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676A -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 Google Patents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676A
KR20070069676A KR1020050132060A KR20050132060A KR20070069676A KR 20070069676 A KR20070069676 A KR 20070069676A KR 1020050132060 A KR1020050132060 A KR 1020050132060A KR 20050132060 A KR20050132060 A KR 20050132060A KR 20070069676 A KR20070069676 A KR 2007006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dna
seq
hybridization
nucl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엽
유승민
신소연
금기창
유내춘
유원민
김준명
최준용
Original Assignee
메디제네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제네스(주) filed Critical 메디제네스(주)
Priority to KR102005013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676A/en
Publication of KR2007006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676A/en

Links

Images

Landscapes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A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is provided to improve the rapidness and accuracy of detection by using a nucleic acid probe derived from 23S rRNA(ribosomal RNA) of Escherichia coli and eliminate influence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used in a clinical test. The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comprises oligonucleotides which are nucleotide sequences specific to Escherichia coli from 23S rRNA of Escherichia coli and hav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1(GTTAGCGGTAACGCG), SEQ ID NO:2(GTTAGTGGAAGCGTC), SEQ ID NO:3(GTGTTAGTGGAAGCGTCTGG), SEQ ID NO:4(ATGGGGTTAGCGGTAACGCGAAGCT), SEQ ID NO:5(ATGCACATATTGTGA), SEQ ID NO:6(GTGCTGAAGCAACAAATGCC) and SEQ ID NO:7(CGGTGCTGAAGCGACAAATGCCCTG).

Description

대장균 검출용 DNA 칩{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DNA chip for detecting Escherichia coli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도 1의 A는 대장균을 포함한 검체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을 위한 DNA 칩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FIG. 1A shows the design of a DNA chip for blind testing on specimens containing E. coli.

도 1의 B는 대장균을 포함한 검체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에서 어레이웍스 마이크로 어레이 스캐너 (ArrayWorks)를 이용하여 검색된 혼성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1B shows the results of hybridization reactions detected using an ArrayWorks micro array scanner (ArrayWorks) in a blind test on specimens containing E. coli.

도 2의 A는 대장균을 포함한 검체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을 위한 DNA 칩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FIG. 2A shows the design of a DNA chip for blind testing on specimens containing E. coli.

도 2의 B는 대장균을 포함한 검체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에서 어레이웍스 마이크로 어레이 스캐너를 이용하여 검색된 혼성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 2B shows the results of hybridization reactions detected using the ArrayWorks microarray scanner in blind tests on specimens containing E. coli.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 중에서 대장균을 검출 및 동정하는데 유용한 대장균 특이적 핵산 탐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대장균의 23S rRNA 유전자 로부터 유도된 핵산 탐침이 고정된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DNA 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 coli specific nucleic acid probe useful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 coli in a biological samp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NA chip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 coli, wherein the nucleic acid probe derived from the 23S rRNA gene of E. coli is immobilized.

감염질환은 병원체가 혈액, 체액 및 조직 내에 출현하여 서식하기 시작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서, 원인균의 정확한 동정 및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질병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항생제투여의 오남용으로 인해 병원체의 배양률이 감소하게 되었고, 이식에 따른 면역억제제 사용의 증가, 항암 치료로 인한 약물투여의 증가 등으로 인한 원인병원체가 다양해지게 되면서 배양 검사와 같은 기존의 감염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방법들이 점차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조속히 진단함과 동시에 원인 병원체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치료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Infectious diseases are diseases that occur when pathogens start to live in the blood, body fluids, and tissues, and may be life-threatening if accurate identification and proper treatment of causative organisms are not performed. More recently, the misuse of antibiotics ha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pathogens. Diagnostic methods for diagnosing infectious diseases are increasingly difficult. Therefore, diagnosing it as soon as possible and identifying the type of causative agent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treatment.

이들 감염성 병원균 중 대장균은 베로독소를 생산하여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등을 일으키며, 현재 70가지 이상의 혈청군의 대장균이 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주로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발생하는 식품매개성 질환으로서 합병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을 일으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질환이다. 미국에서는 1년에 대략 20,000명 이상 발생하여 250명이 사망하며 (CDC 2001; James et al, 1998), 일본에서는 1996년 이전에는 100여명 내외로 발생하다 1996년에 3,022명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인 이후 매년 2,000여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IID, 2003).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이 1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 1명 발생 이후 1년에 매년 10명이내로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2002년까지는 아직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의 대량 유행은 없었으나 우리나라 식생활 패턴이 점차 서구화되고 있는 가운데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대량 유행은 충분히 예고되고 있다.Among these infectious pathogens, Escherichia coli produces vero toxin, causing hemorrhagic E. coli infections, and it is known that E. coli from more than 70 serogroups produces toxins. Intestinal hemorrhagic E. coli infection is a foodborne disease that occurs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causing complications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and death in severe cases. In the United States, more than 20,000 deaths per year occur, causing 250 deaths (CDC 2001; James et al , 1998). In Japan, about 100 people die before 1996. Every year, after a sharp increase to 3,022 in 1996, More than 2,000 have been reported (NIID, 2003). In 2000, intestinal hemorrhagic E. coli infection was designated as a group 1 statutory epidemic, and sporadically occurred within 10 cases per year after 1 case in 1998. Until 2002, there was no mass epidemic of intestinal hemorrhagic E. coli infection, but the Korean dietary pattern is gradually westernizing, and the mass epidemic of hemorrhagic E. coli infection is sufficiently predicted.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감염질환 원인 대장균을 동정하고자 하는 진단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어 왔다. 지난 10년 동안에 많은 미생물을 검출하는데 상당한 진보가 있어 왔지만 현재 이용되고 있는 진단 방법들은 여전히 많은 노동을 필요로 하고 있고 민감도 및 특이성이 낮은 형편이다. Due to this necessity, diagnostic methods for identifying Escherichia coli causing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detecting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over the past decade, but the diagnostic methods currently in use still require a lot of labor and are low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바이러스를 제외하고, 모든 원핵 유기체는 원핵성 5S, 16S 및 23S rRNA 분자들의 상동체를 코딩하는 rRNA 유전자를 함유한다. 진핵 세포의 경우는 이들 rRNA 분자들이 원핵 세포의 분자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5S rRNA, 5.8S rRNA, 18S rRNA 및 28S rRNA이다. 생물학적 시료에서 특정한 유기체 또는 유기체 군의 rRNA 아서열을 특정한 표적으로 하여 검출하기 위한 탐침들이 많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핵산 탐침을 잘 알려진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과 함께 병용함으로써 종래의 진단 방법에서의 상기 문제점 가운데 많은 것들이 해결될 수 있었다. 진단을 위한 핵산 탐침 기술에서는 증폭시키는 표적 유전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데 대체로 rRNA, 특히 23S rRNA 유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핵산 탐침서열은 유리하게는 적당한 긴축 조건하에서 다른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핵산과 교차 반응하는 확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P. Wattiau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56:816, 2001; D, A. Stahlm et. al., J. Bacteriol., 172:116, 1990; Boddinghaus. et. al., J. Clin., Microbiol., 28:1751, 1990; T. Rogall et al., J. Gen. Microbiol., 136:1915, 1990; T. Rogall, et. al., Int. J. System. Bacteriol., 40:323, 1990; K. Rantakokko-Jalava et. al., J. Clin., Mirobiol., 38:32, 2000; Park et. al., J. Clin., Mirobiol., 38:4080, 2000; A. Schmalenberger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67:3557, 2001; WO98/55646; 미국특허 제6,025,132호 및 미국특허 제6,277,577호).Except for viruses, all prokaryotic organisms contain rRNA genes that encode homologs of prokaryotic 5S, 16S and 23S rRNA molecules. For eukaryotic cells, these rRNA molecules are 5S rRNA, 5.8S rRNA, 18S rRNA and 28S rRNA, which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ose of prokaryotic cells. Many probes have been published for the specific targeting of rRNA subsequences of specific organisms or groups of organisms in biological samples. By using these nucleic acid probes in combination with well-know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any of these problems in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can be solved. In the nucleic acid probe technology for diagnosis, the selection of target genes to be amplified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rRNA, in particular 23S rRNA gene, is widely used, and nucleic acid probe sequences thereof are advantageously cross-linked with nucleic acids derived from other organisms under moderate constriction conditions. It is known that the probability of reaction is low (P. Wattiau et. Al ., Appl. Microbiol. Biotechnol ., 56: 816, 2001; D, A. Stahlm et. Al ., J. Bacteriol ., 172: 116, 1990 Boddinghaus et al ., J. Clin, Microbiol ., 28: 1751, 1990; T. Rogall et al ., J. Gen. Microbiol ., 136: 1915, 1990; T. Rogall, et . , Int. J. System. Bacteriol ., 40: 323, 1990; K. Rantakokko-Jalava et. Al ., J. Clin., Mirobiol ., 38:32, 2000; Park et. Al ., J. Clin. , Mirobiol ., 38: 4080, 2000; A. Schmalenberger et. Al , Appl. Microbiol.Biotechnol ., 67: 3557, 2001; WO98 / 55646; US Pat. Nos. 6,025,132 and 6,277,577).

본 발명자들은 비바이러스성 감염성 유기체를 검출 및 동정하기 위하여 상기 감염성 유기체들에 특이적인 핵산서열을 탐침으로 이용한 DNA 칩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으며(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7014626 등), 상기 DNA 칩의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applied for a patent for a DNA chip using a nucleic acid sequence specific to the infectious organisms as a probe to detect and identify a non-viral infectious organis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7014626, etc.), Research continues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DNA chips.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장균 감염 의심 환자의 샘플에서 대장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대장균 게놈의 23S rRNA 유전자에서 대장균 특이적인 서열을 발견하고, 이를 대장균 검출용 탐침으로 사용하여, DNA 칩을 제작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장균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an effort to detect E. coli quickly and accurately in a sample of a patient suspected of E. coli infection. As a result, E. coli-specific sequences were found in the 23S rRNA gene of the E. coli genome, and the DNA chip was used as a probe for detecting E. coli. By the production, it was confirmed that E. coli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본 발명의 목적은 대장균 게놈의 23S rRNA 유전자에서 대장균에 특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DNA 칩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NA chip for E. coli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sequence specific for E. coli in the 23S rRNA gene of the E. coli genome is fix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탐침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be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 coli consisting of the oligonucleot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TTAGCGGTAACGCG (서열번호 1); GTTAGTGGAAGCGTC (서열번호 2); GTGTTAGTGGAAGCGTCTGG (서열번호 3); ATGGGGTTAGCGGTAACGCGAAGCT (서열번호 4); ATGCACATATTGTGA (서열번호 5); GTGCTGAAGCAACAAATGCC (서열번호 6); 및 CGGTGCTGAAGCGACAAATGCCCTG (서열번호 7)의 염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DNA 칩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GTTAGCGGTAACGCG (SEQ ID NO: 1); GTTAGTGGAAGCGTC (SEQ ID NO: 2); GTGTTAGTGGAAGCGTCTGG (SEQ ID NO: 3); ATGGGGTTAGCGGTAACGCGAAGCT (SEQ ID NO: 4); ATGCACATATTGTGA (SEQ ID NO: 5); GTGCTGAAGCAACAAATGCC (SEQ ID NO: 6); And an oligonucleotid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of CGGTGCTGAAGCGACAAATGCCCTG (SEQ ID NO: 7) is provided, which provides a DNA chip for E. coli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또한, GTTAGCGGTAACGCG (서열번호 1); GTTAGTGGAAGCGTC (서열번호 2); GTGTTAGTGGAAGCGTCTGG (서열번호 3); ATGGGGTTAGCGGTAACGCGAAGCT (서열번호 4); ATGCACATATTGTGA (서열번호 5); GTGCTGAAGCAACAAATGCC (서열번호 6); 및 CGGTGCTGAAGCGACAAATGCCCTG (서열번호 7)의 염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탐침을 제공한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GTTAGCGGTAACGCG (SEQ ID NO: 1); GTTAGTGGAAGCGTC (SEQ ID NO: 2); GTGTTAGTGGAAGCGTCTGG (SEQ ID NO: 3); ATGGGGTTAGCGGTAACGCGAAGCT (SEQ ID NO: 4); ATGCACATATTGTGA (SEQ ID NO: 5); GTGCTGAAGCAACAAATGCC (SEQ ID NO: 6); And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CGGTGCTGAAGCGACAAATGCCCTG (SEQ ID NO: 7).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대장균의 23S rRNA 염기서열을 지금까지 서열이 밝혀진 세균들의 염기서열과 다중정렬하여 비교하고, 대장균에 특이적인 서열을 확인하여, 상기 대장균 특이 서열을 이용하여 탐침 후보군을 선정하고, 대장균 특이 탐침을 합 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탐침을 알데히드-아민 결합을 이용하여, 유리판에 고정하여 대장균 검출용 DNA 칩을 제작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23S rRNA nucleotide sequence of E. coli is compared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bacteria whose sequence has been identified so far, and the sequence specific to E. coli is identified, the probe candidate group is selected using the E. coli specific sequence, and E. coli specific. Probes were synthesized. The synthesized probe was fixed to a glass plate using an aldehyde-amine bond to prepare a DNA chip for detecting E. coli.

또한, 상기 대장균 검출용 DNA 칩 및 탐침의 특이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균주의 게놈을 분리하고, 상기 게놈을 주형으로 PCR을 수행한 PCR 산물을 DNA 칩에 혼성화하여 상기 DNA 칩이 대장균 검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종래 배양을 통한 대장균 검출방법이 항생제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나, 본 발명의 DNA 칩은 항생제 첨가시에도 높은 검출률을 보이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the DNA chip and the probe for detecting E. coli, the genome of the standard strain is isolated, and the PCR product obtained by PCR using the genome as a template is hybridized to the DNA chip so that the DNA chip is effective for detecting E. coli. Confirmed. In addition, although E. coli detection method through the conventional culture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ntibiotics,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DNA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high detection rate even when antibiotics.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및 표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erm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분리된" 핵산 분자는 핵산의 천연원에 존재하는 다른 핵산 분자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예를 들면, 게놈 DNA와 관련하여, 용어 "분리된"은 게놈 DNA가 천연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염색체로부터 분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한다.A "isolated" nucleic acid molecule is one that is separated from other nucleic acid molecules present in the natural source of the nucleic acid. For example, with respect to genomic DNA, the term “isolated” includes nucleic acid molecules isolated from chromosomes to which genomic DNA is naturally bound.

"탐침" 또는 "핵산 탐침"은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염기 서열과 충분히 상보적이어서 혼성화하는 염기 서열을 갖는 단일 가닥에 특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가리킨다."Probe" or "nucleic acid probe" refers to an oligonucleotide specific for a single strand having a base sequence that is sufficiently complementary to the target base sequence to be detected and hybridizes.

