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87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878A
KR20070071878A KR1020050135665A KR20050135665A KR20070071878A KR 20070071878 A KR20070071878 A KR 20070071878A KR 1020050135665 A KR1020050135665 A KR 1020050135665A KR 20050135665 A KR20050135665 A KR 20050135665A KR 20070071878 A KR20070071878 A KR 20070071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mmunication
local
home
contro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희두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1878A/ko
Publication of KR2007007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로밍에 의해 통신하는 경우에 그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당해 통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으로 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은 해외 자동로밍 기능 및 국제전화 국가번호 테이블과 각 국가 사이의 시차환산 테이블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해외 자동로밍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로컬 기지국과 교신하여 추출된 로컬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종류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여 종료된 경우에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신 이벤트에 대해 통신 시간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방이 로컬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기록하고, 국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상기 시차환산 테이블에 대입하여 얻어진 홈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외로밍, 자동, 시차, 환산, 지역번호, 통신내역, 문자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communication history recording method by overseas roaming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본체
112: 숫자/문자 키버튼 113: 마이크 홀
114: 음량버튼 115: 카메라버튼
116: 표준접속단자 슬롯 120: 슬라이더
121: 기능 키버튼 122: 평판 표시기
123: 스피커 홀
210: 제어부 220: 무선주파 송/수신부
230: 키 입력부 232: 기능키
234: 숫자/문자키 240: 메모리
242: 프로그램 저장부 244: 데이터 저장부
250: 음성신호 처리부 252: 마이크
254: 스피커 260: 평판 표시기 구동부
262: 평판 표시기 270: 진동 발생부
272: 진동모터 274: LED 구동부
276: LED 280: 카메라 구동부
282: CCD 카메라 284: 영상 처리부
286: 적외선 송/수신부 288: GPS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외로밍에 의해 통신하는 경우에 그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당해 통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으로 하여 기록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고도 한다.)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 이외에도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송신자가 수신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보이스 이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일명 소리샘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가입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가입자가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숫자 및 문자를 이용하여 80byte 즉, 한글 40~50자, 영문 80자 정도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보다 긴 문장의 작성이 가능하며 음, 영상 등을 첨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해외 출장이 잦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른바 해외로밍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현지에서 그대로 사용(이하 이러한 서비스를 '해외 자동로밍 서비스'라 한다)할 수도 있는데,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이러한 해외로밍 서비스 이용자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로밍 서비스 중에서 CDMA 자동로밍이 가능한 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호주, 베트남 등 14개국에 이르는데, 해외 자동로밍의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본료는 없고 통화료만 부담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외 자동로밍 서비스의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역설정만 바꾸어주면 바로 이용할 수 있는데, 근래에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이나 발신자표시 등의 부가 서비스도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외 자동로밍 서비스에 의해 현지 또는 국내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기와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그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현지시간이 기록되기 때문에 차후에 국내로 돌아와서 통신내역을 참고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시차를 확인하느라 혼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외로밍에 의해 통신하는 경우에 그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당해 통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으로 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은 해외 자동로밍 기능 및 국제전화 국가번호 테이블과 각 국가 사이의 시차환산 테이블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해외 자동로밍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로컬 기지국과 교신하여 추출된 로컬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종류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여 종료된 경우에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신 이벤트에 대해 통신 시간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방이 로컬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기록하고, 국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상기 시차환산 테이블에 대입하여 얻어진 홈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인바,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과 구조의 단말기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크게 주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10)와 평판 표시기(122)를 탑재한 채로 본체(11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10)의 전면에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숫자/문자 키버튼(112)이 배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안테나(미도시) 및 외부의 다른 통신 기기와 적외선 통신(IrDA)을 하는데 사용되는 적외선 통신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의 적소에는 내부의 마이크(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는 마이크 홀(113)이 천공되어 있다. 본체(110)의 하면에는 타 단말기나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본체(110)에 결합된 배터리팩(미도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전달되는 표준접속단자 슬롯(116)이 구비된다.
