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827A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827A
KR20070076827A KR1020060006208A KR20060006208A KR20070076827A KR 20070076827 A KR20070076827 A KR 20070076827A KR 1020060006208 A KR1020060006208 A KR 1020060006208A KR 20060006208 A KR20060006208 A KR 20060006208A KR 20070076827 A KR20070076827 A KR 2007007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ment
ubiquitous
equipmen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191B1 (ko
Inventor
신동문
엄성은
진재훈
Original Assignee
(주)엔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앤에스 filed Critical (주)엔앤에스
Priority to KR102006000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1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의 실험장비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실험장비들을 서로 다른 장소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Ubiquitous Laboratory: U-Lab)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U-Lab 관리 시스템의 접속,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포털서버와, 소정의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상기 실험에 따른 실험 결과를 전송하는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받아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메인 DB에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해당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른 실험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U-Lab 실험장비, 스케줄링, 솔루션, 역량관리

Description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UBIQUITOUS LABORATORY SERVICE SYSTEM USING UBIQUITOUS NETWORK AND THE PRESENTING METHO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실험 솔루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역량관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
본 발명은 고가의 실험장비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비 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실험장비들을 서로 다른 장소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Ubiquitous Laboratory: U-Lab)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중소기업, 벤처기업, 연구소들이 상위레벨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첨단 실험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중소기업, 벤처기업, 연구소들은 고가의 실험장비를 구입할 자금이 부족하여 연구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많은 자금을 들여 구입한 첨단 실험장비가 그 능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고, 가동시간이 적은 경우도 발생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소기업, 벤처 기업 및 연구소들은 필요한 실험장비를 공동으로 구입하고 적절한 시간 분배를 통하여 자금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장비를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생겨난다. 하지만 여러 기업과 연구소가 연구단지처럼 물리적으로 인접한 곳에 위치하여만 가능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 이러한 공동구입, 공동이용 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고가의 첨단장비를 원격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험장비의 풀-타임 쉐어링(Full-Time Sharing)을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험진행과정의 자동화와 시시각각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즉각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U-Lab 관리 시스템의 접속,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포털서버와, 소정의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상기 실험에 따른 실험 결과를 전송하는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받아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메인 DB에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해당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른 실험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제어서버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필요한 유비쿼터스 실험장비가 존재하는지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에 대한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가 상기 장비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실험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제어서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와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와 역량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실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실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메인 DB에서 실험에 대한 정보에 대한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고, 상기 실험에 해당하는 실험환경에 대한 솔루션과 기존의 실험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역량관리서버와 제어서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와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와 역량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검색 요구가 발생하면 사용자 정보 검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역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역량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실험 이력 및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험 장비의 이력과 그 이력을 토대로 한 최적의 중장기 실험계획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유비쿼터 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실(Ubiquitous Laboratory: 이하 "U-Lab"이라 함) 실험장비(10)와, 상기 U-Lab 실험장비와 전용망(TCP/IP)을 통해 접속하는 U-Lab 관리 시스템(100)과 이동통신망(50) 및 공중망(TCP/IP: 60)과 같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단말기(70)들로 구성된다.
각 U-Lab 실험장비(10)는 실질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실험장비와 상기 U-Lab 관리 시스템(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U-Lab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실험장비의 제어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상기 U-Lab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제어컴퓨터(15)로 구성된다.
U-Lab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서버(20)와 메인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라 함-23)와 백업 DB(25)와 역량관리 서버(30)와 포털 서버(40)와 포털 DB(45)로 구성되어, 상기 유무선 통신망(50, 60)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기(70)들로부터 실험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요청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U-Lab 실험장비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U-Lab 실험장비의 사용 시간을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된 시간대에 해당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컴퓨터(15)를 통해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상기 제어컴퓨터(15)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단말기(7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U-Lab 관리 시스템(100)은 실험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필요한 실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에 대한 적절한 솔루션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U-Lab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실험 이력 및 장비 이력 그리고 사용자의 수행한 실험의 조건, 환경, 결과 등을 관리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Lab 관리시스템(100)의 포털 서버(40)는 U-Lab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 및 과금정보를 포털 DB(45)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70)의 U-Lab 관리 시스템의 접속,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한다.
메인 DB(23)는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와 각각의 장비들에 대한 사용자별 실험 결과정보와 사용자 실험 이력 및 장비 이력을 저장한다. 또한, 메인 DB(23)는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들을 저장한다.
백업 DB(23)는 메인 DB(23)에 저장된 정보의 안전성을 위해 상기 제어서버(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메인 DB(23)의 정보들을 일정 주기로 백업을 수행하거나 메인 DB(23)에 새로운 정보가 저장될 때 상기 백업을 수행한다.