"조성물"은 세균 또는 진균의 rRNA에 상보적인 탐침이 순수한 상태이거나 다른 탐침과 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탐침은 염 또는 완충제와 배합되어 건조된 상태, 침전물로서 알코올 용액 또는 수용액의 상태로 있을 수 있다."Composition" means that a probe complementary to a bacterial or fungal rRNA may be pure or combined with other probes. In addition, the probe may be combined with a salt or a buffer in a dried state, as a precipitate, in the form of an alcohol solution or an aqueous solution.

"표적"은 본 발명에 따른 탐침 중 어느 것과도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생물학적 시료 유래의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 표적 핵산은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의 DNA (임의로 증폭 후 수득함)이거나 RNA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한 개의 탐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적어도 부분적인 상보성을 갖는 서열을 함유한다."Target" means a nucleic acid molecule from a biological sample having a sequence complementary to any of the prob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arget nucleic acid may be single-stranded or double-stranded DNA (obtained after optional amplification) or RNA and contains a sequence having at least partial complementarity with at least one probe oligonucleotide.

"생물학적 시료"는 목적하는 표적 서열을 검출하고자 하는 임상 시료 (예, 농즙, 타액, 혈액, 뇨 등), 환경 시료, 세균 콜로니, 오염된 또는 순수한 배양물, 정제된 핵산 등의 검체 (specimen)를 가리킨다.A "biological sample" is a sample of a clinical sample (eg, juice, saliva, blood, urine, etc.), environmental sample, bacterial colony, contaminated or pure culture, purified nucleic acid, etc., for which a target sequence of interest is to be detected. Point to.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일반적으로 약 10개 내지 약 1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뉴클레오타이드 고분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뉴클레오타이드의 길이는 100개 이상이거나 10개 이하일 수 있다."Oligonucleotide" generally refers to a nucleotide polymer consisting of about 10 to about 100 nucleotides. However, the length of the nucleotides may be 100 or more or 10 or less.

"뉴클레오타이드"는 포스페이트 그룹, 5-탄당 및 질소 염기로 구성된 핵산의 기본 단위이다. RNA에서 5-탄당은 리보스이다. DNA에서 5-탄당은 2-데옥시리보스이다. 5-뉴클레오타이드의 경우, 당은 5-탄당-2에서 하이드록실그룹(-OH)을 함유한다. 이 용어는 또한 리보스의 2 위치에 메톡시 그룹과 같이 상기 기본 단위의 유사체를 포함한다.A “nucleotide” is the basic unit of nucleic acid consisting of phosphate groups, 5-carbosaccharides and nitrogen bases. 5-Tanose in RNA is ribose. The 5-saccharide in DNA is 2-deoxyribose. In the case of 5-nucleotides, the sugars contain hydroxyl groups (-OH) in 5-saccharide-2. The term also includes analogs of these basic units, such as methoxy groups at the 2 position of ribose.

"상동성"은 동일성과 동의어로서, 예를 들면 90% 상동성이라고 하는 폴리핵산은 서열의 배열시 동일한 위치에서 90%의 동일한 염기쌍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Homologous" is synonymous with identity, meaning that a polynucleic acid, for example 90% homology, exhibits 90% identical base pairs at the same posi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sequences.

"혼성화"는 표적 핵산(검출하고자 하는 서열)에 상보 서열의 교잡(annealing)을 의미한다. 상보 서열을 포함한 두 핵산 고분자가 서로를 발견하고 염기 쌍 상호작용을 통해 교잡하는 능력은 잘 알려진 현상이다."Hybridization" means the annealing of complementary sequences to a target nucleic acid (the sequence to be detected). The ability of two nucleic acid polymers, including complementary sequences, to find each other and hybridize through base pair interactions is a well known phenomenon.

"프라이머"는 복제하고자 하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 한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가리킨다.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이들이 연장 산물의 합성을 개시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5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다. 특정한 길이 및 서열은 목적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사용의 조건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Primer" refers to a single stranded DNA oligonucleotide sequence tha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ynthesis of extension products complementary to the nucleic acid strand to be replicated. The length and sequence of the primers may be such that they can initiate the synthesis of extension products, preferably consisting of about 5 to 50 nucleotides. The specific length and sequence will be determined by the complexity of the desired DNA or RNA target as well as the conditions of primer use such as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표지"는 검출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정량가능한) 시그날을 제공하고 핵산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든 원자 또는 분자를 가리킨다. 표지는 형광, 방사성, 색도, X-선 회절 또는 흡수, 마그네티즘 등에 의해 검출가능한 시그날을 제공할 수 있다.A "label" refers to any atom or molecule capable of providing a detectable (preferably quantifiable) signal and capable of binding to a nucleic acid. The label can provide a signal detectable by fluorescence, radioactivity, chromaticity, X-ray diffraction or absorption, magnetism, and the like.

"하이브리드"는 상보적인 염기사이의 왓슨-크릭 염기 쌍 또는 비표준 염기 쌍에 의해 두개의 단일가닥 핵산 서열사이에 형성된 복합체이다.A "hybrid" is a complex formed between two single stranded nucleic acid sequences by either Watson-Crick base pair or non-standard base pair between complementary bases.

"탐침 특이성"은 표적과 비표적 서열을 구분하는 능력을 기술하기 위한 탐침의 특징을 가리킨다. 이와 관련하여, 탐침이 특이적라는 것은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정해진 표적 서열과 혼성화하고 비표적 서열과는 실질적으로 하이브리드하지 않거나 비표적 서열과의 혼성화가 최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탐침 특이성은 서열 및 검정 조건에 의해 좌우된다."Probe specificity"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robe to describe its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arget and nontarget sequences. In this regard, the specificity of the probe means that the nucleotide sequence hybridizes with a given target sequence and is substantially free of hybridization with the nontarget sequence or with minimal hybridization with the nontarget sequence. Probe specificity depends on sequence and assay conditions.

"표준균주"는 시판중에 있거나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균주를 가리킨다."Standard strain" refers to a strain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or readily available.

탐침의 동정Sympathy

균의 검출용 핵산 탐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균에만 특이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먼저 각 균에 대한 특이 탐침 후보군을 선정한다. 특이 탐침 후 보군은 가능한 모든 균들의 염기서열들을 다중 정렬(multiple alignment)을 통해서 일렬로 정렬 비교하여 각 균에만 존재하는 특이적인 염기서열을 별도로 구분하여 그 내부에 존재하는 탐침 후보군을 제작하여 선별한다. 탐침 후보군은 세균의 경우 각 균내의 23S rRNA 유전자 내에서 결정하고, 진균의 경우는 18S rRNA 유전자 부위 내에서 결정한다. 탐침 후보군의 특이성 여부는 먼저 BLAST 검색을 통해 균별간 유사성을 비교하여 확인하고 실제로 혼성화 반응에 균주들을 적용하여 각 균에서만 반응하는 탐침을 후보군 내에서 동정용으로 선별한다. 추가로, 상기와 같이 선별된 동정용 핵산 탐침은 여러 생물학적 시료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시험에 적응하여 민감성을 확인한다.In order to produce a nucleic acid probe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 it is necessary to have specificity only for each bacterium. For this purpose, a specific probe candidate group for each bacterium is selected. After the specific probe, the control group sorts and compares the sequences of all possible germs in a line through multiple alignments to separately classify the specific sequences present in each germ and prepare and select a probe candidate group present therein. . Probe candidates are determined within the 23S rRNA gene in each bacterium for bacteria and within the 18S rRNA gene region for fungi. The specificity of the probe candidate group is first confirmed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acterial strains through BLAST search, and the strains are applied to the hybridization reaction, and the probes that react only with each bacteria are selected for identification in the candidate group. In addition, the nucleic acid probe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re adapted to clinical trials involving multiple biological samples to confirm their sensitivity.

본 발명에 따라 선별된 핵산 탐침은 적어도 15량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며, 바람직하게는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의 완전한 상보서열과 70%, 80%, 90% 또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각 균의 검출 및 동정용 핵산 탐침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길이는 50개 또는 그 이상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뉴클레오타이드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및 이노신 또는 변형 그룹을 함유한 뉴클레오타이드와 같은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도 가능하나, 이들은 혼성화 특징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The nucleic acid probe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at least 15 oligonucleotides of oligonucleotide and preferably have at least 70%, 80%, 90% or 95% homology with the full complement sequence of the target to be detected. The length of the oligonucleotide of the nucleic acid probe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ach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 or more. The nucleotid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modified nucleotides such as ribonucleotides, deoxyribonucleotides and nucleotides containing inosine or modified groups, but they must not affect hybridization characteristics.

탐침 이용Probe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진단 목적상 생물학적 시료중에서 표적 핵산의 유무를 시험하는데 있어서 공지된 모든 혼성화 기술, 예를 들면 도트-블롯이라고 하는 필터상에의 포인트 침착 기술(MANIATIS et al.,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1982), 써던 블롯이라고 하는 DNA 전달 기술 (SOUTHERN, E.M., J. Mol . Biol., 98:503, 1975), 노썬 블롯이라고 하는 RNA 전달 기술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Nucleic acid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ll known hybridization techniques for tes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arget nucleic acid in a biological sample for diagnostic purposes, such as point deposition on a filter called dot-blot (MANIATIS et al .,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 1982), DNA delivery technology called Southern blot (SOUTHERN, EM, J. Mol . Biol ., 98: 503, 1975), and RNA delivery technology called Norson blot.

또한,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핵산 탐침-기본 검정의 특이성을 높여주는 샌드위치 혼성화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핵산 탐침-기본 검정에서 샌드위치 혼성화의 원리 및 사용은 공지되어 있다(DUNN and HASSEL, Cell, 12:23, 1977; 및 RNAKI et al., Gene, 21:77, 1983). 샌드위치 혼성화 기술은 포획 탐침 및/또는 검출 탐침이 사용되며 이들 탐침은 표적 핵산의 상이한 두 영역과 혼성화할 수 있고 그들 중 적어도 하나 (일반적으로 검출 탐침)가 목적하는 균에 대해 특이적인 표적의 영역과 혼성화할 수 있다. 포획 탐침과 검출 탐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가져야 한다. 직접적인 혼성화 검정이 유리한 역학을 제시하지만, 샌드위치 혼성화는 시그날-대-노이즈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샌드위치 혼성화는 핵산 탐침-기본 검정의 특이성을 높일 수 있다. 샌드위치 혼성화 과정의 주요 단계를 구성하는 배양 및 후속 세척 단계는 각각 항온, 약 20 내지 65℃에서 실시한다. 핵산 하이브리드는 혼성화된 염기의 수에 의해 좌우되고 (온도는 하이브리드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혼성화된 염기의 성질 및 각각의 혼성화된 염기의 경우 인접한 염기의 성질에 의해 좌우되는 해리 온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샌드위치 혼성화 기술에서 사용되는 혼성화 온도는 주어진 탐침과 상보적인 서열의 표적사이에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반-해리 온도 이하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반-해리 온도는 간단한 통상의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cleic acid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sandwich hybridization systems that enhance the specificity of nucleic acid probe-based assays. The principle and use of sandwich hybridization in nucleic acid probe-based assays is known (DUNN and HASSEL, Cell , 12:23, 1977; and RNAKI et al ., Gene , 21:77, 1983). The sandwich hybridization technique employs a capture probe and / or a detection probe, which can hybridize with two different regions of the target nucleic acid and at least one of them (generally the detection probe) has a region of the target specific for the desired bacterium. May hybridize. Capture probes and detection probes should have at least partially different nucleotide sequences. While direct hybridization assays offer advantageous kinetics, sandwich hybridiz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high signal-to-noise ratio. In addition, sandwich hybridization can increase the specificity of nucleic acid probe-based assays. Incubation and subsequent washing steps, which constitute the main step of the sandwich hybridization process, are carried out at constant temperature, about 20-65 ° C., respectively. Nucleic acid hybrids are dependent on the number of hybridized bases (the temperatur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hybrid) and also have a dissociation temperature that is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hybridized base and the nature of the adjacent base for each hybridized base. It is known. The hybridization temperature used in the sandwich hybridization technique should be selected below the half-dissociation temperature of the hybrid formed between the given probe and the target of the complementary sequence. This semi-dissociation temperature can be determined by simple routine experimentation.

또한,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경쟁 혼성화 프로토콜에 사용할 수 있다. 경쟁 혼성화에서, 표적 분자는 특정 탐침과 이의 상보체사이에서의 하이브리드 형성과 경쟁한다. 표적이 더 많이 존재할수록 탐침과 이의 상보체사이에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양은 줄어든다. 특정 표적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양성 시그날은 표적이 첨가되지 않은 시스템과 비교하여 혼성화 반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정 양태로서, 편리하게는 표지되는 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탐침을 표적 분자와 혼성화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특이적 탐침과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고정된 미세역가 디쉬 웰에 넣고 계속 혼성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세척 후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탐침사이의 하이브리드를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표지에 따라 정량한다.In addition, the nucleic acid probe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a competitive hybridization protocol. In competitive hybridization, the target molecule competes with hybrid formation between a particular probe and its complement. The more targets are present, the less hybrid is formed between the probe and its complement. Positive signals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specific target appear to decrease the hybridization response compared to a system without a target added. In certain embodiments, conveniently labeled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s are hybridized with a target molecule. Subsequently, the mixture is placed in a microtiter dish well immobilized with oligonucleotides complementary to the specific probe, allowing the hybridization to continue. After washing, the hybrid between the complementary oligonucleotide and the probe is preferably quantified according to the label used.

