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096A -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096A
KR20070069096A KR1020070038047A KR20070038047A KR20070069096A KR 20070069096 A KR20070069096 A KR 20070069096A KR 1020070038047 A KR1020070038047 A KR 1020070038047A KR 20070038047 A KR20070038047 A KR 20070038047A KR 20070069096 A KR20070069096 A KR 2007006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ortable terminal
main body
electromagnets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907B1 (ko
Inventor
홍봉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9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전화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의 외측부분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의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서 상기 전자석을 향하여 설치되고, 극이 교대로 복수개의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전자석의 연속적인 극성 변화에 의하여,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본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 개폐된다.
휴대폰, PDA,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with slider}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단말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의 단말기의 예시도.
도 3a는 슬라이더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예시도.
도 3b는 슬라이더가 닫히는 방향으로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전자석의 극성변화를 위한 예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온오프 및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최초의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여러가지 기능이 수행되고 있으며, 폴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폴더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 슬라이딩 타입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체를 개폐하면서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시켜서 여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가 온되거나, 전화를 받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서 여는 것에 의하여,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 중에서 원하는 기능의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더가 완전히 열린 상태 또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데이터의 송수신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여러 가지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본체(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가 전면에 설치거나, 슬라이더(20)를 열지 않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간단한 입력키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는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데, 이러한 지지구조는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슬라이딩을 위한 내부 구조에 대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슬라이더(20)는, 한 쌍의 스프링(12,14)에 의하여 지지되어, 완전히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통상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스프링(12) 및 제2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20)가 완전히 열린 상태 또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12) 및 제2스프링(14)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2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에 지지된다. 도 1의 (a)에 도시한 상태는 슬라이더(20)가 닫힌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12) 및 제2스프링(14)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각각의 양단부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를, 도면상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스프링(12,14)은 압축된다. 즉, 슬라이더가 일정 수준 상방으로 이동하여 (b)에 도시한 상태가 되면 상기 스프링(12,14)의 압축력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가 약간 이라도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0)는 스프링(12,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완전하게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b)의 상태에서, 사용사자 상기 슬라이더(20)를 상방으로 조금 더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12,14)은 슬라이더(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슬라이더(20)에 가하게 되어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c)에 도시한 상태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완전히 상방으로 이동하여 열린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a)의 상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프링(12,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0)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20)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더(20)를 적어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힘의 변환점 위치(한 쌍의 스프링이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넘도록 밀어올려야 한다. 이러한 점은 전자동화 추세에 있는 최근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면 슬라이더와 본체와의 충격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여 피로하중이 쌓이게 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이 문제시될 수도 있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써; 상기 본체 내부의 외측부분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서 상기 전자석을 향하여 설치되고, 극이 교대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전자석의 연속적인 극성 변화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과 복수개의 전자석의 사이에서 교대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를 보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휴대용 단말기로써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전면에는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입력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면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상기 슬라이더(200)를 열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몇개의 기능키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 고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더(200)와 본체(100)의 연결구조는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더(200)와 인접하는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전자석(110,120,130)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110,120,130)은 상기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범위까지 직선상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복수개의 영구자석(210,220,230)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영구자석(210,220,230)은, 상기 전자석(110,120,130)과 인접하는 대향위치에 설치되어,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210,220,230)은, 상기 전자석을 향하는 방향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전자석(210)과 전자석(230)은, 그 내측방향(전자석을 향한 방향)에는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배열되고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석(220)은 내측방향(전자석을 향상 방향)이 상기 전자석(210) 또는 전자석(230)과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는 N극과 