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92A -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92A
KR20070073592A KR1020060136321A KR20060136321A KR20070073592A KR 20070073592 A KR20070073592 A KR 20070073592A KR 1020060136321 A KR1020060136321 A KR 1020060136321A KR 20060136321 A KR20060136321 A KR 20060136321A KR 20070073592 A KR20070073592 A KR 2007007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ynchronization
cell
identification sequenc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496B1 (ko
Inventor
장갑석
김일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7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9Acquisi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g. detection of cel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장치가 개시된다.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고,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한 후, 하향링크 프레임을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는 시간 영역의 신호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 중 일부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한다.
셀 탐색 장치는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시간 동기를 결정하고, 시간 동기를 기초로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셀 탐색 장치는 반복 패턴을 복원하고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나서 셀 탐색 장치는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그룹 번호를 판단한다.
프레임, 동기, 셀 탐색, 셀 그룹

Description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OWNLINK SIG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동기 블록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프레임의 대역폭 확장성(scalibility)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프레임의 대역폭 확장성(scalibility)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구간의 신호 변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 탐색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탐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 검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동기 검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추출부가 출력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셀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을 탐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 시스템은 초기 동기를 위해 단말기가 기지국의 신호를 보고 시간 동기와 주파수 동기를 맞출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단말기가 초기 동기를 잡은 이후에는 시간과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하며, 핸드오버를 위해 인접 셀의 시간, 주파수 동기와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셀 탐색을 위한 기존의 기술로 2005년 9월 IEEE VTC Fall, OFDM Section IV-6에 게재된 논문에서 두 가지 프레임 구조가 제안되었다. 첫 번째 방안에 따르면, 하나의 프레임은 4 개의 시간 블록으로 나누어 지고, 4개의 시간 블록에는 동기 인식 정보, 셀 그룹 인식 정보, 셀 고유 인식 정보, 동기 인식 정보가 각각 할당된다. 한편, 두 번째 방안에 따르면, 하나의 프레임은 4 개의 시간 블록으로 나누어 지고, 첫 번째 시간 블록과 세 번째 시간 블록에는 동기 인식 정보 및 셀 고유 인식 정보가 할당되고, 두 번째 시간 블록과 네 번째 시간 블록에는 동기 인식 정보 및 셀 그룹 인식 정보가 할당된다.
위의 첫 번째 방안에 따르는 경우, 첫 번째 시간 블록에서만 심볼 동기가 획득되므로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경우나 이종망간의 핸드오버 시에 규정된 4.5ms 내의 빠른 동기 획득이 불가능하다. 또한, 빠른 동기 획득을 위하여 동기 인식 정보의 누적을 통한 다이버시티 이득의 획득이 힘들다.
한편, 위의 두 번째 방안에 따르는 경우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기 위하여 동기 획득과 동시에 셀 고유 인식 정보나 셀 그룹 인식 정보를 상관하여야 하므로 셀 탐색 과정이 복잡하고 빠른 셀 탐색이 어렵다.
한편, 셀 탐색을 위한 또 다른 기술로 별도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동기를 획득하고, 셀을 탐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프리앰블이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프리앰블은 프레임의 앞부분에 배치되므로, 단말기가 프레임의 처음이 아닌 시간 위치에서 동기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의 프레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단말기가 GSM 모드, WCDMA 모드, 3GPP LTE 모드 간에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경우 4.5 msec 내에 초기 심볼 동기를 획득해야 하지만, 프레임 단위로 동기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4.5 msec 내에 초기 심볼 동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빠른 동기 획득을 통한 셀 탐색 방법 및 빠른 동기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하향링크 신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셀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는 프레임 생성부, 신호 변환부, 및 치환부를 포함한다. 프레임 생성부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고,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한다. 신호 변환부는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치환부는 상기 시간 영역 신호에서 상기 복수의 반복 패턴 중 일부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복수의 동기 블록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고,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각의 동기 블록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치환부는 상기 복수의 동기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셀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영역 신호에서 상기 복수의 반복 패턴 중 일부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은 복수의 동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는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각의 동기 블록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셀을 탐색하는 장치는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상관값이 소정의 레벨 이상이 되는 시점을 찾아 심볼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시간 동기 검출부와,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기초로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추출하는 