또한,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역혼성화 (reversed hybridization) (Proc . Natl. Acad . Sci . USA, 86:6230, 1989)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우선 표적 서열을 5 바이오티닐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효소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로 증폭된 산물은 고체 지지체상에 고정된 특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의 혼성시켜 검출한다. 역혼성화는 증폭하지 않고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생물학적 시료에 존재하는 핵산은 혼성화이전에 화학적으로나 특정 염료을 첨가하여 특이적으로 또는 비특이적으로 표지 또는 변형시켜야 한다.In addition, the nucleic acid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reversed hybridization ( Proc . Natl. Acad . Sci . USA , 86: 6230, 1989). In this case, first, the target sequence can be enzymatically amplified by performing PCR using 5 biotinylated primers. The product amplified in the second step is detected by hybridization with specific oligonucleotides immobilized on a solid support. Reverse hybridiza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amplification. In such cases, the nucleic acid present in the biological sample must be labeled or modified specifically or nonspecifically by chemical or specific dye addition prior to hybridization.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상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병원균의 존재 여부를 신 속히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키트는 병원균의 존재를 검정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통상의 개념으로, 키트는 표지된 탐침의 안정한 제제, 표적과 탐침 핵산의 혼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무수 또는 액체 형태의 혼성화액, 원치않거나 혼성화되지 않은 핵산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용액, 표지된 하이브리드를 검출하기 위한 기질 및 임의로 표지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한다.The nucleic acid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luded in a kit that can be used to quickly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pathogen of intere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necessary to assay for the presence of the pathogen. In a conventional concept, a kit may contain a stable preparation of a labeled probe, a hybridization solution in anhydrous or liquid form to induce hybridization of a target and probe nucleic acid, a solution for washing and removing unwanted or unhybridized nucleic acid, and a labeled hybrid. Substrates for detection and optionally instruments for detecting labels.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정 양태는 샌드위치 검정의 개념을 이용하는 키트를 포함한다. 이 키트는 환자의 특정 부위에서 검체를 수집하기 위한 제1 요소, 예를들면 검체의 스크랩핑 도구 또는 페이터 포인트, 수용 바이알, 분산 및 용해 완충액이 포함된다. 제2 요소는 표적과 탐침 핵산사이의 혼성화를 위한 무수 또는 액체 상태의 매질 및 혼성화되지 않고 원하지 않는 형태를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매질을 포함한다. 제3 요소는 표적 핵산의 일부에 상보적인 비표지된 핵산 탐침이 고정되어 있거나 결합되어 있는 고체 지지체를 포함한다. 다수의 표적을 분석하는 경우는 개개 자신의 rRNA에 대해 특이적인 한종 이상의 포획 탐침이 딥스틱의 다른 개별 영역에 적용된다. 제4 요소는 제3 요소의 고정되고 비표지된 핵산 탐침이 혼성화되는 동일한 rRNA 본쇄의 제2의 다른 영역에 상보적인 표지된 탐침을 함유한다. 여기서, 핵산 탐침은 동결건조된 핵산과 같은 무수 형태 또는 알코올 침전된 핵산과 같은 침전형태 또는 완충액으로서 탐침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표지된 알려진 어떠한 표지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탐침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바이오티닐화할 수 있으며 바이오티닐화된 탐침의 존재는 고추냉이 퍼옥시다제와 같은 효소에 결합된 아비딘을 첨가한 다음, 퍼옥시다제와 반응했을 때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색도계 또는 분광계를 이용한 장비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질과 접촉시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지 방법 및 기타 효소 형태의 표지는 방사능 표지방법과 비교하여 경제적이고, 고도로 민감하며, 비교적 안전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검정 키트의 완성품에는 표지된 탐침의 검출을 위한 여러 시약 및 기타 키트에 포함되는 것들, 예를 들면 지침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및 여러 성분을 혼합 반응시키기 위한 용기 등이 포함된다.On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t that utilizes the concept of a sandwich assay. The kit includes a first element for collecting a sample at a particular site of a patient, such as a sample scraping tool or patter point, a receiving vial, dispersion and lysis buffer. The second element includes an anhydrous or liquid medium for hybridization between the target and the probe nucleic acid and a medium for washing and removing unhybridized and unwanted forms. The third element comprises a solid support on which an unlabeled nucleic acid probe complementary to a portion of the target nucleic acid is immobilized or bound. In the case of analyzing multiple targets, one or more capture probes specific for their respective rRNAs are applied to different individual regions of the dipstick. The fourth element contains a labeled probe that is complementary to a second, different region of the same rRNA backbone where the fixed and unlabeled nucleic acid probe of the third element hybridizes. Here, the nucleic acid probe includes a combination of the probe either in anhydrous form such as lyophilized nucleic acid or in precipitate form such as alcohol precipitated nucleic acid or as a buffer. Any known label labeled may be possible. For example, the probe can be biotinylated by conventional means and the presence of the biotinylated probe is visually noticed when the avidin bound to an enzyme such as horseradish peroxidase is added and then reacted with the peroxidase. Detection can be made by contacting with a substrate that can be monitored or monitored using a colorimeter or spectrometer. Such labeling methods and labels of other enzyme form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highly sensitive and relatively safe compared to radiolabeling methods. The finished product of the assay kit includes various reagents for the detection of labeled probes and those included in other kits, such as instruction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and containers for mixing and reacting the various components.

DNA 칩DNA chip

또한,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은 유전자 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발명의 핵산 탐침이 고체 지지체에 고정된 DNA 칩을 제공한다. DNA 칩은 작은 기판상에 여러 염기 서열의 단편이 고밀도로 집적된 것으로 기판에 고정된 DNA와 이에 상보적인 미지의 DNA 시료사이의 혼성화에 의해 미지 시료의 DNA를 검출하는데 사용한다. 탐침을 고정시킬 기판은 유리, 실리콘 등과 같은 무기질이나 또는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스틸렌 (polystylen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기판의 표면은 편평하거나 다수개의 구멍(hole)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탐침의 고정은 5' 또는 3' 중 어느 한 위치가 기판에 공유결합으로 고정된다. 고정화 방법은 통상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정전기적 힘을 이용하거나, 합성된 올리고상에 아민기를 붙여 알데하이드 코팅된 슬라이드에 붙여 이 둘간의 결합을 유도하거나, 아민기 코팅된 슬라이드상에 혹은 L-라이신이 코팅된 슬라이드상에 혹은 니트로셀룰로즈 막이 코팅된 슬라이드 상에 집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서, 탐침을 합성할 때 3' 위치에 아민기 (amino residue)를 가진 염기를 삽입하여 알데하이드 잔기로 코팅된 유리판에 공유결합 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nucleic acid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gene chip.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NA chip in which the nucleic acid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mobilized on a solid support. A DNA chip is a high density accumulation of fragments of several nucleotide sequences on a small substrate and is used to detect DNA of an unknown sample by hybridization between DNA immobilized on a substrate and an unknown DNA sample complementary thereto. The substrate on which the probe is to be fixed i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glass or silicon, or a polymer material such as acrylic, 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polystylen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etc.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flat or have a plurality of holes. The probe is fixed either covalently to the substrate at either 5 'or 3'. The immobilization method i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example using an electrostatic force or by attaching an amine group on the synthesized oligo to an aldehyde coated slide to induce bonding between the two, or on an amine group coated slide or L-lysine It can be done by integrating on this coated slide or on a slide with a nitrocellulose membrane co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be is synthesized, a base having an amino residue in the 3 'position is inserted to covalently bond to a glass plate coated with an aldehyde residue.

기판 표면에 각기 다른 탐침들을 고정, 배열하는 것은 핀 마이크로어레이, 잉크젯, 포토리소그래피, 전기적 어레이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는 탐침을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상태로 공지방법에 따라 제작된 마이크로어레이어(microarrayer)를 이용하여(Yoon et al, J. Microbiol . Biotechnol., 10:21, 2000) 집적한다. 마이크로어레이어의 원리는 미세하게 제작된 핀이 DNA를 플레이트로부터 담아서 기판으로 컴퓨터가 지정한 똑같은 장소에 옮기는 것이다. 마이크로어레이어에 의해 옮겨진 탐침의 고정을 위해 45% 내지 65% 정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탐침의 3' 위치의 아민기와 유리판에 코팅되어 있는 알데히드기 사이의 반응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1시간 이상 반응을 유도하고, 6시간 이상 방치하여 DNA 탐침을 고정시킨다.Fixing and arranging different probes on a substrate surface uses methods such as pin microarrays, inkjets, photolithography, electrical arrays,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d using a microarray (Yoon et al , J. Microbiol . Biotechnol ., 10:21, 2000) prepar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in a state in which the probe is dissolved in a buffer solution do. The principle of microarrays is that the microfabricated pins carry DNA from the plate and transfer it to the same location specified by the computer on the substrate. Between the amine groups on the 3 'position of the probe and the aldehyde groups coated on the glass plate, under conditions where the humidity is maintained between 45% and 65%, preferably between 50% and 55%, for fixing the probe transferred by the microarray.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action, the reaction is induced for at least 1 hour, and left for at least 6 hours to fix the DNA probe.

생존 유기체로부터 유래된 세포 또는 유기체 자체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이들 세포를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시켜 그들 세포의 RNA 및/또는 DNA에 접근이 용이하게 만들고 본 발명의 탐침과 접촉시킨다. 접촉은 액체 매질 또는 용액중에서 니트로셀룰로즈, 셀룰로즈 또는 나일론 필터와 같은 적절한 지지체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최적 조건, 하위 최적 조건 또는 제한 조건하에서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온도, 반응물 농도, 핵산의 염기쌍 최적 온도를 낮추는 물질 (예, 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우레아)의 존재 및 반응 부피를 저감시키고/시키거나 하이브리드 형성을 가속하는 물질 (예, 덱스트란 설페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페놀)의 존재를 포함한다.If necessary to detect cells derived from a living organism or the organism itself, these cells may be partially or completely lysed by chemical and / or physical methods to facilitate access to the RNA and / or DNA of those cells and Contact. The contact can be carried out on a suitable support such as nitrocellulose, cellulose or nylon filters in a liquid medium or solution. Such contact may occur under optimum conditions, suboptimal conditions or limit conditions, which conditions include the temperature, the reactant concentration, the presence of substances that lower the base pair optimal temperature of the nucleic acid (eg formamide, dimethylsulfoxide and urea) and the reaction volume. And / or the presence of a substance (eg, dextran sulfate, polyethyleneglycol or phenol) to reduce and / or accelerate hybrid formation.

탐침 제작Probe production

핵산 탐침은 통상의 클로닝 방법(Maniatis, T.,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982)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서열을 클로닝하거나 시판되는 DNA 합성기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다량으로 얻을 수 있다.Nucleic acid probes can be cloned using conventional cloning methods (Maniatis, T., et al .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982) or chemicall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DNA synthesizers. It can be synthesized and obtained in large quantities.

본 발명의 탐침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일본쇄 또는 이본쇄로 제작할 수 있다. 일본쇄의 탐침을 얻는 방법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예는 자동화학합성기에서 DMT (dimethoxytrityl) 오프 (off) 방식에 의해 합성하여 탈보호 반응을 시행한 후, 원하는 수의 염기로 이루어진 탐침을 합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탐침은 합성시 한 쪽 가닥 말단에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와 같은 형광물질을 부착하여 특정 핵산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일본쇄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그와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는 탐침을 만드는 방법으로, 주형의 DNA에 프라이머를 교잡시키고, 그 프라이머로부터 클레노우(Klenow) 효소와 형광물질이 부착된 염기(dNTP)를 사용하여 탐침을 합성하게 된다. 이는 DNA 내부에 형광물질이 부착하게 되므로, 높은 민감도 및 특이성을 갖는 탐침을 합성할 수 있다. 이 중가닥의 탐침을 얻는 방법으로서, 게놈 DNA 혹은 플라스미드 DNA를 특정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원하는 부분의 유전자 혹은 염기부분을 포함한 탐침을 얻을 수 있다. 랜덤 프라이밍(random priming) 방법은 6개의 랜덤 핵사머(random hexamer)와 주형 DNA를 혼성화시킨 후, 형광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다양한 길이의 탐침을 합성하는 방법이고, 또 다른 방식으로는 DNA의 5'말단에 32P를 T4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키나아제(polynucleotide kinase)를 이용하여 옮겨서 형광물질이 부착된 탐침을 합성할 수도 있으며, DNA 분해효소(DNase) I을 이용하여 이본쇄의 DNA에 절단부분을 만든 후, 이 DNA를 주형으로 하여 DNA 중합효소 I과 형광물질이 부착된 염기(dNTP)를 사용하여 탐침을 합성할 수 있다. 이렇게 이중가닥으로 합성된 탐침은 변성(denaturation)과정을 거쳐 일본쇄로 만든 후 혼성화 반응에 사용된다.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 single strand or double stran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s a method of obtaining a single chain prob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a synthesis by a DMT (dimethoxytrityl) off method in an automated synthesizer, subjected to a deprotection reaction, and then a probe composed of a desired number of bases. The probe thus prepared can be attached to a fluorescent substance such as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at one end of the strand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specific nucleic acid. Another method is to make a probe having a 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DNA of a Japanese chain, and the primer is hybridized to the DNA of the template, and the Klenow enzyme and the fluorescent substance are attached from the primer. Base (dNTP) is used to synthesize the probe. Since the fluorescen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NA,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a probe having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s a method of obtaining this heavy strand probe, a genomic DNA or plasmid DNA can be cut with a specific restriction enzyme to obtain a probe containing a gene or base portion of a desired portion. Random priming is a method of hybridizing six random hexamers and template DNA, and then synthesizing probes of various lengths to which fluorescent substances are attached. 32 P at the end of the T4 polynucleotide kinase (polynucleotide kinase) (transfer) can also be synthesized by the fluorescent probe attached, DNA cleavage (DNase) I using a DNA cleavage of the double strands, Using this DNA as a template, a probe can be synthesized using DNA polymerase I and a base (dNTP) to which a fluorescent substance is attached. The double-stranded probe is made into a Japanese chain after denaturation and used for hybridization.

본 발명의 탐침은 유리하게는 표지될 수 있다. 어떠한 통상의 표지도 사용할 수 있다. 탐침은 32P, 35S, 125I, 3H 및 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표지할 수 있다. 방사성 표지는 3 또는 5 위치를 방사성 표지된 뉴클레오타이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키나제, 말단 트랜스퍼라제 또는 리가제를 사용하여 말단 표지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방사성 표지의 다른 방법은 본 발명의 탐침을 화학적으로 요도드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요오드화에 의해 탐침상에 수개의 125I 원자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탐침중 하나가 방사성으로 표지되면 일반적으로 자가방사기록, 액체 신틸레이션, 감마 계수 또는 다른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방사선을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탐침은 면역 특성을 갖는 잔 기(예, 항원 또는 합텐), 일부 시약에 대해 특이적 친화성을 갖는 잔기(예, 리간드), 검출가능한 효소 반응을 제공한 잔기(예, 효소, 보조효소, 효소 기질 또는 효소 반응에 참여하는 기질) 또는 어떤 파장에서 형광, 발광 또는 흡광의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는 잔기과 결합하여 비방사성 표지될 수 있다. 또한, 탐침과 표적에 의해 형성된 하이브리드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비방사성 표지는 본 발명의 탐침을 화학적으로 합성할 때 제공할 수 있다. 아데노신, 구아노신, 시티딘, 티미딘 및 우라실 잔기는 다른 화학 잔기와 쉽게 결합하며 이에 탐침 또는 탐침과 상보적인 DNA 또는 RNA 단편사이에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검출을 가능케 한다.Probes of the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labeled. Any conventional label can be used. Probes can be labeled using radioactive isotopes such as 32 P, 35 S, 125 I, 3 H and 14 C. Radiolabeling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end labeling the 3 or 5 position with radiolabeled nucleotides, polynucleotide kinases, terminal transferases or ligases. Another method of radiolabeling is to chemically iodide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sults in the binding of several 125 I atoms onto the probe. As such, when one of the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beled as radioactive, radiation is generally detected using autoradiography, liquid scintillation, gamma coefficients, or other conventional methods. In addition, the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residues (eg, antigens or haptens) with immune properties, residues (eg, ligands) with specific affinity for some reagents, residues (eg, enzymes) that provide a detectable enzymatic reaction. , Coenzymes, enzyme substrates or substrates participating in enzymatic reactions) or in combination with residues which provide the physical properties of fluorescence, luminescence or absorption at certain wavelengths. Moreover, the antibody which specifically detects the hybrid formed by a probe and a target can be used. Non-radioactive labels can be provided when chemically synthesizing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Adenosine, guanosine, cytidine, thymidine and uracil residues readily bind to other chemical residues and allow detection of hybrids formed between the probe or probe and complementary DNA or RNA fragments.

