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499A -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 Google Patents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499A
KR20070077499A KR1020070067105A KR20070067105A KR20070077499A KR 20070077499 A KR20070077499 A KR 20070077499A KR 1020070067105 A KR1020070067105 A KR 1020070067105A KR 20070067105 A KR20070067105 A KR 20070067105A KR 20070077499 A KR20070077499 A KR 2007007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fish tank
pump
fish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07006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499A/ko
Publication of KR2007007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99A/ko
Priority to KR1020070075735A priority patent/KR20070087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만 통하도록 어항을 2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일측 공간의 하부에 펌프를 설치하여 일측 공간의 물을 타측 공간으로 펌핑토록 하는 과정에서 폭기에 의해 어항 내부에 채워진 물분자와 오염물질의 분자들이 서로 마찰작용하면서 오염물질 분자들을 점차 미립자로 분해하여 자체 소멸토록 하는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항을 칸막이를 통해 비대칭으로 분할하되, 칸막이의 하부는 상기 분할된 양측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이격 형성하고, 어항의 공간 중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내 하단부에는 펌프를 설치하며, 일단부는 어항을 관통하여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어항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출관을 설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측의 물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측의 상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폭기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폭기에 의해 상기 배출되는 물속에 포함된 물질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과 물의 분자구조를 항상 유지하고 있는 물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물질 마찰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물질 마찰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 성분들과 물분자의 분자구조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자구조들을 점차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분해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물 성분들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자체소멸시켜 정화시키고, 상기 정화된 물이 상기 칸막이의 하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측으로 이동하면서 수평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어항, 수질정화

Description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Method to purify water in fish basin using material friction action}
본 발명은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부만 통하도록 어항을 2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일측 공간의 하부에 펌프를 설치하여 일측 공간의 물을 타측 공간으로 펌핑토록 하는 과정에서 폭기에 의해 어항 내부에 채워진 물분자와 오염물질의 분자들이 서로 마찰작용하면서 오염물질 분자들을 점차 미립자로 분해하여 자체 소멸토록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어항이라 함은 물고기를 실내로 옮겨 놓아 관상용으로 볼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러한 어항을 사용하다 보면 물고기의 먹이, 물고기의 배설물 등 자연히 오물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주지적으로 어항의 더러운 물을 빼내고 새로운 물을 채워주는 방식으로 물을 갈아주고 있다.
이와 같이 어항의 물을 갈아주는 일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매우 힘들고 귀찮은 일이며, 소규모인 가정용 어항의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대규모 어항의 경우에는 물을 갈아주는 대규모의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시설비가 고가로 들고,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갖추었다 하더라도 어항 내부의 오물이 완벽하게 깨끗한 상 태로 청소되는 것이 아니어서 시설비에 비해 청소효율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어항 내부의 물을 펌프에 의해 순환시켜 상부로부터 낙하시켜줌으로써 폭기에 의해 물고기가 살 수 있는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펌프에 필터를 장착하여 어항에 채워진 물을 정화시켜주도록 함으로써 어항의 물갈이 주기를 늦추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펌핑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방법 역시 주기적으로 필터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필터의 성능 이상으로 물이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어항속의 물을 무조건 갈아주어야 하였으므로 그 기능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필터가 막힐 경우 펌프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그 수명 역시 짧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폭기에 의해 어항 내부에 채워진 물분자와 오염물질의 분자들이 서로 마찰작용하면서 오염물질 분자들을 점차 미립자로 분해하여 자체 소멸토록 하는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단부만 통하도록 어항을 2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일측 공간의 하부에 펌프를 설치하여 일측 공간의 물을 타측 공간으로 펌핑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항을 하단부가 서로 통하도록 분할하고 일측 공간의 물을 타측 공간의 상부로 지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인위적으로 폭기작용을 일으키게 하고, 이러한 폭기작용에 의해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분자들을 점차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분해하여 결국 자체 소멸시켜주는 것이므로 별도의 청소없이 어항에 채워진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증발되어 줄어들게 되면 청소할 필요없이 새로운 물을 주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항(10)은 칸막이(11)를 통해 서로 다른 용적을 갖도록 2분할하되, 칸막이(11)의 하부는 상기 분할된 양측 공간(12)(13)이 서로 통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이격 형성한다.
이러한 어항(10)의 공간 중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의 내 하단부에는 펌프(14)를 설치하며, 일단부는 어항(10)을 관통하여 펌프(14)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어항(10)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출관(15)을 설치하여 이 배출관(15)을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측의 물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측의 상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배출관(15)과 어항(10)의 사이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배출관(15)의 어항 관통부위에는 패킹부재(16)를 개재해야 함은 자명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펌프(14)와 배출관(15)은 어항(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흡착구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어항(10)에 고정해주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펌프(14)를 구동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측의 물이 펌프(14)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관(15)을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의 상부측으로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폭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폭기에 의해 상기 배출되는 물속에 포함된 물질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과 물의 분자구조를 항상 유지하고 있는 물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물질 마찰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오염물질 성분들과 물분자의 분자구조와 결합 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자구조들을 점차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분해되어 결국 물 성분들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이 자체 소멸되는 것이며, 펌프(14)의 펌핑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으로 물이 이동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이 칸막이(11)의 하단부를 통해 다시 반대측 넓은 공간(12)으로 이동하여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어항(10)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에는 항상 깨끗한 물이 유입되어 물고기가 살기에 유리해지고,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에서는 지속적으로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수질 정화작용이 이루어져 비중이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측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어항(10)에 채워진 물의 수질 정화작용은 펌프(14)의 펌핑동작에 따라 물이 순환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어항(10)을 별도로 청소하지 않고도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어항(10)에 물은 채운 후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초기에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은 하층부에 위치하고 비중이 가벼우면서 입자가 큰 오염물질들은 상층부에 위치되므로 이러한 오염물질들을 걷어내면 어항(10) 내부의 수질을 정화하는 시간을 더욱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이 배출되면서 증발되면 자연스럽게 가습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물이 증발되면서 줄어들게 되면 청소할 필요없이 새로운 물을 부어주기만 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항 11 : 칸막이
12 : 넓은 공간 13 : 좁은 공간
14 : 펌프 15 : 배출관
16 : 패킹부재

