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783A -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 Google Patents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783A
KR20070070783A KR1020050133647A KR20050133647A KR20070070783A KR 20070070783 A KR20070070783 A KR 20070070783A KR 1020050133647 A KR1020050133647 A KR 1020050133647A KR 20050133647 A KR20050133647 A KR 20050133647A KR 20070070783 A KR20070070783 A KR 2007007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lder
welding
support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3865B1 (en
Inventor
김보연
추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865B1/en
Publication of KR2007007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A knob apparatus for a controller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a connection section of a knob and an encoder due to vibration and an impact applied to the knob apparatus. A knob apparatus of a controller includes a supporter(50), an encoder(40), a knob(30), a holder(70), and a fusion fixing unit(80). The supporter is mounted to a substrate of the controller. The encoder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substrate so that one end thereof can pas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The knob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so that a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encoder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holder is mounted to a mounting sec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knob. The fusion fixing unit is formed in the mounting section and the holder to fuse and fix the holder to the mounting section.

Description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nob apparatus of controller}Knob apparatus of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와 홀더의 용착 이전 상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welding of the supporter and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7: 컨트롤러 28: 노브 장치7: Controller 28: Knob Device

30: 노브 32: 플랜지부30: knob 32: flange

34: 연결돌기 40: 엔코더34: connecting protrusion 40: encoder

42: 본체 44: 회전 로드 42: main body 44: rotary rod

50: 서포터 56: 지지용 보스50: supporter 56: support boss

60: 장착부 70: 홀더60: mounting portion 70: holder

72: 외측 고정부 74: 절곡부72: outer fixing part 74: bend

76: 내측 고정부 78: 지지부76: inner fixing portion 78: support portion

80: 용착고정수단 82: 용착돌기80: welding fixing means 82: welding projection

84: 용착홀부84: welding hole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의 흔들림이 감소되고,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과 조작감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device of a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ob device of a controller in which shaking of a knob is reduced during operation of the knob device, and noise generation and deterioration of operation feeling due to friction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In general, various machines are equipped with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기계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기계의 작동을 직접 조절하거나 또는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을 적절히 변경/설정하게 된다. In the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unit to which various commands are input by a user is formed,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machine to the outside is 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change / set the program of th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as appropriate.

상기 조작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각종 스위치가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는 조작 방식에 따라 누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회전 스위치 등이 있다.Various switches are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so that various commands can be input by a user, and the switches include a push switch, a slide switch, a rotary switch,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여기서, 상기 회전 스위치로는 노브 장치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바, 상기 노브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 형상의 노브(Knob)와, 상기 노브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En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a knob device is typically used as the rotary switch, and the knob device is a cylindrical knob (Knob) rotatably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knob, the rotation angle of the kno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coder (Encoder) for generat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상기 노브는 상기 컨트롤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엔코더는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노브의 배면 중앙에 일단이 연결된다. The knob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a control panel forming the exterior of the controller, and the encoder is mounted on a substrate installed inside the controll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center of a rear surface of the knob.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과 기판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로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엔코더의 일단은 노브 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노브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돌기가 엔코더 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paration spac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substrate, one end of the encoder is protruded long toward the knob side, the connecting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encoder side so that one end of the encoder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knob It protrudes long.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과 노브의 연결돌기가 길게 돌출된 후 돌출된 끝단이 서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엔코더와 노브가 충격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외부 충격 및 조작력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encoder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are protruded long and the protruded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ncoder and the knob are connected to the encoder so that they are very vulnerable to impa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knob is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 and operating force.

특히, 상기 노브 장치의 조작시 상기 엔코더가 기판에 설치된 부위가 노브의 회전 지지점이 되므로,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되면 상기 엔코더와 기판의 납땜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knob device is operated, the portion of the encoder installed on the substrate becomes a rotational support point of the knob, so that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is damaged when the knob is shaken up, down, left and right.

따라서, 최근의 노브 장치에는 상기 노브의 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보스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엔코더와 노브가 연결된 부위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게 된다. Therefore, in recent knob devices, by adding a support bos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oss of the knob, the str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encoder and the knob are connected is structurally strengthened.

이와 같은 지지용 보스는 컨트롤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 또는 기판에 지지용 보스가 형성된 부품이 별도로 장착되어 상기 부품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Such a support boss is formed in the control panel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knob by the control panel, or a component having a support boss formed on the control panel or the substrate is separately mounted to the encoder and the encoder. Support the connection part of the knob.