표적Target

생물학적 시료에서 세균을 검출하고 동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핵산 기질을 제공하기 위해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한다. 핵산은 표준 기술 또는 시판되고 있는 키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료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직 시료로부터 RNA 또는 DNA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키트는 Qiagen, Inc. (미국 캘리포니아) 및 Stratagene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구입할 수 있다. QIAAMP 블러드 키트는 혈액뿐만 아니라 골수, 체액 또는 세포 현탁액으로부터 DNA의 분리를 가능케 한다. QIAAMP 조직 키트는 근육 및 기관으로부터 DNA의 분리를 가능케 한다. 생물학적 시료가 목적하는 균주의 존재를 지시하는 rRNA 또는 rDNA를 함유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핵산을 균주세포로부터 음파 분쇄, 예를 들면 Murphy 등의 미국특허 제5,374,522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방출시킬 수 있다. 세포를 분쇄 하는 다른 공지 방법으로는 효소 사용, 삼투압 쇼크, 화학 처리 및 유리 비드와의 와동이 포함된다. 균주로부터 핵산을 방출시킬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방법이 Clark 등의 미국특허 제5,837,452호 및 Kacian 등의 미국특허 제5,364,763호에 기술되어 있다. rRNA의 방출 후 또는 방출과 동시에 표지된 탐침을 혼성화 촉진제의 존재하에 첨가하고 최적의 혼성화 온도에서 유의적인 혼성화 반응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The nucleic acid is extracted from the sample to provide a nucleic acid substrate for use in detecting and identifying bacteria in the biological sample. Nucleic acids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samples using standard techniques or commercially available kits. For example, kits for separating RNA or DNA from tissue samples may be found in Qiagen, Inc. (California, USA) and Stratagene (California, USA). The QIAAMP Blood Kit allows for the separation of DNA from blood as well as bone marrow, body fluids or cell suspensions. The QIAAMP Tissue Kit allows for the separation of DNA from muscles and organs. As a preferre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biological sample contains rRNA or rDNA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desired strain, nucleic acid is sonicated from strain cell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5,374,522 to Murphy et al. Can be released. Other known methods of crushing cells include enzyme use, osmotic shock, chemical treatment, and vortexing with glass beads. Other suitable methods for releasing nucleic acids from strain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837,452 to Clark et al. And US Pat. No. 5,364,763 to Kacian et al. Labeled probes may be added after or concurrent with release of the rRNA in the presence of a hybridization promoter and incubated for the time necessary to reach a significant hybridization reaction at the optimal hybridization temperature.

표적 핵산이 이본쇄인 경우에는 검출 과정을 이행하기 이전에 변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본쇄 핵산의 변성은 화학적, 물리적 또는 효소적 변성의 공지 방법, 특히 적절한 온도,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If the target nucleic acid is double strande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enaturation before performing the detection process. Modification of the double-stranded nucleic acid can be carried out by known methods of chemical, physical or enzymatic modification, in particular by heating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 temperature of at least 80 ℃.

또한, 탐침과 혼성화 반응을 하는 표적 DNA는 보통 두 종류의 방법으로 준비될 수 있다. 첫째는, 서던 블럿 또는 노던 블럿시 사용되는 방법으로, 게놈 DNA 혹은 플라스미드 DNA를 적당한 제한효소로 자른 후 아가로스 겔(agarose gel) 상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크기별로 DNA 조각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둘째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의 DNA를 증폭시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사용하는 PCR 방법을 살펴보면, 전방향과 역방향의 프라이머 쌍을 동일한 양을 사용해서 증폭시키는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PCR과 전방향과 역방향의 프라이머 쌍을 비대칭적으로 첨가시켜서 2중 가닥과 단일 가닥의 밴드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비대칭 증폭 방법(Asymmetric PCR), 여러 가지의 프라이머 쌍을 넣어서 한꺼번에 증폭시킬 수 있는 다중 증폭 방법(Multiplex PCR), 특이적인 4개의 프라이머와 리가아제(Ligase)를 이용해 증폭한 후 효소면역법으로 형광량을 판정하는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LCR)방법, 이 밖에도 핫스타트 PCR, 네스트 PCR, 변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PCR, 역전사 효소 PCR, 반-정량적(Semi-quantitative) 역전사 효소 PCR, 실시간 PCR(Real time PCR), SACE(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경쟁적 PCR(Competitive PCR), 연쇄반복(short tandem repeats; STR), 단일가닥입체다형화(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동소 PCR, DDRT-PCR(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ase PCR) 등의 방법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DNA that hybridizes with the probe may be prepared by two kinds of methods. First, a method used in Southern blot or Northern blot, genomic DNA or plasmid DNA is cut with a suitable restriction enzyme and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on an agarose gel to separate DNA fragments by size. The second method is to amplify and use DNA of a desired portion using a PCR method. In this case, using the PCR method, the most common PCR that amplifies the forward and reverse primer pairs using the same amount and the asymmetric addi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primer pairs of the double strand and the single strand Asymmetric PCR (Asymmetric PCR) to obtain bands at the same time, Multiple amplification method (Multiplex PCR) that can be amplified at the same time by putting several primer pairs, After amplification using four specific primers and Ligase (Ligase) Ligase Chain Reaction (LCR) method to determine the amount of fluorescence by enzyme immunoassay, as well as hot start PCR, nest PCR, modified oligonucleotide primer PCR, reverse transcriptase PCR,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CR, Real time PCR,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SACE), Competitive PCR, Short tandem repeats; STR),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In situ PCR, and DDRT-PCR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ase PCR).

특정 PCR 산물의 증폭을 위한 주형으로서 비교적 균질한 시료(예, 혈액, 세균 콜로니 또는 뇌척수액)가 보다 복합적인 시료(예, 뇨, 타액 또는 배설물)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bata in PCR: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lis et al., eds., Birkhauser, Boston (1994), pp, 47-54). 뇌척수액과 같이 증폭하고자 하는 표적 핵산의 복제물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시료는 PCR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혈액 시료는 적혈구의 억제 특성으로 인해 PCR시 특별히 다루어야 하는데 PCR에 혈액을 사용하기 전에 적혈구 세포를 제거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많은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CHELEX 100 컬럼(BioRad) 등을 통과시키는 것과 QIAAMP 블러드 키트를 사용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타액으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것은 목적하는 균외의 다른 세균 종을 사멸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사전 정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화 과정은 시료를 N-아세틸-L-시스테인 및 NaOH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정화과정은 타액 시료를 분석하기 전에 배양할 때만이 필요하다.As a template for the amplification of certain PCR products, relatively homogeneous samples (e.g. blood, bacterial colonies or cerebrospinal fluid) are known to be more suitable than more complex samples (e.g. urine, saliva or excreta) (Shibata in PC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lis et al., Eds., Birkhauser, Boston (1994), pp, 47-54). Samples containing relatively few copies of the target nucleic acid to be amplified, such as cerebrospinal fluid, can be added directly to the PCR. Blood samples should be specially handled during PCR due to the inhibitory properties of red blood cells, and red blood cells should be removed before using blood for PCR. Many methods are used for this purpose, including for example passing through a CHELEX 100 column (BioRad) and the like using the QIAAMP blood kit. Extracting nucleic acids from saliva requires a preliminary purification process that kills or inhibits growth of other bacterial species other than the desired organism. This purification process is accomplished by treating the sample with N-acetyl-L-cysteine and NaOH. This purification process is only necessary when incubating the saliva sample prior to analysi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분리된 검체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비대칭 증폭 방법(Asymmetric PCR)을 수행하여 단편 유전자를 제작한다. 단편 유전자는 전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의 첨가비율을 1:5로 차별화 함으로써 한번의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획득한다.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는 세균의 경우 공통적으로 16S rRNA내지 23S rRNA에 존재하는 염기 서열 부분으로(Pirkko K. et al., Clin. Micorbiol., 36:2205, 1999) 다음과 같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gment gene is prepared by using DNA of an isolated sample as a template and performing asymmetric amplification (Asymmetric PCR). The fragment gene is obtained by one polymerase chain reaction by differentiating the ratio of forward and reverse primers at 1: 5. In this case, the primers used are part of a nucleotide sequence existing in 16S rRNA to 23S rRNA in common in bacteria (Pirkko K. et al ., Clin. Micorbiol., 36: 2205, 1999).

프라이머 1-S(센스): P-TTGTACACACCGCCCGTC(1585Fw: 서열번호 8) Primer 1-S (Sense): P-TTGTACACACCGCCCGTC (1585Fw: SEQ ID NO: 8)

프라이머 1-A(안티센스): Cy3-TTTCGCCTTTCCCTCACGGTACT(23BR: 서열번호 9)Primer 1-A (antisense): Cy3-TTTCGCCTTTCCCTCACGGTACT (23BR: SEQ ID NO: 9)

프라이머 2-S(센스): P-AGTACCGTGAGGGAAAGGCGAA(23BFw: 서열번호 10)Primer 2-S (sense): P-AGTACCGTGAGGGAAAGGCGAA (23BFw: SEQ ID NO: 10)

프라이머 2-A(안티센스): Cy3-TGCTTCTAAGCCAACATCCT(MS37R:서열번호 11) Primer 2-A (antisense): Cy3-TGCTTCTAAGCCAACATCCT (MS37R: SEQ ID NO: 11)

프라이머 3-S(센스): P-AGGATGTTGGCTTAGAAGCA(MS37F: 서열번호 12)Primer 3-S (sense): P-AGGATGTTGGCTTAGAAGCA (MS37F: SEQ ID NO: 12)

프라이머 3-A(안티센스): Cy3-CCCGACAAGGAATTTCGCTACCTT(MS38R:서열번호 13) Primer 3-A (antisense): Cy3-CCCGACAAGGAATTTCGCTACCTT (MS38R: SEQ ID NO: 13)

이들 프라이머에 대한 대략 위치도는 도 1과 같고 F는 5' 말단에 부착된 FITC 형광물질을 가리킨다. PCR 수행시 탐침과 결합한 DNA를 확인하기 위해 5-FITC가 부착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형광을 통해 결합을 확인함으로써 감염 여부와 감염균의 종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들 프라이머로 증폭할 수 없는 부분을 얻기 위해 바이오인포메틱스 (Bioinformatics) 방법으로 다중정렬, BLAST를 실시하여 프라이머를 디자인한다.Approximate location maps for these primers are shown in FIG. 1 and F indicates the FITC fluorescent material attached to the 5 'end. In order to identify DNA bound to the probe during PCR, amplification using a 5-FITC attached primer is performed to confirm the binding through fluorescence so that the infection can be identified and the type of inf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portion that cannot be amplified by these primers, primers are designed by performing multi-alignment and BLAST by a bioinformatics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PCR 반응은 10X PCR 완충액(100mM Tris- HCl(pH8.3), 500mM KCl, 15mM MgCl2) 5ul, dNTP 혼합물(dATP, dGTP, dCTP, dTTP 각각 2.5mM) 4ul, 10pmole 전방향 프라이머 0.5ul, 10pmole 역방항 프라이머 2.5ul, 1/10로 희석한 주형DNA(100ng) 1ul, Taq 폴리머라제(5unit/ul, Takara Shuzo Co., Shiga, Japan) 0.5ul를 첨가후 총 부피가 50ul가 되도록 물을 첨가한다. 첫 번째 변성은 94℃에서 7분간, 두 번째 변성은 94℃에서 1분간 수행한다. 교잡(annealing)은 52℃에서 1분, 연장(extension)은 72℃에서 1분간 수행하며, 이를 10회 반복한다. 그 후, 다시 세 번째 변성은 94℃에서 1분, 교잡은 54℃에서 1분, 연장은 72℃ 에서 1분간 수행하며, 이를 30회 반복한다. 이후 72℃에서 5분간 마지막 연장을 1회 수행한다. PCR 반응결과로 생성된 산물은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법(agarose gel electrophoresis)으로 확인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R reaction was performed in 10X PCR buffer (100 mM Tris-HCl (pH8.3), 500 mM KCl, 15 mM MgCl 2 ) 5ul, dNTP mixture (dATP, dGTP, dCTP, dTTP 2.5mM) 4ul, 10pmole before Total volume after adding 0.5ul aromatic primer, 2.5ul 10pmole reverse primer, 1ul template DNA (100ng) diluted with 1/10, 0.5ul Taq polymerase (5unit / ul, Takara Shuzo Co., Shiga, Japan) Add water to 50ul. The first denaturation is carried out at 94 ° C. for 7 minutes and the second denaturation at 94 ° C. for 1 minute. Annealing is performed at 52 ° C. for 1 minute and extension at 72 ° C. for 1 minute, and this is repeated 10 times. Thereafter, the third denaturation was performed at 94 ° C for 1 minute, hybridization at 54 ° C for 1 minute, extension at 72 ° C for 1 minute, and this was repeated 30 times. Thereafter, the last extension was performed once for 5 minutes at 72 ° C. The product produced by the PCR reaction is confirm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혼성화Hybridization 및 세척 And washing

혼성화 기술은 본 발명에서 특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문헌(Nucleic Acid Hybridization: A Practical Approach, Ed. Hames, B. D. and Higgins, S. J., IRL Press, 1987; Gall and Pardue, Proc . Natl . Acad . Sci ., U.S.A., 63:378, 1969, John, Burnsteil and Jones, Nature, 223:582, 1969)에 기술되어 있다.Hybridization techniques are not specific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echnique is generally described in Nucleic Acid Hybridization: A Practical Approach, Ed. Hames, BD and Higgins, SJ, IRL Press, 1987; Gall and Pardue, Proc . Natl . Acad . Sci ., USA ., 63: 378, 1969, John, Burnsteil and Jones, Nature , 223: 582, 1969).

