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156A -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156A
KR20070076156A KR1020060005208A KR20060005208A KR20070076156A KR 20070076156 A KR20070076156 A KR 20070076156A KR 1020060005208 A KR1020060005208 A KR 1020060005208A KR 20060005208 A KR20060005208 A KR 20060005208A KR 20070076156 A KR20070076156 A KR 20070076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serve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환
하현명
김수철
안재홍
이윤선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6156A/ko
Priority to PCT/KR2007/000297 priority patent/WO2007083926A1/en
Publication of KR2007007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받는 정보 전송 제어 서버; 및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와 연동하며, 상기 교환기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에서 조회한 해당 상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화, 연결, 대기, 상태 정보, 이동 단말기, 교환기

Description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STAT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TIME OF RING BACK TON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착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갱신을 통한 통화 연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로의 상태 정보 조회를 통한 통화 연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메신저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미니홈피 또는 블로그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플래시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01, 502, 503 : 기지국
102, 504, 505 : 기지국 제어기 103, 104, 506 : 교환기
105 : IWF 106, 109, 111, 113 : 게이트웨이
107, 510 : 인터넷 108: PDSN
110 : 이동 통신망 112 : ISDN
114 : PSTN 500 : 발신 단말기
501 : 착신 단말기 507 : VLR
508 : HLR 509 :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511 : 미니홈피 서버 512 : 블로그 서버
513 : 메신저 서버 600 :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
610 : 정보 전송 제어 서버 620 :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630 : 웹서버
본 발명은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 설정 요구 후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며, 현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 단말기가 선보이고 있다.
한편,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 유선 통신시스템이 통신시스템의 근간을 이루었는데 반하여, 최근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나 WLL(Wireless Local Loop) 시스템이 폭넓게 보급되고 있고, 또한 개인이 이동중에 통화를 실행할 수 있는 개인 이동통신 시스템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특히, 개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주목할 만하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식으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고, 동영상 데이터까지 효과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른바 'IMT-2000' 기술에 대해 급속도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의 무선인터넷 기술이 개발되면서 이동 단말기에 웹 브라우저(Web browsers)를 탑재하여 가입자가 이동단말기를 통해 웹상의 자원을 액세스하는 일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통신단말기를 단순한 통신수단이 아닌 정보획득의 수단으로서 변모시키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구성은 기지국(BS; Base Station)(101),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02), 및 교환기(103, 104)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환기(103, 104)는 각 게이트웨이(Gateway; 이하, 'GW'라 한다.)(106, 109, 111, 113)를 통해 인터넷(107), 이종의 이동통신망(110), ISDN(112), PSTN(114) 등과 연결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100)는 상기 기지국(101)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게 되며, 복수의 기지국(101)들이 셀을 형성하여 전지역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도 1에는 하나의 기지국(101)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 기지국 제어기(102)에 복수의 기지국(101)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각 교환기(103)에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102)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103)는 다른 지역을 커 버하는 교환기(104)들과 유선망(예컨대, E1 선로)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됨으로써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100)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는 통화로를 절체하기 위한 다수의 교환기(103, 104)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교환기(103, 104)는 E1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교환기(103, 104)에는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102)가 결합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102)에는 각각 복수의 기지국(101)들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기지국(101)은 공중파 전송망을 통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들과 결합 되게 되는데, 이때 기지국(101)과 이동 단말기(100)는 TDMA나 CDMA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교환기(103, 104)는 소정의 GW(109, 111, 113)를 통해서 PSTN(114)이나 ISDN(112)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110)과 결합됨과 더불어, IWF(Inter-Working Function)(105)와 WAP GW(106)를 통해서 인터넷(107)에 결합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IWF(105) 및 WAP GW(106)를 거치지 않고, PDSN(Packet Data Serving Node)(108)를 통해 직접 인터넷(107)에 접속하기도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통신 가입자가 정상적인 등록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즉 통신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번호키를 조작하여 통신을 원하는 상대방 전화번호(착신번호)를 입력한 후 발신키('SEND'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단말기 번호, 즉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가 기지국(101)과 기지국 제어기(102)를 통해 교환기(103)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상기 교환기(103)는 수신된 착신번호를 해석하여 호접속을 실행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착신번호가 동일한 이동 통신망 내의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103)는 홈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를 통하여 중계 정보(Routing Information)를 독출한 후, 이를 근거로 착신측 교환기(104)에 대해 회선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신번호가 다른 서비스망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술한 소정의 GW(106, 109, 111, 113)를 통해 다른 서비스망과 회선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착신처리를 실행함에 있어 통상적으로 교환망에 있어서는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링신호를 공급하는 등의 호출처리를 실행함과 더불어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호출음(Ring back tone)이나 이에 상당하는 정보를 공급함으로써 현재 발신처리가 실행중임을 발신자에게 알려 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호출 신호는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러한 통화 대기 시간은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것이다.