하향링크 프레임 추출부와,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에 나머지 영역의 신호들을 복사하여 상기 동기 구간에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반복 패턴 복사부와, 상기 반복 패턴이 형성된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그룹 번호를 판단하는 셀 그룹 판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간 동기 검출부는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이 포함하는 복수의 동기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관하여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을 탐색하는 방법은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상관값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찾아 심볼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기초로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에 나머지 영역의 신호들을 복사하여 상기 동기 구간에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패턴이 형성된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그룹 번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셀을 모아놓은 것을 셀 그룹이라 하고, 복수의 셀 그룹을 모아놓은 것을 셀 그룹 집합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복수의 셀 그룹을 포함하고, 하나의 셀 그룹은 복수의 셀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복수의 셀 그룹 집합을 포함하고, 하나의 셀 그룹 집합은 복수의 셀 그룹을 포함하며, 하나의 셀 그룹은 복수의 셀을 포함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하향링크(downlink)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 축이고, 세로축은 주파수 축 또는 부반송파(subcarrier) 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하향링크 프레임(10)은 10 msec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4개의 동기 블록(11)을 포함한다. 하나의 동기 블록(11)은 2.5 msec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5개의 서브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12)은 0.5 msec의 시간 간격을 가지며, 하나의 하향링크 프레임(10)은 총 20개의 서브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동기 블록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기 블록(11)은 5개의 서브 프레임(12)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12)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동기 블록(11)은 동기 블록의 시작 구간에 1 OFDM 심볼 구간에 해당하는 하나의 동기 구간(13)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하나의 동기 블록(11)은 동기 블록(11) 내의 임의의 구간에 동기 구간(13)을 포함할 수 있고, 둘 이상의 동기 구간(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 구간(13)의 반복 주기는 5개의 서브 프레임(12)이 점유하는 시간과 같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서브 프레임(12)은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파일롯 구간(14)을 포함하고, 하나의 파일롯 구간(14)은 1 OFDM 심볼 구간에 해당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하나의 서브 프레임(12)은 둘 이상의 파일롯 구간(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심볼들은 시간 분산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구조에 따라 1 OFDM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주파수영역-시간영역 분산(Scattered Division Multiplexing, SDM) 구조에 따라 2 이상의 OFDM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기반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12)을 도시한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12)은 동기 구간(13), 파일롯 구간(14), 및 데이터 구간(15)을 포함한다.
동기 구간(13)의 공통 동기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3에 따르면, 셀 그룹 식별 시퀀스는 부반송파 간격 1을 두고 배치된다. 한편, 셀 그룹 식별 시퀀스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581268-PAT00001
수학식 1에서, k는 셀 그룹 번호, NG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G는 공통 동기 채널에 할당된 가용 부반송파의 총수의 절반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얻기 위하여 Hadamard 시퀀스, Gold 시퀀스, Golay 시퀀스, KAZAC 시퀀스, GCL(Generalized Chirp Like) 시퀀스, PN(Pseudo-Noise) 시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GCL 시퀀스에 따른 셀 그룹 식별 시퀀스의 엘리먼트(cn (k))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581268-PAT00002
한편, 셀 그룹 식별 시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동기 채널의 주파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scaleable 대역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1.25 MHz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이동국, 2.5 MHz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이동국 등 다양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이동국이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동기 채널은 DC 부반송파를 제외한 중앙의 1.25 MHz 또는 5 MHz를 사용할 수 있다. 공통 동기 채널의 주파수 영역이 1.25 MHz인 경우, 해당 주파수 영역 내의 부반송파의 개수는 76개이므로, NG=38이고, 따라서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수는 38개가 된다.
파일롯 구간(14)은 파일롯 심볼을 포함하며, 파일롯 심볼 이외에 데이터 심볼과 셀 식별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간(15)은 데이터 심볼을 포함하며, 셀 식별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식별 시퀀스는 파일롯 구간(14)에 배치될 수도 있고,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 분산되어 파일롯 구간(14)과 데이터 구간(15)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100)는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120), 반복 패턴 치환부(130),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한다(S110). 즉,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는 복수의 동기 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때 각각의 동기 블록은 동기 구간(13)을 포함하며,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는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동기 구간(13)에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IFFT 연산부(120)는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가 생성한 하향링크 프레임을 가지고 고속 푸리에 역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를 생성한다(S120).