혼성화 조건은 긴축(stringency), 즉 작용 조건의 엄격함에 의해 결정된다. 혼성화가 이루어지는 긴축이 고도하면 할수록 혼성화는 더욱 특이적이 된다. 긴축 은 특히 탐침/표적 결합체의 염기 조성뿐만 아니라 두 핵산사이의 부정합 정도의 함수이다. 긴축은 또한 혼성화 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의 농도 및 종류, 변성제의 성질 및 농도 및/또는 혼성화 온도와 같은 혼성화 반응 변수의 함수일 수 있다. 혼성화 반응이 수행되어야 하는 조건의 기축은 특히 사용된 탐침에 의존한다. 모든 이들 데이터는 잘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조건은 개개의 경우에 통상의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탐침의 길이에 따라 혼성화 반응의 온도는 약 0.8 내지 1 M 농도의 염수 용액중에서 약 20℃ 내지 65℃, 특히 35℃ 내지 65℃이다.Hybridization conditions are determined by stringency, i.e. the stringency of the operating conditions. The higher the tightening that hybridization takes place, the more specific the hybridization becomes. Contraction is especially a function of the base composition of the probe / target conjugate as well as the degree of mismatch between the two nucleic acids. Constriction may also be a function of hybridization reaction variables such as the concentration and type of ions present in the hybridization solution, the n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denaturant and / or the hybridization temperature. The basis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hybridization reaction should be carried out depends in particular on the probe used. All these data are well known a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can be determined by routine experimentation in the individual case. Generall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robe used, the temperature of the hybridization reaction is about 20 ° C. to 65 ° C., in particular 35 ° C. to 65 ° C., in a salin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about 0.8 to 1 M.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탐침과 표적 핵산사이의 혼성화는 Hogan 등의 미국특허 제5,030,557호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비표지된 헬퍼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사용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헬퍼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탐침에 의해 결합되는 영역외의 다른 표적 핵산의 영역과 결합한다. 이 결합은 일본쇄 핵산의 표적 영역에 새로운 이차 및 삼차 구조를 취해서 탐침의 결합 속도를 가속화한다.Hybridization between the labeled oligonucleotide probe and the target nucleic acid can be increased using unlabeled helper oligonucleotides following the procedure described in US Pat. No. 5,030,557 to Hogan et al. The helper oligonucleotide binds to a region of the target nucleic acid other than the region bound by the probe. This binding takes on new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s in the target region of single-stranded nucleic acids, accelerating the binding speed of the probe.

당업자는 탐침과 표적사이에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또한 탐침 특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탐침과 표적의 하이브리드의 융점 온도를 포함하여 융점 프로필이 각각의 탐침과 표적의 하이브리드에 대해 경험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Arnold 등의 미국특허 제5,283,174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탐침과 표적의 하이브리드의 융점 온도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혼성화 보호 검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포함한다. 이 검정 방법에 따르면 리튬 라우릴설페이트를 함유한 리튬 석시네 이트 완충 용액중의 과량의 표적의 조건하에서 탐침과 표적의 하이브리드를 형성한다. 미리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일부를 혼성화 완충액에 희석하고 예상되는 융점 온도 (전형적으로 55℃) 이하에서 시작하여 2 내지 5℃를 증가시킨 여러 온도에서 5분 동안 배양한다. 그런 후 이 용액을 약알카리성 보레이트 완충액으로 희석하고 보다 낮은 온도 (예, 50℃)에서 10분동안 배양한다. 일본쇄 탐침에 연결된 아크리디늄 에스테르는 이들 조건하에서 가수분해되는 한편 혼성화된 탐침에 연결된 아크리디늄 에스테르는 상대적으로 보호된다. 이 절차를 혼성화 보호 검정이라고 한다. 남아 있는 화학발광의 양은 하이브리드의 양과 비례하며 과산화수소에 이어 알카리를 차례로 첨가하여 발광계측기로 측정한다. 이 데이터를 온도에 대한 최대 시그날 (보통 최저 온도)의 퍼센트로 점적한다. 융점 온도는 최대 시그날의 50%가 남아 있는 포인트로서 정의된다. 다른 방도로서, 탐침과 표적의 하이브리드에 대한 융점 온도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탐침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주어진 하이브리드에 대한 융점 온도는 혼성화 용액에 함유된 염, 세정제 및 기타 용질의 농도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인자는 열변성 동안에 상대적인 하이브리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et al., eds. Cold Spring Harbor Lab Publ., 9.51,1989).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factors affecting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hybrid formed between the probe and the target may also affect probe specificity. Therefore, the melting point profile, including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of the probe and target hybrid, must be determined empirically for each probe and hybrid of the target. This determination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5,283,174 to Arnold et al. One method of determining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of the probe and target hybrids involves performing hybridization protection assays. According to this assay method, a hybrid of probe and target is formed under conditions of excess target in lithium succinate buffer solution containing lithium laurylsulfate. A portion of the preformed hybrid is diluted in hybridization buffer and incubated for 5 minutes at various temperatures starting at or below the expected melting point temperature (typically 55 ° C.) and increasing 2 to 5 ° C. The solution is then diluted with weakly alkaline borate buffer and incubated at lower temperature (eg 50 ° C.) for 10 minutes. The acridinium esters linked to single chain probes are hydrolyzed under these conditions while the acridinium esters linked to hybridized probes are relatively protected. This procedure is called hybridization protection assay. The amount of chemiluminescence remaining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hybrid and is measured with a luminometer by adding hydrogen peroxide followed by alkali. This data is dipped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signal (usually the lowest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is defined as the point at which 50% of the maximum signal remains. Alternatively,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for the hybrid of the probe and the target can be determined using a probe labeled with a radioisotope. In all cases, the melting point temperature for a given hybrid may vary by the concentration of salts, detergents and other solutes contained in the hybridization solution. All these factors affect the relative hybrid stability during heat denaturation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et al ., Eds. Cold Spring Harbor Lab Publ., 9.51,1989).

혼성화 조건은 몇 가지의 변수, 예를 들면 혼성화 온도, 매질 성분의 성질 및 농도, 형성된 하이브리드와 세척시 온도 등을 고려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혼성화 및 세척 온도는 탐침의 염기 서열, 종류 및 길이에 따라 상위 값으로 한정하며 최대 혼성화 또는 세척 온도는 약 30℃ 내지 60℃ 이다. 보다 높은 온도에서 혼 성화와 탐침과 표적사이에 형성된 하이브리드의 해리 또는 변성과 경쟁한다. 혼성화 매질은 예를 들면 약 3xSSC (1xSSC=0.15 M NaCl, 0.015 M 시트르산나트륨, pH 7.0), 약 25 mM 인산염 완충액 PH 7.1 및 20% 탈이온 포름아미드, 0.02% 피콜, 0.02% 소혈청 알부민, 0.02%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약 0.1 mg/ml 절삭되고 변성된 연어 정자 DNA를 함유한다. 세척 매질은 예를 들면 약 3xSSC, 25 mM 인산염 완충액 pH 7.1 및 20% 탈이온 포름아미드를 함유한다. 탐침 및 매질의 변형에 따라, 목적하는 특이성을 얻기 위해 혼성화 또는 세척 온도는 알려진 연관성에 따라 바꾸어 주어야 한다(B. D. HAMES and S. J. HIGGINS, (eds.). Nucleic acid hybridzation.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Oxford, U.K., 1985).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DNA:DNA 하이브리드는 RNA:DNA 또는 RNA:RNA 하이브리드보다 덜 안정하기 때문에, 검출될 하이브리드의 성질에 따라 혼성화 조건은 특이적 검출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한다.Hybridization conditions can be monitored taking into account several variables, for example, the hybridization temperature, the n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media components, the hybrids formed and the temperature upon washing. Hybridization and wash temperatures are limited to higher values depending on the base sequence, type and length of the probe and the maximum hybridization or wash temperature is about 30 ° C. to 60 ° C. At higher temperatures it competes with hybridization and dissociation or denaturation of the hybrid formed between the probe and the target. Hybridization media are for example about 3xSSC (1xSSC = 0.15 M NaCl, 0.015 M sodium citrate, pH 7.0), about 25 mM phosphate buffer PH 7.1 and 20% deion formamide, 0.02% picol, 0.02% bovine serum albumin, 0.02 % Polyvinylpyrrolidone and about 0.1 mg / ml cut and denatured salmon sperm DNA. The wash medium contains, for example, about 3 × SSC, 25 mM phosphate buffer pH 7.1 and 20% deion formamide. Depending on the modification of the probe and medium, the hybridization or washing temperatur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known associations to achieve the desired specificity (BD HAMES and SJ HIGGINS, (eds.). Nucleic acid hybridzation.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Oxford , UK, 1985). In this regard, since DNA: DNA hybrids are generally less stable than RNA: DNA or RNA: RNA hybrids, hybridization conditions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achieve specific detec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hybrid to be det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양태로서, 혼성화 완충용액(6×SSPE (0.15M NaCl, 5mM C6H5Na3O7, pH 7.0), 20% (v/v) 포름아미드)을 PCR 증폭 유전자와 혼합하고 탐침이 고정된 유리판 위에 분주한 후 3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보적인 결합을 유도한다. 시간이 경과한 후 3×SPE, 2×SSPE, 1×SSPE 순으로 각각 5분씩 세척한다.In a particula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ybridization buffer (6 × SSPE (0.15 M NaCl, 5 mM C 6 H 5 Na 3 O 7 , pH 7.0), 20% (v / v) formamide) is mixed with a PCR amplification gene After dispensing the probe on a fixed glass plate it is reacted for 6 hours at 30 ℃ to induce complementary binding. After the passage of time, wash for 3 minutes in the order of 3 × SPE, 2 × SSPE, 1 × SSPE.

하이브리드의 정량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표적을 상기된 탐침에서와 같이 형광 혹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표지는 프라이머 자체 에 할 수도 있고 증폭 및 전사시에 형광 및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염기 잔기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Quantification of the hybrid can be accomplished by labeling the target with fluorescent or radioisotopes, as in the probe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Labeling may be on the primer itself or by using base residues labeled with fluorescent and radioisotopes for amplification and transcription.

대장균은 장 속에서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장 이외의 부위에 들어가면 방광염 ·신우염 ·복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고, 또한 장 속에서도 O의 26, O의 55, O의 111 등과 같은 항원형 대장균은 젖먹이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히 병원성 대장균이라고 한다.Escherichia coli usually does not show pathogenicity in the intestine, but when it enters the non-intestine area, it causes cystitis, pyelitis, peritonitis, sepsis, etc. It is called Escherichia coli especially because it can cause infectious diarrhea from adult to adult.

본 발명의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탐침은 DNA 칩에 적용하여 대장균을 고도의 특이성으로 검출함으로서, 대장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 할 수 있으며, 1종 이상의 다른 균에 특이적인 탐침을 같이 적용함으로써 2종 이상의 감염질환 원인균을 동시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The E. coli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NA chip to detect E. coli with high specificity, thereby accurately diagnosing an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E. coli, and applying a specific probe to one or more other bacteria. By doing so, two or more causative agents of infectious disease can be diagnosed at the same tim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대장균을 동정하기 위한 DNA 탐침 후보군의 선별 Example 1 Selection of DNA Probe Candidates to Identify Escherichia Coli

대장균을 검출 및 동정하기 위해서 대장균에 특이적인 탐침을 제작하였다. 특이 탐침의 제작을 위해서, 대장균에만 특이성을 가지는 특이 탐침 후보군을 선정 하였다. 특이 탐침 후보군은 GenBank에 공지된 대장균의 23S rRNA 염기 서열을 지금까지 밝혀진 세균들의 염기서열과 다중정렬하여 비교하고, 대장균에만 존재하는 특이적인 염기서열을 구분하여 그 내부에 존재하는 탐침 후보군을 제작하였다. 탐침 후보군은 대장균 게놈의 23S rRNA 유전자에서 결정하였다. 탐침 후보군의 특이성 여부는 BLAST 검색을 통해 균별간 유사성을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탐침 후보군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In order to detect and identify E. coli, a probe specific for E. coli was prepared. For the production of specific probes, a specific probe candidate group having specificity for E. coli was selected. The specific probe candidate group was compared by comparing the 23S rRNA sequences of Escherichia coli known to GenBank with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known bacteria, and distinguishing the specific sequences present only in Escherichia coli to prepare probe candidate groups present therein. . Probe candidates were determined from the 23S rRNA gene of the E. coli genome. The specificity of the probe candidate group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fungus by BLAST search. As a result, the selected probe candidate group is shown in Table 1 below.

대장균 특이 탐침 후보군E. coli specific probe candidate group 탐침번호Probe number 염기서열Sequence 명칭designation 1One GTTAGCGGTAACGCGGTTAGCGGTAACGCG Eco001Eco001 서열번호 1SEQ ID NO: 1 22 GTTAGTGGAAGCGTCGTTAGTGGAAGCGTC Eco001mEco001m 서열번호 2SEQ ID NO: 2 33 GTGTTAGTGGAAGCGTCTGGGTGTTAGTGGAAGCGTCTGG Eco001-20Eco001-20 서열번호 3SEQ ID NO: 3 44 ATGGGGTTAGCGGTAACGCGAAGCTATGGGGTTAGCGGTAACGCGAAGCT Eco001-25Eco001-25 서열번호 4SEQ ID NO: 4 55 ATGCACATATTGTGAATGCACATATTGTGA Eco002Eco002 서열번호 5SEQ ID NO: 5 66 GTGCTGAAGCAACAAATGCCGTGCTGAAGCAACAAATGCC Eco003-20Eco003-20 서열번호 6SEQ ID NO: 6 77 CGGTGCTGAAGCGACAAATGCCCTGCGGTGCTGAAGCGACAAATGCCCTG Eco003-25Eco003-25 서열번호 7SEQ ID NO: 7

실시예 2: 핵산 탐침의 합성Example 2: Synthesis of Nucleic Acid Probes

DNA 칩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각 탐침 후보군을 합성하였다. 모노뉴클레오타이드(Proligo Biochemie GmbH Hamburg Co.)를 자동화 합성기(ExpediteTM 8900, PE Biosystems Co.)에 투입하고 목적하는 탐침의 염기서열과 0.05μmole 합성 스케일을 입력하여 순수한 핵산 탐침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탐침은 전기영동을 통하여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Each probe candidate group selected in Example 1 was synthesized for application to a DNA chip. Mononucleotide (Proligo Biochemie GmbH Hamburg Co.) was put into an automated synthesizer (Expedite 8900, PE Biosystems Co.)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desired probe and 0.05μmole synthesis scale were obtained to obtain a pure nucleic acid probe. The obtained probe was confirmed whether it was synthesized by electrophoresis.

실시예 3: DNA 칩의 제작Example 3: Preparation of DNA Chip

실시예 2에서 합성된 DNA 탐침을 고정화하기 위해서는 알데히드기-아민기 사이의 결합을 이용하였다. DNA 탐침을 고정화하기 위해 모든 DNA 단편 탐침을 합성할 때, 3'-첫번째 위치에 아미노링커컬럼(Aminolinker column, Cruachem, Glasgrow, Scotland)을 이용하여 아민기(amino residue)를 가진 염기를 삽입하였고, 유리판 (slide glass)은 알데히드기(aldehyde residue)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구입(CEL Associates, Inc. Huston, Texas, USA)하였다.In order to fix the DNA probe synthesized in Example 2, the bond between the aldehyde group and the amine group was used. When synthesizing all DNA fragment probes to immobilize the DNA probe, a base having an amino residue was inserted using an aminolinker column (Aminolinker column, Cruachem, Glasgrow, Scotland) at the 3'-first position, The slide glass was coated with an aldehyde residue (CEL Associates, Inc. Huston, Texas, USA).