Claims (1)

  1. 내부에 물을 담아 물고기를 기르는 어항(100)을 칸막이(11)를 통해 비대칭으로 분할하되, 상기 칸막이(11)의 하부는 상기 분할된 양측 공간(12)(13)이 서로 통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이격 형성하고, 상기 어항(10)의 공간 중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의 내 하단부에는 펌프(14)를 설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어항(10)을 관통하여 상기 펌프(14)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어항(10)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출관(15)을 설치하여 상기 배출관(15)을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측의 물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13)측의 상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폭기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폭기에 의해 상기 배출되는 물속에 포함된 물질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과 물의 분자구조를 항상 유지하고 있는 물분자들의 미립자의 뾰족한 끝 부분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물질 마찰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물질 마찰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 성분들과 물분자의 분자구조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자구조들을 점차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분해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물 성분들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자체소멸시켜 정화시키고, 상기 정화된 물이 상기 칸막이(11)의 하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12)측으로 이동하면서 수평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KR1020070067105A 2007-05-22 2007-07-04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KR20070077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05A KR20070077499A (ko) 2007-07-04 2007-07-04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KR1020070075735A KR20070087537A (ko) 2007-05-22 2007-07-27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정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05A KR20070077499A (ko) 2007-07-04 2007-07-04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99A true KR20070077499A (ko) 2007-07-26

Family

ID=3850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105A KR20070077499A (ko) 2007-05-22 2007-07-04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4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3447A (zh) * 2013-11-19 2014-02-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低密度鱼类养殖的微循环系统
KR20180000263U (ko) * 2018-01-10 2018-01-24 유진형 아쿠아리움 사육수 미세버블 제거장치
CN108668976A (zh) * 2018-03-19 2018-10-19 共同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自动化水产养殖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3447A (zh) * 2013-11-19 2014-02-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低密度鱼类养殖的微循环系统
KR20180000263U (ko) * 2018-01-10 2018-01-24 유진형 아쿠아리움 사육수 미세버블 제거장치
CN108668976A (zh) * 2018-03-19 2018-10-19 共同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自动化水产养殖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162064B1 (ko)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KR20140032661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714227B1 (ko) 여과 정수 장치
KR101902185B1 (ko) 버블층을 이용한 미세입자 제거 및 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KR20070077499A (ko) 물질 마찰작용을 이용한 어항의 수질정화방법
KR101769453B1 (ko)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KR101056687B1 (ko) 악취 처리 장치
KR100841428B1 (ko) 취수성 유해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US8440076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CN110156239A (zh) 污水多级净化设备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CN206735985U (zh) 一种可快速过滤污水的污水处理装置
CN208883589U (zh) 高效蛋白分离器
CN201058819Y (zh) 加压浮除式截油槽
CN107459104B (zh) 一种油水分离器
CN220597108U (zh) 污水深度处理回收再利用装置
RU143014U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18108676U (zh) 循环清洗过滤装置
CN209583849U (zh) 一种地下水污染治理装置
CN219384841U (zh) 一种油水分离处理设备
KR20130051063A (ko) 해수정화장치
RU15334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йк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а
KR102456914B1 (ko) 바퀴침수·h빔 요철떨림·세척물 순환공급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수조침수식 세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