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410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7410A KR20070077410A KR1020060007020A KR20060007020A KR20070077410A KR 20070077410 A KR20070077410 A KR 20070077410A KR 1020060007020 A KR1020060007020 A KR 1020060007020A KR 20060007020 A KR20060007020 A KR 20060007020A KR 20070077410 A KR20070077410 A KR 200700774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compressor
- outdoor unit
- bracke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압축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130)와;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0)와; 상기 압축기(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압축기(150)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20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제품의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압축기, 회전, 고정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조감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팬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압축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콤프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베이스팬 120. 베리어
130. 열교환기 140. 송풍팬
142. 팬모터 144. 모터브라켓
150. 압축기 160. 어큐뮬레이터
170. 냉매배관 180. 서비스브라켓
190. 고정부 192. 고정공
200. 콤프브라켓 202. 중심축
204. 중심공 208. 고정볼트
210. 중앙지지부 212. 볼트지지부
214. 연결부재 216. 고정너트
220a,220b,220c. 고정부재 222. 고정탭
230a. 제1a고정홀 232a. 제2a고정홀
234a. 제3a고정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압축기가 설치 가능하고, 압축기의 설치방향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 화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사무실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 사무실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는 하나의 실외기(10)에 2개의 실내기(20,30)가 연결 설치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의 거실에는 스탠드형의 제1실내기(20)가 설치되고, 안방에는 벽걸이형의 제2실내기(30)가 연결 설치된다. 즉, 베란다와 같은 실외 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 응축, 감압시키는 하나의 실외기(10)와, 상기 실외기(10)와 각각 연결되고 실내 측의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2실내기(20,30)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1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외기(1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40)와, 상기 압축기(40)와 연결 설치되어 압축기(40)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실외 열교환기(42)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42) 측으로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팬(44)과, 상기 제1,2실내기(20,3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액상의 냉매를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 송풍팬(44)의 내측 또는 후측에는 실외 송풍팬(44)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50)가 구비되며, 이러한 팬모터(50)는 모터마운트(5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축기(40)나 실외 열교환기(42) 등은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6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즉 실외기(10)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60) 상측에 상기에서 설명한 다수의 부품들이 고정 설치된다.
도 3에는 상기 베이스팬(6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60)은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 부근에는 다수의 고정볼트(6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62)는 상기 압축기(40)가 상기 베이스팬(60)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3개가 상기 베이스팬(60)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2실내기(20,30) 내부에는 냉매가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냉기를 생성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측으로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 등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실외기(10)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압축기(40)는 상기 베이스팬(60)의 상면에 형성되는 3개의 고정볼트(62)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볼트(62)는 상기 베이스팬(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위치는 정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0)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압축기(40)의 외경과 상기 고정볼트(62)의 형성위치가 서로 맞지 않게 되어, 상기 베이스팬(60)에 압 축기(40)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60) 상측에 설치되는 타 부품과의 간섭 등으로 인해 압축기(40)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볼트(6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압축기(40)의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기를 지지하는 별도의 콤프브라켓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압축기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콤프브라켓은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콤프브라켓에는, 상기 압축기의 하단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콤프브라켓의 중앙부와 상기 고정볼트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콤프브라켓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에 회전 가능하게 고 정되는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는 볼트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와 볼트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지지부에는, 상기 압축기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체결되어, 압축기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겹으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중앙지지부와 볼트지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연결부재 및 외측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콤프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볼트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bolt)로 이루어지며, 상기 콤프브라켓에 구비되는 고정볼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탭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압축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 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는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팬(110)이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은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평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는 좌우를 구획하는 베리어(120)가 상하로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20)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140) 등이 설치되는 좌측부분과 압축기(150) 등이 설치되는 우측부분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120)의 좌측에는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13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는 'ㄴ'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110)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30)의 우측단은 상기 베리어(120)의 후단과 접한다.
상기 열교환기(130)의 전방에는 송풍팬(14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베리어(120)의 좌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140)이 설치되며, 이러한 송풍팬(140)은 내부 또는 후측에 설치되는 팬모터(14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14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1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140)과 팬모터(142)는 모터브라켓(144)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상기 모터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팬(110)과 상기 열교환기(130)의 상단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40)과 상기 팬모터(142)를 지지한다.