그러나, 상기 지지용 보스가 추가된 컨트롤러는 상기 지지용 보스의 내부에 연결돌기와 엔코더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돌기와 엔코더의 일단이 상기 지지용 보스의 내측면과 면접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 소음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 저항으로 인해 노브의 조작감이 크게 저하되며, 상기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상기 노브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troller to which the support boss is added has a high possibility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encoder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support boss so that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encode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ss. Therefore, friction noise is generated when the knob is rotated, the operation resistance of the knob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and the knob is shaken due to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upport boss.

즉,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을 증대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로 인한 소음과 조작감의 저하는 감소되나,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크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knob and the support boss is increased, noise and a decrease in operation feeling due to friction during rotation of the knob are reduc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nob is greatly shake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반면에,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은 감소되나,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이 크게 발생되어 마찰 소음과 조작감의 저하가 크게 증대되고,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and the support boss is reduce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knob shakes up and down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duced, but friction is greatly generated when the knob is rotated,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noise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greatly increased, workability is also lowered during the assembly work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support boss of the knob.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that can prevent the knob from shak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의 조작감이 향상되고, 마찰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that can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knob when the knob device is operated, the friction nois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브의 흔들림 및 마찰 소음의 방지가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노브 장치의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that can be implemented not only by the simple structure change prevention of shaking and friction noise of the knob, but also can be improved workability when assembling the knob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컨트롤러의 기판에 장착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전면을 일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서포터와 기판 사이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와,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장착부에 용착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부와 홀더에 형성된 용착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 supporter mounted on a substrate of the controller, an encod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substrate so that one end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one end of the encoder. A connecting protrusion which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rear surfac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a holder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and the holder is moun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lding fixing mean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to be fixed to the welding.

상기 용착고정수단은 상기 장착부와 홀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용착홀부와, 상기 홀더의 장착시 상기 용착홀부에 관통되게 삽입된 후 용착 고정되도록 상 기 장착부와 홀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용착돌기로 구성된다.The welding fixing means is composed of a weld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and a wel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other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so as to be fixed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welding hole portion when the holder is mounted. .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보스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protrudes in a boss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so as to surround one end of the encoder.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외측 고정부와,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에서 연결돌기의 외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진다.The holder is formed of an outer fixing part fit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fixing par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여기서, 상기 용착돌기는 상기 장착부의 돌출된 끝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착홀부는 상기 용착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가 형성된다.Here, the weld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ar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protrusions.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의 끝단부에 걸려 장착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내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착홀부는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der is a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inwardly from the outer fixing portion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is fix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ent portion to fit clos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wherein the welding hol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돌기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bent portion to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한편, 상기 홀더는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is formed of a material excellent in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 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와 홀더의 용착 이전 상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and FIG. 6 is a state before welding of the supporter and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과, 상기 드럼(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일정 높이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세탁물을 퍼올리는 복수개의 리프터(4)와, 상기 터브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3)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5)와, 상기 캐비닛 커버(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6)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 상부에 장착되어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2) to form an appearance, a tub (not shown) is installed to be buffered inside the cabinet (2) to accommodate the wash water And a plurality of drum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to accommodate laundry, and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um 3 to spread laundry to be dropped by gravity at a predetermined height. Lifters (4), a drive motor (not shown) mounted behind the tub to gener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3), and laundry can be put into and withdrawn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2) A cabinet cover 5 having a laundry entrance so as to be formed, a door 6 rotatably installed at the cabinet cover 5 to open and close the laundry entrance, and a drum washing machin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abinet 2. 1) the operation of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ontroller 7.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캐비닛(2)과 캐비닛 커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7)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10)과,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된 기판(20)으로 구성된다. The controller 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binet 2 and the cabinet cover 5, and is disposed inside the control panel 10 and a control panel 10 forming an exterior of the controller 7. And a substrate 20 on which various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 are mounted.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0)에는 복수개의 표시홀(11)과 버튼홀(13) 및 노브홀(15)이 형성되는 바, 상기 표시홀(11)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12)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홀(13)에는 누름 가능하게 버튼(14)이 설치된다. Here, a plurality of display holes 11, button holes 13, and knob holes 15 are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and the transparent window 1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in the display hole 11. The button hole 13 is provided with a button 14 so as to be pressed.

