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211A -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 Google Patents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211A
KR20070088211A KR1020060018527A KR20060018527A KR20070088211A KR 20070088211 A KR20070088211 A KR 20070088211A KR 1020060018527 A KR1020060018527 A KR 1020060018527A KR 20060018527 A KR20060018527 A KR 20060018527A KR 20070088211 A KR20070088211 A KR 20070088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lder
support
controll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211A/en
Publication of KR2007008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2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A knob apparatus of a controller is provided to prevent a knob from being shaken or inclined when the knob is rotated by additionally forming a rotation support point. A knob apparatus(28) of a controller includes a knob(30), a holder(70), and a restraint preventing unit(90). A connection boss(34)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and is connected to an encoder installed in a substrate. The holder is mounted to the substrate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on boss of the knob. The restraint preventing unit is formed to at least one of contact portions of the holder and the connection boss. The restraint preventing unit prevents restraint of the connection boss.

Description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nob apparatus of controller}Knob apparatus of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와 홀더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er and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7: 컨트롤러 28: 노브 장치7: Controller 28: Knob Device

30: 노브 32: 플랜지부30: knob 32: flange

34: 연결돌기 40: 엔코더34: connecting protrusion 40: encoder

42: 본체 44: 회전 로드 42: main body 44: rotary rod

50: 서포터 56: 지지용 보스50: supporter 56: support boss

60: 장착부 62: 관통홀60: mounting portion 62: through hole

70: 홀더 72: 외측 고정부70: holder 72: outer fixing part

74: 절곡부 76: 내측 고정부74: bend portion 76: inner fixing portion

78: 지지부 80: 착탈수단78: support portion 80: detachable means

82: 착탈용 홈부 84: 착탈용 돌기82: detachable groove 84: detachable protrusion

86: 슬릿홈 90: 구속방지수단86: slit groove 90: restraint means

92: 접촉부 94: 탄성부92: contact portion 94: elastic portion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의 흔들림이 감소되고, 구속감과 마찰 소음이 저하되며, 노브 장치의 조립시 노브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device of a controller, and in particular, the shaking of the knob is reduced during operation of the knob device, the restraint and friction noise are reduced, and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an be improved when the knob device is assembl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In general, various machines are equipped with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 기계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기계의 작동을 직접 조절하거나, 또는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제어 프로그램을 적절히 변경 또는 설정하게 된다. Such a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by the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chine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directly adjust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appropriately change or set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이러한 조작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각종 스위 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는 조작 방식에 따라 누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회전 스위치 등이 있다.Various switches are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so that various commands can be input by the user. The switch includes a push switch, a slide switch, a rotary switch,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여기서, 상기 회전 스위치로는 노브 장치가 대표적인 바, 상기 노브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노브(Knob)와, 상기 노브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En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a knob device is typical of the rotary switch. The knob device is a cylindrical knob (Knob) rotatably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knob to control various ki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kno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coder (Encoder) for generating a signal.

상기 노브는 상기 컨트롤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엔코더는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노브의 배면 중심에 일단이 연결된다. The knob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a control panel forming the exterior of the controller, and the encoder is mounted on a substrate installed inside the controller, and one end of the knob is connected to a rear center of the knob.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과 기판의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엔코더의 일단은 노브 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노브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돌기가 엔코더 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predetermined spaced apar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substrate, one end of the encoder protrudes long toward the knob side,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long toward the encoder side so that one end of the encoder can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knob. It protrude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과 노브의 연결돌기가 길게 돌출된 후 돌출된 끝단이 서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엔코더와 노브가 충격과 진동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외부 충격과 진동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encoder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protrude long and the protruded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ncoder and the knob are connected to the structure very vulnerable to shock and vibra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encoder and the knob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shock and vibration.

또한, 상기 노브 장치의 조작시 상기 엔코더와 기판의 설치된 부위가 노브의 회전 지지점으로 작용되므로,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크게 흔들리게 되 고, 상기 노브의 유동에 의해 엔코더와 기판의 납땜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knob device is operated, the installed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acts as a rotation support point of the knob, so that the knob is greatly shake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oldered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is caused by the flow of the knob. There is a problem that is broken.

따라서, 최근의 노브 장치에는 상기 노브의 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보스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 보강하게 된다. Therefore, in recent knob devices, by adding a support bos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oss of the knob,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and reinforc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ncoder and the knob.