특히, 착신자가 이동통신망 가입자인 경우에는 착신자가 주변의 소음 등으로 인하여 발신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또한 통신환경의 악화로 인하여 페이징 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착신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자가 상기한 호출음을 청취하면서 장시간 통화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발신자가 발신을 실행한 후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은 통상적으로 8∼12초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통화 대기 상태 동안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발신자의 단말로 호출음 대신 착신자가 설정한 배경 음악(일반적으로 '컬러링'이라고 함) 등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경 음악 등도 발신자가 전화를 걸 때마다 반복적이고 단순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지루함을 느낄 수가 있으며, 착신자가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의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시간 동안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다양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설정 요구 후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착신자가 미니 홈페이지(이하, '미니홈피'라 한다),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를 통해 기설정한 자신의 상태 정보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설정 요구 후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발신자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를 통해 기설정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를 통해 기설정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호 설정 요구 후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추출된 상태 정보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설정 요구 후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로 기설정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받는 정보 전송 제어 서버; 및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와 연동하며, 상기 교환기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에서 조회한 해당 상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방법은, 개인별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상태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가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방법은, 개인별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상태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가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가 설정된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공받은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호 설정을 요구한 후 착신측의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착신자가 개인별로 할당되는 웹상의 외부 공간(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을 통해 기설정한 상기 착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발신자가 개인별로 할당되는 웹상의 외부 공간(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같은 외부 사이트)을 통해 기설정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 발신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각각 별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서비스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하고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태 정보는 상기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에서 해당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자신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로서 텍스트,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 정지 영상 이미지, 플래시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공 되는 상태 정보는 상기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에 한정되지 않으며, 웹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서버에서 개인별로 사용 공간을 제공하는 어떠한 시스템상에서 제공되는 개인 정보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공되는 상태 정보가 '미니홈피'에 설정된 정보일 경우, 상기 자신의 미니홈피 내에서 개인이 설정할 수 있는 자신의 기분 상태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자신이 구성한 아바타, 개인이 설정한 미니홈피 제목에 대한 텍스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되는 상태 정보가 '블로그'에 설정된 정보일 경우, 상기 자신의 블로그 내에서 개인이 설정하게 되는 블로그 제목 또는 자신의 블로그를 대표하여 설정된 이미지, 자신의 기분 상태를 나타내어 설정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아바타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공되는 상태 정보가 '메신저'에 설정된 정보일 경우, 상기 자신의 메신저 내에서 설정할 수 있는 애칭 정보, 현재 상태 정보(예컨대, 로그인, 자리 비움 등)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자신이 구매하거나 설정한 플래시콘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개념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 경우, 통화 요청 후 수신자가 착신하기 전까지의 통화 연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각각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공 되는 상태 정보는 이동 통신망의 외부에 구성된 소정의 웹서버에서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간에 설정된 정보로서, 상기 각 사용자에게 제공된 공간으로는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에서 각 개인이 설정한 각종 정보(예컨대, 텍스트, 아바타, 사진, 동영상, 음악, 이모티콘, 플래시콘 등)가 상기 상태 정보로서 제공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도 2에서는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 화면에 수신자의 이름(어윤영) 및 전화번호(010-666-7777)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수신자의 상태 정보, 즉 수신자가 미니홈피 등에서 설정한 캐릭터 이미지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문자의 조합("TODAY IS ..♥설렘)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 화면에는 발신자의 이름(한가람) 및 전화번호(010-333-5555)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발신자의 상태 정보, 즉 발신자가 미니홈피 등에서 설정한 미니홈피 배경 이미지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문자의 조합("TODAY IS ..