그리고, 상기 기판(20)에는 상기 투명창(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부재(22)가 장착되고, 상기 버튼(14)과 대향되는 위치에 택트 스위치(24)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member 22 is mounted on the substrate 20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transparent window 12, and the tact switch 24 is mount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button 14.

상기 표시부재(22)는 LCD나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부품으로써 상기 투명창(12)을 통해 드럼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24)는 온-오프 스위치로써 상기 버튼(14)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The display member 22 is a display component such as an LCD or an LED,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 to the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12, and the tact switch 24 is an on-off switch. As the button 14 is pressed, the on / off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 is controlled.

이와 같은 기판(20)의 전면에는 상기 LED를 지지함과 아울러 LED의 불빛을 투명창(12)으로 안내하는 LED 서포터(26)가 장착된다. The front of the substrate 20 is equipped with an LED supporter 26 supporting the LED and guiding the light of the 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12.

또한, 상기 노브홀(15)과 대향되는 기판(20)에는 노브 장치(28)가 설치되는 바, 상기 노브 장치(28)는 노브(30)의 회전 조작된 각도에 따라 엔코더(40)가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여러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 스위치이다.In addition, the knob device 28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20 facing the knob hole 15, and the knob device 28 has the encoders 40 mutu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ly operated angle of the knob 30. It is a rotary switch for generating different signals to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28)는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노브(30)와, 상기 노브(30)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기판(20)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30)에 일단이 연결된 엔코더(40)와, 상기 엔코더(40)와 노브(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엔코더(40)와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장착된 서포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knob device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knob hole 15 of the control panel 10 and rotated by the user, while being rotated by the knob 30. The encoder 40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20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encoder 40 and the knob 30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knob 30. 40 and a supporter 50 mounted to the substrate 20 to rotatably support the knob 30 is configured.

상기 노브(30)는 상기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된 원통형의 손잡이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전방으로 전부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The knob 30 is a cylindrical handle disposed to penetrate the knob hole 15. The knob 30 is disposed to protrude all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10, and a rear portion thereof is rotat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To be seated.

여기서, 상기 노브(30)의 후부 끝단에는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활한 안착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32)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Here, the rear end of the knob 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portion 32 to form a smooth seating surface to be more securely sea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50.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돌기(3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nnection protrusion 34 protrudes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30 so that one end of the encoder 40 may be press-fitted and fixed.

즉, 상기 연결돌기(34)의 후방부 내측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전방부가 압입되는 중공부가 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That is, the hollow part in which the front part of the encoder 40 is press-fitted is formed inside the rear part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so as to be opened rearward.

상기 엔코더(40)는 상기 기판(20)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실장된 본체(42)와, 상기 노브(30)의 연결돌기(34)에 전방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드(44)로 이루어진다. The encoder 40 is rotated to the main body 42 so that the front part is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42 mount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substrate 20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of the knob 30. It consists of a rotating rod 44 possibly installed.

상기와 같은 연결돌기(34)의 중공부과 회전로드(44)의 전방부는 상기 노브(30)의 회전력이 엔코더(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rotary rod 44 is preferably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nob 30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encoder 40.

상기 서포터(50)는 상기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와 엔코더(40)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는 부품으로써,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안착부(52)가 전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LED를 지지하는 LED 지지부(54)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er 5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knob 30 and the encoder 40 while the knob 30 is rotatably seated, and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knob 30 rotates. Sliding seating portion 52 that is possibly seate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front, LED support portion 54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LEDs indic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ncoder 40 on the outside of the sliding seating portion 5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내측에는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 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3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 리브(53)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Here, the inside of the sliding seat 5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3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knob 30 and to preven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nob 30, the left and right. Guide ribs 53 protrude along the perimeter.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로드(44)가 내부에 관통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돌기(34)의 후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로드(44)와 연결되도록 지지용 보스(56)가 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In addition, a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rein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seat 52, and a re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34 is rotatably inserted to insert the rotary rod 44. ), The support boss 56 protrudes hollow forward.

상기 지지용 보스(56)는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연결 부위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직경 차이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boss 56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can be supported.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is preferably formed small.

또한, 상기 LED 지지부(54)는 상기 가이드 리브(53)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 둘레에 전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된다. In addition, the LED support part 54 guides the rotation of the knob 30 similarly to the guide rib 53, and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nob 30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liding seat 52. Protrude stepwise forward around the outer periphery.