이러한 지지용 보스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지지되도록 컨트롤 패널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지지되도록 지지용 보스가 형성된 부품이 컨트롤 패널 또는 기판에 별도로 장착된다. The support boss is formed directly on the control panel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knob is supported by the control panel, or the component on which the support boss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knob is supported by a separate component is the control panel. Or mounted separately on the substrat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용 보스가 추가된 컨트롤러는, 상기 지지용 보스의 내부에 연결돌기와 엔코더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돌기와 엔코더의 일단이 상기 지지용 보스의 내측면과 면접촉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troller to which the support boss is added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encoder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support boss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encode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ss. There is a problem that is likely to be.

또한, 상기 노브의 회전시 연결돌기와 엔코더의 일단이 지지용 보스에 마찰구속되어 마찰 소음과 구속감이 발생되고, 상기 구속감과 마찰 작용으로 인해 노브의 조작감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knob is rotated, one end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the encoder is frictionally bound to the support boss to generate friction noise and a feeling of restraint,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of the knob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restraint and friction.

상기와 같은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바, 상기 간극의 크기가 증대되면, 노브의 회전시 마찰 소음과 구속감은 감소되나,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문제는 심화된다.As a gap exists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the support bos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gap is increased, friction noise and restraint are reduced when the knob is rotated, but the problem of shaking the knob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s intensified.

반면에,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이 감소되면,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은 감소되나,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 작용이 크게 발생되어 마찰 소음과 구속감이 크게 증대되고, 특히 상기 노브 장치의 조립시 연결돌기와 지지용 보스의 조립 작업이 어려워 노브 장치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and the support boss is reduced, the phenomenon of the knob shak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s reduced, but the friction action is greatly generated when the knob rotates, so that the friction noise and restraint are greatly increas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ing work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support boss is difficult due to the increase in the assembly of the knob device, thereby degrading the assembly of the knob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노브의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device of a controller in which the knob is stably supported to prevent the knob from shak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의 구속감과 마찰 소음이 저감되고, 노브의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that can reduce the restraint and friction noise of the knob when the knob device is operated,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knob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브의 흔들림과 마찰 소음이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브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that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and friction noise of the knob only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the assembly of the knob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연결돌기가 배면에 돌출되어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에 연결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연 결돌기의 접촉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구속을 방지하는 구속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knob which is connected to the encoder installed on the substrate protruding from the back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A holder mounted to the substrate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of the kno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to prevent the restraint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상기 구속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돌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상기 홀더는, 상기 기판에 착탈 가능토록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결돌기의 외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연결돌기와의 접촉 부위에 상기 구속방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된다.The holder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ed to the substrate to be detachable; The fixing portion extends from the fixed si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s and the restraining mean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onnecting projections.

상기와 같은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엔코더가 관통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서포터가 장착되고, 상기 홀더의 고정부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A support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such that the encoder is penetrated and the knob is rotatably seated, and a fixing part of the holder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상기 지지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구속방지수단이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straining mean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상기 구속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돌기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접촉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aining means,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연결돌기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돌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돌기의 외주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 portion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side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와 홀더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with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kno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er and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과, 상기 드럼(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일정 높이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세탁물을 퍼올리는 복수개의 리프터(4)와, 상기 터브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3)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5)와, 상기 캐비닛 커버(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6)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 상부에 장착되어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2) forming an appearance, a tub (not shown) that is installed to be buffered inside the cabinet (2)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and the tub. A drum (3)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rum to accommodate laundry, and a plurality of lifters (4)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3) for pumping laundry to be dropped by gravity at a predetermined height (4); ), A driving motor (not shown) mounted at the rear of the tub to gener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3, and a laundry entrance mount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2 so that laundry can be put in and taken out at the center thereof. A cabinet cover 5 formed therein, a door 6 rotatably installed at the cabinet cover 5, and a door 6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entrance, an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2 to operate the washing machine 1. Controller to control (7)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컨트롤러(7)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과 캐비닛 커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7)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10)과,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된 기판(2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or FIG. 3, the controller 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binet 2 and the cabinet cover 5 to form the exterior of the controller 7. The substrate 20 is disposed inside the control panel 10 and has various components mounted there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0)에는 복수개의 표시홀(11)과 버튼홀(13) 및 노브홀(15)이 형성되는 바, 상기 표시홀(11)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12)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홀(13)에는 누름 가능하게 버튼(14)이 설치된다. Here, a plurality of display holes 11, button holes 13, and knob holes 15 are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and the transparent window 1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in the display hole 11. The button hole 13 is provided with a button 14 so as to be pressed.

