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44A - Laundry device - Google Patents

Laund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44A
KR20070075544A KR1020060003928A KR20060003928A KR20070075544A KR 20070075544 A KR20070075544 A KR 20070075544A KR 1020060003928 A KR1020060003928 A KR 1020060003928A KR 20060003928 A KR20060003928 A KR 20060003928A KR 20070075544 A KR20070075544 A KR 2007007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main control
mai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일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544A/en
Publication of KR2007007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is provided to connect wires branched out from one main harness assembly to main control sections respectively by installing the main control section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cludes a body(100)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section, a main control section, and a display section. The input section is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or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main control section includes an upper main control section(130a) and a lower main control section(130b). The upper main control s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ection when the input sec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lower main control s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ection when the input sec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Description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laundry device}Machinery for laundering or laundry drying {laundry device}

도 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um washing machi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조작부를 분해하고, 건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ar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the dryer is cut awa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배면도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조작부가 취부된 상태의 요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 사시도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main body i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in a state where an operation unit is attached to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커버 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nel is coupled to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복합세탁장치에서 건조기가 드럼세탁기의 위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er is stacked on the drum washing machine in the combined washing machin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0 : 본체, 101 : 전면 프레임100: main body, 101: front frame

102 : 상부프레임 103 : 나사체결홈102: upper frame 103: screw fastening groove

104 : 슬롯 105 : 데코플레이트104: slot 105: decor plate

110 : 조작부 111 : 입력 버튼110: operation unit 111: input button

112 : 놉(knob) 113 : 조작부 패널112: knob 113: operation panel

114 : 조작부 커넥터 115 : 나사체결홈114: control panel connector 115: screw fastening groove

116 : 나사 117 : 돌기116 screw 117 projection

120 : 커버패널 121 : 나사체결홈120: cover panel 121: screw fastening groove

130a : 상부 메인제어부 130b : 하부 메인제어부130a: upper main control unit 130b: lower main control unit

131 : 메인제어부 상부 커넥터131: upper connector of the main control unit

132 :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 main harness assembly

141 : 메인제어부 하부 커넥터141: lower connector of the main control unit

143 : 나사체결홈 144 : 슬롯143: screw fastening groove 144: slot

150 : 건조기 160 : 세탁기150: dryer 160: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에 전원 및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메인 하네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for laundry or laundry dry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in harness assembly for providing a main control unit and an electric passag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power and the outside to the main control unit.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 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 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회전조의 마찰 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performs washing strokes, rinsing strokes, and dehydrating strokes by rotating a rotating tub and a pulsator through a driving force of a motor, and put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together inside a rotating tub and stirring them to wash laundry and washing. It is a device for washing by friction of water and rotating tub.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펄세이터식, 교반식, 드럼식 등으로 구분된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classified into pulsator type, stirring type, drum type, etc.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a drum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washing to be performed by using a rotating drum and a friction force of the laundry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while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to the washing drum. It's not tangled, and it's designed to give you a pounding and scrubbing wash effect.

도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의 전면 상부 측에는 사용자가 세탁제어를 위한 기능 입력키 및 남은 시간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갖춘 컨트롤러(3)가 구비되어 있다.1 shows a conventional drum washing machine, and a controller 3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unction input key for the washing control and the remaining time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컨트롤러(3)에는 다수의 버튼(31)과 표시창(32), LED창(33) 및 로터리 놉(5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버튼과 로터리 놉(50)은 세탁기(1)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장치로써, 세탁시간, 세탁방법의 선택, 탈수 및 건조방식을 선택할 때 이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코스 및 시간등을 입력시키게 된다.The controller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31, a display window 32, an LED window 33, and a rotary knob 50. Each button and the rotary knob 50 is an input device for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1, and when the washing time, the selection of the washing method, the dehydration and drying method is selected, the buttons and the rotary knob 50 input the washing course and time desired by the user. do.