상기와 같은 LED 지지부(54)에는 상기 LED가 내부에 배치되는 LED홀(54A)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LED홀(54A)은 상기 기판(20)에 설치된 LED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LED의 불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LED support unit 54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LED holes 54A in which the LEDs are dispose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ED hole 54A supports the LED installed in the substrate 20 not to fall and guides the light of the LED in a desired direction.

상기 LED 지지부(54)의 전면에는 상기 LED의 불빛이 투영되는 링 형상의 투명창(58)이 배치된다.The front of the LED support 54 is a ring-shaped transparent window 58 is projected to project the light of the LED is disposed.

특히,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용 보스(56)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장착부(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60)에는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7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60)와 홀더(70)에는 홀더(70)를 장착부(60)의 전방부에 용착 고정시키는 용착고정수단(80)이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mounting portion 60 protrudes in a shape surrounding the support boss 56 on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60. The holder 70 is mounted, and the mounting part 60 and the holder 70 are formed with welding fixing means 80 for welding the holder 70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ounting part 60.

상기 장착부(60)는 상기 가이드 리브(53)와 지지용 보스(56) 사이에 원형으로 돌출된 보스이다. The mounting portion 60 is a boss projecting in a circle between the guide rib 53 and the support boss 56.

상기 홀더(70)는 상기 장착부(6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외측 고정부(72)와,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전방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74)와, 상기 장착부(6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절곡부(74)에서 하향 돌출된 내측 고정부(76)와,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74)에서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외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78)로 이루어진다.The holder 70 has an outer fixing portion 72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a bent portion 74 formed to be bent in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he bent portion 74 rotatably supports the inner fixing portion 7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ent portion 74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so as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 Consists of a support 78 extending to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여기서, 상기 외측 고정부(72)는 상기 장착부(60)가 내부에 끼워지게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6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다. Here,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60 is fitted therein, and is formed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

그리고, 상기 절곡부(74)는 상기 홀더(70)의 장착시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걸림되어 상기 홀더(7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전방부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74 is caught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when the holder 70 is mounted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lder 70 is determined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determined. Is formed in a horizontally bent inward structure.

또한, 상기 내측 고정부(76)는 상기 장착부(60)의 내부에 끼워지게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6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fixing portion 76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be fitt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60, i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

상기와 같은 내측 고정부(76)는 상기 홀더(70)가 용이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재료비가 절감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72)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절곡부(74)의 하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fixing part 76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74 to a height lower tha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so that the holder 70 is easily mounted and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desirable.

또한, 상기 지지부(78)는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74)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78 is formed to extend inclined for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bent portion 74 to rotatably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상기 지지부(78)는 상기 연결돌기(34)가 관통되는 홀이 중앙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홀은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The support portion 78 is formed in a funnel shap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hole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한편, 상기 홀더(60)는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폴리아세탈 수지(POM, Polyoxymethylene)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6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polyacetal resin (POM, Polyoxymethylene) is typically used.

상기 용착고정수단(80)은 상기 장착부(60)와 홀더(70)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용착돌기(82)와, 상기 장착부(60)와 홀더(7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70)의 장착시 상기 용착돌기(82)가 삽입된 후 상기 용착돌기(82)가 용착되는 용착홀부(84)로 이루어진다.The welding fixing means 80 is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welding projection 82 protruding from any one of the mounting portion 60 and the holder 70 and the mounting portion 60 and the holder 70 to the holder ( When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inserted when the 70 is mounted,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formed of a welding hole 84 to be welded.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60)에 용착돌기(82)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70)에 용착홀부(84)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60 and the welding hole portion 84 is formed on the holder 70.

여기서, 상기 용착돌기(82)는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70)의 장착시 상기 용착홀부(84)에 삽입된 용착돌기(82)의 끝단부가 홀더(70)의 전방으로 관통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Here, the welding projection 82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to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the end of the welding projection 82 inserted into the welding hole 84 when the holder 70 is mounted The additional holder 70 is formed at a height that can penetrate forward.

상기 용착돌기(82)는 상기 서포터(5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바,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welding protrusion 82 is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er 50, and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the welding protrusions 82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그리고, 상기 용착홀부(84)는 상기 홀더(70)의 절곡부(74)에 상기 용착돌기(8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용착돌기(8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8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protrusions 82 at the bent portion 74 of the holder 70, and have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welding protrusions 82. Is formed.