탐침을 고정시킬 때에는 3×SSC (0.45 M NaCl, 15 mM C6H5Na3O7, pH 7.0) 완충 용액에 탐침을 용해시킨 상태로 마이크로어레이어(MicroGrid spotter, Biorobotics Inc, England)를 이용하여 스폿팅한 후, 55%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1시간 이상 화학 반응을 유도하고 6시간 이상 방치함으로써 DNA 탐침을 고정화하였다. 균 검색용 탐침은 100 pmole/μl 의 농도로 전체 탐침을 250 내지 275 ㎛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집적화시켜 탐침이 고정된 DNA 칩을 제작하였다.To fix the probe, use a microarray ( MicroGrid spotter, Biorobotics Inc, England) with the probe dissolved in 3 × SSC (0.45 M NaCl, 15 mM C 6 H 5 Na 3 O 7 , pH 7.0) buffer solution. After spotting, the DNA probe was immobilized by inducing a chemical reaction for at least 1 hour and leaving it for at least 6 hours under the condition of maintaining humidity of about 55%. The bacteria search probe was integr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 pmole / μl at intervals of 250 to 275 μm in order to prepare a DNA chip fixed with the probe.

탐침의 아민기와 유리판 위의 알데히드 사이의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져 고정화가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이브로 그린 II (SYBRO green II, Molecular Probe, Inc., Leiden, Netherlands)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reaction between the amine group of the probe and the aldehyde on the glass plate was smooth and well immobilized, it was confirmed by staining with SYBRO green II (Molecular Probe, Inc., Leiden, Netherlands).

실시예 4: 표적 시료의 분리 및 증폭Example 4: Isolation and Amplification of Target Samples

하기의 59종의 표준균주로부터 게놈 DNA를 별도로 추출하였다. Genomic DNA was separately extracted from the following 59 standard strains.

표준 균주 59종의 입수처59 standard strains 균주명Strain name 그람Gram 입수처Where to get 균주명Strain name 그람Gram 입수처Where to get 나이세리아 고노헤아Neisseria Gonohea -- ATCC10150ATCC10150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i -- KCTC2771KCTC2771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Neisseria Meninzatidis -- ATCC13100ATCC13100 아이케넬라 코로덴스Ichenella Corrodens -- ATCC51724ATCC51724 레지오넬라 뉴모필라Legionella Pneumophila -- 임상분리Clinical separation 액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이Actinomyces Israel -- ATCC12102ATCC12102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 ATCC700603ATCC700603 언에어로비오스피리룸 숙시니시프로더센스Unaerobiospyroom Succinsi Prodersense -- ATCC29305ATCC29305 모르가넬라 모르가니Morgana Morgana -- ATCC25830ATCC25830 에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Aeromonas Hydrophila -- KCCM32586KCCM32586 박테로이데스 불가투스Bacteroides vulgarus -- KCCM11423 KCCM8482KCCM11423 KCCM8482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 ATCC25922ATCC25922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batos -- ATCC8483ATCC8483 엔테로박터 에어로게네스Enterobacter Aerogenes -- KCCM11783 ATCC29751KCCM11783 ATCC29751 박테로이데스 테타이오타오미크론Bacteroides Tetaiotao Micron -- ACTC5015ACTC5015 엔테로박터 클로아케Enterobacter cloake -- KCCM40044KCCM40044 박테로이데스 프라질리스Bacteroides fragilis -- ATCC25282ATCC25282 엔테로코커스 피칼리스Enterococcus picalis ++ ATCC19433ATCC19433 벌코데리아 세파시아Vulcoderia Sephacia -- ATCC25416ATCC25416 엔테로코코스 페슘Enterococos Pesium ++ ATCC19434ATCC19434 브란하멜라 카타르할리스Branhamela Qatarihalis -- KCCM4006 ATCC43617KCCM4006 ATCC43617 오크로박트룸 안트로피Oklobactum Antropy -- ATCC49188ATCC49188 비브리오 벌른피커스Vibrio Bunnpickers -- KCTC2962KCTC2962 카디오박테리움 호미니스Cardiobacterium Hominis -- ATCC14900ATCC14900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 -- KCTC2715KCTC2715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애Corynebacterium Diphtheria ++ ATCC51696ATCC51696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 KCCM12021KCCM12021 코마모나스 아시도보란스Comamonas Ashdoborance -- ATCC9355ATCC9355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 oooooooooooooooooo 크레브시엘라 뉴모니에Crevciela New Monie -- AATCC700603AATCC700603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sense -- KCTC1299KCTC1299 크레브시엘라 옥시토카Crevciella Oxytoka -- ATCC43863ATCC43863 수테렐라 와즈워텐시스Suterella Wausworthis -- ATCC51579ATCC51579 크리서박테리움 메닌고셉티쿰Chrysbacterium meningocystum -- ATCC13253ATCC13253 쉬젤라 소네이Shigella Sonei -- KCCM11903KCCM11903 클로스트리디움 디프실Clostridium Deep Sil ++ ATCC9689ATCC9689 쉬젤라 플렉시너리Shigella Flexinary -- ATCC11836ATCC11836 클로스리디움 람모섬Clostridium Rammo Island ++ ATCC25582ATCC25582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ruginosa -- KCTC1636KCTC1636 킨젤라 킨갭Kinzela Kingap -- ATCC23330ATCC23330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 KCTC1621KCTC1621 펩토스트렙토코커스 마그누스Peptostreptococcus magnus ++ ATCC29328ATCC29328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o Epidermis ++ KCTC1917KCTC1917 펩토스트렙토코커스 언애어로비우스Peptostreptococcus free-air abyss ++ ATCC27337ATCC27337 스토마토코커스 뮤실라지노서스Stomatococcus musilaginos ++ ATCC17931ATCC17931 펩토스트렙토코코스 프레보티Peptostreptococos Prevoti ++ KCTC3319KCTC3319 스트렌트로포모나스 말토필라Stronttromonas Maltopila -- ATCC13637ATCC13637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piromonas Ginzy Balis ++ ATCC33277ATCC33277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 KCCM11823 ATCC25175KCCM11823 ATCC25175 푸소박테리움 네크로포룸Fusobacterium Necroforum -- ATCC25286ATCC25286 스트렙토코커스 비리단스Streptococcus vulidans ++ ATCC35037ATCC35037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 KCCM11381KCCM11381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 ++ 000000000000000000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Bulgari -- KCCM11539KCCM11539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젠Streptococcus piogen ++ KCCM11817KCCM11817 헤모필루스 아프로필라스Haemophilus apropyls -- ATCC13252ATCC13252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에Streptococcus pneumoniae ++ KCCM40410KCCM40410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 -- ATCC51907ATCC51907 시트로박터 프레운디Citrobacter Freundy -- ATCC51579ATCC51579

먼저, 적정배지에서 배양한 균을 200㎕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하여 1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버리고 균체만 수득하였다. First, the bacteria cultured in a titration medium was suspended in 200 μl sterile distilled water, centrifuged at 14,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to obtain only cells.

그람 음성균의 경우, 상기 균체를 ATL용액(Tissue Lysis용액, DNeasy Tissue Kit, QIAGEN) 180㎕에 부유시키고, Proteinase K 20㎕를 넣어 용균한 후, 55℃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AL용액 (Lysis용액, DNeasy Tissue Kit, QIAGEN) 200㎕를 넣고 70℃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용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용균액에 에탄올(100%) 200㎕을 넣고 섞은 후 DNeasy 미니 컬럼이 들어 있는 2mL 튜브에 전 용액을 옮겨 8,000rpm이상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하부의 튜브에 모이는 액을 제거하였다. 다시 상부 튜브에 AW1용액(Wash용액1, DNeasy Tissue Kit, Qiagen) 500㎕를 넣고 8,000rpm 이상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유출물을 제거하고, 다시 AW2용액(Wash용액2, DNeasy Tissue Kit, QIAGEN) 500㎕를 넣어 15,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DNeasy 막을 말리고, 유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DNeasy 컬럼에 용출용액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정치한 후 8,000rpm이상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게놈 DNA를 용출하였다.In the case of Gram-negative bacteria, the cells were suspended in 180 µl of ATL solution (Tissue Lysis solution, DNeasy Tissue Kit, QIAGEN), 20 µl of Proteinase K was lysed, lysed, and reacted at 55 ° C for 1 hour, followed by AL solution (Lysis). 200 μl of a solution, DNeasy Tissue Kit, QIAGEN) was added and reacted at 70 ° C. for 10 minutes, and used as a lysate solution. 200 μl of ethanol (100%) was added to the lysate solution, and the whole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2mL tube containing a DNeasy mini column. The solution collected in the lower tube was removed by centrifugation at 8,000 rpm for 1 minute. Put 500 μl of AW1 solution (Wash solution 1, DNeasy Tissue Kit, Qiagen) into the upper tube and centrifuge at 8,000 rpm or more for 1 minute to remove the effluent, and then again, AW2 solution (Wash solution 2, DNeasy Tissue Kit, QIAGEN). 500 μl was added and centrifuged at 15,000 rpm for 3 minutes to dry the DNeasy membrane, and the effluent was removed. The elution solution was added to the DNeasy column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8,000 rpm or more for 1 minute to elute genomic DNA.

그람 양성균의 경우, 상기 균체를 리소자임 용균 용액(20mm Tris-Cl, pH8.0, 2mM EDTA, 1.2% TritonX-100, 20mg/ml lysozyme) 180㎕에 현탁한 후 37℃에서 30분 이상 반응시킨 후, Proteinase K 25㎕와 AL용액(용균용액, DNeasy Tissue Kit, QIAGEN) 200㎕을 넣어 잘 섞은 뒤 70℃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용균액으로 사용하고, 이후 게놈 분리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In case of Gram-positive bacteria, the cells were suspended in 180 µl of lysozyme lysate solution (20mm Tris-Cl, pH8.0, 2mM EDTA, 1.2% TritonX-100, 20mg / ml lysozyme) and reacted at 37 ° C for 30 minutes or more. , 25 μl of Proteinase K and 200 μl of AL solution (solution solution, DNeasy Tissue Kit, QIAGEN) were mixed well and reacted at 70 ° C. for 30 minutes to use as a lysis solution, and then genome separation was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분리된 표준균주들의 DNA를 주형으로 하고 하기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시 탐침과 결합한 DNA를 확인하기 위해 5' 말단에 Cy3가 부착된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형광을 통해 결합을 확인하였다. PCR 반응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의 3개 쌍의 프라이머가 동시에 사용되었다.DNA of the isolated standard strains as a template and PCR was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primers. In order to identify DNA bound to the probe during PCR, binding was confirmed by fluorescence by amplification using a reverse primer attached to Cy3 at the 5 'end. As the primers used for the PCR reaction, the following three pairs of primers were used simultaneously.

프라이머 1-S(센스): P-TTGTACACACCGCCCGTC(1585Fw: 서열번호 8) Primer 1-S (Sense): P-TTGTACACACCGCCCGTC (1585Fw: SEQ ID NO: 8)

프라이머 1-A(안티센스): Cy3-TTTCGCCTTTCCCTCACGGTACT(23BR: 서열번호 9)Primer 1-A (antisense): Cy3-TTTCGCCTTTCCCTCACGGTACT (23BR: SEQ ID NO: 9)

프라이머 2-S(센스): P-AGTACCGTGAGGGAAAGGCGAA(23BFw: 서열번호 10)Primer 2-S (sense): P-AGTACCGTGAGGGAAAGGCGAA (23BFw: SEQ ID NO: 10)

프라이머 2-A(안티센스): Cy3-TGCTTCTAAGCCAACATCCT(MS37R:서열번호 11) Primer 2-A (antisense): Cy3-TGCTTCTAAGCCAACATCCT (MS37R: SEQ ID NO: 11)

프라이머 3-S(센스): P-AGGATGTTGGCTTAGAAGCA(MS37F: 서열번호 12)Primer 3-S (sense): P-AGGATGTTGGCTTAGAAGCA (MS37F: SEQ ID NO: 12)

프라이머 3-A(안티센스): Cy3-CCCGACAAGGAATTTCGCTACCTT(MS38R:서열번호 13) Primer 3-A (antisense): Cy3-CCCGACAAGGAATTTCGCTACCTT (MS38R: SEQ ID NO: 13)

상기 서열의 5' 말단에 표시된 P는 인산기(phosphate)를 나타내고, Cy3는 Cy3 형광물질을 나타낸다.P at the 5 'end of the sequence represents a phosphate group, Cy3 represents a Cy3 fluorescent material.

PCR 반응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10×PCR 완충액(100mM Tris-HCl(pH 8.3), 500mM KCl, 15mM MgCl2) 5μl, dNTP 혼합물(dATP, dGTP, dCTP, dTTP 각각 10mM) 1μl, 10pmole 전방향 프라이머 1 μl, 10pmole 역방향 프라이머 1 μl, 1/10로 희석한 주형 DNA(100ng) 1μl, Taq 폴리머라제(5unit/μl, Solgent Co., Korea) 0.2μl를 첨가한 후 총 부피가 50μl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PCR reaction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5 μl of 10 × PCR buffer (100 mM Tris-HCl, pH 8.3), 500 mM KCl, 15 mM MgCl 2 , 1 μl of dNTP mixture (10 mM each of dATP, dGTP, dCTP, dTTP), 1 μl of 10 pmole forward primer, 1 μl of 10 pmole reverse primer , 1 μl of template DNA (100 ng) diluted to 1/10, 0.2 μl of Taq polymerase (5 unit / μl, Solgent Co., Korea) were added, and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a total volume of 50 μl.

94℃에서 5분간 첫번째 변성을 수행한 후, 변성 94℃에서 50초, 교잡(annealing) 56℃에서 50초, 연장(extension) 72℃에서 1분 1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10회 반복한 후, 변성 94℃에서 50초, 교잡 58℃에서 50초, 연장 72℃에서 1분 1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20회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5분간 마지막 연장을 1회 수행하였다. PCR 반응결과로 생성된 산물은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법(agarose gel electrophoresis)으로 각 균주들에 대해 DNA 이중 가닥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CR을 통해 얻어진 DNA는 PCR 정제키트(QIAGEN Co.)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람다엑소뉴클레아제(New England Biolabs Inc., Netherlands)를 1 μl 첨가하여 37℃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단일가닥 DNA를 얻었다. 람다엑소뉴클레아제는 5' 말단에 인산기가 붙어있는 DNA 가닥을 선택적으로 절단시켜 분해하는 효소이다. 그러므로, 5' 말단에 인산기를 붙여 합성한 전방향 프라이머를 가지고 PCR을 수행하게 되면 PCR 산물의 DNA가닥에 인산기가 붙게 된다. 여기에, 람다엑소뉴클레아제를 처리하게 되면 증폭된 DNA 이중가닥 중 5' 말단에 인산기가 붙어있는 가닥은 분해되기 때문에 결국에는 5' 말단에 Cy3 형광물질이 붙어 있는 단일가닥만이 남아있게 된다.After the first denaturation at 94 DEG C for 5 minutes, 10 cycles of 50 seconds at denaturation 94 DEG C, 50 seconds at 56 DEG C, and 1 minute 10 seconds at extension 72 DEG C, were repeated 10 times. After 20 cycles of 50 seconds at 94 DEG C, 50 seconds at 58 DEG C, and 1 minute 10 seconds at 72 DEG C extension, the final extension was performed once at 5 DEG C for 5 minutes. The product produced by the PCR reaction was confirmed by the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garose gel electrophoresis) DNA double strands were synthesized for each strain. DNA obtained through PCR was purified using a PCR purification kit (QIAGEN Co.), 1 μl of lambda exonuclease (New England Biolabs Inc., Netherlands) was added and reacted at 37 ° C. for 1 hour. Strand DNA was obtained. Lambda exonucleases are enzymes that selectively cleave and digest DNA strands with phosphate groups at the 5 'end. Therefore, when PCR is performed with an omnidirectional primer synthesized by attaching a phosphate group to the 5 'end, the phosphate group is attached to the DNA strand of the PCR product. In addition, when the lambda exonuclease is treated, the strand having the phosphate group attached to the 5 'end of the amplified DNA double strand is decomposed, so that only the single strand with the Cy3 fluorescent material attached to the 5' end remains. .