LED창(33)은 점멸을 통해, 그리고 표시창(32)은 문자나 기호를 통해 세탁진행 상태 및 잔류시간등 각종 세탁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The LED window 33 is blinking, and the display window 32 informs the user of various washing information such as washing progress state and remaining time through letters or symbols.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계장치로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도1의 드럼세탁기와 같이 콘트롤러가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generally, the clothes dryer is a machine for automatically drying a dry object (for example, clothing) in which the washing is completed. In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a controll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s in the drum washing machine of FIG. .

위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는 콘트롤러가 본체의 상부에 설 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있는 곳으로부터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높은 곳에 위치한 콘트롤러의 입력부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 이외에도 입력에 따라 또는 콘트롤러의 본체 제어에 따라 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고개를 젖히고 봐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machine or the clothes dryer of the related ar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when the user is installed at a high place from where the user stands,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ing the controller because the controller is not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cause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ler located at a high place, such inconvenience may be inconvenient to look up and down the display to display the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o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controller.

세탁기와 의류건조기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에 양자를 옆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에 편리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위로 배치된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의 콘트롤러를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washing machine and the clothes dryer are provided together, it is convenient to use the controller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when the two are arranged side by side, but the washing machine disposed upward when one of them i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r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controller of the clothes dry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낮은 평지에 설치되는 경우는 물론, 높은 곳 특히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다른 기계장치 위로 설치되더라도 콘트롤러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well as being installed on a relatively low flat, of course, even if installed on a high place, in particular, other machinery fo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mechanism for laundering or laundry drying.

아울러, 어느 하나의 메인제어부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메인제어부에 조작부를 연결하여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main control unit is to provide a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to connect the operation unit to the other main control unit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 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메인제어부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 설치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 main controller which performs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control state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n the machine for washing or laundry drying comprising, in the main body or the input unit, the input un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y installed below the upper body A mounting structure is provided,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n upper main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when the input unit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input unit is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It provides a machine for washing or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main control unit.

이때,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하부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or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portion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elow the upper body, the display portion is Whe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main control unit,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the lower main control unit is preferably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op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일체로 이동될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피시비(printed circuit board)등과 같은 그 구체적인 세부구성에 있어서도 일체로 통합되어 형성될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 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formed integrally mean tha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and do not need to be integrally formed in a specific configuration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

예컨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세부 구성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하우징과 같은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anel such as a housing that serves to receive each detailed component so tha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moved.

또한, 입력부가 엘시디(LCD)창을 통한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 엘시디 창은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있어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method through an LCD window, the LCD window may also be used for display. In this cas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ted into on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취부구조라 함은 그 취부 대상-예컨대, 입력부-을 본체에 취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며, 어떤 특정한 형태의 취부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종래에 사용되던 취부구조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structure may be any type as long as the mounting object-for example, the input unit-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y specific type of mounting structure. The mounting structure may be used as it is.

즉,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형태의 취부구조라도 무방하다. 다만,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를 선택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ny form of mounting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tradi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 easily detachable structure so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asily achieved.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그 아래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때 타측에 설치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s preferably made of a cover panel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hen installed on any one side of the upper or below the main body.

한편, 상기 상부메인제어부 및 상기 하부메인제어부에는 외부 전원을 연결해 주거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하네스 어셈블리를 추가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main control unit and the lower main control unit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main harness assembly that connects an external power source or provides an electrical pass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a laund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먼저, 도 2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기 본체의 전면 일부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101)의 상부에 콘트롤러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커버 패널(120)이 설치되어 있다.First, FIG. 2 illustrates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chine for drying a laundry. As shown in FIG. 2, a controller operation unit 110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front frame 101 constituting a front part of a dryer body. Is installed, the cover panel 120 is installed at the bottom.