상기와 같은 용착고정수단(80)은 상기 용착홀부(84)에 삽입 관통된 용착돌기(82)의 끝단부가 상기 절곡부(74)의 전면에 초음파 용착되되, 상기 용착돌기(82)의 끝단부가 상기 용착홀부(84)의 전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용착홀부(84) 측으로 직경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뭉개지면서 용착된다.The welding fixing means 80 as described above is the end of the welding projection 82 inserted through the welding hole 84 is ultrasonically wel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74, the end of the welding projection 82 It is welded while being cr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welding hole portion 84 so as to be cau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elding hole portion 8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대한 조립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effect of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기판(20)의 전면에 LED, LED 서포터(26), 택트 스위치(24), 표시부재(22), 엔코더(40) 등이 실장되고, 상기 LED와 엔코더(40)가 실장된 부위에는 LED 서포터(26)와 서포터(50)가 각각 장착된다.First, an LED, an LED supporter 26, a tact switch 24, a display member 22, an encoder 40, and the like ar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20, and the LED and the encoder 40 are mounted on a portion thereof. The LED supporter 26 and the supporter 50 are mounted, respectively.

상기 서포터(50)의 LED 지지부(54)에 형성된 LED홀(54A)에는 상기 LED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중공된 내부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로드(44)가 삽입된다. The LED is inserted into the LED hole 54A formed in the LED support part 54 of the supporter 50, and the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upport boss 56. do.

따라서, 상기 LED는 서포터(50)의 LED 지지부(5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불빛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Therefore, the LED is not only stably supported by the LED support 54 of the supporter 50 but also the light is irradiated in the desired direction.

그리고, 상기 서포터(50)에 형성된 장착부(60)의 외측면에 홀더(70)의 외측 고정부(72)가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부(60)의 내측면에 홀더(70)의 내측 고정부(76)가 밀착되도록, 상기 홀더(70)가 장착부(60)의 전방부에 끼워져 장착된다.In additio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of the holder 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formed on the supporter 50, and the inner fixing portion of the holder 7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The holder 70 is fitted to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60 so that the 76 is in close contact.

즉, 상기 홀더(70)의 장착시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은 홀더(70)의 외측 고정부(72)와 내측 고정부(76) 사이로 절곡부(74)가 걸림될 때까지 끼워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holder 70 is mounted,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is inserted until the bent portion 74 is caught betwee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and the inner fixing portion 76 of the holder 70. You lose.

따라서, 상기 절곡부(74)에 의해 장착부(60)에 장착되는 홀더(7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된다.Therefor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lder 70 to be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60 by the bent portion 74 is determined.

상기와 같이 절곡부(74)가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걸림될 때까지 상기 홀더(7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돌출된 복수개의 용착돌기(82)가 상기 홀더(70)의 절곡부(72)에 형성된 복수개의 용착홀부(84)에 삽입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lder 70 is fitted until the bent portion 74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a plurality of welding protrusions 82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are provided. )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welding hole portions 84 formed in the bent portion 72 of the holder 70.

이때, 상기 용착돌기(82)의 돌출된 끝단부는 상기 용착홀부(84)의 전방으로 관통되게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ront of the welding hole portion 84.

그리고, 상기 용착돌기(82)의 끝단부는 상기 용착홀부(84)가 형성된 절곡부(72) 전면에 용착 고정된다. The end of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weld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72 in which the welding hole 84 is formed.

상기 용착돌기(82)는 상기 절곡부(72)의 전면에 직경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뭉개지면서 용착되므로, 상기 용착돌기(82)의 용착된 끝단부는 상기 용착홀부(8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Since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welded while being cr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72, the welded end of the welding protrusion 8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welding hole 84. .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용착돌기(82)와 용착홀부(84)에 의해 상기 장착부 (60)에 장착된 홀더(7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용착돌기(82)의 끝단부에 용착홀부(84)가 걸림되게 용착되어 상기 장착부(60)에 장착된 홀더(70)의 탈거가 방지된다.Therefore, arbitrary rotation of the holder 70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60 is prevented by the plurality of welding projections 82 and the welding hole portion 84, and the welding hole portion (at the end of the welding projection 82) 84 is welded so as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holder 70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60.

상기와 같이 홀더(70)는 상기 용착돌기(82)와 용착홀부(84)에 의해 상기 장착부(60)에 견고하게 용착 고정되므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시 전달되는 진동과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기 홀더(70)가 장착부(60)에서 임의로 탈거되거나 회전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lder 70 is welded and fixed to the mounting unit 60 by the welding protrusion 82 and the welding hole 84, the vibration and external shock transmitted when the drum washing machine 1 is operated. Due to thi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holder 70 is arbitrarily removed or rotated from the mounting unit 60 is prevented.