한편, 슬라이더(120)의 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조작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문자나 그래픽 요소 및 정지 화상과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기(122)가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선택 또는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기능 키버튼(121)이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120)의 적소, 예를 들어 평판 표시기(122)의 상부에는 내부의 스피커(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는 스피커 홀(123)이 천공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14는 음량 버튼을 나타내고, 115는 카메라 버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구성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주파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 숫자/문자 키버튼(112)과 기능 키버튼(121)의 조작시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키 입력부(232)와 숫자/문자키 입력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입력부(230), 운영체제와 본 발명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이 담긴 프로그램과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242)와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후술하는 국제전화 국가번호/지역번호 테이블과 시차환산 테이블, 사용자가 설정한 각종 데이터 및 통신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모리(240), 외부의 음파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52),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254), 마이크(25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54)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50), 평판 표시기(262)를 구동시키는 평판표시기 구동부(260),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로 동작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272)와 그 구동부(270), 호나 메시지 수신 등의 통신 이벤트 발생시에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276)와 그 구동부(274),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 통신부(286) 및 이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본체(110)나 슬라이더(120)의 적소에 설치되는 CCD 카메라(282),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CCD 카메라(282)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280), CCD 카메라(28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84),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적외선 송/수신부(286) 및 GPS 위성으로부터 발사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절대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처리부(288)가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어부(21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는 해외 자동로밍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12로 진행하여 현지의 기지국(이하 '로컬 기지국'이라 한다)과 교신하여 추출된 로컬 시간, 예를 들어 년/월/일/시/분/초 및 요일 또는 월/일/시/분 및 요일 등을 평판 표시기(262)에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는 이러한 로컬 시간을 데이터 저장부(244)에 저장되어 있는 시차 환산표에 대입하여 국내 시간(이하 '홈 시간'이라 한다)을 연산하고, 다시 단계 S16에서는 이렇게 연산된 홈 시간을 로컬 시간과 함께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에 나란히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단계 S18에서는 음성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이벤트(이하 '통신 이벤트'라 한다)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8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통화/메시지 상대방의 지역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에서 통신 상대방의 지역은 데이터 저장부(244)에 저장되어 있는 국제전화 국가번호표에 의거하여, 예들 들어, 국제전화 국가번호가 "82"인 경우에는 한국이라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는 통화/문자 메시지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2를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 S24로 진행하여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이 홈(국내) 또는 현지(로컬)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이 홈(국내)인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그 통신내역, 즉 통화/문자메시지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름 등을 기록함에 있어서 홈 시간을 부가하여 기록하는 반면에 로컬(현지)인 경우에는 로컬 시간을 부가하여 기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에 따르면, 해외로밍에 의해 통신하는 경우에 그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당해 통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의 시간으로 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통신내역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해외 자동로밍 기능 및 국제전화 국가번호 테이블과 각 국가 사이의 시차환산 테이블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해외 자동로밍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로컬 기지국과 교신하여 추출된 로컬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종류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여 종료된 경우에 통신 상대방이 위치한 지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신 이벤트에 대해 통신 시간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통신내역을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방이 로컬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기록하고, 국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로컬 시간을 상기 시차환산 테이블에 대입하여 얻어진 홈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지역의 판단은 통신 상대방의 국제전화 국가번호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로컬 시간을 상기 시차 환산표에 대입하여 얻어진 홈 시간을 상기 로컬 시간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음성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KR1020050135665A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KR20070071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665A KR20070071878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665A KR20070071878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878A true KR20070071878A (ko) 2007-07-04

Family

ID=3850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665A KR20070071878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18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881A (zh) * 2011-01-19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同时显示注册地和漫游地时间的实现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881A (zh) * 2011-01-19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同时显示注册地和漫游地时间的实现方法及系统
WO2012097547A1 (zh) * 2011-01-19 2012-07-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同时显示注册地和漫游地时间的实现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0475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2008016105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of Hyperlink Telephone Number Including Short Message Service
EP2005718A1 (en) Destinations list configuration
KR20010085734A (ko) 휴대 전화기의 스크롤 모드 변경방법 및 이 스크롤변경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KR20010085735A (ko) 전자 메일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JPH11196159A (ja)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変換装置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571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KR200700718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외로밍에 의한 통신내역 기록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35694A (ko) 전자메일을 통한 문자메시지 전달 방법
KR200601296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암호 확인 방법
JP3942281B2 (ja) 携帯電話機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2007007187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방법
KR100690704B1 (ko) 휴대폰의 신호 전송방법
KR100966553B1 (ko) 맺음말 기능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200700356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7003568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팩시밀리 서비스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386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명령 저장 방법
KR200700718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표시 방법
KR200700718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환율 계산 방법
KR200700718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러정보 자동 전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