제어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실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U-Lab 실험장비의 유무 여부 확인 및 U-Lab 실험장비의 사용 시간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 시간 스케줄링에 따라 해당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컴퓨터(15)로 장비 제어 명령 및 처리 명령을 전송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상기 실험 결과를 상기 해당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컴퓨터(15)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메인 DB(23)에 저장하고, 포털 서버(4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필요한 실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에 대한 적절한 솔루션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제공한다.
역량관리서버(30)는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포털서버(40)를 통해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장비 이력 및 사용자 이력에 대한 정보를 메인 DB(23)로부터 검출하고, 사용자 역량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비 이력 및 사용자 이력 정보와 함께 포털 서버(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70)로 제공한다. 상기 역량 관리 정보는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실험의 내용, 일반적인 단계별 실험진행의 로드맵 또는 전반적인 기술발전의 방향과 성격을 보여주는 기술로드맵 및 많은 사람들이 따라서 수행한 기존의 실험진행 순서 중 최고의 성과를 보인 최적의 실시 예가 포함될 수 있다.
U-Lab 실험장비(10)는 실험 관리 시스템(100)과 전용망(TCP/IP)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장비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른 실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15)를 구비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솔루션 정보를 메인 DB(23)가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어 컴퓨터(15)가 해당 실험장비에 대한 솔루션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후술할 도 3에서는 제어 컴퓨터(15)가 솔루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70)는 공중망(TCP/IP-60) 또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포털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들로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70-1), 핸드폰(70-2) 또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70-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털 서버(40)를 통한 접속 및 인증과정 후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임의의 사용자가 필요한 장비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70)는 211단계에서 필요장비 존재 확인을 요청하는 필요장비 존재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필요장비 존재 확인 요청 메시지는 포털 서버(40)를 통해 제어서버(20)로 전송된다.
상기 필요장비 존재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서버(20)는 213단계에서 메인 DB(23)의 U-Lab 실험장비 리스트 및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장비가 존재하는 검색한다. 상기 검색 후 제어서버(20)는 215단계에서 필요장비의 존재 여부 정보를 가지는 필요장비 확인 메시지를 포털 서버(40)와 유무선통신망(50, 6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상기 필요장비 확인 메시지를 수신받은 사용자 단말기(70)는 상기 필요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보여주고, 상기 필요장비 확인 메시지가 필요장비의 존재를 알리는 메시지이면 사용자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입력할 것이다. 사용자가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70)는 217단계에서 장비 제어 및 처리 명령을 포털 서버(40)를 통해 제어서버(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서버(20)는 219단계에서 상기 장비 제어 및 처리 명령이 수신되 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U-Lab 실험장비의 사용시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줄링이 완료되면 제어서버(20)는 221단계에서 스케줄링 결과를 포털 서버(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포털 서버(40)는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 시 상기 스케줄링 시간에 대한 요금을 계산하고, 과금정보를 포털 DB(45)에 저장한 후 상기 스케줄링 결과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상기 221단계 후 제어서버(20)는 223단계에서 스케줄링에 따른 U-Lab 실험장시 사용 시작 시각이 되면 상기 장비 제어 및 처리 명령을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 컴퓨터(15)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컴퓨터(15)는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 명령과 처리명령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고, 227단계에서 실험 수행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27단계에서 이벤트(이벤트는 실험 진행 중의 주요 경과 수치, 이상 발생 유무 등을 포함한다)가 발생한다면 228단계에서 이벤트 메시지를 교환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227단계에서 이벤트 발생이 발생되지 않거나 이벤트가 처리되면 상기 U-Lab 실험장비(10)의 제어컴퓨터(15)는 229단계에서 실험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고, 실험이 종료되면 실험 결과를 생성하여 231단계에서 제어서버(20)로 전송한다.
제어서버(20)는 상기 실험 결과가 수신되면 233단계에서 실험 결과를 저장하고, 235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70)는 상기 실험결과를 저장한 후 액정디스플레이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표 시장치를 통해 상기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사용자는 PDA(70-3) 또는 핸드폰(70-2) 등의 이동형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해 이동 중에도 포털 서버(40)에 접속 후 상기 제어서버(20)를 통해 메인 DB(23)에 저장되어 있는 실험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실험 솔루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70)를 사용하여 필요 실험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실험 목적, 얻고자 하는 실험 결과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70)는 301단계에서 상기 실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실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관련자료 검색 요청 메시지를 303단계에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서버(20)는 상기 관련자료 검색 요청 메시지를 303단계에서 포털서버(40)를 통해 수신하고, 304단계에서 상기 관련자료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실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메인 DB(23)에서 상기 실험 정보와 관련된 자료, 상기 실험에 필요한 장비 및 최적의 실험 조건 등과 같은 자료를 검색한다. 상기 관련자료 검색이 완료되면 제어서버(20)는 305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자료에 따른 즉 상기 실험 조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솔루션이 있는지를 요청하는 솔루션 검색 요청 메시지를 해당 U-Lab 실험장비(10)로 전송한다. 상기 솔루션 검색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검색된 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솔루션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U-Lab 실험장비(10)는 307단계에서 상기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의 여부, 즉 솔루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309단계에서 검색 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U-Lab 실험장비(10)는 솔루션이 존재하면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솔루션에 대한 자료를 검색하고 313단계에서 솔루션 권고 정보를 포털서버(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상기 솔루션 권고 정보는 최적 실험절차, 최적 실험조건, 참고 결과 사항을 포함한다.
