (ko)
CN (1) CN101009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11B1 (ko) * 2009-05-21 2011-09-29 주식회사 케이티 패킷 교환 지원 노드 및 그의 위치 정보 갱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2118B1 (fr) * 2003-03-06 2005-06-03 Gemplus Card Int Procede de gestion du declenchement d'une application dans un terminal de service notamment dans un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
US7519353B2 (en) * 2005-07-26 2009-04-1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ulti-MVNO wireless service
KR100770017B1 (ko) * 2006-01-27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US7577779B2 (en) 2006-02-14 2009-08-1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RFIC master
KR101381475B1 (ko) 2007-04-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EP2195995B1 (en) * 2007-09-28 2011-04-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ailure recovery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KR101441686B1 (ko) * 2007-10-23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WO2010004714A1 (ja) * 2008-07-07 2010-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US20100034124A1 (en) * 2008-08-05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Tethered data call with continuous application
CN102124716A (zh) * 2008-08-13 2011-07-13 阿尔卡特朗讯美国公司 基于ip的多媒体会话中承载丢失的检测
US20100128613A1 (en) * 2008-11-21 2010-05-27 Chung-Zin Liu Detection of bearer loss in an IP-based multimedia session
KR101075997B1 (ko) * 2008-08-26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 단말기에서 서비스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178209A (ja)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US8351358B2 (en) 2009-05-27 2013-01-08 Venturi Wireless, Inc. Channel state transition optimization
US8874167B2 (en) * 2009-11-17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ndby operation for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CN102065486A (zh) * 2009-11-17 2011-05-18 美国博通公司 通信方法和系统
KR20110124508A (ko) * 2010-05-11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20014301A1 (en) * 2010-07-13 2012-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dormant state in a mobile station in a umts/lte network
US8780965B2 (en) * 2010-07-30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data calls on a mobile device with multiple modems
WO2012154325A1 (en) * 2011-04-01 2012-1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vity to a network
US8958398B2 (en) * 2011-09-26 2015-02-17 Broadcom Corporati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media access control (MAC) adapted for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625416B (zh) * 2012-03-28 2015-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模终端的工作方法和多模终端
US9226234B2 (en) * 2012-05-21 2015-12-29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mobile device power consumption relative to periodic data packet transfers
EP2887738A1 (en) * 2013-12-17 2015-06-24 Gemalto M2M GmbH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device in a selected radio access network
US9414397B2 (en) * 2014-05-21 2016-08-09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Selecting base station at a multi-SIM communication device
US11943838B2 (en) 2014-05-21 2024-03-26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Using a plurality of SIM cards at an electronic device
US9635541B2 (en) 2014-05-21 2017-04-25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Using a plurality of SIM card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285124B2 (en) * 2014-10-30 2019-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keeping wireless devices in active mode
CN105759934B (zh) * 2014-12-19 2019-10-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554572A (zh) * 2015-10-28 2016-05-04 深圳市美贝壳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可进行网络访问的休眠方法
CN105357053B (zh) * 2015-11-24 2018-09-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功能异常的处理方法、应用处理器及用户终端
US9900230B2 (en) * 2016-01-07 2018-02-20 Avaya Inc. Dissemination of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10367677B2 (en)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630410B2 (en)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7237B1 (en) * 1999-04-01 2004-02-0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 multi-mode multi-pilot hard handoff
US6584090B1 (en) * 1999-04-23 2003-06-24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process for shared functional block CDMA and GSM communication transceivers
US6961583B2 (en) * 1999-05-24 2005-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system selection mechanism within a mobile station
US6680902B1 (en) * 2000-01-20 2004-01-20 Nortel Networks Limited Spreading code selection process for equalization in CDMA communications systems
KR100338661B1 (ko) * 2000-08-18 2002-07-13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US7209462B2 (en) * 2001-04-06 2007-04-2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mmon channel packet data service in a CDMA2000 RAN
US7180879B2 (en) * 2001-08-17 2007-02-20 Ragulan Sinnarajah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up latency reduction
WO2003063426A1 (en) * 2002-01-18 2003-07-3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y-based state transi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nd wireless access networks
US6963745B2 (en) * 2002-01-23 2005-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inter system handover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3101025A2 (en) * 2002-05-28 2003-12-04 Zte San Diego, Inc. Interworking mechanism between cdma2000 and wlan
KR20050056218A (ko) * 2002-09-27 2005-06-14 액세스텔 아이엔씨. 두 개의 무선 모뎀과 하나의 모뎀 처리기를 포함하는다중모드 전화기
KR100561681B1 (ko) * 2003-10-07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2000 1x 및 CDMA2000 1xEV-DO망이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망 정보 갱신 방법
KR100560845B1 (ko) * 2003-10-09 2006-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m-mb 단말기의 모뎀 간 절체 방법
KR100556386B1 (ko) * 2003-10-1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 기반 도먼트 핸드오프 방법
US7706331B2 (en) * 2003-11-11 2010-04-27 Sky Teletech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WCDMA system to a CDMA system in a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46835A (ko) * 2003-11-14 2005-05-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더미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접속망에서 부호 분할 다중 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60007882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대기상태에서의 시스템간 전환 방법
KR20060013012A (ko) * 2004-08-05 2006-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 우선 모드로 동작하는 mm-mb 단말기에서wcdma 모드로 전환시 호 접속 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그를 위한 mm-mb 단말기
KR101079953B1 (ko) * 2004-11-01 2011-11-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와이브로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49274A1 (en) * 2005-09-01 2007-03-01 Eitan Yacobi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KR100770017B1 (ko) * 2006-01-27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11B1 (ko) * 2009-05-21 2011-09-29 주식회사 케이티 패킷 교환 지원 노드 및 그의 위치 정보 갱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7617A1 (en) 2007-08-02
US8068446B2 (en) 2011-11-29
CN101009896A (zh) 2007-08-01
KR100770017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017B1 (ko)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KR100754612B1 (ko)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패킷 호 재접속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EP1744580B1 (en) Dual-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handover of packet service call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US7949339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535012B (zh) 中继选择或重选方法、装置和系统
KR10116075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200601834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US8135408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user equipment
US20090296660A1 (en) Method, generic access network controller and terminal for dual transfer mode handover
JP2008533894A (ja) 代替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を介するコール再確立
KR100800867B1 (ko) 이종 망에서 핸드오버 지연 감소 방법 및 장치
RU2008121199A (ru) Межчастотная эстафетная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CN113543266B (zh) 无线通信链路建立方法与装置、终端和中继设备
WO2007107117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pour la gestion de mobilité de dispositif utilisateur
KR2011005622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호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113576A1 (zh) 基站的切换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2006512870A (ja) 1xEV−DOシステムから1Xシステムへの転換を1xEV−DOシステムに通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072940B2 (en) 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994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75699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RU27224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0612695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100579800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20050037892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