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51A - 문 고정구 - Google Patents

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51A
KR20070073551A KR1020060026549A KR20060026549A KR20070073551A KR 20070073551 A KR20070073551 A KR 20070073551A KR 1020060026549 A KR1020060026549 A KR 1020060026549A KR 20060026549 A KR20060026549 A KR 20060026549A KR 20070073551 A KR20070073551 A KR 2007007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oor
operating
fixtu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남호
Original Assignee
도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남호 filed Critical 도남호
Priority to KR102006002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551A/ko
Publication of KR2007007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6Hats; Caps; Hoods convertible or adaptable for uses other than as headgear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단에 장치하여 문닫침을 방지하는 문 고정구를 개량하여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 지게 하고 출입자가 발로 고정구를 작동할 수 있게 한 문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가압구(101)가 형성된 작동구(1)의 일측에 톱니(102)와 하측에 신축스프링걸이구(104) 및 결합환홈(105)이 형성된 결합구(103)를 가진 작동구(1)를 내측에 장치홈(202)과 작동홈(201)이 연통되게 형성한 장치구(2)의 작동홈(201)에 투입하여 작동구(1)가 작동홈(201)을 관통하여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고 하단으로 돌출되는 작동구(1)의 하단 신축스프링걸이구(104)와 장치구(2)의 신축스프링고정구(204)에 신축스프링(6)의 양단을 걸어서 고정하며 결합구(103)를 고정고무(7)의 결합홈(701)에 투입하여 작동구(1)과 고정고무(7)를 결합하고 고정구(3)의 장치홈(202) 입구에 거치홈(203)을 형성하여 하측에 작동바(401)를 가진 답판(4)을 거치홈(203)에 거치시켜 작동바(401)를 장치홈(202)의 내측으로 작동스프링(5)을 개입시켜 투입하며 장치구(2)의 상부는 하측에 지지구(302)를 가진 고정구(3)와 힌지(301)로 회동되게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작동구(1)의 각도 및 승,하강 작동폭이 자유롭게 되어 문(8)에 부착되는 고정구(3)의 위치 선택폭이 커서 비숙련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출입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작동구(1)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문고정구, 문, 닫침, 잠김

