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085A -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085A
KR20070075085A KR1020060003433A KR20060003433A KR20070075085A KR 20070075085 A KR20070075085 A KR 20070075085A KR 1020060003433 A KR1020060003433 A KR 1020060003433A KR 20060003433 A KR20060003433 A KR 20060003433A KR 20070075085 A KR20070075085 A KR 2007007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water
water supply
pipe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중호
박민호
Original Assignee
박민호
임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호, 임중호 filed Critical 박민호
Priority to KR102006000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085A/ko
Publication of KR2007007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내의 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약품이 물과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망을 흐르는 물을 소독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약품의 용해를 촉진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로서, 취수원에서 각 단말까지 연결되는 상기 상수도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수도 파이프; 및 상기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 파이프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부는 파이프 내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틀려 돌출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APPARATUS OF MIXING DISINFECTANT FOR WATER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사시도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상수도 파이프 20: 혼합부
30: 약품 투입구 40: 약품 감지센서
50: 유속 감지센서 100: 약품 혼합 장치
본 발명은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수도 내의 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약품이 물과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의 세균성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소 소독을 수행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공급되는 음용수로 사용 가능한 물의 염 소 농도는 4 내지 6ppm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취수장(취수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잔류염소의 농도가 비례적으로 감소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농도가 감소하는 약품의 특성으로 인해 병원성 세균의 번식이 늘어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취수원으로부터 각 가정 또는 사무실에 이르는 동안 물의 잔류염소량에 따라 상수도 파이프 또는 물탱크에 치아염소산칼슘을 자동으로 투입한다. 또 지하수를 취수하여 간이 상수도로 사용하는 지역의 경우에도 치아염소산칼슘을 자치적으로 투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치아염소산칼슘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의 경우 상수도 내의 유체의 속도 등을 통해 물의 양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적정량의 약품을 상수도 파이프 등에 투입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상수도 파이프 등에 약품을 투입하고 흐르는 물에 자연 용해되도록 함에 따라 약품이 물에 제대로 용해되지 않았으며, 특히 고체로 된 치아염소산칼슘을 투입하므로 자연적인 용해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수도 내의 물의 양에 맞추어 약품을 투입하더라도 약품을 고르게 용해시키지 못하여 물의 염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 파이프 등에 흐르는 물에 투입된 약품이 완전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수원으로 공급되는 물의 염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병원성 세균 등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수도망을 흐르는 물을 소독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약품의 용해를 촉진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로서,
취수원에서 각 단말까지 연결되는 상기 상수도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수도 파이프; 및
상기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 파이프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부는 파이프 내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틀려 돌출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바람직하게는, 혼합부 두 개가 쌍을 이루며 상호 대칭된 모양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혼합부의 각 날개는 혼합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외측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가,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상수도 파이프를 관통하며 설치되어 약품을 상수도 파이프 내에 투입하는 약품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상수도 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상수도 파이프를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 감지센서 및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상수도 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상수도 파이프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약품의 농도를 감지하는 약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수도라 함은 취수장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나, 일반 관정 등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100)는, 취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상수도 파이프(10), 상수도 파이프에 투입된 약품의 용해를 촉진시키는 혼합부(20), 상수도 파이프 내에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 투입구(30), 상수도 파이프 내에서 흐르는 물의 약품 농도를 감지하는 약품 감지센서(40) 및 상수도 파이프 내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 감지센서(50)를 포함한다.
상수도 파이프(10)는 취수원으로부터 각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단말까지 연결되어 취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각 단말에 공급한다. 상수도 파이프(10)는 조인트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취수원에서부터 각 단말까지 상수도망을 형성한다.
혼합부(20)는 상수도망의 필요 구간마다 배치되어 약품 투입구(30)로 투입된 약품의 용해를 촉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약품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두개의 혼합부(20)가 서로 쌍을 이루며 배치된다.
약품 투입구(30)는 각 단말에 공급되는 물의 염소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치아염소산칼슘과 같은 약품을 투입하는 구성부로서,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상수도 파이프(10)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약품 투입구(30)를 통한 약 품의 투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약품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약품투입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품 감지센서(40)는 상수도 파이프(10) 내에 배치되어 상수도 파이프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약품, 즉 염소의 농도를 감지한다. 이때, 상수도망의 각 위치별로 염소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약품 감지센서(40)를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품 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염소의 농도는 약품투입장치에 전달된다.
유속 감지센서(50)는 상수도 파이프(10) 내에 배치되어 상수도 파이프 내의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유속 감지센서(50) 역시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배치하도록 하며, 유속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속은 무선통신을 통해 약품투입장치로 전송된다.
약품투입장치는 유속 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유속을 통해 상수도 파이프(10) 내에서 흐르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약품 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염소의 농도를 통해 물에 포함된 염소의 농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약품투입장치는 약품 투입구(30)로의 약품 투입량 및 시간을 정확하게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사시도로서, 도 3(a) 및 도 3(b)는 상수도 파이프(10) 내에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 개의 혼합부(20)를 각각 나타낸다.
혼합부(20)는 상수도 파이프(10)의 내부로 투입된 약품이 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상수도 파이프의 내주를 따라 복수의 날개가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각 날개는 일정 각도로 꺾여 비틀어진 형상을 이룸으로써 약품 및 물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 약품의 용해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상수도 파이프(10)로 투입된 약품이 혼합부(20)의 각 날개를 지날 때 심하게 교란이 이루어져, 흐르는 물에 쉽게 용해된다. 또 일정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 개의 혼합부(20)는 각 날개의 비틀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됨으로써, 물과 약품의 유동 방향을 바꿔준다. 따라서 교란이 보다 커져 약품의 용해도가 더욱 향상된다.
한편 혼합부(20)의 날개가 파이프(10) 중심부까지는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수도 파이프(10)를 통한 물의 흐름은 방해받지 않는다. 즉 혼합부(20)는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외측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모양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수도 파이프(10)를 물의 유동을 크게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투입된 약품의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의 상수도 약품 혼합 장치는 상수도 파이프 내에 투입된 약품을 물에 완전 용해시킴으로써 물에 포함된 약품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 두 개의 혼합부를 그 날개가 비틀린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약품의 용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유속 감지센서 및 약품 감지센서를 통해 상수도 파이프 내의 물의 속도와 약품의 농도를 감지하여 약품투입장치가 약품의 투입량 및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다.