그리고, 상기 기판(20)에는 상기 투명창(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부재(22)가 장착되고, 상기 버튼(14)과 대향되는 위치에 택트 스위치(24)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member 22 is mounted on the substrate 20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transparent window 12, and the tact switch 24 is mount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button 14.

상기 표시부재(22)는 LCD나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부품으로써 상기 투명창(12)을 통해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24)는 온-오프 스위치로써 상기 버튼(14)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The display member 22 is a display component such as an LCD or an LED,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1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12 to the user, and the tact switch 24 is an on-off switch. As the button 14 is pressed,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is controlled.

이와 같은 기판(20)의 전면에는 상기 LED를 지지함과 아울러 LED의 불빛을 투명창(12)으로 안내하는 LED 서포터(26)가 장착된다. The front of the substrate 20 is equipped with an LED supporter 26 supporting the LED and guiding the light of the 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12.

또한, 상기 노브홀(15)과 대향되는 기판(20)에는 노브 장치(28)가 설치되는 바, 상기 노브 장치(28)는 노브(30)의 회전 조작되는 각도에 따라 엔코더(40)가 각종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세탁기(1)의 여러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 스위치이다.In addition, the knob device 28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20 facing the knob hole 15, and the knob device 28 may be configured by the encoder 40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knob 30 is rotated. It is a rotary switch for generating a signal to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washing machine (1).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28)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노브(30)와, 상기 노브(30)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30)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40)와, 상기 엔코더(40)와 노브(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엔코더(40)와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장착된 서포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6, the knob device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rough the knob hole 15 of the control panel 10 and the knob 30 is rotated by the user, and The encoder 40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20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knob 30 and is rotated by the knob 30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nd the encoder 40 and the kno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er 50 is disposed between the 30 is mounted to the substrate 20 so that the encoder 40 and the knob 30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노브(30)는 상기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된 원통형의 손잡이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전방으로 전부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The knob 30 is a cylindrical handle disposed to penetrate the knob hole 15. The knob 30 is disposed to protrude all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10, and a rear portion thereof is rotat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To be seated.

여기서, 상기 노브(30)의 후부 끝단에는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활한 안착면을 갖는 플랜지부(32)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Here, at the rear end of the knob 30, the flange portion 32 having a smooth seating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so as to be stably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이 압입 고정되기 위한 연결돌기(3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34)의 후방부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전방부가 압입되는 중공부가 후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30, one end of the encoder 40 is press-fitted and fixed to protrude rearward. That is, the hollow portion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encoder 40 is press-fitted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to the rear side.

상기 엔코더(40)는, 상기 기판(20)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실장된 본체(42)와, 상기 노브(30)의 연결돌기(34)에 전방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4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드(44)로 이루어진다. The encoder 40 may include a main body 42 mount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substrate 20, and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42 press-fit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of the knob 30. It consists of a rotating rod 44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상기와 같은 연결돌기(34)의 중공부과 회전로드(44)의 전방부는 상기 노브(30)의 회전력이 엔코더(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rotary rod 44 is preferably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nob 30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encoder 40.

상기 서포터(50)는 상기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와 엔코더(40)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으로써,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안착부(52)가 전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LED를 지지하는 LED 지지부(54)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er 5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knob 30 and the encoder 40 while the knob 30 is rotatably seated, and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knob 30 is Sliding seating portion 52 rotatably seate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front, LED support portion 54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LEDs indic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ncoder 40 on the outside of the sliding seating portion 52 )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내측에는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3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 리브(53)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Here,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seat 5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3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knob 30 and to preven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nob 30 up and down, left and right. Guide ribs 53 protrude along the perimeter.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로드(44)가 내부에 관통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돌기(34)의 후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지지용 보스(56)가 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In addition, a supporting boss 56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seat 52 so that the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is penetrated therei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rotatably inserted. ) Hollowly protrudes forward.

상기 지지용 보스(56)는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연결 부위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의 직경 차이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boss 56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can be supported.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is preferably formed small.

또한, 상기 LED 지지부(54)는 상기 가이드 리브(53)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 둘레에 전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된다. In addition, the LED support part 54 guides the rotation of the knob 30 similarly to the guide rib 53, and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nob 30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liding seat 52. Protrude stepwise forward around the outer periphery.