S극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서로 일렬로 배열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영구자석은 N극과 S극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태가 될 것이고,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다른 극성이 서로 순차적으로 교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영구자석은, 극성이 순차적으로 서로 바뀐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전자석(110,120,130)은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서 형성되는 자력의 극성이 바뀌는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에 고정된 영구자석은 상기 전자석에 대하여 교대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110,120,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서 인력 및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200)를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더의 기본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0)의 영구자석(210,220)은 서로 극이 다른 것이 인접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 설치되는 전자석(110,120,130)은 전류의 흐름을 순간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영구자석과의 관계에서 인력 및 척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a는 상기 슬라이더(200)가 화살표(A)방향(예를 들면 슬라이더가 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전자석(110,120)은 영구자석(210,220)과는 각각 인력이 발생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석(120,130)은 영구자석(210,220)과 각각 척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200)는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가 1피치(상기 전자석 및 영구자석의 배열 간격) 만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자석(110,120,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이러한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영구자석(210,220)과 전자석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 및 척력은, 상기 슬라이더(200)를 본체(10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b는, 상기 슬라이더(200)가 화살표(B) 방향(예를 들면 슬라이더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영구자석과 전자석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은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고, 척력은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상기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의 전자석(110)에 교대로 극성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전기적 회로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10)은, 철심과 같은 도체(150)에 코일(160)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160)의 양단에는 제1스위칭모듈(150)과 제2스위칭모듈이(15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칭모듈(150)에는 전원공급단자(160)로부터 직렬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Q1) 및 제 2트랜지스터(Q2)가 구비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자에는 상기 자석(110)의 극성을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입력단자(17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는 제 1반전기(152)가 연결된다.
상기 제 2스위칭모듈(154)에는 전원공급단자(160)로부터 직렬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4트랜지스터(Q4)가 구비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단자에는 상기 자석의 극성을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입력단자(17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는 제 2반전기(156)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 및 제2트랜지스터(Q2)의 연결점에 상기 코일(16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 4트랜지스터(Q4)의 연결점에 자석(160)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단자는 상 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단자(170)는 핸드폰에 구비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그와 같이 구성된 자석에 신호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자성 변화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신호입력단자(170)에 하이레벨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와 제4트랜지스터(Q4)는 턴온 동작하며, 제1반전기(152)와 제2반전기(156)가 연결된 제 2트랜지스터(Q2) 및 제 3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원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 단자를 통해 코일(160)에게로 전달되며, 타단의 코일을 통해 제 4트랜지스터(Q4)로 흐르게된다. 이때 전류 흐름에 따라 상기 자석은 자성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전류 공급단부인 'A'는 S극, 전류 출력단부인 'B'는 N극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신호입력단자(170)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Q1)및 제4트랜지스터(Q4)는 베이스단자로의 로우레벨 신호로 인하여 턴오프 동작되고, 반대로 제2(Q2)및 제3트랜지스터(Q3)는 제 1(152) 및 제 2반전기(156)에 의해 하이레벨 상태로 천이되어 턴온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입력단자(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제3트랜지스터(Q3)를 통해 상기 자석의 하단으로 공급되며 코일(160)에 흐르는 전류는 제2트랜지스터(Q2)를 통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술한 하이레벨 신호시의 극성과는 반대로 전류 공급단부측인 'B'가 S극, 전류 출력단부측인 'A'가 N극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전류방향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극성이 순차적으로 변화되고, 이렇게 변화되는 극성에 의하여 영구자석과의 사이에서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더(200)는 본체(10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더(200)를 열고자 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는 등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를 본체 내부의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자석(210,220,2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의 방향이 교호로 흐르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영구자석은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과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더(200)는 멈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완전히 열린상태에서는, 전류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200)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200)를 열어서 단말기를 사용한 후에는,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동작시키면 된다. 