Claims (3)

  1. 상수도망을 흐르는 물을 소독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약품의 용해를 촉진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로서,
    취수원에서 각 단말까지 연결되는 상기 상수도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상수도 파이프; 및
    상기 상수도망의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 파이프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부는 파이프 내주로부터 일정 각도로 비틀려 돌출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날개의 비틀린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혼합부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가,
    상기 상수도 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 파이프를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 감지센서; 및
    상수도 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 파이프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상기 약품의 농도를 감지하는 약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도의 약품 혼합 장치.
KR1020060003433A 2006-01-12 2006-01-12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KR20070075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433A KR20070075085A (ko) 2006-01-12 2006-01-12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433A KR20070075085A (ko) 2006-01-12 2006-01-12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85A true KR20070075085A (ko) 2007-07-18

Family

ID=385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433A KR20070075085A (ko) 2006-01-12 2006-01-12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0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6B1 (ko)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101324635B1 (ko) * 2012-07-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혼합 장치
CN108689462A (zh) * 2018-05-16 2018-10-23 滨州市坤颂光伏设备有限公司 一种医疗污水过滤处理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6B1 (ko) * 2010-01-06 2010-08-04 이코리더 주식회사 탁도 제거기
KR101324635B1 (ko) * 2012-07-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혼합 장치
CN108689462A (zh) * 2018-05-16 2018-10-23 滨州市坤颂光伏设备有限公司 一种医疗污水过滤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8057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chlorine levels in an aqueous medium
US7993600B2 (en) Salt dispensing system
US11040319B2 (en) Vortex mixing baffle
KR100916709B1 (ko) 무동력 관내 혼화장치
JP2003326277A (ja) 殺菌水の製造装置
KR20070075085A (ko) 상수도의 약품 혼합 장치
TWI612898B (zh) 現場製造氯胺的方法及其用途
CN107074594A (zh) 传感器系统和用于感测氯浓度的方法
KR101472528B1 (ko)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WO2005054138A1 (ja)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CN201453699U (zh) 无动力消毒机
KR101833173B1 (ko) 염소투입장치
CN206027661U (zh) 一种可持续杀菌剂供给系统
WO2021014035A1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agua
KR200273877Y1 (ko) 상수도용 소독약품 자동주입 시스템
CN207483422U (zh) 一种核电厂海生物杀生剂组合加药装置
KR101324635B1 (ko) 혼합 장치
KR101990544B1 (ko) 식수 및 소독수 겸용 자동 이산화염소 투입기
KR20050119250A (ko) 차아염소산 소독수 생성장치
KR200165133Y1 (ko) 약품 공급장치
JP2020131049A (ja) アンモニア性窒素含有排水の消毒装置及び消毒方法
KR100609395B1 (ko) 무 전원 액체 염소투입기
AU2010200965A1 (en) Brine discharge assembly
KR200422964Y1 (ko) 간이 상수도용 염소살균 소독장치
CN105126662A (zh) 加药扩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