♣행복)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각 사이트에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 번호로 상기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해당 이동 단말기의 통신사에 부가 서비스의 형태로 신청함으로써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입에 따라 해당 통신사의 상기 서비스 신청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서비스 가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아울러 상태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사이트 및 추출 하여 제공하게 되는 상태 정보의 속성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 정보의 종류 및 속성 등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서비스 웹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 주소와 해당 사이트에서 추출하게 되는 상태 정보의 종류 및 속성 등을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사의 서버와 상기 각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의 서버를 연동시키고,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에서 서비스 설정을 수행할 때, 해당 설정 정보가 상기 통신사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자의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 때, 상기 발신자의 발신 정보가 이동 통신사의 무선망으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 통신사에서는 미니홈피 또는 메신저의 유무선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정보에 따라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기설정한 상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공받은 발신자의 상태 정보는 수신자가 착신 응답할 때까지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며, 상기 제공받은 수신자의 상태 정보는 수신자가 착신 응답할 때까지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시스템을 설명하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처리되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지국(502, 503), 기지국 제어기(504, 505), 교환기(506),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한다)(507),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한다)(508),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상기 교환기(506) 또는 HLR(508)을 통해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며, 인터넷(510) 등을 통해 각종 상태 정보 제공 서버(예컨대, 미니홈피 서버(511), 블로그 서버(512), 메신저 서버(513)들과 연동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상기 이동 통신망의 사업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망 내에 구비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별도의 사업자가 상기 이동 통신망 외부에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될 경우 해당 부가 서비스 선택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망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해당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를 수행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는 상기 통화를 시도한 서비스 가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주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신 단말기(500)에서 수신 단말기(501)로 통화를 시도할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500)에서 시도한 통화 요구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기(500)와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520)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504)를 거쳐 교환기(506)로 전송된다. 상기 교환기(506)에서는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HLR(508)로 조회하고, 상기 발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즉,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신청하였는지 여부를 조회하게 된다. 이때, 상기 HLR(508)을 통해 조회된 각종 정보는 상기 VLR(507)로 제공된다.
만약,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신청하였을 경우, 상기 교환기(506)에서는 수신 단말기(501)로의 통화 연결 시도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으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는 상기 발신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501)로 제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발신 단말기(500)로 제공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신 단말기(500)에서 수신 단말기(501)로 통화를 시도할 때, 상기 교환기(506)에서는 상기 수신 단말기(501)에 대한 부가 서비스 신청 여부를 상기 수신 단말기(501)가 등록된 해당 HLR(508)로 조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수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신청하였을 경우, 상기 교환기(506)에서는 수신 단말기(501)로의 통화 연결 시도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으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5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각 서비스 가입자들이 설정한 외부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예컨대, 미니홈피 서버(511), 블로그 서버(512), 메신저 서버(513))로부터 해당 서비스 가입자들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 및 저장하고, 해당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506)를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상태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된 특정 장치와 관련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예를 든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장치들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5에서 이동 통신망을 구성하는 교환기(506)는 로컬 교환기(Local Exchange)나 탠덤 교환기(Tandem Exchange) 또는 톨 교환기(Toll Exchang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506)는 예컨대 E1 링크와 No.7 프로토콜을 통해 HLR(508) 등과 결합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HLR(508)은 이동통신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 즉 가입자 번호, 단말기 고유번호, 가입자 사용정보, 부가서비스 정보,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인증 정보 등을 구비하고 있게 된다. 상기 HLR(508)의 등록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교환기(506)에 제공되어 VLR(507)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VLR(507)은 교환기(506)에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제공되는데, 여기에는 해당 교환기(506)의 관할 영역에 존재하는 가입자에 대응하는 상기 HLR(508)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교환기(506)는 다수의 다른 교환기(104)와 기지국 제어기(102), 게이트웨이(109, 111, 113) 등과 결합되어 가입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상태에서 각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상대편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상기 교환기(506)와 예컨대 E1 링크 및 ISUP(ISDN User Part) 프로토콜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예컨대 100baseT의 전용망 및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통해 상기 HLR(508)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인터넷(510)을 통해 각종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예컨대, 미니홈피 서버(511), 블로그 서버(512) 및 메신저 서버(513) 등)과 접속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서비스 가입자는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510) 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즉, 