상기 베리어(120)의 우측에는 압축기(15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5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리어(120)의 우측에는 어큐뮬레이터(1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압축기(150)의 상측에는 압축기(150)로 유입되는 냉매 중의 액상 냉매를 걸러내는 어큐뮬레이터(160)가 위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60)와 압축기(150) 등의 부품에는 냉매배관(17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냉매배관(170)은 각 부품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160)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배관(172)과, 상기 어큐뮬레이터(16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기(150)로 안내하는 압축기배관(174) 등 다수의 배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우측단 상측에는 서비스브라켓(180)이 더 설치되며, 이러한 서비스브라켓(180)에는 서비스밸브(182)가 고정 장착된다.
도 5에는 상기 압축기(150)가 상기 베이스팬(110)에 장착되도록 고정하는 구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기 압축기(150)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의 사시도가 부분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도 6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5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90)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90)는 상기 압축기(150)의 외주면에 3개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각 고정부(190) 사이의 각은 각각 120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9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콤프브라켓(200)의 고정볼트(208)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90)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192)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150)의 하측에는 콤프브라켓(2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압축기(150)와 상기 베이스팬(110)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150)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2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중앙부는 리벳(rivet)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중심축(202)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콤프브라켓(200)과 상기 베이스팬(110)에는 상기 중심축(202)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중심공(204)과 중심홀(20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콤프브라켓(200)에는 상기 압축기(150)의 하단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208)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볼트(208)와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중앙부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부(210)와, 상기 중앙지지부(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볼트지지부(212)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부(210)와 볼트지지부(2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지지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지지부(210)의 중심부에 상기 중심공(2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트지지부(212)는 상기 중앙지지부(210)와 대응되는 원판 형상을 가지 며, 상기 압축기(150)의 하단을 고정 지지한다. 즉, 상기 압축기(150)의 고정부(190)와 결합하여, 상기 압축기(150) 하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볼트지지부(212)는 상기 중앙지지부(210)로부터 방사상에 3개가 구비되며, 각 볼트지지부(212) 사이의 각은 상기 압축기(150)의 고정부(190) 사이의 각과 마찬가지로 120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트지지부(212)에는 고정볼트(20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08)는 상기 압축기(15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90)와 체결되어 압축기(150)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208)는 상기 볼트지지부(2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08)에는 고정너트(216)가 체결되어, 상기 볼트지지부(212)와 상기 고정부(19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볼트(208)와 고정너트(216) 사이에는 진동을 완화하는 패킹과 같은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연결부재(214)는 겹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2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내측연결부재(214')와 외측연결부재(2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연결부재(214')는 상기 중앙지지부(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연결부재(214")는 상기 볼트지지부(212)에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내측연결부재(214')가 상기 볼트지지부(21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연결부재(214")가 상기 중앙지지부(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내측연결부재(21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연결부재(214")는 상기 내측연결부재(21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연결부재(214')는 상기 외측연결부재(214")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연결부재(21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4)의 길이가 증감된다.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하측에는, 상기 볼트지지부(212)가 상기 베이스팬(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20a,220b,220c)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이러한 콤프브라켓(200)이 회전 한 다음, 상기 베이스팬(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20a,220b,220c)가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콤프브라켓(200)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탭(222)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bolt)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는 상기 고정볼트(208)와 대응되는 3개의 볼트(bolt)로 이루어진다. 즉 제1고정부재(220a)와 제2고정부재(220b) 그리고, 제3고정부재(220c)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팬(110)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볼트지지부(212)에 형성되는 고정볼트(208) 내부에는 고정탭(2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탭(222)은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에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며, 하방이 개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탭(222)에는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에는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가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홀(230a,230a',230b,230b',232a,232a',232b,232b',234a,234a',234b,234b')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홀(230a,…,234b')은 상기 중심홀(206)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각 2개씩 형성되며, 인접한 고정홀(230a,…,234b')들은 일정한 사이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팬(110)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삽입되는 제1a고정홀(230a)과 제1a'고정홀(230a')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a고정홀(230a)은 제1a'고정홀(230a')보다 상기 중심홀(206)로부터 먼 거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14)가 최대로 늘어난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연결부재(214')가 상기 외측연결부재(214")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214)의 길이가 줄어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에 삽입된다.