실시예 5: 혼성화 및 세척Example 5: Hybridization and Washing

탐침 후보군의 특이성과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에서 증폭한 PCR 생성물을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핵산 탐침이 고정된 DNA 칩에 적용하여 혼성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핵산 탐침이 고정된 DNA 칩을 대장균 표준균주로부터 분리한 게놈 유전자의 PCR 산물과 혼성화시킨 후 시그널이 나타나는 경우, 대장균 이외의 상기 58종 균주에 대해서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지에 대하여 시험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the probe candidate group, a hybrid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PCR product amplified in Example 4 to the DNA chip to which the nucleic acid probe prepared in Example 3 was immobilized. When the DNA chip in which the nucleic acid probe was immobilized was hybridized with the PCR product of the genomic gene isolated from the E. coli standard strain, the signal was tested for cross-reaction with the 58 strains other than E. coli.

유리판에 핵산 탐침이 고정된 DNA 칩에 수증기를 씌워 가수화시킨 후, 70% 에탄올에 담금질함으로써 유리판에 고정되지 않은 탐침을 제거시켰다. 이후에, 혼성화 과정 중에 형광물질이 유리판 표면에 남아있는 알데하이드 잔기에 부착되어 전체적인 시그널을 높여 특이적인 탐침의 시그널 효과를 저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리판을 차단용액(blocking solution)(1.3g NaBH4, 375ml PBS, 125ml 100% 에탄올)에 담근 후 교반기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0.2% SDS로 5분간 세척 후, 멸균수로 1분간 5번 세척해준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였다(1,500rpm, 3분간).The DNA plate having the nucleic acid probe fixed on the glass plate was hydrolyzed by steam, and then immersed in 70% ethanol to remove the probe that was not fixed on the glass plate. Subsequently, during the hybridization process, the glass plate was blocked with a blocking solution (1.3 g NaBH 4 , in order to prevent the fluorescent material from adhering to the aldehyde residue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signal and inhibiting the signal effect of the specific probe. 375ml PBS, 125ml 100% ethanol) and then reacted for 5 minutes in a stirrer. After washing for 5 minutes with 0.2% SDS, and then washed 5 times for 1 minute with sterile water, water was removed from the glass plate using a centrifuge (1,500rpm, 3 minutes).

혼성화시킬 용액은 혼성화완충용액(hybridization buffer: 6×SSPE; 20X SSPE; 3M NaCl, 0.2M NaH2PO4·H2O, 0.02M EDTA, pH 7.4, 20% (v/v) 포름아미드; Sigma Co., St. Louis)에 실시예 4에서 증폭시킨 DNA 단편을 50㎕ 넣어서 총 부피가 20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탐침이 고정화되어 있는 유리판 위에 분주한 후 프로브-클립 프레스-씰 배양실(probe-clip press-seal incubation chamber, Sigma Co., St. Louis, MO.)로 덮었다.To hybridization solution hybridization buffer solution (hybridization buffer: 6 × SSPE; 20X SSPE; 3M NaCl, 0.2M NaH 2 PO 4 · H 2 O, 0.02M EDTA, pH 7.4, 20% (v / v) formamide; Sigma 50 μl of the DNA fragment amplified in Example 4 was prepared in a total volume of 200 μl. The prepared solution was dispensed onto the glass plate on which the probe was immobilized and then covered with a probe-clip press-seal incubation chamber (Sigma Co., St. Louis, Mo.).

혼성화되는 동안 유리판 주변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혼성화 챔버에 물기가 있는 휴지를 넣은 후, 30℃ 항온 배양기(static incubator)에서 8시간 이상 반응시켜 상보적인 결합을 유도하였다. 시간이 경과한 후 3× SSPE (0.45M NaCl, 15mM C6H5Na3O7, pH 7.0), 1×SSPE (0.15M NaCl, 5mM C6H5Na3O7, pH 7.0) 순으로 각각 5분씩 세척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였다(1,500rpm, 3분간).To prevent drying around the glass plate during hybridization, a wet tissue was placed in the hybridization chamber, followed by reaction for at least 8 hours in a 30 ° C. static incubator to induce complementary binding. After elapse of time, 3 × SSPE (0.45M NaCl, 15 mM C 6 H 5 Na 3 O 7 , pH 7.0), then 1 × SSPE (0.15M NaCl, 5mM C 6 H 5 Na 3 O 7 , pH 7.0) After washing for 5 minutes each, the water on the glass plate was removed using a centrifuge (1,500 rpm, 3 minutes).

실시예 6: 하이브리드의 검출Example 6 Detection of Hybrid

혼성화 반응의 결과는 어레이웍스 마이크로 어레이 스캐너 (ArrayWorks, Applied Precision, Inc., USA)를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 에 나타나 있다.The results of the hybridization reactions were retrieved using an ArrayWorks micro array scanner (ArrayWorks, Applied Precision, Inc., US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명 칭Name 염기서열Sequence 서열 번호Sequence number 위치location 특 이 성Featured Castle Eco001Eco001 GTTAGCGGTAACGCGGTTAGCGGTAACGCG 1One 23S23S 표 2의 균주로부터 유래된 어떠한 표적 DNA와도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 reaction occurs with any target DNA derived from the strains in Table 2. Eco001mEco001m GTTAGTGGAAGCGTCGTTAGTGGAAGCGTC 22 23S23S 표 2의 균주 중 S. enterica, S. sonnei, S.typhimurium를 제외한 56종에서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reaction occurred in 56 strains except S. enterica, S. sonnei and S. typhimurium . Eco001-20Eco001-20 GTGTTAGTGGAAGCGTCTGGGTGTTAGTGGAAGCGTCTGG 33 23S23S 표 2의 균주 중 B. cepacia , B,vulgatus, C. freundii , C. hominis, C. ramosum, E. aerogenes, E. cloacea, K. pneumoniae, M. morganii, O. anthropi , P. aeruginosa ,P. mirabilis , Rothia , S. agalactiae, S. enerica, S. flexneri, S. marcescens, S. sonnei, S. typhimurium, S. wadsworthi, V. cholera를 제외한 38종에서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Among the strains of Table 2, B. cepacia , B. vulgatus, C. freundii , C. hominis, C. ramosum, E. aerogenes, E. cloacea, K. pneumoniae, M. morganii, O. anthropi , P. aeruginosa, P . Cross-reaction did not occur in 38 species except mirabilis , Rothia , S. agalactiae, S. enerica, S. flexneri, S. marcescens, S. sonnei, S. typhimurium, S. wadsworthi, and V. cholera . Eco001-25Eco001-25 ATGGGGTTAGCGGTAACGCGAAGCT ATGGGGTTAGCGGTAACGCGAAGCT 44 23S23S 표 2의 균주 중 P. aeruginosa , P. mirabilis를 제외한 57종에서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reaction occurred in 57 strains except P. aeruginosa and P. mirabilis . Eco002Eco002 ATGCACATATTGTGA ATGCACATATTGTGA 55 23S23S 표 2의 균주로부터 유래된 어떠한 표적 DNA와도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 reaction occurs with any target DNA derived from the strains in Table 2. Eco003-20Eco003-20 GTGCTGAAGCAACAAATGCC GTGCTGAAGCAACAAATGCC 66 23S23S 표 2의 균주 중 K. pneumoniae, M. morganii, S. enterica, S. typhimurium를 제외한 55종에서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reaction occurred in 55 strains except for K. pneumoniae, M. morganii, S. enterica, and S. typhimurium . Eco003-25 Eco003-25 CGGTGCTGAAGCGACAAATGCCCTG CGGTGCTGAAGCGACAAATGCCCTG 7 7 23S 23S 표 2의 균주 중 C. freundii, E. cloacea, K. pneumoniae, M. morganii, S. enterica, S. typhimurim를 제외한 53종에서 교차반응 일어나지 않음.No cross-reaction occurred in 53 strains except C. freundii, E. cloacea, K. pneumoniae, M. morganii, S. enterica, and S. typhimurim .

실시예 7: 블라인드 시험Example 7: Blind Test

실시예 3에서 제작된 DNA 칩을 이용하여 대장균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1의 A 및 도 2의 A는 블라인드 시험을 위한 DNA 칩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기재된 명칭은 상기 표 1 에 수록된 탐침이 유리판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포지션 마커로서 아민 3`-AAAAAAAAAAAAAAA-5'-FITC를 사용하였으며, M으로 표기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서 탐침을 녹인 버퍼(3X SSC)를 사용하였고, 빈칸으로 표시하였다. The blind test for Escherichia coli was carried out using the DNA chip prepared in Example 3. 1A and 2A illustrate the design of a DNA chip for blind testing. The names described in these figures indicate the positions where the probes listed in Table 1 above are fixed to the glass plates. Amine 3'-AAAAAAAAAAAAAAA-5'-FITC was used as the position marker, denoted M, and a buffer in which the probe was dissolved (3X SSC)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blanked.

본 실시예에 사용된 검체는 63 명의 병원성 감염 환자의 특정 부위로부터 채취된 것을 하루동안 배양후 얻은 샘플이며, 균의 감염여부는 배양방법에 의해 확인하였다.The sample used in this example is a sample obtained after culturing for one day from a specific site of 63 pathogenic infection patients, and the bacterial infection was confirmed by the culture method.

배양된 검체로부터 게놈 DNA를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검체가 체액인 경우, 10ml의 체액을 EDTA 튜브 혹은 플레인 튜브(plain tube)에 수집하였다. 검체의 양이 10ml 이상이면 5,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10ml 이하이면 14,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뒤 침전물을 1.5ml 튜브에 모았다. 상기 침전물을 리소자임 완충액(20mM Tris-Cl, pH 8.0, 2mM EDTA, 1.2% Triton X-100, 20㎎/㎖ lysozyme) 180㎕에 현탁하여, 37℃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프로테이나제 K 20㎕와 AL용액 (Lysis용액,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200㎕를 넣어 부드럽게 섞은 후 55℃에서 2시간 반응시키고, 다시 9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100% 에탄올 200㎕를 넣고 섞은 후 QIAamp 스핀 컬럼이 들어 있는 2㎖ 튜브에 전 용액을 옮겨 8,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튜브에 모이는 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스핀 칼럼에 AW1용액(Wash용액1,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500㎕를 넣고 8,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유출물을 버리고 다시 AW2용액(Wash용액2,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500㎕를 넣어 14,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유출물을 버렸다. QIAamp 스핀 컬럼을 1.5㎖의 새 튜브에 옮기고 AE용액(Elution용액, DNA Blood Mini Kit, QIAGEN) 300㎕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정치한 후 8,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게놈 DNA를 용출하였다. 상기 용출액에 100% 에탄올 750㎕를 넣어 -20℃에서 1시간 정치한 후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물인 에탄올을 버리고 건조시킨 뒤 DNA 펠렛은 20㎕ 멸균된 증류수에 녹여 농축시켰다.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samples as follows. If the sample was a bodily fluid, 10 ml of the bodily fluid was collected in an EDTA tube or a plain tube. If the amount of the sample is more than 10ml centrifuged for 15 minutes at 5,000 × g, if less than 10ml was centrifuged for 15 minutes at 14,000rpm and the precipitate was collected in a 1.5ml tube. The precipitate was suspended in 180 μl of lysozyme buffer (20 mM Tris-Cl, pH 8.0, 2 mM EDTA, 1.2% Triton X-100, 20 mg / ml lysozyme), incubated at 37 ° C. for 30 minutes, and then proteinase K 20 200 μl and 200 μL of AL solution (Lysis solution,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were gently mixed and reacted at 55 ° C. for 2 hours, and then at 95 ° C. for 10 minutes. After adding 200 μl of 100% ethanol and mixing, the whole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2 ml tube containing a QIAamp spin column, and centrifuged at 8,000 rpm for 1 minute to remove the liquid collected in the tube. 500 μl of AW1 solution (Wash solution 1,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was added to the spin column, and centrifuged at 8,000 rpm for 1 minute to discard the effluent. Then, AW2 solution (Wash solution 2,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was discarded. ) 500 μl was added and centrifuged at 14,000 rpm for 1 minute to discard the effluent. The QIAamp spin column was transferred to a new 1.5 ml tube, and 300 µl of AE solution (Elution solution, DNA Blood Mini Kit, QIAGEN) was plac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8,000 rpm for 3 minutes to elute genomic DNA. 750 μl of 100% ethanol was added to the eluate, and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20 ° C. for 1 hour,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14,000 rpm for 20 minutes. The supernatant of ethanol was discarded and dried.

검체가 혈액인 경우, 10ml 혈액을 EDTA 튜브에 샘플링하였다. 4℃, 1,8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 층을 1.5㎖ 튜브에 나누어 담고, 1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뒤 침전물을 1.5㎖ 튜브에 나누어 담은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게놈 DNA를 농축하였다. If the sample was blood, 10 ml blood was sampled into an EDTA tube. The plasma layer was divided into 1.5 ml tubes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1,800 rpm for 10 minutes, centrifuged at 14,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 precipitate was divided into 1.5 ml tubes, followed by concentrating genomic DNA. .

증폭, 혼성화 반응, 세척 및 하이브리드의 검출은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였으며, 분모는 검체의 적용 횟수이고 분자는 혼성화에 의한 시그널이 나타난 횟수를 가리킨다.Amplification, hybridization reaction, washing and detection of hybrid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ample 4 and Example 5 abov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the denominator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e sample is applied and the molecule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by hybridization appeared.

혈액blood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농즙Juice 가래Phlegm 대변credit 소변Pee 대장균Escherichia coli 9/99/9 3/33/3 3/33/3 19/1919/19 1/11/1 28/2828/28

도 1의 B 및 도 2의 B는 대장균 균을 포함한 검체에 대한 블라인드 시험에서 스캔어레이 5000을 이용하여 검색된 도 1 A 및 도 2 B의 DNA 칩에서의 혼성화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 1B and FIG. 2B show hybridization reaction results in the DNA chips of FIGS. 1A and 2B searched using Scanarray 5000 in a blind test on a sample including E. coli.