반복 패턴 치환부(130)는 IFFT 연산부(120)가 생성한 시간 영역의 신호의 동기 구간(13)에 존재하는 복수의 반복 패턴 중 일부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puncturing)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S130).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97581268-PAT00003
수학식 3에서 u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이다. 그리고, NF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길이로, 보호 구간을 제외한 하나의 OFDM 심볼 구간의 절반에 해당하는 샘플 수로 결정된다.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얻기 위하여, Hadamard 시퀀스, Gold 시퀀스, Golay 시퀀스, GCL 시퀀스, KAZAC 시퀀스, PN 시퀀스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반복 패턴 치환부(130)는 매 동기 블록(11)마다 동일한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매 동기 블록(11)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기 블록(11)에 적용된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k, u)로 표시하면, 하나의 프레임에 적용된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들의 배치 정보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k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의 번호 또는 셀 그룹의 번호이고, u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이다.
Figure 112006097581268-PAT00004
수학식 4에서 k0, k1, k2, k3은 각각 0번 내지 3번 동기 블록에 적용된 셀 그룹 식별 시퀀스의 번호이고, u0, u1, u2, u3은 각각 0번 내지 3번 동기 블록에 적용된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이다. 예를 들어, k번 셀 그룹의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100)는 매 동기 블록(11)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하는 경우에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가 [(k, 1), (k, 2), (k, 3), (k, 4)]와 같이 배치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반복 패턴 치환부(130)는 모든 셀 그룹에 공통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고, 셀 그룹의 집합 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두 가지의 실시예를 도 8과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셀룰러 시스템은 공통 파일롯 심볼 또는 데이터 심볼을 스크램블하기 위한 셀 별 고유의 직교 코드인 셀 번호 식별 시퀀스를 모든 셀에 할당한다. 그리고 셀룰러 시스템은 구별 가능한 셀의 수를 늘리기 위하여 여러 개의 셀을 하나의 셀 그룹으로 묶어 각 셀 그룹에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할당한다. 이와 같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프레임 동기를 획득한 후에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통해 셀 그룹을 인식하고, 셀 번호 식별 시퀀스를 통해 특정 셀을 인식한다.
도 8에 따르면 모든 셀 그룹의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100)는 4개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이루어진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 g (1), g (2), g (3), g (4)})을 사용한다. 즉, k번 셀 그룹의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는 [(k, 1), (k, 2), (k, 3), (k, 4)]와 같은 배치 정보를 가진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도 8과 같은 셀룰러 시스템의 이동국은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때 시간 영역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프레임 구조에서, 이동국이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2번 동기 블록의 중간에 있다고 가정하면, 이동국은 3번 동기 블록에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셀 그룹 번호와 셀 번호를 검출한다. 이때 셀룰러 시스템이 동기 시스템인 경우, 셀룰러 시스템의 모든 셀이 3번 동기 블록에 해당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g (4))를 동시에 송출하므로 매크로 다이버시티 이득과 같은 이득이 발생하여, 이를 수신하는 이동국은 매우 좋은 상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공통 동기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이 1.25 MHz인 경우,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위한 가용 부반송파의 수는 38개가 된다. 이 경우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수는 38개가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적용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은 3개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사용한다.
Figure 112006097581268-PAT00005
도 9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3개의 셀 그룹 집합을 가진다. 셀 그룹 식별 시퀀스로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개수가 M이라고 할 때, 제1 집합은 1번 셀 그룹에서 M번 셀 그룹으로 구성되고, 제2 집합은 (M+1)번 셀 그룹에서 2M번 셀 그룹으로 구성되며, 제3 집합은 (2M+1)번 셀 그룹에서 3M번 셀 그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집합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 g (1), g (2), g (3), g (4)}를 사용하고, 제2 집합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 g (1'), g (2'), g (3'), g (4')}를 사용하며, 제3 집합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 g (1"), g (2"), g (3"), g (4")}를 사용한다.
셀룰러 시스템이 도 9와 같이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사용한다면, 셀 그룹의 집합의 경계에 해당하는 셀에서는 다이버시티 이득이 도 8의 셀룰러 시스템보다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개수가 사용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이 공통 동기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으로 1.25 MHz를 사용하고 5개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사용한다면,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수는 38개의 5배인 190개가 된다.
계속하여 도 7을 설명한다.