통화 연결 대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를 받는다면 어떠한 서버로부터 어떠한 상태 정보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등록 절차는 인터넷(510) 이외의 다른 통신네트워크나 오프라인을 통한 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서비스 가입 또는 상태 정보의 종류 선택 등은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 구비된 웹서버를 통해 수행하거나, 상기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예컨대, 미니홈피 서버(511), 블로그 서버(512) 및 메신저 서버(513) 등)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동 통신망에 상기 부가 서비스를 신청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이 제공할 자신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정보 제공 서버 및 상태 정보의 종류들을 설정하고,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입자가 인터넷(510)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해당 서비스 가입 선택 상태, 즉 서비스 제공 정보는 상기 HLR(508)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HLR(508)에 대한 서비스 제공 정보의 등록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망을 통한 온라인 등록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HLR(508) 및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간에는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아울러, 상기 HLR(508)에 대한 서비스 제공 정보의 등록은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의 운용자가 별도의 오프라인이나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망 관리자에게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HLR(508)에 저장되는 등록 정보는 상기 VLR(507)에 제공 및 저장되어 해당 가입자를 위한 콜 셋업(call setup)시에 고려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정보의 등록은 상기 HLR(508) 및 VLR(507)에 별도의 저장 필드를 구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정보 저장 필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500)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교환기(506)는 상기 VLR(507)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기(즉, 발신 단말기(501) 또는 착신 단말기(501))에 대하여 착신 응답 대기시간 동안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상태 정보의 제공은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과의 연동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을 통한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는 다음의 2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상기 교환기(506)는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부터 호(call)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 결합시킴과 더불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호 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발신 단말기(500) 또는 착신 단말기(501)에 상기 해당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교환기(506)는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 접속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500)를 착신 단말기(501)에 결합시킨다.
두 번째 방법으로, 상기 교환기(506)는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발신 호를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으로 중계한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수신된 호 요구 메시지를 근거로 발신 단말기(500) 또는 착신 단말기(501)에 상기 해당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통상적인 교환기의 기능 수행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호 접 속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 접속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500)를 착신 단말기(501)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2가지 방법은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 접속 처리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을 실행하고, 착신측으로부터 착신 응답 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측과 착신측을 호 접속함으로써 정상적인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2가지 방법에서 첫 번째 방법은 교환기(506)에서 호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두 번째 방법은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 호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 호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교환기(506)에 상당하는 구성수단이 요구되므로, 상기 2가지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상기한 2가지 방법에 있어서 첫 번째 방법은 기존의 교환망과 추가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 사이에 중계선 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두 번째 방법은 종래의 교환망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발신 단말기(500) 또는 착신 단말기(501)로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인터넷(510) 등을 통해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예컨대, 미니홈피 서버(511), 블로그 서버(512) 및 메신저 서버(513) 등)과 연결되며, 상기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로부터 상기 각 가입자들이 설정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의 상태 정보의 수집 방법은 두 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상기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에서 해당 가입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에 변경이 있을 경우, 해당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들로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해당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에서 변경이 있을 때마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으로 변경 사항을 통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각 가입자가 상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즉,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마다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 해당 서비스 요청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첫 번째 방법과는 달리 서비스 상황 발생시에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에서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 해당 정보만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 첫 번째 방법에 따른 서비스 절차는 도 9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하며, 상기 두 번째 방법에 따른 서비스 절차는 도 1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의 세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의 세부 구조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509)은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 