상기와 같은 LED 지지부(54)에는 상기 LED가 내부에 배치되는 LED홀(54A)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LED홀(54A)은 상기 기판(20)에 설치된 LED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LED의 불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LED support unit 54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LED holes 54A in which the LEDs are dispose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ED hole 54A supports the LED installed in the substrate 20 not to fall and guides the light of the LED in a desired direction.

상기 LED 지지부(54)의 전면에는 상기 LED의 불빛이 투영되는 링 형상의 투명창(58)이 배치된다.The front of the LED support 54 is a ring-shaped transparent window 58 is projected to project the light of the LED is disposed.

특히,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용 보스(56)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장착부(60)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장착부(60)에는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particular, the mounting portion 60 protrudes forwar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upport boss 56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rotatable to the mounting portion 60. The supporting holder 70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장착부(60)는 상기 가이드 리브(53)와 지지용 보스(56) 사이에 원형으로 돌출된 보스이다. The mounting portion 60 is a boss projecting in a circle between the guide rib 53 and the support boss 56.

상기 홀더(70)는, 상기 장착부(6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외측 고정부(72)와,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전방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74)와, 상기 장착부(6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절곡부(74)에서 하향 돌출된 내측 고정부(76)와,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74)에서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외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78)로 이루어진다.The holder 70 has an outer fixing portion 72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and a bent portion 74 formed to be bent in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he inner fixing portion 7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ent portion 74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and the ben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n the 74, the support portion 78 is formed to extend to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여기서, 상기 외측 고정부(72)는 상기 장착부(60)가 내부에 끼워지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6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다. Here,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60 is fitted therei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formed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

그리고, 상기 절곡부(74)는 상기 홀더(70)의 장착시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에 걸림되어 상기 홀더(70)의 장착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전방부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74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when the holder 70 is mounted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lder 70 can be se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horizontally bent in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내측 고정부(76)는 상기 장착부(60)의 내부에 끼워지게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6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fixing portion 76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be fitt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60, i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60. .

상기와 같은 내측 고정부(76)는 상기 홀더(70)가 용이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재료비가 절감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72)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절곡부(74)의 내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fixing part 76 protrudes rear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bent part 74 at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fixing part 72 so that the holder 70 is easily mounted and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78)는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절곡부(74)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78 is formed to extend inclined for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bent portion 74 to rotatably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상기와 같은 홀더(60)는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폴리아세탈 수지(POM, Polyoxymethylene)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The holder 6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and polyacetal resin (POM, Polyoxymethylene) is typically used.

상기 서포터(50)와 장착부(60) 및 홀더(70)에는 상기 홀더(70)가 서포터(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70)의 임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착탈수단(80)이 형성된다. The supporter 50, the mounting unit 60, and the holder 7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er 50 so that the holder 7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er 50, and a detachable means 8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lder 70. Is formed.

이와 같은 착탈수단(80)은, 상기 서포터(50)와 홀더(7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착탈용 홈부(82)와, 상기 홀더(70)의 착탈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착탈용 홈부(82)에 걸리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50)와 홀더(7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착탈용 돌기(84)이루어진다.Such detachable means 80,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 formed in any one of the supporter 50 and the holder 70 and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holder 70 is attached and detached ( A detachable protrusion 84 formed on the other of the supporter 50 and the holder 70 is formed so as to be caught or detached from the 82.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70)에 착탈용 돌기(84)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서포터(50)에 착탈용 홈부(82)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only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formed on the holder 70 and the detachable groove 82 formed on the supporter 50.

상기 착탈용 돌기(84)는, 상기 홀더(70)에 일측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84A)와, 상기 연결부(84A)의 타측에 돌출되어 상기 착탈용 홈부(82) 에 삽입 걸림되는 걸림부(84B)로 구성된다.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connected to the holder 70 so that one side thereof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connection part 84A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84A to be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82. It consists of a locking part 84B.

여기서, 상기 연결부(84A)는 상기 외측 고정부(72)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홈(86)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외팔보 구조로 돌출된다. Here, the connection portion 84A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t grooves 86 formed i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and protrudes in a cantilever structu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상기 슬릿홈(86)은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일부가 후방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고정부(72)에 원주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The slit groove 86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elongated in the rear, is formed so that the pair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outer fixing portion 72.

상기 연결부(84A)의 일측은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전방부에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84A)의 타측은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후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84A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radial direction to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84A to the rear side to be located behind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t is formed to elongate.