송신부(140)는 반복 패턴 치환부(130)가 생성한 하향링크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복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셀 구간에 전송한다(S14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구간의 신호 변환 과정을 도시한 흐 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는 부반송파 간격 1을 두고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동기 구간(13)에 배치한다. 이때,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부(110)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 사이의 간격에 0 심볼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셀 그룹 식별 시퀀스가 배치된 동기 구간(13)이 고속 푸리에 역변환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반복 패턴을 가지는 시간 영역 신호가 생성된다.
반복 패턴 치환부(130)는 생성된 시간 영역 신호의 반복 패턴 중 하나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하향링크 신호는 시간 영역에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국은 시간 영역에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 탐색을 수행하는 이동국(200)과 셀 탐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 탐색을 수행하는 이동국(2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200)은 시간 동기 검출부(210),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 하향 링크 프레임 추출부(230), 반복 패턴 복사부(240),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250), 셀 그룹 판단부(260), 셀 번호 판단부(270)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탐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시간 동기 검출부(210)는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상관값이 일정 레벨 이상이 되는 샘플 시점을 찾아 심볼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결정한다(S210).
다음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 검출부(2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 검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동기 검출부(210)는 상관부(211), 비교부(215)를 포함한다.
상관부(211)는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correlation)하여 상관 결과를 출력한다. 특히, 동기 블록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가 적용되는 경우, 상관부(211)는 병렬적으로 수신 신호를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복수의 상관 결과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이동국(200)은 동기 블록 단위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셀룰러 시스템이 셀 그룹 집합 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관부(211)는 병렬적으로 수신 신호를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복수의 상관 결과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이동국(200)은 동기 블록 단위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 그룹의 집합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215)는 상관부(211)가 출력하는 상관 결과의 크기(magnitude, I2+Q2)를 계산하여 상관 결과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는 샘플 시점을 찾아 심볼 동기를 결정한다. 또한, 비교부(215)는 상관 결과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도록 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를 찾아 프레임 동기를 결정한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다면, 비교부(215)는 상관 결과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게 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가 3인 경우, 2개의 동기 블록 앞의 샘플 시점이 프레임 동기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다면, 비교부(215)는 상관 결과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게 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의 번호를 찾아 프레임 동기를 결정함과 동시에 셀 그룹 집합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2를 설명한다.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는 시간 동기 검출부(210)가 결정한 심볼 동기로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된 시간 영역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시간 영역의 신호를 검출한 신호의 지연 신호로 차등 상관한다. 그리고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는 차등 상관된 값의 위상(phase)을 추정하여 주파수 동기를 획득한다(S220).
다음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는 신호 추출부(221), 차등 상관부(222), 위상 추정부(227)를 포함하고, 차등 상관부(222)는 지연부(223)와 상관부(225)를 포함한다.
신호 추출부(221)는 주파수 동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추출한다. 보호 구간에 0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 신호 추출부(221)는 시간 동기 검출부(210)가 결정한 심볼 동기로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된 시간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 동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 출력한다. 반면, 보호 구간에 주기적 전치 샘플(Cyclic Prefix, CP)이 사용되는 경우 신호 추출부(221)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의 신호에서 보호 구간만큼을 제외한 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 동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 출력한다. 신호 추출부(221)가 출력하는 신호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추출부(221)가 출력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추출부(221)는 보호 구간이 0 심볼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치환된 구간(punctured interval)의 신호를 출력하지만, 보호 구간이 CP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보호 구간 만큼이 제외된 치환 구간의 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하여 도 14를 설명한다.
신호 추출부(221)는 주파수 동기 검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동일 프레임 내의 복수의 동기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치환된 구간의 신호를 누적하여 주파수 동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지연부(223)는 신호 추출부(221)의 출력을 1 샘플 또는 그 이상의 샘플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관부(225)는 신호 추출부(221)의 출력을 지연부(223)의 출력과 상관하여 상관 결과를 출력한다.
위상 추정부(227)는 차등 상관부(225)가 출력하는 상관 결과의 위상을 추정하여 주파수 동기를 획득한다.
계속하여 도 12를 설명한다.
하향 링크 프레임 추출부(230)는 시간 동기 검출부(210)가 검출한 심볼 동기 및 프레임 동기와 주파수 동기 검출부(220)가 검출한 주파수 동기를 기준으로 수신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10)을 추출한다(S230).
반복 패턴 복사부(240)는 하향 링크 프레임 추출부(230)가 추출한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10)에서 동기 구간(13)을 찾아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에 나머지 영역의 신호들을 복사하여 동기 구간(13)에 반복 패턴을 형성한다(S240).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250)는 동기 구간(13)에 반복 패턴이 형성된 하향링크 프레임(10)을 고속 푸리에 연산하여 주파수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10)을 출력한다(S250).