즉 버튼을 눌러서 슬라이더를 닫고자 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석에는 상기 슬라이더(200)를 닫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0)를 여는 동작과는 반대방향으로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류가 제어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완전히 닫힌 상태 또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과 영구자석은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은, 자력에 의한 인력 및 척력 형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0)의 영구자석과 본체(100)의 전자석은, 서로가 중간부분에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자력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개폐하는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전자석(110,120,130)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영구자석(210,220,2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배치 및 기능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100)와 슬라이더(200) 사이에는 한 쌍의 스프링(Sa,S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Sa,Sb)은, 상기 슬라이더(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a) 또는 완전히 열린상태(c)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상기 슬라이더(200)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200)가 변환점(두 개의 스프링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부분)에서 어느 일측으로도 조금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200)를 열거나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은 양단부를 가지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Sa,Sb)의 각각의 제1단부는 상기 슬라이더(200)에 지지되고, 각각의 제2단부는 본체(10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0)이 이동하 게 되면, 상기 본체(100)에 고정된 제2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200)와 같이 제1단부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Sa,Sb)는 압축되거나 신장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200)가 (b)에 도시한 만큼 중간 정도의 부분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Sa,Sb)는 최대로 압축되면서, 실질적으로 양자가 균형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그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2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더(200)를 변환점[예를 들면 (b)에 도시한 상태]까지는 전자석(110,120,130) 및 영구자석의 힘에 의하여 이동시키고, 변환점을 지난 후에는 상기 스프링(Sa,Sb)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를 변환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석(110,120,13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장과 상기 영구자석(210,220,230)에서 발생하는 자장 사이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구동시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의 개폐시, 상기 스프링(Sa,Sb)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변환점을 지날 때까지만 전자석 및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하고, 그 이후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완전히 개폐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는 상기 슬라이더가 변환점을 지날 때까지만 공급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변환점이란, 상기 두 개의 스프 링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어, 슬라이더(200)가 본체(100)의 중간부근에서 멈출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함은 상술한 바와 같고, 슬라이더(200)가 이러한 변환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완전히 닫히는 방향 또는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더(200)가 전자석 및 영구자석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개폐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전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본체에 대하여 개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슬라이더의 개폐가 자동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더의 개폐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더에 가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과도한 힘 또는 피로하중에 의한 제품의 손상 없이, 장기간 보다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Claims (1)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써;
    상기 본체 내부의 외측부분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서 상기 전자석을 향하여 설치되고, 극이 교대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전자석의 연속적인 극성 변화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과 복수개의 전자석의 사이에서 교대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38047A 2007-04-18 2007-04-18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116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47A KR101161907B1 (ko) 2007-04-18 2007-04-18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47A KR101161907B1 (ko) 2007-04-18 2007-04-18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15A Division KR100745802B1 (ko) 2005-12-27 2005-12-27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96A true KR20070069096A (ko) 2007-07-02
KR101161907B1 KR101161907B1 (ko) 2012-07-03

Family

ID=3850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47A KR101161907B1 (ko) 2007-04-18 2007-04-18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8724A1 (en) * 2018-07-16 2020-01-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ront assembly sliding structure, and terminal having same
CN111200674A (zh) * 2018-11-16 2020-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886242B2 (en) 2020-08-06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liding ope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8724A1 (en) * 2018-07-16 2020-01-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ront assembly sliding structure, and terminal having same
CN111200674A (zh) * 2018-11-16 2020-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200674B (zh) * 2018-11-16 2021-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886242B2 (en) 2020-08-06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liding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907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8034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934924B2 (en) Bistable relay and bistable actuator
KR101161907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1279243B1 (ko) 슬라이드형 힌지 기구
RU2310252C2 (ru) Бесшумный контактор постоянного 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с низкой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ью и широким диапазоном напряжений
MXPA04003134A (es) Disyuntor de circuito capaz de controlarse de manera remota incluyendo circuito de derivacion de iman.
US7982563B2 (en) Dual-actuation-mode control device
KR10054379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방법
KR100745802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JP3678672B2 (ja) 折り畳み型情報機器
KR2003389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활주모듈.
KR100351640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672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5810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20055810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휴대폰 힌지
JP2011250393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383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67739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N111416895B (zh) 电子设备
KR10084262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11083251B (zh) 滑动助力装置
KR100826841B1 (ko) 휴대단말기용 오토 슬라이드 개폐장치
CN209912813U (zh) 一种可选择式机电继电器
KR20100098150A (ko) 휴대단말기를 개폐하는데 사용되고 자석을 갖는 슬라이드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12

Effective date: 2009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04

Effective date: 201202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