그리고, 상기 걸림부(84B)는 상기 외측 고정부(72)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용 홈부(82)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연결부(84A)의 타측에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84B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so as to protrude stepwis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84A so as to be inserted and locked to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

상기 걸림부(84B)의 후방부에는 상기 착탈용 홈부(8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홀더(70)의 장착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면이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상기 착탈용 홈부(82)에 걸림되도록 상기 홀더(70)의 탈거방향으로 수평하게 걸림면이 형성된다.At the rea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84B, a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holder 70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 and the front portion is locked to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 A locking surface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detaching direction of the holder 70.

특히, 상기 장착부(60)는 상기 홀더(70)의 착탈시 걸림부(84B)가 연결부(84A)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용 돌기(84)와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홀(6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62)은 상기 착탈용 돌기(84)와 간 섭되지 않도록 상기 착탈용 돌기(84)보다 큰 넓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mounting portion 60 is a through hole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84B can be rotated radially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84A when the holder 70 is attached or detached. 62 is formed. The through hole 6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상기 착탈용 홈부(82)는, 상기 홀더(70)의 임의 탈거시 상기 걸림부(84B)의 걸림면이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터(54)의 전면 전방에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벽(82A)과, 상기 수평벽(82A)이 서포터(50)의 전면에 지지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벽(82A)의 양측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타단이 각각 연결된 수직벽(82B)(82C)으로 이루어진다.The detachable groove 82 may include a horizontal wall 82A formed horizontally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4 such that the engaging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84B is fixed when the holder 70 is removed. Vertical walls 82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wall 82A so that the horizontal wall 82A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82C.

상기 착탈용 홈부(82)는 상기 장착부(60)와 가이드 리브(53) 사이의 서포터(50)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0)의 관통홀(6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detachable groove 8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60 and the guide rib 53, and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hrough hole 62 of the mounting portion 60.

한편, 상기 홀더(70)와 연결돌기(34)가 접촉되는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연결돌기(34)의 구속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방지수단(90)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holder 7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formed with restraining means 90 for preventing the restraining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상기 구속방지수단(90)은 상기 연결돌기(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바,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속방지수단(90)이 상기 연결돌기(34)와 접촉되는 홀더(70)의 지지부(78)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9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70 in which 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90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provided. It will be described as limited to the formed on the support 78 of.

이때,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는 상기 연결돌기(34)가 관통되는 홀이 중앙에 구비된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78 of the holder 70 is formed in a funnel structure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penetrates in the center, and the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do.

상기 구속방지수단(90)은, 상기 연결돌기(34)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92)와, 상기 접촉부(92)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접촉부(92)와 지지부(78)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94)로 구성된다.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9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92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92 and the support portion 78 so that the contact portion 92 is elastically supported.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portion 94 formed.

여기서, 상기 접촉부(92)는 상기 지지부(78)의 전방부에서 연결돌기(34)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돌기(34)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34)의 외주 형상과 동일 구조로 형성된다. Here, the contact portion 9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78 toward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It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outer peripheral shape of 34).

그리고, 상기 탄성부(94)는 상기 연결돌기(34)의 일단과 지지부(78)의 전방부에 양단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elastic part 94 are elastically deform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and the front part of the support part 78.

상기와 같이 접촉부(92)와 탄성부(94)는 전체적으로 ‘L’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78)의 전방부에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동일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art 92 and the elastic part 94 are generally formed in a 'L'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front parts of the support part 78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the same ang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대한 조립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effect of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기판(20)의 전면에 LED, LED 서포터(26), 택트 스위치(24), 표시부재(22), 엔코더(40) 등이 실장되고, 상기 LED와 엔코더(40)가 실장된 부위에는 LED 서포터(26)와 서포터(50)가 각각 장착된다.First, an LED, an LED supporter 26, a tact switch 24, a display member 22, an encoder 40, and the like ar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20, and the LED and the encoder 40 are mounted on a portion thereof. The LED supporter 26 and the supporter 50 are mounted, respectively.

상기 서포터(50)의 LED 지지부(54)에 형성된 LED홀(54A)에는 LED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중공된 내부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로드(44)가 삽입된다. The LED is inserted into the LED hole 54A formed in the LED support part 54 of the supporter 50, and the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upport boss 56. .

따라서, 상기 LED는 서포터(50)의 LED 지지부(5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불빛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Therefore, the LED is not only stably supported by the LED support 54 of the supporter 50 but also the light is irradiated in the desired direction.

