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12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123A
KR20070078123A KR1020060008046A KR20060008046A KR20070078123A KR 20070078123 A KR20070078123 A KR 20070078123A KR 1020060008046 A KR1020060008046 A KR 1020060008046A KR 20060008046 A KR20060008046 A KR 20060008046A KR 20070078123 A KR20070078123 A KR 2007007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tub
connector
sump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8123A/ko
Publication of KR2007007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 구조를 달리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가 외부로 신속히 토출되도록 하여 건조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응축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측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고,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호스가 연결된 섬프;와, 상기 터브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팬; 및 상기 팬에 연결되어 터브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호스와 한몸으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장치;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에 의해, 터브 내에서 에어 믹싱이 이루이지지 않고, 고온의 습공기를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응축 장치, 배수 호스, 연결관, 커넥터

Description

식기 세척기{A dish washer}
도 1은 종래의 응축 장치 및 섬프에서 연결되는 배수호스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로부터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기 세척기 110 : 터브
130 : 도어 200 : 에어 브레이크
210 : 배수호스 300 : 응축 장치
310 : 커넥터 320 : 연결관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 구조를 달리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가 외부로 신속히 토출되도록 상기 응축 장치로부터 에어 브레이크의 배수호스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건조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응축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터브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랙과, 식기랙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세척 펌프 및 세척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상기 세척 펌프가 구동하여 상기 섬프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고압으로 분출되어 상기 식기랙에 수납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오물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또한, 식기 세척 과정은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을 씻어 내는 세척 과정과, 세척 과정이 종료된 다음에 식기를 헹구는 헴굼 과정 및 헹굼이 끝난 상태의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과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응축 장치 및 섬프에서 연결되는 배수호스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응축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식기 세척기(1)는 도어의 프런트 커버 내측으로 응축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 세척기의 측면으로 에어 브레이크(5)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 브레이크가 연결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배수호스(6)가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는 도어의 프런트 커버와 도어 라이너(3) 사이에 장착되어 건조시에 터브 내의 뜨거운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터브(2) 내로 다시 보내는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커버와 상기 도어 라이너(3) 사이에 수증기 응축으로 인한 누설에 인한 장비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응축 및 누설 방지 목적으로 상기 터브 내에서 에어 믹싱(Air mixing)을 하게 됨으로써, 건조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의 구조를 개선한다. 즉, 상기 응축장치를 에어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배수호스에 커넥터를 구성하여 상기 배수호스를 통하여 터브내의 고온의 습공기를 직접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프런트 커버 내 에 수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응축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측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고,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호스가 연결된 섬프와, 상기 터브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팬 및 상기 팬에 연결되어 터브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호스와 한몸으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응축 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연결관이 상기 배수호스와 연통되도록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중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건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하는 응축장치는 증기 배출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응축장치, 연결관, 커넥터 및 배출관이 포함되고, 배수호스는 제 1 배수호스 및 제 2 배수호스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수호스는 연결관, 제 2 배수호스는 증기 배출 호스 또는 배출관으로 이름되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세척조를 이루는 터브(110)와, 상기 터브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130)과,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랙(170,180)과,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50,160)과, 상기 세척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섬프(190) 및 상기 섬프(190)로 세척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에어 브레이크(200)와, 상기 섬프(190)에서 연결되는 배수호스(210) 및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응축장치(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응축장치(300)에는 일측에서 연결되어 커넥터(31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310)를 통해 상기 배수호스(210)와 한몸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장치로부터 흡입되는 습공기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섬프(190)에 연결되는 배수호스(210)에 의하여 오염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호스(210)의 구조 및 상기 커넥터에 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100)의 도어(130)를 열고, 상기 상부랙(170) 및/또는 하부랙(180)을 세척조 외부로 잡아 당긴다. 그리고, 상기 랙(170)(180)에 식기를 수납한다. 그 다음, 상기 도어(130)를 닫고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기 세척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세척 단계가 수행되면 급수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가 상기 섬프(190)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세척수가 섬프 내부로 유입된 다음에는 세척모터(193)가 장착된 세척펌프(192)가 작동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세척모터(193)가 구동하여 상기 세척 펌프(192)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가 회전하여 세척수가 흡입되고, 흡입된 세척수는 상기 워터 가이드 또는 하부 노즐로 펌핑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펌프(192)의 구동과 함께 이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열부(191) 내의 히터가 작동하게 되어, 세척수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된 세척수가 상기 하부노즐(160) 및 상기 워터 가이드(140)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펌핑된다.
한편, 상기 워터 가이드(140)로 펌핑된 세척수는 최종적으로 상기 탑노즐과, 상기 상부 노즐(150)로 이동되어 세척조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랙(170)(18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탑노즐은 수직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상부 노즐(150)은 수직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상부랙(17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된다.