상기 조작부(110) 및 커버 패널(120)은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이하게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서로 위치 바꿔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cover panel 1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cover panel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installed to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즉, 상기 조작부(11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버 패널(120)이 설치된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커버 패널(120)은 상기 조작부(110)가 설치되었던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n which the cover panel 120 is installed, and the cover panel 120 has been installed with the operation unit 110.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0.

도 3은 도 2의 조작부가 본체의 전면 상부에 취부되는 상태를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art of FIG. 2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by cutt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IG.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의 메인제어부(130)가 본체(100)내에 설치되고,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110)를 구성하고 있다.Firs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controller 130 of the controlle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to constitute the operation unit 110.

또한,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조작부(11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프레임(102)이 설치되고, 상부프레임(102)의 양 측단부에는 조작부(110)가 상부프레임(102)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취부구조(103,104)가 설치되고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02)에는 메인제어부 상부 커넥터(131)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102 for installing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operation unit 110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02 on both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102. Upper mounting structures 103 and 104 are provided.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102 is provided with a main connector upper connector 131.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130)는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조작부(110)가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조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100)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메인제어부(130a)와, 상기 조작부(110)가 상기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될 때 상기 조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100)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메인제어부(130b)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control unit 130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yer, the main body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when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and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in the main body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when installed in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이때,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부(11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신호선(131a) 등이 연장되며, 상기 신호선(131a)은 상기 상,하부프레임(102,106)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제어부 상,하부 커넥터(131,141)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 unit (130a, 130b) extends the signal line (131a), etc.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unit 110, the signal line (131a) is installed in the upper, lower frame (102, 106) The mai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lower connectors (131, 141).

또한,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의 타측에는 상기 각각의 메인제어부(130a,130b)로 외부 전원을 연결해주거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전기적 통로를 각각 제공하는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가 추가로 제공된다.In addition,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which connects an external power source to each of the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or provides an electrical pass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respectively. Is further provided.

이때,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에 각각 연결된 메인 하네스 어셈블리(132)는 본체(100) 외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하나의 메인하네스 어셈블리로부터 분선되면서 각각의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respectively, is divided from one main harness assembly supplied with power from a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 units respectively. And to be connected to (130a, 130b).

또한, 조작부(110)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로서 각종 버튼(111)과 놉(112) 등이 설치되어 있고, 메인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건조기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엘시디(LCD)창 또는 엘이디(LED) 등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110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111 and knobs 112 and the like a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rying conditions for laundry drying,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130 and accordingly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 LCD window or an LED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각종 버튼(111), 놉(112), 엘시디 및 엘이디 등등은 조작부 피 시피(PCB)(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는 조작부 패널(113)에 설치된다.The various buttons 111, knobs 112, LCDs, LEDs, etc.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an operation part PCB (not shown), and the operation part PCB is installed in the operation panel 113.

여기서, 조작부 피시비는 입력부 만을 위한 입력부 피시비와 디스플레이부 만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피시비가 분리 형성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입력부 피시비 및 디스플레이부 피시비는 하나의 피시비로 통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조작부 피시비에는 조작부 커넥터(114)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 커넥터(131,141)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unit PCB may be configured by separately forming the input unit PCB for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PCB for the display unit only. Preferably, the input unit PCB and the display unit PCB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CB.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PCB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connector 114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connectors (131, 141).

조작부 패널(113)에는 본체(100)에 마련된 조작부 상부취부구조(103,104) 및 후술하는 조작부 하부취부구조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나사체결홈(11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을 위한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The control panel panel 113 is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groove 115 at one side and a protrusion for coupling at the other side so that it can be mounted at the operation unit upper mounting structures 103 and 104 provided at the main body 100 and the operation unit lower mounting structure described later. 117 is formed.

상기에서 본체(100)에 마련된 조작부 상부취부구조(103,104)는 본체(100)의 상부프레임(102) 중 일측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03)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된 돌기(117)와 결합될 수 있는 슬롯(104)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upper mounting structures 103 and 104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re protrus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w fastening groove 10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02 of the main body 100 and formed on the operation unit panel 113. Slot 104, which may be coupled with 117.

