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977A -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977A
KR20070067977A KR1020050129557A KR20050129557A KR20070067977A KR 20070067977 A KR20070067977 A KR 20070067977A KR 1020050129557 A KR1020050129557 A KR 1020050129557A KR 20050129557 A KR20050129557 A KR 20050129557A KR 20070067977 A KR20070067977 A KR 2007006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input unit
unit
dry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수
최성봉
조흥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977A/en
Publication of KR2007006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9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A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a complex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e installed without horizontal or vertical restriction of installation space by disposing a drier and a washing machine side by side or installing one of the drier and the washing machine on the other.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double controller input section includes a body(100)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section, a main control section(130), and a display section. The main control section performs judgment and control according as a signal from an input section is transmitted. The display section displays the control state according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section. The input section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Description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복합세탁장치{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Machinery for washing or drying laundry and combined laund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도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다1 shows a conventional drum washing machine

도2는 종래의 복합세탁장치를 나타낸다.2 shows a conventional combined washing apparatus.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4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6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건조기 본체 111 : 놉100: dryer body 111: knob

112 : 버튼 113 : 조작부 패널112: button 113: control panel

115 : 입력부 패널 116 : 엘이디115: input panel 116: LED

117 : 디스플레이부 패널 118 : 엘시디117: display panel 118: LCD

119 : 스위치 130 : 메인제어부119: switch 130: main control unit

132 : 전선132: wires

본 발명은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중 적어도 입력부가 상기 기계장치 본체의 중앙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a laundry such as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t least an input unit of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such a machin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 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 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회전조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performs washing strokes, rinsing strokes, and dehydrating strokes by rotating a rotating tub and a pulsator through a driving force of a motor. It is a device that washes using friction of water and a rotating tub.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펄세이터식, 교반식, 드럼식 등으로 구분된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classified into pulsator type, stirring type, drum type, etc.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a drum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washing to be performed by using a rotating drum and a friction force of the laundry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while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to the washing drum. It's not tangled, and it's designed to give you a pounding and scrubbing wash effect.

도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의 전면 상부 측에는 사용자가 세탁제어를 위한 기능 입력키 및 남은 시간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갖춘 컨트롤러(3)가 구비되어 있다.1 shows a conventional drum washing machine, and a controller 3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unction input key for the washing control and the remaining time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컨트롤러(3)에는 다수의 버튼(31)과 표시창(32), LED창(33) 및 로터리 놉(5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버튼과 로터리 놉(50)은 세탁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 력장치로서, 세탁시간, 세탁방법의 선택, 탈수 및 건조방식을 선택할 때 이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코스 및 시간 등을 입력시키게 된다.The controller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31, a display window 32, an LED window 33, and a rotary knob 50. Each button and the rotary knob 50 is an input device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and when a washing time, a washing method selection, a dehydration and a drying method are selected, the button and the rotary knob 50 input a washing course and time desired by the user.

LED창(33)은 점멸을 통해, 그리고 표시창(32)은 문자나 기호를 통해 세탁진행 상태 및 잔류시간등 각종 세탁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The LED window 33 is blinking, and the display window 32 informs the user of various washing information such as washing progress state and remaining time through letters or symbols.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계장치로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도1의 드럼세탁기와 같이 콘트롤러가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generally, the clothes dryer is a machine for automatically drying a dry object (for example, clothing) in which the washing is completed. In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a controll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s in the drum washing machine of FIG. .

위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는 콘트롤러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있는 곳으로부터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높은 곳에 위치한 콘트롤러의 입력부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 이외에도 입력에 따라 또는 콘트롤러의 본체 제어에 따라 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고개를 젖히고 보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or clothes dryer has a controll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when the user is installed at a high place from where the user stands, the controller is not easy to access,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his inconvenience is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cause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ler located in a high place, there is also the inconvenience to look down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o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controller.

한편, 복합 세탁 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로 이루어져 한 쌍의 제품군을 형성함으로서, 세탁기를 이용해 세탁이 완료된 후 젖은 세탁물을 건조기를 이용해 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세탁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laundry device is a laundry device configured to form a pair of products consisting of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so that the wet laundry can be immediately dried using a dryer after washing is completed using the washing machine.

이때, 상기 세탁기는 통상 드럼세탁기인 경우가 많은데,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의 가전제품으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 탁효과를 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shing machine is usually a drum washing machine, the drum washing machine is a household appliance of the washing method using the friction of the rotating drum and the laundry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a state in which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to the drum As a product,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laundry, the laundry does not get tangled with each other, and the tapping and rubbing can have a washing effect.

