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710A -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710A
KR20070072710A KR1020060000144A KR20060000144A KR20070072710A KR 20070072710 A KR20070072710 A KR 20070072710A KR 1020060000144 A KR1020060000144 A KR 1020060000144A KR 20060000144 A KR20060000144 A KR 20060000144A KR 20070072710 A KR20070072710 A KR 2007007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esp
inclination ang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296B1 (ko
Inventor
조영주
곽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0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의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노면의 횡방향으로 기울어진각을 계산하여 ESP제어의 기준값을 변경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제어하는 차량 안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횡가속도를 측정하는 횡가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의 선회속도를 측정하는 선회속도센서와; 상기 측정된 횡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주행 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이용하여 이에스피(ESP) 시스템의 제어조건을 변경하는 이에스피(ESP)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Electronic Stability Program}
도 1은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 주행노면에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 주행노면에서의 차량 안정성의 제어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각에 따른 제어작동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횡가속도 센서 12 : 요레이트 센서
14 : 차량속도 센서 16 : 제어부(ECU)
18 : 제동압 제어부 20 : 구동력 제어부
본 발명은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의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노면의 횡방향으로 기울어진각을 계산하여 ESP제어의 기준값을 변경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제어하는 차량 안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슬립에 의한 브레이크의 잠김을 방지하고 제동 중 운전자에 의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ABS(Anti-lock Brake System)가 마련된다. 또한,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량이 출발하거나 급발진시 차량의 스립을 방지하기 위한 TCS(Traction Control System)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 차량 안정성 시스템)가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많은 센서들이 차량에 마련된다. 각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스피드 센서, 조향각을 체크하는 조향각 센서, 차량이 횡 방향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횡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마련된다.
차량의 안정성제어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조향각보다 차량이 덜 회전하는 언더스티어(under-steer)와 더 많이 조향되는 오버스티어(over-steer)가 발생하는 경우에 각 차륜의 제동력 등을 조절하여 차량의 자세를 바로잡는 제어가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에는 운전자의 조향의지를 파악하기 위해 핸들의 조향속도, 조향방향,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센서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측정하는 요레이트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자세를 제어한다. 차량의 자세제어는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의 선회량과 차량의 실제선회량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제동력이나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여 보상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이 횡방향으로 기울어진 노면에서 운전하는 경우 위 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기준 선회속도는 작게 측정되더라도 차량의 선회속도량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선회속도량에 따라 차량의 안정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의 안정성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를 오판함으로써 부적절한 제어를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노면의 횡 방향의 기울어진각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안정성 판단기준을 보정함으로써 주행노면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횡가속도를 측정하는 횡가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의 선회속도를 측정하는 선회속도센서와; 상기 측정된 횡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주행 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이용하여 이에스피(ESP) 시스템의 제어조건을 변경하는 이에스피(ESP)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 방향 기울어진각이 미리 설정된 일정범위(A)내에 있는 경우 차량의 일정 조향각에서는 의한 제동력제어를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방향 기울어진각이 미리 설정된 일정범위(B)에 있는 경우 상기 이에스피 제어에 이용되는 조향각의 기준치를 변경 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 방향 기울어진각과 차량의 속도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노면의 회전반경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에스피(ESP) 제어를 위한 기준 조향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 주행노면에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차량에 장착된 ESP센서 중 횡가속도 센서와 선회속도 센서로부터 횡가속도(
Figure 112006000103813-PAT00001
)와 선회속도(
Figure 112006000103813-PAT00002
)을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횡가속도와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동역학적 관계식을 통해 아래와 같이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 각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6000103813-PAT00003
위와 같이 계산된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 각은 실제로 다양한 노면 및 운전조건에 따라 제한적인 조건에서만 성립한다. 따라서 조향각과 조향각 속도의 제한 범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자세제어 즉, ESP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의 예측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도 2는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 주행노면에서의 차량 안정성의 제어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가속도와 차량의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예측하고 이를 차량의 제어에 반영하게 되는데 이는 두가지 방법으로 대별된다. 우선 도 2의 (a)그래프의 빗금부분(A)에 차량의 조향각과 조향각 속도가 있는 경우 즉 조향각이 d1보다 작고 조향각 속도가 d_d1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ESP시스템의 제동력 제어를 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주행노면이 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ESP제어의 기준값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즉 주행노면이 기울어져 있어 기준 선회 속도량은 작게 계산되는 반면에 차량의 선회속도량이 크게 측정되므로 이를 적절히 보상하여 차량의 자세제어가 적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차량의 조향각과 조향각 속도가 각각 d2와 d_d2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어유보범위(B)로서 차량의 제어작동범위를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과 차체의 기울어진 각에 따라 도 3과 같이 제어작동의 문턱값을 변경하게 된다. 