도 5는 상기 조작부가 본체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요부만 단면하여 확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ly a main portion in an enlarged state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건조기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dryer is assembled as follows.

먼저, 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한 측면 내부의 상측에는 상부 메인제어부(130a)를 설치시킨다. 이때, 상부 메인제어부(130a)는 상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조작부(110)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side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position rear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102).

이는, 조작부(110)와 상부 메인제어부(130a)의 위치를 수평하게 설치시킴으 로써, 신호선(131a) 등의 케이블이 늘어지지 않고 정돈되면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installing the positions of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horizontally, the cables such as the signal line 131a can be arranged efficiently without being stretched.

다음으로, 상부 메인제어부(130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신호선(131a)은 조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102)에 설치된 메인제어부 상부 커넥터(131)에 연결시킨다.Next, the signal line 131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main controller 130a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upper connector 131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102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다음으로, 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한 측면 내부의 하측에는 하부 메인제어부(130b)를 설치시킨다. 이때, 하부 메인제어부(130b)는 커버패널(120)이 설치된 부위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한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any one side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ear from the portion where the cover panel 120 is installed.

이는, 조작부(110)가 전면 프레임(101)의 하부에 설치되었을 때, 조작부(110)와 상부 메인제어부(130a)의 위치를 수평하게 설치시킴으로써, 신호선(131a) 등의 케이블이 늘어지지 않고 정돈되면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below the front frame 101, the positions of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are horizontally arranged so that the cables such as the signal lines 131a are arranged without being stretched. This is because it can be efficiently arranged.

이때, 하부 메인제어부(130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신호선(131a) 등도 조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106)에 설치된 메인제어부 하부 커넥터(141)에 연결시킨다.At this time, the signal line 131a and the lik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main controller 130b are also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lower connector 141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06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한편, 상기 각각의 메인제어부(130a,130b)의 타측에는 전원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main control unit (130a, 130b) is connected to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that provides an electrical pass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source and the outside.

이때, 상기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는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후,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되어 양 갈래로 분선되면서, 어느 하나의 메인 하네스 어셈블리는 상부 메인제어부(130a)의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메인 하네스 어셈블리는 하부 메인제어부(130b)의 타측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en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and divided into two, any one main harness assembly is the upper main control unit ( The other main harness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이로써, 한 번의 전원 공급으로 상,하부 메인제어부(103a,130b)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메인제어부(130a,130b)와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 사이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Thus, power is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lers 103a and 130b by a single power supply, and the configur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and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is simplified, thus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Can be facilitated.

다음으로, 조작부(110)와 상부 메인제어부(130a)간의 신호교환이 가능하도록 조작부 커넥터(114)를 상기 메인 제어부 커넥터(131)에 연결시킨다.Next, the operation unit connector 114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connector 131 to enable signal exchange between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다음으로, 조작부(110)는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대해 약간 좌측으로 어긋나 배치된 후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17)는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형성된 슬롯(104)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Next, when the operation unit 110 is disposed to be shifted slightly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upper frame 102 and then slidingly moved to the right side, the protrusions 117 formed on the operation unit panel 113 are formed on the upper frame 102. Inserted into slot 104 and coupled.

이때, 상기 돌기(1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곡된 형태이고, 슬롯(104) 또한 그에 맞게 절곡된 상태이어서 상기 돌기(117)와 슬롯(104)이 결합된 이후, 조작부(110)는 본체(10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one side of the protrusion 117 is bent, and the slot 104 is also bent accordingly, so that the protrusion 117 and the slot 104 are coupled to each other. 110 does not deviate forward from the body 100.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02)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03)과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15)에 나사를 끼워 결합시키면 조작부(110)의 취부는 확고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screw is coupled to the screw fastening groove 103 formed in the upper frame 102 and the screw fastening groove 115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13 in the assembled state, the mounting of the control unit 110 is secured. Becomes