그리고, 상기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을 히터에 의한 열기를 건조대상물이 수용된 수용 공간 내부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을 자동으로 건조시키게 된다.The dry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ry the drying object by blowing the heat of the wet object to be dried into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drying object is accommodated.

도 2는 기존 복합 세탁 장치를 나타내는데,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조기(200)와 세탁기(10)는 옆으로 배치되어, 세탁기(10)를 이용해 세탁이 완료된 후 그 젖은 세탁물을 건조기(200)에 바로 투입하여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Figure 2 shows an existing combined laundry apparatus, as shown, the dryer 200 and the washing machine 10 are disposed sideways, after the washing is completed using the washing machine 10, the wet laundry is immediately put into the dryer 200.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dri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복합세탁장치는 건조기와 세탁기가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공간의 수평적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수평적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이격시켜 멀리 배치하여야 하고, 심한 경우 복합세탁장치를 구성하지 못하고, 건조기 또는 세탁기만을 구비할 수밖에 없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is not a problem when the dryer and the washing machine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re is no horizontal limitation of the space, otherwise, that is, if there is a horizontal limitatio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It shoul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 severe cases,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complex laundry device, and only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되는 곳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어느 경우에나 콘트롤러의 편리한 조작이 가능한 건조기 또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venient operation of the controller in any cas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place.

또한, 복합세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세탁기와 건조기를 수평적으로 배치하는 경우는 물론 수직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키가 작은 사용자라도 콘트롤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공간의 수평적 제한 또는 수직적 제한을 받지 않는 건조기 또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controller even in the case of vertically disposing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unrestricted dryer 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nd a main controller for performing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n the washing or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laundry machine, the input unit is a machine for washing or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입력부 만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한 상기 건조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dryer body. When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op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피시비(PCB) 기판 등과 같은 그 구체적인 세부구성에 있어서도 일체로 통합되어 형성될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to mean tha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not necessarily integrally formed even in a specific configuration such as a PCB substrate.

예컨데,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세부 구성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하우징과 같은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anel, such as a housing, which serves to receive each of the detailed components, such tha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moved integrally.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세부 구성품에 있어서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각각의 피시비(PCB) 기판이 통합되어 하나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preferabl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also in the detailed components thereof. For example, each PCB substrate may be integrated and integrally formed as one.

또한, 입력부가 엘시디(LCD) 창을 통한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엘시디 창은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있어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method through an LCD window, the LCD window may also be used for display. In this case,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ted into one.

상기에서 메인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기계장치 본체의 각 구성품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이와 같은 메인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어 본체의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메인제어부도 본체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메인제어부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모두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is to electronicall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put by the user, such a main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but the It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the main control unit is also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main control unit,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메인제어부와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종래와 같이 유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메인제어부와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분리되어 이격 설치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may be made in a wired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but wh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은 메인제어부가 상기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본체 내부에서의 전기적 배선이 용이 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메인제어부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어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트롤러의 조립 등 그 취급이 용이하다.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ot only facilitates the electrical wiring inside the main body when the main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but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refore, the controller is easy to assemble and handle.

특히, 세탁기나 건조기는 필연적으로 물을 다루게 되는 기계장치이고, 특히 장치의 구동시에 내부에 있는 드럼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선 등이 드럼과 접촉하거나 드럼 구동과 관련된 부위에 끼게 되면 그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에 의 하면 이와 같은 누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is a mechanical device that inevitably handles water, and in particular, when the device is driven, the drum inside rotates at a high speed so that the electric wire is covered with the drum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um or in a part related to the drum drive. This peeling off is likely to cause a safety accident due to a short circu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short circuit problem.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의 구체적인 방식은 다른 전자 제품 분야에서 사용되던 종래의 무선통신 방식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 잘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무선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ccess)이 이용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Bluetooth)가 이용될 수도 있다. 블루투스는 각종 전자기기간에 물리적인 케이블없이 무선주파수(RF)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안된 근접 무선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서 최근에 각광받으며 사용되면서 잘 알려지고 있다.Here, the specific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as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other electronic products. For example, wireless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ccess) (IrDA), which is well known and used in the related art, may be used, or Bluetooth may be used. Bluetooth is a popula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tandard propo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t high speed by using radio frequency (RF) without a physical cable in various electromagnetic periods.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19277호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컴퓨터와 그 주변장치간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19277 disclos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wireless interface between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using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에 무선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시키고, 상기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에도 무선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시켜,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입력부 사이 또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Bluetooth,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Bluetooth modu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nput unit or display unit includes a Bluetooth modu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input unit or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는: 앞면에 세탁대상물 유출입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와 상기 세탁기 위 또는 옆으로 설치되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 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nlet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laundry objects on the front side, and comprising a dryer installed above or next to the washing machine, the dryer comprising: a dryer body;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 main controller which performs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control state as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in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있어 본체라 함은 콘트롤러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콘트롤되어 그 장치의 본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을 말한다. 예컨대, 콘트롤러에 대해서 세탁기 본체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콘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대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예컨대, 모터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족하다. 또 다른 예로서, 콘트롤러에 대한 건조기 본체라 함은 건조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족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a relative concept with respect to the controller and refers to a part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perform an original func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main body with respect to a controller is sufficient to include the washing tank which accommodates a washing object, and the drive part which drives the washing tank so that the washing object in the washing tank may be wash | clean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 indication of the controller. . As another example, the dryer body for the controller is sufficient to include a drum containing the laundry to be dried and a drive for driving the drum to dry the laundry in the drum.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in detail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3, 도4,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5에 나타난 건조기가 세탁기 위로 설치되어 있는 복합세탁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rst, Figures 3, 4 and 5 sh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er shown in Figure 5 is installed above the washing machine The combined washing machine is shown.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조기의 콘트롤러 중 메인제어부(130)는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있으며, 도3 및 도4에서는 상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다.As shown, the main controller 130 of the controller of the dry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n Figure 3 and 4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tegrally form the operation unit have.