이후, 상기 서포터(50)에 형성된 장착부(60)에 홀더(7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워져 장착된다. Thereafter, the holder 70 is fitted to the mounting unit 60 formed on the supporter 50 from the front to the rear.

즉,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가 상기 홀더(70)의 외측 고정부(72)와 내측 고정부(76) 사이로 삽입되어 절곡부(74)에 걸림될 때까지 상기 홀더(70)가 장착부(60)에 끼워지게 된다. That is, the holder 7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30) until the front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60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and the inner fixing portion 76 of the holder 70 and caught by the bent portion 74. 60).

상기와 같이 절곡부(74)에 의해 장착부(60)에 장착되는 홀더(7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외측 고정부(72)와 내측 고정부(76)는 상기 장착부(6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lder 70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60 is determined by the bent portion 74, and the outer fixing portion 72 and the inner fixing portion 76 are outside the mounting portion 6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and the inn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장착부(60)의 전방부 끝단이 절곡부(74)에 걸림될 때까지 상기 홀더(7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외측 고정부(72)에 형성된 착탈용 돌기(84)가 상기 서포터(50)의 전면에 형성된 착탈용 홈부(82)에 걸림된다. When the holder 70 is fitted until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0 is engaged with the bent portion 74,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formed on the outer fixing portion 72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50. It is caught by the removable groove 82 formed on the front of the).

상기 착탈용 돌기(84)가 착탈용 홈부(82)에 걸림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홀더(70)가 장착부(6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착탈용 홈부(82)의 수평벽(82A) 끝단에 상기 착탈용 돌기(84)의 걸림부(84B) 경사면이 접촉되고, 상기 착탈용 돌기(84)의 연결부(84A)가 외측 고정부(72)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기 걸림부(84B)의 경사면이 수평벽(82A)의 끝단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Referring to the process in which the removable protrusion 84 is caught in the removable groove 82 in detail, the horizontal wall of the removable groove portion 82 as the holder 70 is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60 ( 82A)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84B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in contact with the end thereof, and the connecting portion 84A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o catc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ortion 84B passes over the end of the horizontal wall 82A.

즉, 상기 착탈용 돌기(84)의 연결부(84A)가 외측 고정부(72)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상기 착탈용 돌기(84)는 장착부(60)의 관통홀(62)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84B)는 착탈용 홈부(82)의 수평벽(82A) 끝단에서 멀어지게 된다.That is,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84A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ly of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2 of the mounting portion 60. The locking portion 84B is far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wall 82A of the detachable groove 82.

이후, 상기 걸림부(84B)가 수평벽(82A)의 끝단을 완전히 타고 넘어가게 되면, 상기 연결부(84A)는 초기 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고, 상기 착탈용 홈부(82)의 수평벽(82A)과 수직벽(82B)(82C) 사이로 상기 걸림부(84)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84)의 걸림면이 수평벽(82A)에 걸리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engaging portion 84B completely rides over the end of the horizontal wall 82A, the connecting portion 84A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horizontal wall 82A of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A. ) And the locking portion 84 is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walls 82B and 82C so that the locking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84 is caught by the horizontal wall 82A.

따라서, 상기 착탈용 돌기(84)의 걸림부(84B)는 상기 착탈용 홈부(82)의 수평벽(82A)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60)를 따라 홀더(70)가 전방으로 임의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착탈용 홈부(82)의 수직벽(82B)(82C)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60)를 중심으로 홀더(70)가 원주방향으로 임의 회전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Therefore, since the engaging portion 84B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caught by the horizontal wall 82A of the detachable groove 82, the holder 70 is detached forward along the mounting portion 60. This is prevented, and the phenomenon that the holder 7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mounting portion 60 is also prevented because it is caught by the vertical walls 82B and 82C of the detachable groove portion 82.

상기와 같이 홀더(70)가 상기 착탈용 돌기(84)와 착탈용 홈부(82)에 의해 장착부(60)에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세탁기(1)의 작동시 전달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홀더(70)의 임의 탈거와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노브 장치(28)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lder 70 is firmly mounted to the mounting unit 60 by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and the detachable groove 82, the vibration or external shock transmitted when the washing machine 1 is operated. Any detachment and rotation of the holder 70 due to this is prevent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knob device 28 is improved.