도 6은 본체(100)의 전면 프레임(101) 하부에 커버패널(120)이 설치되는 조립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커버패널(12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 패널(110)과 같이 나사체결홈(121) 및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커버패널(120)의 이와 같은 취부구조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조작부 패널(113)의 그것과 다르게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6 shows an assembly view in which the cover panel 120 is installed below the front frame 101 of the main body 100. The cover panel 12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crew fastening groove 121 and a protrusion (not shown) like the control panel 110. This mounting structure of the cover panel 1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at of the operation panel 113,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의 커버 패널(1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6)에 설치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부 패널(113)이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10)가 상기 하부프레임(106)에 설치되는 방법 또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cover panel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6,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panel 113 is the same as that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02,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unit 110 is also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06,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로써, 본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Thus, we looked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건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조작부가 전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그 예로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yer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taking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먼저, 전원 공급부로부터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를 통해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에 전원이 공급된다.Firs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through the main harness assembly 132.

다음으로, 사용자가 조작부(110)의 버튼 등 입력부를 통해 건조 조건을 입력하면 상부 메인 제어부(130a)는 그 입력에 따라, 이를 엘시디창 또는 엘이디 등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건조기 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Next, when the user inputs a drying condition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10, the upper main control unit 130a transmits th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such as an LCD window or an LED according to the input, and displays the same. To control the device.

한편, 조작부(110)가 하부프레임(106)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하네스(132)어셈블리에 의해 하부 메인제어부(130b)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하부 메인제어부(130b)에 전원을 별도로 공급을 할 필요 없이 조작부(110)의 조작부 커넥터(114)를 메인 제어부 하부 커넥터(141)에 연결시키기만 하면 조작부(11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06, since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by the main harness 132 assembly, the lower main control unit 130b.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on unit 110 by simply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connector 114 of the operation unit 110 to the main control unit lower connector 141 without supplying power to the main unit 110.

즉, 하나의 메인하네스 어셈블리(132)로부터 각각의 메인제어부(130a,130b)에 전원이 모두 공급되므로, 상기 조작부(110)를 상기 상,하부 메인제어부(130a130b) 중 어느 한 메인제어부에 연결시키기만 하면 조작부(110)를 통해 건조 기의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from one main harness assembly 132,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110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lers 130a130b. If only the operation unit 110 will be able to operate the dryer.

메인제어부(130a,130b)에는 일반적으로 마이컴과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조건에 따라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드럼 내로 공급될 공기를 데우는 히터 및 상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드럼내로 송풍하기 위한 블로워(blower) 등등을 제어하여 건조기로 하여금 건조를 수행하게 한다.The main controllers 130a and 130b are generally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and a memory, and a motor for driving the drum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ndition, a heater for warming the air to be supplied into the drum, and blowing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into the drum. Blowers and the like to control the dryer to perform drying.

한편, 상기와 같이 첨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따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실시예 이외에도 많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다른 다양한 실시 형태는 상기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in addition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sible, such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예컨대,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10)가 본체(10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부는 그대로 본체 상부에 설치된 채, 입력부 만이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것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110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but the input unit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ave. The same applies to the display unit.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 형성하여 각각 별도로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separately formed so tha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separately attached to the main body.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를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and Figure 8 shows a combined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건조기(150)와 세탁기(160)가 옆으로 나란히 설치된 모습이며, 도 8은 도 2와 같은 건조기(150)가 세탁기(160) 위로 설치된 모습이다.7 is a view in which the dryer 150 and the washing machine 160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FIG. 8 is a view in which the dryer 150 as shown in FIG. 2 is installed above the washing machine 160.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건조기(150)는 도 2에 나타난 건조기와 같고, 세탁기는 종래의 세탁기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각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and 8 are the same as the dryer shown in FIG. 2, and the washing machin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조기(150)와 세탁기(160)가 옆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건조기(150)의 조작부(110)는 본체(100) 상부에 설치되며, 도 8과 같이 건조기(150)가 세탁기(160) 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110)는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있다.As shown, when the dryer 150 and the washing machine 160 are disposed sideways, the operation unit 110 of the dryer 15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the dryer 150 as shown in FIG. When the washing machine 160 is installed above,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100.