셀 그룹 판단부(250)는 FFT 연산부(260)가 출력하는 주파수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10)의 동기 구간(13)에서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룰러 시스템이 사용하는 복수의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의 상관을 통해 셀 그룹 번호를 얻는 다(S260).
셀 번호 판단부(270)는 파일롯 구간(14) 또는 데이터 구간(15)에 분포한 셀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번호를 얻는다(S270).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셀 번호 판단부(270)는 셀 그룹 판단부(250)가 획득한 셀 그룹 번호와 셀 번호를 통해 셀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셀 번호 판단부(270)는 단계(S210)에서 획득한 셀 그룹의 집합 번호를 더 이용하여 셀을 식별할 수도 있다. 셀 번호 판단부(270)는 방송 채널(BCH)을 복조하여 방송 채널이 포함하는 셀 식별 시퀀스와 추출한 셀 식별 시퀀스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추출한 셀 식별 시퀀스를 검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을 다수의 동기 블록으로 나누고 각 동기 블록 마다 서로 다른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므로, 이동국은 빠른 동기 획득 및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향링크 신호 생성 장치는 시간 영역에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므로, 이동국은 FFT 수행 이전에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빠른 동기 획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셀룰러 시스템은 셀 그룹을 다시 그룹화하여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할당하므로, 주파수 영역의 셀 그룹 식별 시퀀스와 시간 영역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가 연동됨으로써 구별 가능한 셀 그룹의 수가 증가하고, 이동국은 매크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소정의 셀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영역 신호에서 상기 복수의 반복 패턴 중 일부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치환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은 복수의 동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는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각의 동기 블록의 동기 구간에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기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셀 그룹을 그룹화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 중에서 상기 소정의 셀에 해당하는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으로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셀을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와 상관하여 상관값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찾아 심볼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기초로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에 나머지 영역의 신호들을 복사하여 상기 동기 구간에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복 패턴이 형성된 상기 시간 영역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의 프레임의 동기 구간에서 셀 그룹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그룹 번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이 포함하는 복수의 동기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관하여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셀 그룹 집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동기 식별 시퀀스 그룹을 가지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관하여 상기 심볼 동기와 상기 프레임 동기를 결정하고 셀 그룹 집합 번호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블록에서 셀 번호 식별 시퀀스를 추출하여 셀 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셀 그룹 집합 번호와 상기 셀 그룹 번호와 상기 셀 번호를 통해 상기 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60136321A 2006-01-04 2006-12-28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0930 2006-01-04
KR1020060000930 2006-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92A true KR20070073592A (ko) 2007-07-10
KR100817496B1 KR100817496B1 (ko) 2008-03-27

Family

ID=3850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321A KR100817496B1 (ko) 2006-01-04 2006-12-28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4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6600B2 (en) 2003-12-29 2008-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ell search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4406337B2 (ja) 2004-08-31 2010-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及び同期検出方法
KR20060085404A (ko) * 2005-01-24 200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구분을 위한 패턴생성 및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55820B1 (ko) * 2006-01-04 2007-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496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75B1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방법
KR100827064B1 (ko) Ofdm 기반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의 동기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JP5171950B2 (ja) ダウンリンクフレーム生成方法及びセル探索方法
US7801180B2 (en) Systems, apparatus and techniques for fast cell search and accurat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390358B (zh) 在蜂窝系统中生成下行链路信号的方法、设备以及小区搜索方法和设备
CN107959922B (zh) 一种检测D2D中主sidelink同步信号的方法及装置
US20090004971A1 (en) Radio communications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160784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19129B1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셀 탐색 방법
KR100788892B1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7496B1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16390A (ko) 가변 순환전치부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송수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
KR100874485B1 (ko)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1023259B1 (ko)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셀 탐색을수행하는 방법
KR100755820B1 (ko)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방법및 장치
KR101449865B1 (ko) Ofdm 시스템에서의 초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1518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을 위한파일럿 신호 형성 방법과 셀 탐색 방법 및 그 장치
WO2008082038A1 (en) Method for generat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for searching cell
Setiawan et al. Common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recognition for GSM, UMTS and LTE via synchronization channels detection
KR20080005042A (ko) 사용자 단말에서의 동기 획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