이를 통해 주행노면의 변화에 맞추어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자세제어는 차량의 속도와 횡방향의 가속도와 차체의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횡방향의 기울어진각과 차량의 속도의 문턱값을 도 2의 (b)와 같이 정하여 그 이상의 값이 산출될 때 차량의 ESP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기울어진각과 조향각과 조향각 속도에 따라 제어금지범위(A)와 제어유보범위(B)로 나누고 제어유보범위(B)에서 차량의 문턱값을 변경하여 ESP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도 2의 (b)의 문턱값에 따라 ESP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문턱값의 변경은 조향각 등에 따라 판단되게 되는데 이러한 조향각과 조향각 속도는 요레이트와 속도와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이용하여 구해진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의 횡가속도를 측정하는 횡가속도 센서(10)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측정하는 요레이트센서(12)와 차량의 속도와 선회속도를 측정하는 차량속도센서(14)와 선회속도센서(15)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가 마련된다. 이러한 센서를 통해 입력된 차량의 상태는 제어부(ECU)에서 판단되어 차량의 제동압과 엔진의 출력을 제동압 제어부(18)과 구동력 제어부(20)을 통해 제어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행노면의 횡 방향의 기울어진각에 따라 ESP제어의 기준값 즉, 문턱값을 변경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현재 차량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이용하여 ESP제어의 기준값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주행노면의 상태가 변하더라도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횡가속도를 측정하는 횡가속도 센서와
    상기 차량의 선회속도를 측정하는 선회속도센서와
    상기 측정된 횡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이용하여 주행 노면의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횡 방향 기울어진각을 이용하여 이에스피(ESP) 시스템의 제어조건을 변경하는 이에스피(ESP)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 방향 기울어진각이 미리 설정된 일정범위(A)내에 있는 경우 차량의 일정 조향각에서는 의한 제동력제어를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방향 기울어진각이 미리 설정된 일정범위(B)에 있는 경우 상기 이에스피 제어에 이용되는 조향각의 기준치를 변경하여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에스피(ESP) 제어부는 상기 횡 방향 기울어진각과 차량의 속도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노면의 회전반경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에스피(ESP) 제어를 위한 기준 조향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특징인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
KR1020060000144A 2006-01-02 2006-01-02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KR101152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44A KR101152296B1 (ko) 2006-01-02 2006-01-02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44A KR101152296B1 (ko) 2006-01-02 2006-01-02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710A true KR20070072710A (ko) 2007-07-05
KR101152296B1 KR101152296B1 (ko) 2012-06-08

Family

ID=3850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44A KR101152296B1 (ko) 2006-01-02 2006-01-02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97B1 (ko) * 2007-07-31 2008-07-14 주식회사 만도 차량 안정성 시스템의 보상 요 모멘트 분배 방법
KR20160043330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의 오토 발란서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제어방법
US9434363B2 (en) 2012-10-25 2016-09-06 Denso Corporation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10560266B2 (en) 2016-12-07 2020-02-11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Multiple ident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ultiple identitie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99B1 (ko) 2020-02-25 2021-09-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태 확장 관측기 기반 전기 자동차의 abs 고정시간 슬립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033B1 (ko) * 2002-02-23 2007-02-16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행 안정성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97B1 (ko) * 2007-07-31 2008-07-14 주식회사 만도 차량 안정성 시스템의 보상 요 모멘트 분배 방법
US9434363B2 (en) 2012-10-25 2016-09-06 Denso Corporation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20160043330A (ko) * 2014-10-13 2016-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의 오토 발란서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제어방법
US10560266B2 (en) 2016-12-07 2020-02-11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Multiple ident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ultiple identitie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296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0828A1 (en) Method for stabilizing a two-wheeled vehicle having a laterally slipping rear wheel
JP2004155412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ブレーキ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777560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pressure
WO2010061432A1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6111048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制御装置
US20150012196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Brake System
KR101152296B1 (ko)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KR101103528B1 (ko)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선회속도 제어방법
KR20090100846A (ko) 차량자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9599A (ko)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KR20130048411A (ko) 조향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5023B1 (ko) 차량의 기준 속도 추정 방법
KR101296085B1 (ko) 노면 판단 방법
KR100987071B1 (ko) 차량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특이 노면 검출장치
KR100907868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105147B1 (ko) 경사로에서의 차량 속도 제어 시스템
KR20080086647A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상 모멘트를 이용한조향각 제어방법
KR100592518B1 (ko)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KR101162495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횡가속도 추정 방법
KR101144657B1 (ko)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KR100806077B1 (ko) 차량 휠의 기준속도 산출방법
KR101365008B1 (ko) 차량 자세 제어방법
US20080033623A1 (en) Method For The Predictive Determination Of The Change In The Yaw Rate Of A Vehicle
JP2008273360A (ja) 車両の運動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808007B1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