정보 전송 제어 서버(610),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 및 웹서버(6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는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506)와 연동하며, 상기 교환기(506)의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있을 경우, 교환기에서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로 판단될 경우,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로 해당 단말기에 대한 상태 정보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태 정보가 전송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로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며, 착신 단말기로 상태 정보가 전송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태 정보 제공의 요청을 받게 되면,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610)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 수집을 요청하여 제공받거나,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 기저장된 상기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기(즉, 가입자의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는 상기 제공받은 상태 정보를 각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610)는 상술한 두 가지 방법(즉,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의 상태 정보 수집 요구시 또는 주기적인 상태 정보 제공 서버의 검색 또는 각 상태 정보 제공 서버의 정보 변경에 따른 상태 정보 통보)에 따라 각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하거나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기본적으로 각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의 각 가입자의 상태 정보 요청 시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600)로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상기 각 가입자에 대한 기본 정보 및 각종 설정 정보(예컨대,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 해당 가입자가 제공하기로 선택한 상태 정보에 대한 속성 정보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63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입자의 서비스 가입 또는 추출할 상태 정보에 대한 속성값 등의 설정 정보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이용자는 인터넷(510)을 통해 상기 웹서버(630)에 접속하게 되며, 상기 웹서버(6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제공할 자신의 상태 정보에 대한 각종 설정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630)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정보 또는 설정 정보 등은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할 설명에서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접속 절차에 사용되는 ISU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구현하였으며, 이동 통신망의 종류 및 이동 통신망의 프로토콜 변화에 따라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착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하기 도 7 및 도 8에서 수행되는 절차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각 수행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프로세스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즉,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접속이 진행될 때 발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착신 단말기로 전송됨과 동시에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는 발신 교환기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S7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는 상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바람직하게는 착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S702)하고, 가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태정보 전송을 요청(S703)하게 된다.
즉, 상기 발신 교환기는 착신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미도시)로 문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발신 교환기는 착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S702). 상기 HL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이동 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HLR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종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와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식별 정보를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IAM 신호(S704)로부터 착신 가입자를 인지한다. 즉, 상기 IAM 신호에는 착신 가입자 식별 번호가 포함된다.
상기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을 수행(S705)하며, ACM 신호를 발신 교환기로 송신(S706)한다. 주지하다시피, ACM 신호는 IAM 신호를 잘 받았다는 응답 신호로서, ISUP 통신 프로토콜에 규정된 신호이다.
이어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회(S707)하고, 발신 교환기, 발신측 기지국 및 발신측 단말기 간에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해당 발신 단말기로 상기 조회된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송신(S708)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영상 이미지 또는 음성 이미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음성 채널 및 영상 채널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착신 단말기가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S709)되면, 착신 교 환기는 상기 발신 교환기로 ANM 신호를 송신(S710)한다. 주지하다시피 상기 ANM 신호는 통화가 시작되니 채널을 열어달라고 요구하는 신호이다. 그런 다음, 상기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 간에 통화 채널이 형성되고 착/발신 단말기들 간의 통화가 시작(S711)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착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는 발신 교환기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S8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는 상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바람직하게는 발신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S802)하고, 가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상태정보 전송을 요청(S803)하게 된다.
즉, 상기 발신 교환기는 착신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미도시)로 문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발신 교환기는 발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S802). 상기 HL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이동 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HLR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종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와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식별 정보를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IAM 신호(S804)로부터 착신 가입자를 인지한다. 즉, 상기 IAM 신호 에는 착신 가입자 식별 번호가 포함된다.