반면에, 상기 노브 장치(28)의 정비시 상기 홀더(70)를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착탈용 돌기(84)의 연결부(84A)를 외측 고정부(72)의 내측으로 눌러 상기 걸림부(84B)와 수평벽(82)의 걸림 상태를 해소시키게 되면 상기 홀더(70)가 장착부(60)의 전방으로 탈거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der 70 is to be removed when the knob device 28 is being serviced, the engaging portion 84A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4 is pressed into the outer fixing portion 72 to the inside of the catching portion. When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84B and the horizontal wall 82 is released, the holder 70 can be detached to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60.

상기 홀더(7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노브(30)가 서포터(5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When the mounting of the holder 70 is completed, the knob 30 is rotatably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50.

이때,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서포터(50)의 슬라이딩 안착부(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노브(30)의 연결돌기(34)는 홀더(70)의 지지부(78)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내부에 삽입되어 엔코더(40)의 회전 로드(44)와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34)가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중공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 로드(44)의 전방부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34)의 중공 부위에 압입 고정된다.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knob 30 is slidably seated on the sliding seating portion 52 of the supporter 50,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of the knob 30 is the support portion of the holder 70 (78)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boss 56 is connected to the rotary rod 44 of the encoder 40. That is, as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oss 56, one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otary rod 44 is press-fitt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상기 연결돌기(34)의 전방부 외측면은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 전방부에 형성된 구속방지수단(90)에 의해 선접촉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 지지점(R1)(R2)이 상기 엔코더(40)의 본체(42)와 기판(20)이 연결된 부위(R1)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78)와 연결돌기(34)의 선접촉 부위(R2)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Since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being in line contact by the restraining means 90 formed at the front of the support 78 of the holder 70, the knob 30 rotates. Support points (R1) (R2) is not only a portion (R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42 and the substrate 20 of the encoder 40, but also to the line contact portion (R2) of the support portion 78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34). Additionally formed.

이와 같이 노브 장치(28)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회전 지지점(R1)(R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노브 장치(28)의 노브(30)가 하중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지거나, 상기 노브 장치(28)의 회전 조작시 상기 노브(30)가 흔들리는 현상이 개선된다. As such, the knob device 28 is stably supported by two rotational support points R1 and R2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knob 30 of the knob device 28 is inclined downward by a load, The phenomenon that the knob 30 is shaken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device 28 is improved.

따라서, 상기 지지용 보스(56)의 직경이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보다 크게 증대되더라도, 상기 노브(30)가 홀더(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돌기(34)와 회전로드(44)가 지지용 보스(56)와 마찰 접촉되지 않아 종래와 달리 노브(30)의 구속감 및 마찰 소음이 감소된다. Therefore, even if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oss 56 is larger than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the knob 30 is a structure that is s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70, Since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and the rotating rod 44 are not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upport boss 56, the restraint and friction noise of the knob 30 are reduced, unlike in the related art.

특히, 상기 홀더(70)의 지지부(78)에는 상기 연결돌기(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진 구속방지수단(9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 돌기(34)의 전방부는 홀더(70)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노브(30)에 작용되는 외력의 일부가 흡수 완충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홀더(70)는 상기 구속방지수단(90)이 없는 경우에 비해 연결돌기(34)가 삽입되는 홀의 가공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요구되기 때문에 홀더(70)가 용이하게 제조되고, 상기 노브(30)의 조립시 상기 연결돌기(34)가 홀더(70)에 삽입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실시되어 상기 노브(30)의 조립성도 향상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restraining means 90 made of an elastic body is formed on the support 78 of the holder 70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a holder. Not only is it not constrained by 70, but part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knob 30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30 is absorbed and buffered. In addition, the holder 70 is easily manufactured because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hole in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34 is inserted is relatively low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estraint preventing means 90 is not provided. When assembling the knob 30,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connection protrusion 34 into the holder 70 is performed very easily,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the knob 30.

한편, 컨트롤 패널(10)은 표시홀(11)에 투명창(12)이 설치됨과 아울러 버튼홀(13)에 버튼(14)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재(22)와 택트 스위치(24)가 투명창(12)과 버튼홀(13)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배면에는 상기 기판(20)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1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2 in the display hole 11 and the button 14 in the button hole 13 so as to be elastically pressed, the display member 22 and The substrate 2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0 so that the tact switch 24 is disposed behind the transparent window 12 and the button hole 13, respectively.