따라서, 사용자는 건조기(150)가 세탁기(160)의 옆으로 설치된 경우는 물론, 건조기(150)가 세탁기(160) 위로 설치된 경우에도 조작부(110)의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next to the washing machine 160 as well as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above the washing machine 160.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낮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는 물론,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종래와 달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is not inconvenience when used as well as when installed in a high place, as well as in a low place, and will not be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unlike the prior art.

특히, 건조기와 세탁기로 이루어지는 복합세탁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건조기와 세탁기를 옆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다양성은 많은 좋은 효과를 낼 것이며, 특히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 장소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덜 받게 한다.In particular, in the combined washing device consisting of a dryer and a washing machine, the user may arrange the dryer and the washing machine sideways for convenience, or may install and use the other one on either side. Such a variety of arrangements will have many good effects, in particular allowing the user to be less constrained by the installation site and space.

또한, 메인제어부가 본체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둘 중에 하나의 메인제어부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남은 메인제어부에 조작부를 연결하여 건조기의 건조 운전을 계속 진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controller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even if a failure occurs in one of the main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drying operation of the dryer by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to the remaining main control unit.

또한, 하나의 메인하네스 어셈블리로부터 분선되면서 상부 메인제어부와 하부 메인제어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한 번의 전원 공급으로 상,하부 메인제어부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메인제어부와 메인하네스 어셈블리 사이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메인제어부와 메인 하네스 어셈블리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from one main harness assembly, the main main control unit and the lower main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main control units by one power supply, and the configur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harness assembly is simple. By doing so,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harness assembly can be facilitated.

Claims (5)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A main body;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nd a main controller for performing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n a laundry or laundry drying machine comprising: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며,The main body or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tructure so that the input un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elow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메인제어부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 설치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n upper main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when the input unit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and a lower main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input unit is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Mechanism for laundry or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며,In the main body or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mounting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the display unit may be detachably installed below the upper body.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 상부의 아래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하부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The display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main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and the laundr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main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main body. Or machinery for laundry dry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oper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그 아래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때 타측에 설치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When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on any one side of the upper or lower of the main body comprises a cover panel which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shing or laundry machine for drying the laundr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상부메인제어부 및 상기 하부메인제어부로 외부 전원을 연결해 주거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하네스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7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And a main harness assembly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upper main control unit and the lower main control unit or providing an electrical pass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7.
KR1020060003928A 2006-01-13 2006-01-13 Laundry device KR200700755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28A KR20070075544A (en) 2006-01-13 2006-01-13 Laund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28A KR20070075544A (en) 2006-01-13 2006-01-13 Laund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44A true KR20070075544A (en) 2007-07-24

Family

ID=3850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28A KR20070075544A (en) 2006-01-13 2006-01-13 Laund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5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6984A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US2009002543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US7269979B2 (en) Set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rear cover assembly thereof
KR101275202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75543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67976A (en) Stacking type washing-and-dry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hich can comprise the same
AU2007205397B2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37151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CN101171385A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KR101275201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75544A (en) Laundry device
KR101275200B1 (en) laundry device
KR101306698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75545A (en) Laundry device
KR101306699B1 (en) Laundry Machine
KR20070067977A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RU2363788C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variable position of control device
KR20070077928A (en) Dish washer
KR20070077927A (en) Laundry device
KR10133024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070075546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75547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exterior input device for controller
KR101306693B1 (en) laundry device
KR101265590B1 (en) laundry device
KR101265591B1 (en) laund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