상기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로 페이징(Paging)을 수행(S805)하며, ACM 신호를 발신 교환기로 송신(S806)한다. 주지하다시피, ACM 신호는 IAM 신호를 잘 받았다는 응답 신호로서, ISUP 통신 프로토콜에 규정된 신호이다.
이어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회(S807)하고, 착신 교환기, 착신측 기지국 및 착신측 단말기 간에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로 상기 조회된 발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송신(S808)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영상 이미지 또는 음성 이미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음성 채널 및 영상 채널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착신 단말기가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S809)되면, 착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교환기로 ANM 신호를 송신(S810)한다. 주지하다시피 상기 ANM 신호는 통화가 시작되니 채널을 열어달라고 요구하는 신호이다. 그런 다음, 상기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 간에 통화 채널이 형성되고 착/발신 단말기들 간의 통화가 시작(S811)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이동 단말기로 통화 연결 대기 중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갱신을 통한 통화 연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술한 여러가지 방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고 특정 상태 정보 제공 사이트(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에서 상태 정보를 설정(S9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S902)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 정보가 설정된 이후, 가입자가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다시 변경(S903)할 경우에는,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가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S902)된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S904)하게 되면, 상기 기저장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회(S905)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즉,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전송(S906)하게 된다.
만약,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수락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들 간에 통화 연결(S907)이 되고, 상기 상태 정보 전송 중지와 함께 서비스가 종료(S908)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로의 상태 정보 조회를 통한 통화 연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술한 여러가지 방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고 특정 상태 정보 제공 사이트(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에서 상태 정보를 설정(S1001)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S1002)하게 되면,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가 설정된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조회(S1003)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고(S1004), 상기 제공받은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즉,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전송(S1005)하게 된다.
만약,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수락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들 간에 통화 연결(S1006)이 되고, 상기 상태 정보 전송 중지와 함께 서비스가 종료(S1007)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중에 각 이동 단말기에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메신저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메신저(예컨대, 네이트온 메신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로 설정하였을 경우, 통화 연결 대기 중에 상기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메신저에서 설정해 놓은 각종 상태 정보가 상대방의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자가 자신의 메신저에서 내 상태 정보를 '다른 용무 중'으로 설정하고, 대화명을 "얘들아 보드 타러 가자 연락해"라고 설정해 놓았을 경우에는, 통화 연결 대기 중에 상대방의 단말기, 즉 발신자의 단말기에 상기 메신저에서 설정된 상태 이미지 아이콘과 대화명에 대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발신자는 상기 수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자가 현재 전화받기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하지 않고서도 현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가 무엇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가 있게 된다.
반면, 발신자는 자신의 메신저에서 내 상태 정보를 '온라인'으로 설정하고, 대화명을 "오늘 맥주 한 잔 할 사람 모엿"이라는 텍스트와 맥주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설정해 놓았을 경우에는, 통화 연결 대기 중에 상대방의 단말기, 즉 수신자의 단말기에 상기 메신저에서 설정된 상태 이미지 아이콘과 대화명에 대한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자는 현재 통화가 어려운 상황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단말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메신저를 통해 대화하거나 상기 발신자가 현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 또는 통화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가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미니홈피 또는 블로그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미니홈피(예컨대, 싸이월드 미니홈피) 또는 블로그(즉, 포털 사이트 등에 있는 개인 블로그)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로 설정하였을 경우, 통화 연결 대기 중에 상기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미니홈피에서 설정해 놓은 각종 상태 정보(예컨대, 싸이월드의 미니 미)가 상대방의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 화면에 수신자의 이름(어윤영) 및 전화번호(010-666-7777)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수신자의 상태 정보, 즉 수신자가 미니홈피 등에서 설정한 캐릭터 이미지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문자의 조합("TODAY IS ..♥설렘)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 화면에는 발신자의 이름(한가람) 및 전화번호(010-333-5555)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발신자의 상태 정보, 즉 발신자가 미니홈피 등에서 설정한 미니홈피 배경 이미지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문자의 조합("TODAY IS ..♣행복)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화 연결 대기 중에 미니홈피에 설정된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통화 전 상대방의 기분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대기 중 플래시콘 상태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 상술한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그림뿐만 아니라, 플래시콘(플래시 이모티콘) 상태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미니홈피 또는 메신저 상에서 자신의 상태 정보로서 플래시콘을 설정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연결 대기 중 상대방의 단말기로 상기 설정된 해당 플래시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 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에서 설정 가능한 개인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들을 이동 통신망과 공유함으로써 전화를 걸고 받을 때 상대방의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로 이용함에 있어 이동 통신망으로의 별도의 상태 정보 변경 등의 설정 없이, 기 사용하고 있는 웹상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 제공 수단들(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등)과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개인의 상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각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받는 정보 전송 제어 서버; 및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와 연동하며, 상기 교환기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에서 조회한 해당 상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에 저장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회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는,