상기 제1a고정홀(230a)과 제1a'고정홀(230a')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20도 회전한 위치에는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의 형성 위치는 상기 중심홀(206)로부터 상기 제1a고정홀(230a)과 제1a'고정홀(230a')에 이르는 거리와 대응된다.
상기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220b)가 삽입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220b)는 상기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는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 또는 제1a'고정홀(230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재(214)의 길이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20도 회전한 위치에는 제3a고정홀(234a)과 제3a'고정홀(23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3a고정홀(234a)과 제3a'고정홀(234a')의 형성 위치도 상기 중심홀(206)로부터 상기 제1a고정홀(230a) 및 제1a'고정홀(230a')에 이르는 거리와 대응된다.
상기 제3a고정홀(234a)과 제3a'고정홀(234a')에는 상기 제3고정부재(220c)가 삽입된다. 상기 제3고정부재(220c)는 상기 제3a고정홀(234a)과 제3a'고정홀(234a')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는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 또는 제1a'고정홀(230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경우나, 상기 제2고정부재(220b)가 상기 제2a고정홀(232a) 또는 제2a'고정홀(23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재(214)의 길이에 따라 좌우된다.
한편, 상기 제1a고정홀(230a) 및 제1a'고정홀(230a')과 상기 제2a고정홀(232a)과 제2a'고정홀(232a') 사이에는 제1b고정홀(230b) 및 제1b'고정홀(230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b고정홀(230b) 및 제1b'고정홀(230b')은 상기 제1a고정홀(230a) 및 제1a'고정홀(230a')과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b고정홀(230b) 및 제1b'고정홀(230b')에도 상기 제1a고정홀(230a) 및 제1a'고정홀(230a')과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삽입된다.
상기 제2a고정홀(232a) 및 제2a'고정홀(232a')과 상기 제3a고정홀(234a)과 제3a'고정홀(234a') 사이에는 제2b고정홀(232b) 및 제2b'고정홀(232b')이 각각 형 성된다. 상기 제2b고정홀(232b) 및 제2b'고정홀(232b')은 상기 제2a고정홀(232a) 및 제2a'고정홀(232a')과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b고정홀(232b) 및 제2b'고정홀(232b')에도 상기 제2a고정홀(232a) 및 제2a'고정홀(232a')과 같이 상기 제2고정부재(220b)가 삽입된다.
상기 제3a고정홀(234a) 및 제3a'고정홀(234a')과 상기 제1a고정홀(230a)과 제1a'고정홀(230a') 사이에는 제3b고정홀(234b) 및 제3b'고정홀(234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3b고정홀(234b) 및 제3b'고정홀(234b')은 상기 제3a고정홀(234a) 및 제3a'고정홀(234a')과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b고정홀(234b) 및 제3b'고정홀(234b')에도 상기 제3a고정홀(234a) 및 제3a'고정홀(234a')과 같이 상기 제3고정부재(220c)가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공기조화기가 작동(냉방운전)되면, 냉매가 상기와 같은 실외기와 실내기(도시되지 않음) 사이를 유동한다. 여기서는 실외기에서의 냉매 유동에 대해 살펴본다.