또한, 솔루션 정보가 메인 DB(2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U-Lab 실험장비(10)로의 솔루션 검색 요청 없이 제어서버(20)가 메인 DB(23)에서 솔루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솔루션이 있을 경우 포털서버(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역량관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역량관리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연구자 단말기(70)를 사용하여 401단계에서 포털서버(40)를 통해 제어서버(20)에 접속한다.
포털서버(40)에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기(70)는 403단계에서 사용자의 역량관리 제공 요구에 의해 사용자 정보 검색 요청 메시지를 포털서버(40)를 통해 역량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역량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정보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405단계에서 메인 DB(23)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실험 이력 및 상기 실험에 필요한 장비에 대한 장비 이력을 검색하고, 407단계에서 사용자 및 장비 이력을 전송한다.
또한, 역량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및 장비 이력의 전송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역량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는 상기 역량관리서버(30)로부터 사용자 및 장비 이력 그리고 연이어 수신되는 역량관리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상기 사용자 역량 관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실험의 내용, 일반적인 단계별 실험 진행의 로드맵 또는/ 및 전반적인 기술발전의 방향과 성격을 보여주는 기술 로드맵,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따라서 수행한 기존의 실험진행 순서 중 최고의 성과를 보인 최선의 실험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상기 정보들을 보고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해 차기 실험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70)는 415단계에서 차기 실험 선택 정보를 제어서버(20)로 전송한다.
제어서버(20)는 차기 실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417단계에서 상기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해당 U-Lab 실험장비(10)의 스케줄을 확인하고, 상기 U-Lab 실험장비(10)의 가능 사용 시간에 대한 스케줄 정보 생성하고, 419단계에서 상기 도 3과 같이 솔루션 권고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스케줄 정보와 솔루션 권고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서버(20)는 421단계에서 스케줄링 결과 및 솔루션 권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해 상기 정보를 확인하고 최종적인 실험계획을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격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기본적인 원격실험에 있어서, 실험과정의 자동화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의한 즉각적인 반응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험의 실패를 줄이고 사용자가 원격실험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의 원격실험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 전문가시스템이 제공해주는 솔루션과 역량관리 서비스를 통해서 최적화된 실험절차, 실험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전체 실험계획을 세우는데도 최적의 실험을 참고하여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있으므로 실험의 성과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많은 향상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4)

  1.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U-Lab 관리 시스템의 접속,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포털서버와,
    소정의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상기 실험에 따른 실험 결과를 전송하는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수신받아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메인 DB에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을 해당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및 처리 명령에 따른 실험 결과를 수신받아 상기 포털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DB(23)가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실험에 대한 솔루션 정보를 상기 메인 DB에서 찾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수신된 실험결과를 해당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에 대해 사용자별로 상기 메인 DB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실험 시마다. 사용자 실험 이력 및 장비이력을 상기 메인 DB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역량관리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실험 이력 및 장비 이력과, 역량관리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관리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실험의 내용, 단계별 실험진행의 로드맵, 상기 실험부야에 대한 기술반전의 방향과 성격을 보여주는 기술로드맵 및 다른 많은 사람들이 따라서 수행한 실험 진행 순서 중 최고의 성과를 보인 최적의 실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
  6.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제어서버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필요한 유비쿼터스 실험장비가 존재하는지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에 대한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 기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장비 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을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가 상기 장비제어 및 실험 처리 명령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실험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 스케줄링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고, 과금정보를 저장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 실험장비가 상기 실험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서버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와 이벤트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이벤트를 해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제어서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와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와 역량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실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실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메인 DB에서 실험에 대한 정보에 대한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고, 