상기 장착부(60)에 홀더(70)가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노브(30)가 서포터(5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When the holder 70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60, the knob 30 is rotatably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이때,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서포터(50)의 슬라이딩 안착부(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노브(30)의 연결돌기(34)는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로드(44)와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knob 30 is slidably seated on the sliding seating portion 52 of the supporter 50,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of the knob 30 of the holder 70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78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boss 56 and connected to the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즉, 상기 연결돌기(34)가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중공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 로드(44)의 전방부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34)의 중공 부위에 압입 고정된다. That is, as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oss 56, one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otary rod 44 is press-fitt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외측면은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에 의해 선접촉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 지지점(R1)(R2)이 상기 엔코더(40)의 본체(42)와 기판(20)이 연결된 부위(R1)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78)와 연결돌기(34)의 선접촉 부위(R2)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Since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being in linear contact with the support 78 of the holder 70, the rotary support points R1 and R2 of the knob 30 are rotated. In addition to the portion R1 to which the main body 42 and the substrate 20 of the 40 are connected, the support portion 78 and the line contact portion R2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are additionally formed.

따라서, 상기 노브 장치(28)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회전 지지점(R1)(R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노브 장치(28)의 노브(30)가 하중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노브 장치(28)의 회전 조작시 상기 노브(30)의 흔들림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Therefore, since the knob device 28 is stably supported by two rotational support points R1 and R2 sp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knob 30 of the knob device 28 is inclined downward by the load. The phenomenon is prevented, and the shaking of the knob 30 is more reliably prevented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device 28.

특히,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직경이 증대되더라도 상기 노브(30)가 홀더(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내측면에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연결 부위가 면접촉되어 상기 노브(30)가 구속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knob 30 is s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70 even if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oss 56 is increased,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ss 56 as in the related art. )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otary rod 44 is in surface contact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knob 30 is constrained.

즉,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는 상기 연결돌기(34)에 선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70)는 윤활성과 마찰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노브(30)와 서포터(50) 사이에는 마찰 작용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과 조작감 저하가 방지된다.That is, since the support portion 78 of the holder 70 is in lin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holder 7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and friction performance, the knob 30 is rotated. The friction a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between the knob 30 and the supporter 50 to prevent noise and deterioration of operation feeling due to friction.

한편, 컨트롤 패널(10)은 표시홀(11)에 투명창(12)이 설치됨과 아울러 버튼홀(13)에 버튼(14)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재(22)와 택트 스위치(24)가 투명창(12)과 버튼홀(13)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배면에는 상기 기판(20)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1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2 in the display hole 11 and the button 14 in the button hole 13 so as to be elastically pressed, the display member 22 and The substrate 2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0 so that the tact switch 24 is disposed behind the transparent window 12 and the button hole 13, respectively.

이때, 상기 노브 장치(28)는 상기 컨트롤 패널(10)에 형성된 노브홀(15)에 노브(30)의 전부가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노브(30)와 노브홀(15) 사이에는 투명창(58)이 배치된다. In this case, the knob device 28 is inserted into the knob hole 15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so that the entirety of the knob 30 penetrates, and the transparent window is disposed between the knob 30 and the knob hole 15. 58 is dispo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Of course it is possible.

즉, 본 발명의 노브 장치는 세탁기의 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노브 장치가 사용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That is, the knob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machine but also to all products in which the knob device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노브 장치는 장착부에 용착홀부가 형성되고, 홀더에 용착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knob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lding hol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a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holder.

또한, 본 발명의 홀더는 내측 고정부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mitted at least any one of the inner fixing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서포터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부에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가 장착되므로, 상기 홀더에 의해 노브의 연결돌기에 회전 지지점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 조작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hold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on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a rotation support point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by the holder.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haking or tilting phenomenon is prevented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또한, 상기 홀더는 내마모성과 윤활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홀더의 지지부에 노브의 연결부재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노브 장치의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lubricity,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knob is in smooth sliding contact with the support of the hold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knob device.

또한, 상기와 같이 노브 장치의 회전 지지부가 엔코더와 기판의 연결부위 및 연결부재와 지지부의 접촉부위에 각각 형성되면, 상기 노브 장치에 작용되는 진동 과 충격 및 조작력 등에 의해 노브와 엔코더의 연결부위 또는 엔코더와 기판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ry support portion of the knob devic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knob and encoder or the like may be caused by vibration, impact, and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knob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is broken.