본 실시예들에서는 메인제어부(130)가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와는 분리 형성되어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제어부(130)가 상기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마찬가지로 중앙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main controller 130 is formed on the main body separately from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ler 13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part like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Of course.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으로서 각종 버튼(112)과 놉(111)(knob) 등이 설치되어 있고, 메인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엘시디(LCD) 창(118) 또는 엘이디(LED) 등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112, knobs 111, and the like as input means for inputting dry conditions for laundry drying, and the like. An LCD window 118 or an LED is provided as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evice 130 and displaying the signal accordingly.

그리고, 도5에 나타난 건조기에서는 입력수단으로서 각종 버튼(112)과 놉(111)(knob) 등이 설치되어 있는 입력부와 메인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엘시디(LCD) 창(118) 또는 엘이디(11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분리 형성되고 있다.In the dryer shown in FIG. 5, the LCD panel receives signals from the input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130 in which various buttons 112, knobs 111, and the like are installed as input means, and displays the signals accordingly. 118 or the display unit including the LED 116 is formed separately.

도3 및 도4의 건조기에서 상기와 같은 각종 버튼(112), 놉(111), 엘시디(118) 및 엘이디 등등은 조작부 피시비(PCB)(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는 조작부 패널(113)에 설치된다. 여기서, 조작부 피시비는 입력부 만을 위한 입력부 피시비와 디스플레이부 만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피시비가 분리 형성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입력부 피시비 및 디스플레이부 피시비는 하나의 피시비로 통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3 and 4, the various buttons 112, knobs 111, LCDs 118, LED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an operation unit PCB (not shown), and the operation unit PCB is provided on an operation unit panel ( 113). 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unit PCB may be configured by separately forming the input unit PCB for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PCB for the display unit only. Preferably, the input unit PCB and the display unit PCB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CB.

도5의 건조기에서는 각종 버튼(112), 놉(111) 등 입력 수단은 입력부 피시비에 설치되어 입력부 패널(115)에 설치되고 있으며, 엘이디(116) 및 엘시디(118) 등등 디스플레이 수단은 디스플레이부 피시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 패널(117)에 설치되고 있다.In the dryer of FIG. 5, various input means such as buttons 112, knobs 111,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input unit PCB and are installed in the input unit panel 115, and the LED 116, the LCD 118,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It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rt and is installed in the display part panel 117.

상기에서 메인제어부(130)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있는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드럼 내로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기 위한 히터 및 블로워(blower) 등등 본체 내의 각종 장치와 전선(132)을 통해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제어한다.The main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um containing the drying object, the heater and blower (blower), etc. in the main body and the wires 132 to provide a high temperature hot air into the drum Electrical control.

그리고, 메인제어부(130)와 조작부 사이 및 메인제어부(130)와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고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위해 메인제어부(130)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에도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에도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 130 and the operation unit and between the main controller 130 and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is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lthough not shown, a wireless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the main controller 130 for such wireless communication. A module is provided, and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also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 또는 입력부의 놉(111)이나 버튼(112) 등을 통해 건조 조건 등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130)로 송신되고, 메인제어부(130)는 송신된 정보에 따라 본체 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한편, 그 제어 상태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 등을 상기 조작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송신하며, 조작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는 수신된 정보를 엘이디(116) 또는 엘시디창(118)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Therefore, when a user inputs a drying condition through the knob 111 or the button 112 of the manipulation unit or the input unit, the input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3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ain controller 130 ) Controls various devices in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trol state or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operation unit or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unit or display unit send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LED 116 or It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window 118 or the like.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은 종래에 널리 알려지고 있는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고 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19277호에 잘 개시되고 있는바, 당업자로서는 메인제어부(130)와 조작부 사이 및 메인제어부(130)와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무선 통신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잘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is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art, and is well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19277.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130 and the operation uni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in controller 130 and the input unit or the display unit will be omitted since it can be understood how to imple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detail.