솔루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정보가 최적 실험절차, 최적 실험조건, 참고 결과사항, 역량관리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관리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실험의 내용, 단계별 실험진행의 로드맵, 상기 실험부야에 대한 기술반전의 방향과 성격을 보여주는 기술로드맵 및 다른 많은 사람들이 따라서 수행한 실험 진행 순서 중 최고의 성과를 보 인 최적의 실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역량관리서버와 제어서버와, U-Lab 장비들에 대한 장비 리스트와 각 장비별 사용자 스케줄링 정보와 다양한 실험 분야, 실험 조건, 실험 결과 및 실험 절차 등에 따른 솔루션 정보와 역량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와, 다수의 유비쿼터스 실험장비로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검색 요구가 발생하면 사용자 정보 검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역량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역량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실험 이력 및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험 장비의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사용자 역량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관리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실험의 내용, 단계별 실험진행의 로드맵, 상기 실험부야에 대한 기술반전의 방향과 성격을 보여주는 기술로드맵 및 다른 많은 사람들이 따라서 수행한 실험 진행 순서 중 최고의 성과를 보인 최적의 실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험 이력, 장비 이력 및 역량관리정보의 송신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차기 실험 선택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실험 선택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실험 선택 정보에 대한 유비쿼터스 실험장비의 스케줄링을 확인하고, 상기 메인 DB에서 상기 선택된 실험에 대한 솔루션정보를 찾아 상기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06208A 2006-01-20 2006-01-2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77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208A KR100771191B1 (ko) 2006-01-20 2006-01-2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208A KR100771191B1 (ko) 2006-01-20 2006-01-2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827A true KR20070076827A (ko) 2007-07-25
KR100771191B1 KR100771191B1 (ko) 2007-10-29

Family

ID=3850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208A KR100771191B1 (ko) 2006-01-20 2006-01-20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1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93B1 (ko) * 2008-03-28 2010-05-2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토카막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KR101370977B1 (ko) * 2013-06-14 2014-03-10 김진영 과학실 관리 및 실험정보 제공방법
CN106909131A (zh) * 2015-12-22 2017-06-30 上海西门子线路保护系统有限公司 实验仪器的管理系统
CN107743124A (zh) * 2017-10-18 2018-02-27 优来博(重庆)科技有限公司 实验室资源共享与管理系统及实验仪器或设备的监控方法
CN113673733A (zh) * 2021-08-27 2021-11-1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实验室预约方法、装置、实验室预约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40803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사용자에 최적화된 실험실 환경 제공 방법
KR20220062868A (ko) * 2020-11-09 2022-05-17 김종훈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535A (ko) * 2001-03-26 2002-10-05 (주)디지털넷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시스템
KR20030042649A (ko) * 2001-11-23 2003-06-02 정익호 통신망을 이용한 임베디드 프로그램 설계 원격 학습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93B1 (ko) * 2008-03-28 2010-05-2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토카막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KR101370977B1 (ko) * 2013-06-14 2014-03-10 김진영 과학실 관리 및 실험정보 제공방법
CN106909131A (zh) * 2015-12-22 2017-06-30 上海西门子线路保护系统有限公司 实验仪器的管理系统
CN106909131B (zh) * 2015-12-22 2020-10-16 上海西门子线路保护系统有限公司 实验仪器的管理系统
CN107743124A (zh) * 2017-10-18 2018-02-27 优来博(重庆)科技有限公司 实验室资源共享与管理系统及实验仪器或设备的监控方法
CN107743124B (zh) * 2017-10-18 2020-12-11 重庆因博科技有限公司 实验室资源共享与管理系统
KR20210140803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사용자에 최적화된 실험실 환경 제공 방법
KR20220062868A (ko) * 2020-11-09 2022-05-17 김종훈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3673733A (zh) * 2021-08-27 2021-11-1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实验室预约方法、装置、实验室预约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191B1 (ko)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191B1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실험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4144109A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3001982B (zh) 一种实时共享方法、装置及系统
CN102692245B (zh) 显示装置、能量显示方法
CN105100708A (zh) 请求处理方法及装置
CN108551413B (zh) 智能家居设备绑定方法、装置、网关设备及存储介质
CN101273337B (zh) 终端装置和服务器装置以及指令装置
CN102457514A (zh) 面向移动终端的无线网络的短信身份认证方法
CN103686226A (zh) 基于云计算的机顶盒上网监控方法、监控系统和机顶盒
CN107018203A (zh) 一种变频器远程监控控制方法
CN105187266A (zh) 信息监控方法和装置
CN104601493A (zh) 一种带宽调整方法、系统及智能管道平台
CN110457612A (zh) 一种终端页面访问方法及系统
CN103532918A (zh) 基于移动互联网和云计算的移动终端监控方法和系统
CN104205075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程序
CN110472391A (zh) 数据访问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05631715A (zh) 广告更新监管方法及装置
EP25791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in in-home display
CN114567600A (zh) 流量管理方法及相关设备
JP5999594B2 (ja) メータ
CN113055485B (zh) 远程控制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156190B (zh) 一种数据推送方法及装置
US20020107922A1 (en) Processing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computer system, and memory medium and program
EP31451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system
CN106951294B (zh) 一种用于为跨系统应用提供服务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