또한, 상기 하부노즐(160)은 수직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하부랙(17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노즐(150)의 저면에도 분사구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양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랙 (180)에 수납된 식기의 상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은 섬프(190)에 구비된 필터(미도시)에 의하여 걸리지고, 섬프(190) 내부에 장착된 디스포저에 의하여 잘게 부숴진다. 그리고,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오염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배수 펌프(미도시)를 지나서,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면, 세척수 유입구를 통하여 다시 깨끗한 세척수가 상기 섬프(190)로 유입되고, 상기 세척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분사 노즐(150,160)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되는 깨끗한 세척수를 이용한 헹굼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헹굼단계가 끝나면,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세척 작용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에 의해 상기 터브(110) 내부에 고온 상태의 공기가 유입되어 식기에 묻어 있는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110) 내의 공기는 고온 건조 상태에서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터브 외부 측면의 에어 브레이크(200)에 인접되어 설치된 응축 장치(300)를 통하여 상기 섬프에 연결된 배수호스(210)에 연결되어, 터브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 배출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터브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130)와 상기 터브의 측면에 장착되는 응축 장치(300) 및 에어 브레이크(200), 섬프에서 연결되는 배수호스(2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수호스의 일측에 장착되는 커넥터(310) 및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 상기 응축장치로 연결되는 연결관(32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응축장치(300)는 상기 터브(110)의 측면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장치(300)가 대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터브의 측면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터브내의 고온의 습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장치(3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3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장치(300)를 통해 상기 터브(110) 내의 습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연결관(32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장치(300)에는 송풍팬(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습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320)은 상기 커넥터(3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는 상부면에 상기 배수호스(210) 및 상기 연결관(32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수호스(210) 및 배출관(3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호스와 상기 연결관은 이중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수호스(210)는 상기 배출관(321)의 내부를 관통하는 또다른 호스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호스(210)에는 세척이 끝난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응축장치에서 흡입된 습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배수호스(210)의 내부를 상기 배출관(321)이 관통 하는 또 다른 호스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축장치(300)는 상기 연결관(320)에 의해 상기 커넥터(310)와 연통되는 것이 적합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관(320) 없이 직접 상기 커넥터(310)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호스(210)는 세척중에 상기 섬프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가 자연 배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섬프로부터 소정길이로 상부에서 만곡되어 다시 하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가 상기 배수호스의 소정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호스(210)가 만곡되어 하부로 이어지는 중간부위에 상기 커넥터(3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의 하부로 전술한 상기 배출관(321)의 내부를 상기 배수호수(210)가 관통하는 이중관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응축장치로부터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10)는 외형이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응축장치(300)로부터 연결되는 연결관(320) 및 배수호스(2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의 하부면에는 증기 배출호스(321) 및 배수호스(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호스(210)는 섬프로부터 이어져 상부에서 만곡되어 상기 커넥터(310)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10)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증기 배출호스(321)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수호스(210)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310)에는 터브 내의 습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의 내부의 소정부위에 송풍팬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커넥터(310)의 내부는 상기 배수호스(210)와는 구획되어, 내부에는 소정공간의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에는 습증기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챔버에 채워져 있는 상기 습증기는 상기 연결관(320)으로 유출되고, 상기 배수호스(210)가 상기 연결관(320)의 내부에 관통되어 전술한 오염된 세척수가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식기 세척기의 터브 내의 습증기가 상기 배수호스에 형성되는 커넥터에 의하여 이중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에 의하여, 응축 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연결관이 섬프의 배수호스와 연통되도록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중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건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섬프의 배수호스와 근접하여 응축장치가 형성되기 때문에 터브 내의 고온의 습공기가 신속히 이동되어, 유로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장치를 대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터브의 상부 측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터브 내에서 에어 믹싱이 이루어지지 않고, 터브내의 고온의 습한 공기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터브;
    상기 터브의 하측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고,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호스가 연결된 섬프;
    상기 터브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팬; 및
    상기 팬에 연결되어 터브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호스와 한몸으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장치;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장치는 상기 배수호스 내부를 관통하는 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장치는 상기 배수호스가 내부를 관통하는 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팬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단부가 일측에 장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출관이 포함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배출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제 1배수호스와 제 2배수호스가 포함되고, 상기 증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 1배수호스와 제 2배수호스 사이에 개입되는 커넥터와, 상기 팬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제 2배수호스 내부를 관통하는 증기 배출호스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060008046A 2006-01-26 2006-01-26 식기 세척기 KR20070078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46A KR20070078123A (ko) 2006-01-26 2006-01-26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46A KR20070078123A (ko) 2006-01-26 2006-01-26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123A true KR20070078123A (ko) 2007-07-31

Family

ID=3850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046A KR20070078123A (ko) 2006-01-26 2006-01-2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8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45B1 (ko) 식기 세척기
KR100751147B1 (ko) 식기 세척기
KR101356512B1 (ko) 식기세척기
KR100776434B1 (ko) 식기 세척기
KR20100113730A (ko) 식기세척기
KR20140033895A (ko) 식기 세척기
KR20080028526A (ko) 식기 세척기
KR101122830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EP1656877A2 (en) Dishwasher
KR20070062648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KR101356513B1 (ko) 식기세척기
KR20070065969A (ko) 식기 세척기
KR101290098B1 (ko) 식기세척기
KR20090030987A (ko) 식기세척기
CN112244721B (zh)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KR10093972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8123A (ko) 식기 세척기
KR20080083393A (ko) 식기 세척기
KR101054193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덕트 구조
KR20050014515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건조 장치
KR200397407Y1 (ko) 식기 세척기의 덕트 구조
KR20070007547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20070078127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