한편, 도6에 나타난 복합세탁장치는 종래의 세탁기(160) 위에 도5와 같은 건조기(150)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세탁기(160)는 종래의 세탁기와 다르지 않고, 건조기(150)는 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그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ryer 150 as shown in FIG. 5 o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160, the washing machine 160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e dryer 150 is from above Sinc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6과 같은 복합세탁장치는 건조기(150)가 세탁(160)기 위로 배치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건조기(150)는 상기 세탁기(160) 옆으로 배치될 수 있다.6 shows that the dryer 150 is disposed above the washing machine 160, but the dryer 150 may be arranged next to the washing machine 160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와 같은 복합세탁장치에서 건조기는 그 콘트롤러 중 적어도 입력부가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기가 세탁기 옆으로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위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그 조작이 불편 없이 가능하게 된다.In such a combined washing apparatus, the dryer is provided at least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any inconvenience even when the dryer is disposed beside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낮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는 물론,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종래와 달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is not inconvenience when used as well as when installed in a high place, as well as in a low place, and will not be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unlike the prior art.

특히, 건조기와 세탁기로 이루어지는 복합세탁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건조기와 세탁기를 옆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다양성은 많은 좋은 효과를 낼 것이며, 특히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 장소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덜 받게 한다.In particular, in the combined washing device consisting of a dryer and a washing machine, the user may arrange the dryer and the washing machine sideways for convenience, or may install and use the other one on either side. Such a variety of arrangements will have many good effects, in particular allowing the user to be less constrained by the installation site and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수평적 공간상의 제약 을 덜 받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복합세탁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수평적 공간상의 제약이 없는 경우라도 수평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키가 작은 사용자도 불편함 없이 조작 가능하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omposit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restricted in the horizontal spac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complex laundry apparatus in a narrow space, even if there is no horizontal space constraint more efficient horizontal space It can be used as. In addition, in operating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 user with a short key can be operated without inconvenience.

특히, 건조기 또는 세탁기를 다량으로 보유하고 상업용으로 사용하는 셀프 서비스식 세탁소(launderette)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한된 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복합세탁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 self-service launderette having a large amount of dryers or washing machines and using them commercially, more complex washing apparatuses can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when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Claims (6)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A main body;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nd a main controller for performing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n a laundry or laundry drying machine comprising: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The input unit is a machine for washing or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The display unit is a machine for washing or laundry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And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oper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The main control unit for washing or drying th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And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are integrally formed. 앞면에 세탁대상물 유출입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와 상기 세탁기 위 또는 옆으로 설치되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In the combine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nlet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laundry object on the front and a dryer installed above or next to the washing machine, the dryer comprises: 건조기 본체와;A dryer body;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nd a main controller for performing determination and control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s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The input unit is a combined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KR1020050129557A 2005-12-26 2005-12-26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KR200700679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557A KR20070067977A (en) 2005-12-26 2005-12-26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557A KR20070067977A (en) 2005-12-26 2005-12-26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977A true KR20070067977A (en) 2007-06-29

Family

ID=3836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557A KR20070067977A (en) 2005-12-26 2005-12-26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97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93A1 (en) * 2011-12-08 2013-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210087897A (en)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28015B2 (en) 2020-01-03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93A1 (en) * 2011-12-08 2013-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CN103958759A (en) * 2011-12-08 2014-07-30 大宇电子株式会社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174451B2 (en) 2011-12-08 2019-01-08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210087897A (en)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28015B2 (en) 2020-01-03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7976A (en) Stacking type washing-and-dry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hich can comprise the same
RU2009110160A (en) MULTIFUNCTIONAL MACHINE FOR PROCESSING LINEN
KR20140005484A (en) Laundry machine having a jog dial
US20080256984A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US2009002543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275202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67977A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KR101037151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U2007205397B2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70075543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67468A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double input part for controller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with the same
KR20090096945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74718B1 (en) Integrated working system for laundry machine, dryer and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and integrated controlling method of those
CN101171385A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KR101275201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10133024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7181711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KR20070075547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exterior input device for controller
KR101306698B1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101306699B1 (en) Laundry Machine
KR10242350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70075546A (en) 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KR20070077928A (en) Dish washer
RU2363788C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variable position of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