Description

문 고정구{Door tie-down}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탄편을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탄편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의 (가)와(나)는 본 발명 고정고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예시도
도 7은 종래 문 고정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작동구 101 : 가압구
102 : 톱니 103 : 결합구
104 : 신축스프링걸이구 105 : 결합환홈
2 : 장치구 201 : 작동홈
202 : 장치홈 203 : 거치홈
204 : 신축스프링고정구 3 : 고정구
301 : 힌지 302 : 지지구
4 : 답판 401 : 작동바
5 : 작동스프링 501 : 탄편
6 : 신축스프링 7 : 고정고무
701 : 결합홈 702 : 결합돌환
703 : 환형홈 8 : 문
본 발명은 문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닫이문의 하단에 장치하여 문닫침을 방지하는 문 고정구를 개량하여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 지게 하고 출입자가 발로 고정구를 작동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되는 여닫이문은 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거나 보안상의 이유로 인하여 통상 문의 상부에 닫침이 자동으로 이루지도록 문닫침 장치를 부설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문을 열고 출입시에 문을 출입자가 닫지 않아도 문이 스스로 닫혀져 잠김되는 기능이 부설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은 편리하나 출입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문이 닫겨서 잠겨지게 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와 같이 문이 닫겨서 잠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의 하단에 장치하여 문과 지면 사이를 받쳐서 문이 닫치는 것을 방지한 문고정구가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문고정구는 도 7에서와 같이 문(8')의 하단에 장치하여 고정부(3')와 힌지(301')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작동구(1')와 작동구의 하단에 지면에 밀착하는 고정고무(7')로 구성되어 문(8)의 닫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구(1')를 회동시켜 하강시키면 작동구(1')의 고정고무(7')가 지면에 밀착하여 문(8')과 지면 사이를 받쳐주게 되어 문(8')이 고정되게 되고 문이 작동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작동구(1')를 회동시켜 들어올리면 문이 작동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되는 종래의 문 고정구는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회동되어 들어 올려진 작동구(1')를 고정하는 돌기가 마모되면 작동구(1')가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되지 못하여 수시로 낙하함으로서 정확한 기능을 하지못하게 되고 지면과 밀착하는 고정고무(7') 또한 빈번한 사용으로 마모되면 쉽게 미끄러지게 되고 작동구(1')의 버팀각도가 작아져 정확한 문(8')의 고정을 이루 수 없게 되며 특히 고정부(3')를 문(8')에 설치할 시에 작동구(1')의 버팀각도를 계산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부(3')를 부착하여야 함으로 문에 고정부(3')를 부착하는 작업이 비교적 간단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며 작동구(1')를 회동하기 위하여 사람이 허리를 굽펴서 손으로 작동구(1')를 잡고 작동함으로서 그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구의 길이가 신축되게 함으로 작동구를 들어올리지 않고 작동할 수 있어 작동구가 낙하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고무의 마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며 사람이 서서 발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문 고정구를 제안함 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구(1)를 발로 밟아 하강되게 하여 작동구(1)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고무(7)가 지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문(8)을 고정하고 답판(4)을 밟아서 작동구(1)를 승강시키면 문(8)에 부설되는 문닫침구에 의해 문(8)이 닫쳐 질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에 가압구(101)가 형성된 작동구(1)의 일측에 톱니(102)와 하측에 신축스프링걸이구(104) 및 결합환홈(105)이 형성된 결합구(103)를 가진 작동구(1)를 형성하여 내측에 장치홈(202)과 작동홈(201)이 연통되게 형성한 장치구(2)의 작동홈(201)에 작동구(1)의 톱니(102)가 장치홈(202)에 돌출되어 작동구(1)가 작동홈(201)을 관통하여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고 장치구(2)를 관통하여 하단으로 돌출되는 작동구(1)의 하단 신축스프링걸이구(104)와 장치구(2)의 신축스프링고정구(204)에 신축스프링(6)의 양단을 걸어서 고정하고 결합구(103)를 고정고무(7)의 결합홈(701)에 투입하여 작동구(1)와 고정고무(7)를 결합하며 고정구(3)의 장치홈(202) 입구에 거치홈(203)을 형성하여 하측에 작동바(401)를 가진 답판(4)을 거치홈(203)에 거치시켜 작동바(401)를 장치홈(202)의 내측으로 작동스프링(5)을 개입시켜 투입하며 장치구(2)의 상부는 하측에 지지구(302)를 가진 고정구(3)와 힌지(301)로 회동되게 결합한 구조이다.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구(1)를 제어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장치구(2)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장치홈(202)의 내측에 절곡된 탄편(501)을 결합하여 탄편(501)의 끝이 톱니(102)의 홈에 투입되도록 하고 작동바(401)는 톱니(102)와 탄편(501)사이에 위치하게 하여 작동바(401)의 위치이동에 의하여 탄편(501)의 끝이 톱니(102)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탄편(501)은 자체탄력에 의해 톱니(102) 방향으로 탄성이 발생하도록 장치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고무(7)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고정고무(7)의 상부 둘레에 환형홈(703)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서 작동구(1)가 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에 대하여 환형홈(703)에 의해 고정고무(7)가 쉽게 변형되도록 하여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은 고정구(3)를 문(8)의 하단에 부착하여 가압구(101)를 밟으면 작동구(1)가 하강하게 되어 작동구(1)와 장치구(2) 사이에 양단이 결합된 신축스프링(6)이 신장되고 하부의 고정고무(7)가 지면에 닿게 되면 톱니(102)에 작동스프링(5)에 탄설되는 작동바(401)가 투입되어 작동구(1)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서 작동구(1)가 지면과 문(8) 사이를 받쳐주게 되어 문(8)이 고정되고 답판(4)을 밟으면 답판(4)과 일체로 되는 작동바(401)가 거치홈(203)에서 회동하여 톱니(102)에서 이격됨으로 작동구(1)는 신축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하고 고정고무(7)가 지면에서 상승하여 문(8)의 여닫침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장치홈(202)에 탄편(501)을 장치한 것은 탄편(501)의 끝이 톱니(102)에 밀착되어 작동구(1)의 승강을 제어하고 답판(4)을 밟으면 작동바(401)가 탄편(501)을 후측으로 후퇴시켜 탄편(501)의 끝이 톱니(102)에서 이격되게 함으로서 작동구(1)가 승강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작동구(1)의 각도 및 승,하강 작동폭이 자유롭게 되어 문(8)에 부착되는 고정구(3)의 위치의 선택폭이 커서 비숙련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항상 정확한 작동을 기대할 수 있으며 출입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작동구(1)를 작동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상부에 가압구(101)가 형성된 작동구(1)의 일측에 톱니(102)와 하측에 신축스프링걸이구(104) 및 결합환홈(105)이 형성된 결합구(103)를 가진 작동구(1)를 내측에 장치홈(202)과 작동홈(201)이 연통되게 형성한 장치구(2)의 작동홈(201)에 투입하여 작동구(1)가 작동홈(201)을 관통하여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게 결합하고 하단으로 돌출되는 작동구(1)의 하단 신축스프링걸이구(104)와 장치구(2)의 신축스프링고정구(204)에 신축스프링(6)의 양단을 걸어서 고정하며 결합구(103)를 고정고무(7)의 결합홈(701)에 투입하여 작동구(1)과 고정고무(7)를 결합하고 고정구(3)의 장치홈(202) 입구에 거치홈(203)을 형성하여 하측에 작동바(401)를 가진 답판(4)을 거치홈(203)에 거치시켜 작동바(401)를 장치홈(202)의 내측으로 작동스프링(5)을 개입시켜 투입하며 장치구(2)의 상부는 하측에 지지구(302)를 가진 고정구(3)와 힌지(301)로 회동되게 결합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구
  2. 상기 1항에 있어서 장치홈(202)의 내측에 절곡된 탄편(501)을 투입하고 일측을 장치구(2) 내면에 고정하며 타측은 톱니(102)에 밀착되게 하여 작동바(401)로 탄편(501)을 이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구
  3. 상기 1항에 있어서 고정고무(7)는 상부둘레에 환형홈(70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구
KR1020060026549A 2006-03-23 2006-03-23 문 고정구 KR2007007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49A KR20070073551A (ko) 2006-03-23 2006-03-23 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49A KR20070073551A (ko) 2006-03-23 2006-03-23 문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21U Division KR200411560Y1 (ko) 2006-01-04 2006-01-04 문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51A true KR20070073551A (ko) 2007-07-10