실시예 8: 항생제투여가 DNA 칩의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Example 8 Experiment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on DNA Chip Sensitivity

항생제가 투여된 샘플을 사용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DNA 칩의 항생제 민감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Antibiotic sensitivity of the DNA chip prepared in Example 3 was confirmed using a sample administered with antibiotics.

균주는 대장균 (ATCC 25922)를 사용하고 항생제는 대장균이 내성을 가지지 않는 ceftriaxone(CJ, Seoul, Korea)을 사용하였다.E. coli (ATCC 25922) was used as a strain and ceftriaxone (CJ, Seoul, Korea) that E. coli was not resistant to antibiotics.

먼저, 두 번의 계대 배양을 통하여 활성화시킨 균주를 이용하여, 상기 균주가 항생제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측정하기 위해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MIC 테스트는 CLIS(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표준 배지 희석법(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Fif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M100-S15, Vol. 25, No.1, 2005)을 이용하였다. 측정된 대장균의 MIC는 0.120μg/ml이었다. First, with each strain activated through two passages, a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sensitive the strain was to antibiotics. MIC testing i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IS),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Fif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M100-S15, Vol. 25, No. 1, 2005). The measured E. coli MIC was 0.120 μg / ml.

대장균을 BHI 배지(Becton Dickinson, USA)로 희석시켜 100ml의 BHI 배지 가 담긴 플라스크 2개에 20-200 CFU/ml 되도록 각각 접종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배지에 항생제를 각 균주에 대해 0.5 MIC, 1 MIC, 2 MIC가 되도록 Endotoxin-free sterile saline(중외제약, 한국)으로 희석시켜 첨가하였다. 예를 들면, 대장균의 경우 2 MIC는 0.240μg/ml 항생제를 첨가하고, 1 MIC는 2 MIC를 2배 희석하여 첨가하고, 0.5 MIC는 1 MIC를 2배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Escherichia coli was diluted with BHI medium (Becton Dickinson, USA) and inoculated in two flasks containing 100 ml of BHI medium at 20-200 CFU / ml, respectively. Antibiotics were added to the prepared medium by diluting with Endotoxin-free sterile saline (Sino-Pharma, Korea) to 0.5 MIC, 1 MIC, and 2 MIC for each strain. For example, for E. coli, 2 MIC was added with 0.240 μg / ml antibiotic, 1 MIC was added with 2 dilutions of 2 MIC, and 0.5 MIC was added with 2 dilutions of 1 MIC.

항생제 투여 후, 각 플라스크를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배양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째에 걸쳐 6번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채취는 플라스크로부터 15ml씩 pipette으로 덜어서 15ml falcon tube에 담았다. 이 중에서 5ml를 채취하여 BACTEC/Alert 배지(Biomerieux Inc., USA)에 담아 35℃의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제조사, 제조국)에서 정치 배양하였고, 배양으로 얻어진 콜로니를 통해 추가적인 생화학적인 테스트를 거쳐 균을 동정하였다. 나머지 10ml 중 5ml을 채취하여 45ml BHI 배지에 담고, 37℃의 항온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50rpm 속도로 흔들면서 배양시켰으며, 6시간 후 모든 균을 모아서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은 5ml은 바로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게놈 DNA 추출은 각 시간별 추출한 배양액을 50ml tube에 넣고 12000rpm, 4도,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따라내고 펠렛만을 얻은 후,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Co.) 를 이용하여 DNA를 획득하였다. 한편, 각 샘플 채취 시간 별로 세포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plate count method에 따라서 100μl를 채취하여 50μl는 직접 spreading 하고, 50μl는 필요에 따라 10배 희석, 100배 희석 등을 하여 spreading 한 후, 37℃ 항온 배양기에서 배양을 하였다. After antibiotic administration, each flask was incubated at 37 ° C. and samples were taken six times over 0, 2, 4, 6, 12 and 24 hours of culture. Sampling was carried out from the flask by 15 ml pipette and placed in a 15 ml falcon tube. 5 ml of the sample was collected and placed in BACTEC / Alert medium (Biomerieux Inc., USA), and cultured in an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manufacturer, manufacturer) at 35 ° C. The colonies obtained through the culture were further biochemically tested to obtain the bacteria. I identified it. 5 ml of the remaining 10ml was collected and placed in 45ml BHI medium, and cultured by shaking at 250 rpm in a shaking incubator at 37 ° C. After 6 hours, all the bacteria were collected and genomic DNA was extracted. Finally, the remaining 5ml extracted genomic DNA immediately. Genomic DNA extraction was carried out in each 50ml of the culture medium extracted in each time, centrifuged at 12000rpm, 4 degrees, 10 minutes, followed by decanting the supernatant and pellets only, using the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Co.) Obtain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heck the number of cells for each sampling time, take 100μl according to the plate count method, spread 50μl directly, spread 50μl by 10-fold dilution, 100-fold dilution, etc. The culture was carried out in the incubator.

샘플 채취 후, 얻어진 direct DNA 추출물과 6시간 배양 후 채취한 DNA 추출물은 실시예 4의 PCR 방법을 통해 DNA를 증폭시킨 후, 이를 DNA 칩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의 배양 방법 및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얻어진 균 동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After sampling, the obtained direct DNA extract and the DNA extract obtained after 6 hours of incubation are amplified DNA by the PCR method of Example 4, and then applied to the DNA chip, and the results are cultured method of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bacterial identification obtained through biochemical tests.

표 5는 세 차례 걸쳐 실험한 결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표에서 Y는 동정된 경우를 의미하고, N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NT는 테스트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EC는 대장균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EC-0.5-02는 대장균이 포함된 배지에 0.5 MIC 항생제를 투여한 후, 2시간 후에 채취한 샘플을 의미한다. 표 상단에 표기된 Chip은 DNA 칩에 샘플을 적용한 결과이고, Cxchip은 샘플 채취 후 6시간 배양한 후 DNA 칩에 적용한 결과이며, Cx는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에서 배양 후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균을 동정한 결과를 의미한다.Table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In the table, Y means identified, N means unidentified, and NT means untested. EC refers to E. coli, for example, EC-0.5-02 refers to a sample taken 2 hours after the 0.5 MIC antibiotic administered to the medium containing E. coli. The chip shown at the top of the table is the result of applying the sample to the DNA chip, Cxchip is the result of incubation for 6 hours after sampling and Cx is the result of microbial identification after incubation in the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Means.

항생제 농도 및 처리 시간에 차에 따른 검출방법 별 효율Efficiency by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difference in antibiotic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1차 실험1st experiment 2차실험2nd experiment 3차 실험3rd experiment chipchip CxchipCxchip CxCx CFUCFU chipchip CxchipCxchip CxCx CFUCFU chipchip CxchipCxchip CxCx CFUCFU 시작start 16101610 234234 EC-0.5-00EC-0.5-00 YY YY YY 900900 YY YY YY 130130 YY YY YY 9090 EC-1-00EC-1-00 YY YY YY 900900 YY YY YY 9090 NN YY YY 230230 EC-2-00EC-2-00 YY YY YY 16001600 YY YY YY 170170 NN YY YY 250250 EC-0.5-02EC-0.5-02 YY NN YY 100100 YY YY YY 100100 YY YY YY 1010 EC-1-02EC-1-02 YY YY YY 100100 YY YY YY 00 YY YY YY 00 EC-2-02EC-2-02 YY YY YY 00 YY YY YY 00 YY YY YY 00 EC-0.5-04EC-0.5-04 YY YY YY 100100 YY YY YY 00 YY NN YY 00 EC-1-04EC-1-04 YY YY YY 00 YY YY NN 00 YY NN NN 00 EC-2-04EC-2-04 YY YY NN 00 YY NN NN 00 YY YY NN 00 EC-0.5-06EC-0.5-06 YY NTNT YY 400400 YY YY YY 00 YY YY YY 00 EC-1-06EC-1-06 NN YY NN 00 YY NN NN 00 YY YY NN 00 EC-2-06EC-2-06 YY YY YY 00 YY YY NN 00 YY YY NN 00 EC-0.5-12EC-0.5-12 YY YY YY 1070010700 YY YY NN 00 YY YY YY 110110 EC-1-12EC-1-12 YY YY NN 00 YY YY NN 00 YY NN NN 00 EC-2-12EC-2-12 YY YY NN 00 YY YY NN 00 NN NN NN 00 EC-0.5-24EC-0.5-24 NN NN YY 4.44E+114.44E + 11 YY YY NN 00 YY NN YY 7.59E+047.59E + 04 EC-1-24EC-1-24 YY YY NN 00 YY YY NN 00 YY YY NN 00 EC-2-24EC-2-24 YY YY NN 00 YY YY NN 00 YY YY NN 00

이상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서 선택한 탐침으로 구성된 DNA 칩이 기존의 배양 검사 결과보다 항생제 투여에 대해 덜 민감하며, 더욱 정확한 동정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rough the above experiments, the DNA chip consisting of the probe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less sensitive to antibiotic administration than the conventional culture test results, and more accurate identification results could be obtained.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specific description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omething to do. Thu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대장균 게놈의 23S rRNA 유전자에서 대장균에 특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DNA칩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탐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 coli DNA chip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 coli and a probe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E. coli consisting of the oligonucleotides. It works.

본 발명에 따른 DNA 칩을 사용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인 샘플 배양에 의하여 감염성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균 감염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상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투여 여부에 영향을 받지않아 더욱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By using the DN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bacterial infection be diagnos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the method of diagnosing an infectious disease by sample culture, which is currently used, but also is not affected by the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used in the clinic. Therefore,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110> MEDIGENES.Co.,Ltd <120>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130> P05-B368 <160> 1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1 gttagcggta acgcg 15 <210> 2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2 gttagtggaa gcgtc 15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 gtgttagtgg aagcgtctgg 20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4 atggggttag cggtaacgcg aagct 25 <210> 5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5 atgcacatat tgtga 15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6 gtgctgaagc aacaaatgcc 20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7 cggtgctgaa gcgacaaatg ccctg 25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ttgtacacac cgcccgtc 18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tttcgccttt ccctcacggt act 23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agtaccgtga gggaaaggcg aa 22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tgcttctaag ccaacatcc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ggatgttgg cttagaagca 20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cccgacaagg aatttcgcta cctt 24 <110> MEDIGENES.Co., Ltd <120>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130> P05-B368 <160> 1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1 gttagcggta acgcg 15 <210> 2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2 gttagtggaa gcgtc 15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3 gtgttagtgg aagcgtctgg 20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4 atggggttag cggtaacgcg aagct 25 <210> 5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5 atgcacatat tgtga 15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6 gtgctgaagc aacaaatgcc 20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400> 7 cggtgctgaa gcgacaaatg ccctg 25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ttgtacacac cgcccgtc 18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tttcgccttt ccctcacggt act 23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agtaccgtga gggaaaggcg aa 22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tgcttctaag ccaacatcc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ggatgttgg cttagaagca 20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cccgacaagg aatttcgcta cctt 24

Claims (2)

하기 염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DNA 칩:E. coli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DNA c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oligonucleotide having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is fixed: GTTAGCGGTAACGCG (서열번호 1);GTTAGCGGTAACGCG (SEQ ID NO: 1); GTTAGTGGAAGCGTC (서열번호 2);GTTAGTGGAAGCGTC (SEQ ID NO: 2); GTGTTAGTGGAAGCGTCTGG (서열번호 3);GTGTTAGTGGAAGCGTCTGG (SEQ ID NO: 3); ATGGGGTTAGCGGTAACGCGAAGCT (서열번호 4);ATGGGGTTAGCGGTAACGCGAAGCT (SEQ ID NO: 4); ATGCACATATTGTGA (서열번호 5);ATGCACATATTGTGA (SEQ ID NO: 5); GTGCTGAAGCAACAAATGCC (서열번호 6); 및GTGCTGAAGCAACAAATGCC (SEQ ID NO: 6); And CGGTGCTGAAGCGACAAATGCCCTG (서열번호 7).CGGTGCTGAAGCGACAAATGCCCTG (SEQ ID NO: 7). 하기의 염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대장균 검출 및 동정용 탐침:E. coli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probe comprising one or more oligo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nucleotides having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GTTAGCGGTAACGCG (서열번호 1);GTTAGCGGTAACGCG (SEQ ID NO: 1); GTTAGTGGAAGCGTC (서열번호 2);GTTAGTGGAAGCGTC (SEQ ID NO: 2); GTGTTAGTGGAAGCGTCTGG (서열번호 3);GTGTTAGTGGAAGCGTCTGG (SEQ ID NO: 3); ATGGGGTTAGCGGTAACGCGAAGCT (서열번호 4);ATGGGGTTAGCGGTAACGCGAAGCT (SEQ ID NO: 4); ATGCACATATTGTGA (서열번호 5);ATGCACATATTGTGA (SEQ ID NO: 5); GTGCTGAAGCAACAAATGCC (서열번호 6); 및GTGCTGAAGCAACAAATGCC (SEQ ID NO: 6); And CGGTGCTGAAGCGACAAATGCCCTG (서열번호 7).CGGTGCTGAAGCGACAAATGCCCTG (SEQ ID NO: 7).
KR1020050132060A 2005-12-28 2005-12-28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KR200700696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060A KR20070069676A (en) 2005-12-28 2005-12-28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060A KR20070069676A (en) 2005-12-28 2005-12-28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676A true KR20070069676A (en) 2007-07-03

Family

ID=3850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060A KR20070069676A (en) 2005-12-28 2005-12-28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96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888A1 (en) * 2007-01-08 2008-07-17 Medigenes Co., Ltd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888A1 (en) * 2007-01-08 2008-07-17 Medigenes Co., Ltd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648B2 (en) Methods and kits for identifying antibiotic-resistant microorganisms
KR100781558B1 (en) Nucleic Acid Probes for Detection of Actinomyces israelii
JP2006525809A5 (en)
JP2002537824A (en) Bacterial identification
US20100167956A1 (en)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KR20070069680A (en) Dna chip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US20100167951A1 (en) Dna chip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KR20070069676A (en) Dna chip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KR100781559B1 (en) Nucleic Acid Probes for Detection of Candida albicans
KR100617643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KR100617640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Kingella kingaep
KR100577438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Bacteroides ovatus bacilli
KR100617645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Eikenella corrodens
KR100577444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Enterobacter aerogenes bacilli
KR100577449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Klebsiella oxytoca bacilli
KR100577456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Comamonas acidovorans bacilli
KR100577458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Peptostreptococcus prevotii bacilli
KR100577460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Peptostreptococcus magnus bacilli
KR100577453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Chryseobacterium meningosepticum bacilli
KR100577454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bacilli
KR100577440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acilli
KR100577412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bacilli
KR100577404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Bacteroides vulgatus bacilli
KR100577397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Branhamella catarrhalis bacilli
KR100577455B1 (en) DNA chips for Detection of Bacteroides fragilis bacil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