실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60)로 들어간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60)에서는 액상의 냉매를 걸러내게 되며,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60)를 통과한 기체 냉매는 압축기(150)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150)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는 응축기(냉방 모드일때)로 작용하므로 냉매는 외부공기 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액냉매가 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실내기(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되고, 실내기로 유입된 냉매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하게 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를 경유한 냉매는 다시 실외기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하나의 사이클(cycle)이 완성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압축기(150)가 상기 베이스팬(110) 상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상기 중심축(202)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콤프브라켓(200)을 회전하여 상기 압축기(150)의 적당한 설치방향을 찾는다. 즉, 상기 압축기(150) 주변의 타 부품 위치를 고려하여 압축기(150)가 타 부품과 간섭되지 않고, 압축기(150)나 타 부품의 애프터서비스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압축기(150)의 설치위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 또는 제1a'고정홀(230a')에 삽입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제1b고정홀(230b) 또는 제1b'고정홀(230b')에 삽입되도록 체결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상기 압축기(150)의 설치 방향을 결정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 압축기(150)의 외경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 또는 제1a'고정홀(230a') 중 어느 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즉, 상기 압축기(150)의 외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214)를 늘여서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에 삽 입되도록 하며, 상기 압축기(150)의 외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214)를 늘여서 상기 제1고정부재(220a)가 상기 제1a'고정홀(230a')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설치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연결부재(214)의 길이도 결정된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를 상기 고정탭(222)에 체결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를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홀(230a,…,234b')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상기 베이스팬(110)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고정탭(222)에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를 나사 체결한다.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가 상기 고정탭(222)에 나사 체결되면, 상기 콤프브라켓(200)은 상기 베이스팬(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다음으로는 상기 콤프브라켓(200)에 상기 압축기(150)를 삽입한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볼트(208)가 상기 고정부(190)의 고정공(192)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너트(216)를 상기 고정볼트(208)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압축기(150)의 설치가 완료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과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압축기(150)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즉, 상기에서는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를 사용하여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각 부위가 상기 베이스팬(110)에 먼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50)가 상기 콤프브라켓(200)과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 상기 압축기(150)를 먼저 상기 콤프브라켓(2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220a,220b,220c)를 이용하여 상기 콤프브라켓(200)의 볼트지지부(212)가 상기 베이스팬(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팬(110)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홀(230a,…,234b')은 상기에서 예시한 위치나 수량에 구애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고정홀(230a,…,234b')의 형성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홀(230a,…,234b')의 수량도 필요에 따라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콤프브라켓(200)을 상기 베이스팬(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220a,220b,220c)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부재(220a,220b,220c) 외에 다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콤프브라켓(200)이 상기 베이스팬(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는, 압축기를 지지하는 별도의 콤프브라켓이 구비되고, 이러한 콤프브라켓은 베이스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의 설치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압축기를 기존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주변 부품과 압축기 간에 간섭을 일으나거나, 애프터서비스를 위하여 압축기의 설치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콤프브라켓을 회전시켜 적당한 압축기 설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의 고정부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의 볼트지지부와 중앙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외경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압축기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압축기의 크기에 따라 종래와 같이 베이스팬을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제품(베이스팬)의 공용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과;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와;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상기 압축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압축기를 지지하는 콤프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상기 콤프브라켓은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브라켓에는,상기 압축기의 하단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브라켓의 중앙부와 상기 고정볼트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브라켓은,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앙지지부와;상기 중앙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는 볼트지지부와;상기 중앙지지부와 볼트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지지부에는,상기 압축기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체결되어, 압축기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겹으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중앙지지부와 볼트지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연결부재 및 외측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콤프브라켓의 일측에는,상기 볼트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됨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볼트(bolt)로 이루어지며, 상기 콤프브라켓에 구비되는 고정볼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탭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020A KR20070077410A (ko) | 2006-01-23 | 2006-01-23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020A KR20070077410A (ko) | 2006-01-23 | 2006-01-23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7410A true KR20070077410A (ko) | 2007-07-26 |
Family
ID=385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7020A KR20070077410A (ko) | 2006-01-23 | 2006-01-23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7741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80306A (zh) * | 2015-09-24 | 2015-12-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安装底座及具有该安装底座的空调器 |
-
2006
- 2006-01-23 KR KR1020060007020A patent/KR200700774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80306A (zh) * | 2015-09-24 | 2015-12-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安装底座及具有该安装底座的空调器 |
CN105180306B (zh) * | 2015-09-24 | 2019-01-2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安装底座及具有该安装底座的空调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379999B (zh) | 空调装置以及空调装置的安装结构 | |
EP2889544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US20170292732A1 (en) | Air-conditioning-device indoor unit | |
CN105737279B (zh) | 空气调节器的室外机 | |
EP2037187A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US20080314068A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70077410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621243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 |
KR100765563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 |
KR20100084402A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77409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626455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 |
KR20080058782A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 |
CN220689199U (zh) | 挂式空调 | |
CN220038619U (zh) | 挂式空调 | |
US11859852B2 (en) | Air conditioner with modular makeup air assembly | |
KR20190003071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2511321B1 (ko) | 압축기 및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
KR100593080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20180027111A (ko) | 팽창기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 |
KR10059307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 |
KR20050075152A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593083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 |
KR101361098B1 (ko) | 냉방기용 급기챔버 겸용 일체형 풍량 분배기 | |
KR20050082476A (ko) |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