또한, 상기와 같이 홀더에 의해 노브 장치의 변형과 파손이 방지되므로, 상기 노브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knob device are prevented by the hold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knob device is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연결돌기와 회전로드를 지지하는 지지용 보스의 직경이 확장되더라도 상기 홀더에 의해 연결돌기와 회전로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의 면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제거되어 상기 노브 장치의 조작시 소음 발생 및 조작감 저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oss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rotating rod is expanded, the connection projection and the rotating rod is s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so that the friction caused by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supporting boss is removed, the knob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ise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feeling of operation is prevented.

또한, 상기 홀더와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복수개의 용착돌기가 이격되게 돌출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에 상기 용착돌기와 대응되게 복수개의 용착홀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용착돌기와 용착홀부에 의해 홀더의 임의 회동 및 임의 탈거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welding projections protrude spaced apart from one of the holder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are formed on the other to correspond to the welding projections, the plurality of welding projections and the welding hole portion allow any rotation of the holder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random stripping is prevented.

또한, 상기 용착돌기가 상기 용착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홀더에 초음파 용착되므로, 상기 홀더에 용착된 용착돌기의 접착면이 분리되더라도 상기 용착홀부로부터 용착돌기가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lding protrusion is ultrasonically welded to the holder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elding hole, an advantage that the welding protrusion is arbitrarily removed from the welding hole is prevented even if the adhesive surface of the welding protrusion welded to the holder is separated. have.

또한, 상기 서포터에 장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부에 홀더가 장착되는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도, 상기 노브의 흔들림 방지, 마찰 소음의 감소, 조작감 향상 등이 구현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pporter and the simple structure change of the hold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knob, reducing the friction noise, and improving the operating feeling.

Claims (7)

컨트롤러의 기판에 장착된 서포터와;A supporter mounted on a substrate of the controller; 상기 서포터의 전면을 일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서포터와 기판 사이에 설치된 엔코더와;An encoder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substrate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er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상기 엔코더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와;A knob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ncoder so as to protrude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A holder mounted to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상기 홀더가 장착부에 용착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부와 홀더에 형성된 용착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And a welding fixing means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such that the holder is welded and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착고정수단은 상기 장착부와 홀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용착홀부와, 상기 홀더의 장착시 상기 용착홀부에 관통되게 삽입된 후 용착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부와 홀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용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welding fixing means is composed of a weld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and a wel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other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lder so as to be fixed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welding hole portion when mounting the holder.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보스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boss shape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to surround one end of the encoder,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외측 고정부와,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에서 연결돌기의 외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holder is a knob of the controller comprising an outer fixing portion which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fixing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용착돌기는 상기 장착부의 돌출된 끝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착홀부는 상기 용착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홀더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weld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trusions on the protruding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he plurality of welding holes are formed in the holder to correspond to the welding projection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의 끝단부에 걸려 장착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내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The holder is a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inwardly from the outer fixing portion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is fix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n inner fix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ent portion to fit clos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More, 상기 용착홀부는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welding hole portion is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ent portion.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돌기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support unit kno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inclined forward from the bent portion to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홀더는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holder is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KR1020050133647A 2005-12-29 2005-12-29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63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47A KR101263865B1 (en) 2005-12-29 2005-12-29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47A KR101263865B1 (en) 2005-12-29 2005-12-29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783A true KR20070070783A (en) 2007-07-04
KR101263865B1 KR101263865B1 (en) 2013-05-13

Family

ID=3850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647A KR101263865B1 (en) 2005-12-29 2005-12-29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865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3868T2 (en) 2001-04-05 2008-03-13 Alps Electric Co., Ltd. Connecting device for a bu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865B1 (en)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78B2 (en)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602377B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knob assembly
US909323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panel assembly thereof
US7180023B2 (en) Washing machine
KR101225963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70785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88210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0961780B1 (en) Rotary Switch Assembly of Washing Machine
KR10126386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3407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6386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31835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155491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0128899Y1 (en) Door switch of a washing machine
KR101225964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88211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3407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63867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0838566B1 (en) Control button of drum washing machine
KR10116619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CN111519408B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1014708B1 (en) structure of rotary knob assembly in Washing machine
US11946185B2 (en) Laundry device
KR20070066605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1052983B1 (en) Horizontal mounting structure of drum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