이때, 상기 노브 장치(28)는 상기 컨트롤 패널(10)에 형성된 노브홀(15)에 노브(30)의 전부가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노브(30)와 노브홀(15) 사이에는 투명창(58)이 배치된다. In this case, the knob device 28 is inserted into the knob hole 15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so that the entirety of the knob 30 penetrates, and the transparent window is disposed between the knob 30 and the knob hole 15. 58 is dispo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Of course it is possible.

즉, 본 발명의 노브 장치는 세탁기의 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노브 장치가 사용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That is, the knob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machine but also to all products in which the knob device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구속방지수단 중 탄성부는 높은 탄력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 부위가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ortion of the restrai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mediate portion is bent to provide high elasticit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서포터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부에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가 장착되므로, 상기 홀더에 의해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점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 조작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The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hold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of the knob to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the rotation to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of the knob rotatably by the holder The support point is additionally forme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haking or tilting when the knob is rotated.

또한, 상기와 같이 엔코더와 기판의 연결부위 및 연결돌기와 지지부의 접촉부위에 노브 장치의 회전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 장치에 작용되는 진동과 충격 및 조작력 등에 의해 노브와 엔코더의 연결부위나 엔코더와 기판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tary support of the knob devic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ncoder and the substrate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or encoder of the knob and encoder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is broken.

또한, 상기 홀더와 연결돌기의 접촉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돌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속방지수단이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가 홀더에 의해 구속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노브의 구속감에 의한 조작감 저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training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formed at at least on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knob is restrained by the holder is prevented to restrain the sense of restraint of the knob.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ecrease in the feeling of operation due to.

또한, 상기와 같은 구속방지수단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노브에 작용되는 충격과 진동이 완충 흡수되고, 상기 연결돌기와의 마찰 작용이 저하되어 노브의 회전 조작시 마찰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training means is made of an elastic body, the shock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knob are absorbed and absorbed, and the friction action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nois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또한, 상기 구속방지수단은 연결돌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홀더의 지지부 에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돌기가 홀더의 지지부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노브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is formed on the support of the hold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of the knob is improved because the connecting projection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upport of the holder.

또한,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구속방지수단이 구비된 홀더가 장착되는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도, 상기 노브의 흔들림, 마찰 소음 및 구속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ake, friction noise and restraint of the knob is prevented even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in which the holder with the restraint preventing means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Claims (7)

연결돌기가 배면에 돌출되어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에 연결되는 노브와;A knob that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and is connected to an encoder installed on the substrate; 상기 노브의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홀더와;A holder mounted to the substrate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of the knob; 상기 홀더와 연결돌기의 접촉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구속을 방지하는 구속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omprising a restraining mean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to prevent the restraint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속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돌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restraining means is a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홀더는, 상기 기판에 착탈 가능토록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결돌기의 외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연결돌기와의 접촉 부위에 상기 구속방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holder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ed to the substrate to be detachable; And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to rota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having the restraining means formed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connecting protrusion.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엔코더가 관통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서포터가 장착되고, A supporter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such that the encoder is disposed to penetrate and the knob is rotatably seated. 상기 홀더의 고정부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Fixing portion of the holder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지지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구속방지수단이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support unit knob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restraining means spaced apart.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구속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돌기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접촉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The restraining preventing means includes: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Knob device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 elastic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ntac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연결돌기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돌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돌기의 외주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 portion to a sid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KR1020060018527A 2006-02-25 2006-02-25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882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27A KR20070088211A (en) 2006-02-25 2006-02-25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27A KR20070088211A (en) 2006-02-25 2006-02-25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11A true KR20070088211A (en) 2007-08-29

Family

ID=3861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527A KR20070088211A (en) 2006-02-25 2006-02-25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2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559A1 (en) * 2017-04-11 2018-10-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ontrol panel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559A1 (en) * 2017-04-11 2018-10-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ontrol panel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78B2 (en)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US909323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panel assembly thereof
KR101819891B1 (en) Knob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203549B1 (en) Control panel of wash machine
KR101225963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88211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20070088210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6386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3407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394511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155491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318356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3407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JP2005116953A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device therefor
KR10126386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25964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166195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263867B1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KR101014708B1 (en) structure of rotary knob assembly in Washing machine
KR101065039B1 (en) Push Button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KR20070066605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1052983B1 (en) Horizontal mounting structure of drum washing machine
KR101558592B1 (en) Display device
JP2020085422A (en) Stove
KR20200008435A (en)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