Family

ID=3850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549A KR20070073551A (ko) 2006-03-23 2006-03-23 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5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77B1 (ko) * 2006-11-27 2007-09-21 김광환 복귀장치를 구비한 도어 스톱퍼
KR100862614B1 (ko) * 2006-03-08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상향링크 시그널링 방법과,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14B1 (ko) * 2006-03-08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상향링크 시그널링 방법과,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단말기
KR100760777B1 (ko) * 2006-11-27 2007-09-21 김광환 복귀장치를 구비한 도어 스톱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924B2 (en) Automatic door bottom with release mechanism
ATE521856T1 (de) Türverriegelung für einen herd
DK177808B1 (en) A roof window having an improved lifting device and hinge connection
US20170174054A1 (en) Sliding door apparatus
KR200411560Y1 (ko) 문 고정구
KR20070073551A (ko) 문 고정구
JP4327667B2 (ja) 閉扉装置
DE502005001384D1 (de) Schließblech
US6938302B2 (en) Door closing mechanism
JP2005336983A5 (ko)
EP1686225A2 (en) A handle for turn opening or tilt and turn opening doors or windows.
JP4129960B2 (ja) ステー
KR100987120B1 (ko) 스토퍼가 내장되는 도어
KR101162695B1 (ko)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0350534Y1 (ko) 문 고정장치
DE602004003575D1 (de) Gelenkbeschlag für ein Drehfenster
KR200229068Y1 (ko) 도어 스톱퍼
NO20030329D0 (no) Beröringsbeskyttelsesanordning for en vernestikkontakt med fj¶rbelastet dreieskyver
KR20060094507A (ko) 답식 도어스토퍼
JP4961270B2 (ja) 落とし錠
KR100894137B1 (ko) 도어 스토핑 장치
KR200300601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325008Y1 (ko) 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KR200340697Y1 (ko) 문 임시정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