    미니 홈페이지 서버, 블로그 서버 및 메신저 서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 정지 영상 이미지, 플래시 이미지 및 동영상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 제공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제어 서버는,
    상기 각 가입자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의 상태 정보 변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8. 개인별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상태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가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는,
    미니 홈페이지 서버, 블로그 서버 및 메신저 서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 정지 영상 이미지, 플래시 이미지 및 동 영상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11. 개인별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상태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가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는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연결 중 상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가 설정된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해당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공받은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서버는,
    미니 홈페이지 서버, 블로그 서버 및 메신저 서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 정지 영상 이미지, 플래시 이미지 및 동영상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
KR1020060005208A 2006-01-18 2006-01-18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6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08A KR20070076156A (ko) 2006-01-18 2006-01-18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7/000297 WO2007083926A1 (en) 2006-01-18 2007-01-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stat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time of ring back 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08A KR20070076156A (ko) 2006-01-18 2006-01-18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156A true KR20070076156A (ko) 2007-07-24

Family

ID=3828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08A KR20070076156A (ko) 2006-01-18 2006-01-18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76156A (ko)
WO (1) WO20070839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3136A (zh) * 2010-08-20 201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业务批发网络的方法、设备、服务器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6967A1 (en) * 2007-08-31 2009-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lling and called name presentation
EP2184909B1 (en) * 2008-11-11 2017-01-11 Onmobile Global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social networking site with ring back tone information
WO2010103532A2 (en) * 2009-02-06 2010-09-16 Onmobile Glob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rough ring back tones
US8503627B2 (en) 2010-06-27 2013-08-06 Shao-Pou Ch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7709A (ja) * 1999-04-20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呼者番号情報表示システム
KR20050080782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타오네트웍스 무선 통신 사용자의 착신 상태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73246B1 (ko) * 2004-03-16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 제공방법
KR20060000833A (ko) * 2004-06-29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3136A (zh) * 2010-08-20 201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业务批发网络的方法、设备、服务器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3926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174B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multaneous voice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EP21849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social networking site with ring back tone information
US8326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color ring back tone based on the called user&#39;s state presence information
US20070118592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device and user station
US20070226240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data objects prior to call establishment
CA2533288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device and user station
WO20090800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set-up between users
CN103533189A (zh) 移动座席呼叫的分配方法和装置
US20070118656A1 (en) Inter-server multimodal network communications
KR1006278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하여 프리젠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18228A (zh) 一种主叫的多媒体信息在被叫终端呈现的方法及系统
KR20070076156A (ko)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9059A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20050040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CN101291235A (zh) 与支持多种消息业务的用户通信的方法及系统
KR20040066326A (ko) 휴대폰의 p2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09130389A1 (en) Creating virtual mobile numbers in community networks
KR20030047068A (ko) 동적인 가상번호에 의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사업방법,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070115931A1 (en) Inter-server multimodal user communications
JP2007515087A (ja) 固定ネットワークまたは携帯電話ネットワークによって互いに接続されている少なくとも二つのマルチメディア端末の間で通信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76157A (ko)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9877B1 (ko) 통합 프레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RU2387091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и с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