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001A - A cap for drink container and drink container - Google Patents
A cap for drink container and drink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9001A KR20070069001A KR1020060109837A KR20060109837A KR20070069001A KR 20070069001 A KR20070069001 A KR 20070069001A KR 1020060109837 A KR1020060109837 A KR 1020060109837A KR 20060109837 A KR20060109837 A KR 20060109837A KR 20070069001 A KR20070069001 A KR 20070069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suction tube
- slider
- opening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음료용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음료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도 3은 외측 쉘과 슬라이더와 내측 쉘을 분리한 설명도를 나타낸다.3 is an explanatory view in which the outer shell, the slider, and the inner shell are separated.
도 4의 (a)는 외측 쉘의 이면도를 나타내고, (b)는 슬라이더의 이면도를 나타내며, (c)는 슬라이더의 폭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4A shows a rear view of the outer shell, FIG. 4B shows a back view of the slider, and c shows a cross 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er.
도 5는 커버체측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내며, (a)는 슬라이더(71)가 슬라이드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 관한 설명도이고, (b)는 슬라이더(71)가 슬라이드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 관한 설명도이다.Fig. 5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body side, (a)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도 6은 음료용기를 분해한 종단면도를 나타낸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disassembled.
도 7은 평면 슬라이드 타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7 shows an embodiment of a planar slide type.
도 8은 평면 슬라이드 타입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a)는 음료흡입튜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음료흡입튜브가 굴곡되어 내부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at slide type,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open,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bent to close the internal flow path.
도 9는 회동 슬라이드 타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Fig. 9 shows an embodiment of a rotating slide type,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 plan view,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음료 2 : 스트로우1: drink 2: straw
10 : 음료용기용 캡 11 : 내부공간10: cap for the beverage container 11: the interior space
21 : 밸브시트 21a : 통기구멍21:
22,23 : 밸브체 30 : 용기본체22,23: valve body 30: container body
31 : 개구부 31a : 개구부의 수 나사부31: opening 31a: male thread portion of the opening
32 : 음료수용부 40 : 커버체32: beverage container 40: cover body
41 :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 수납부 42 : 밀봉재41: beverage intake storage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42: sealing material
50 : 내측 쉘 50a : 암 나사부50:
50c : 음료흡입튜브 부착대 51 :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0c: Drink suction tube attachment stand 51: Drink suction tube attachment hole
53 : 내측 쉘 가이드 레일 53a : 가이드 오목부53: inner
53b : 고정용 볼록부 54 : 밸브시트 부착구멍53b: fixing convex part 54: valve seat mounting hole
55 :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 56 : 걸림 클로(爪) 받이부55: bending point member 56: locking claw receiving portion
60 : 음료흡입튜브 60a : 튜브 구멍60:
62 : 음료흡입구 63 : 이탈방지 플랜지62: beverage intake 63: departure prevention flange
64 : 스트로우 부착부 70 : 슬라이드 홈64: Straw Attachment 70: Slide Groove
71 : 슬라이더 72 : 압입부71: slider 72: indentation
73 : 슬라이더 본체 74 : 슬라이드 편73: slider body 74: slide piece
74a,74b : 고정용 오목부 75 : 손잡이74a, 74b: fixing recess 75: handle
76 : 외측 쉘 76a : 걸림 클로(爪)76:
76b : 손가락 걸기부 77 : 외측 쉘 가이드 레일76b: finger engaging portion 77: outer shell guide rail
78 : 슬라이더용 개구부 78a :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 opening portion for the
본 발명은 스트로우 등의 음료흡입튜브가 부착된 음료용기용 캡 및 이것을 이용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ap with a beverage suction tube such as straw and a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same.
종래 개구부가 있는 용기본체에 액체음료를 넣고, 스트로우 등의 음료흡입튜브가 액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부착된 커버체에 의해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며, 마시고 싶을 때에는 음료흡입튜브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음료흡입튜브를 통해 음료를 마시는 방식의 음료용기가 공지되어 있다.When a liquid beverage is put into a container body having a conventional opening and a beverage suction tube such as a straw is allowed to block the flow of liquid,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s sealed by an attached cover body to prevent leakage of liquid and to drink. It is known to drink beverage through the beverage suction tube by allowing the liquid to flow through the beverage suction tube.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음료용기에서는 스트로우 끝이 액체음료 내부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액체음료가 따뜻할 경우에 용기 내부의 공기가 데워져 내압이 상승하므로, 음료흡입튜브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을 때 공기압에 눌린 따뜻한 액체음료가 음료흡입구로부터 분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is type of beverage container, since the end of the straw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liquid beverage, when the liquid beverage is warm,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warms up and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so when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allowed to flow liqui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pressed warm liquid beverage was ejected from the beverage inle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Therefore,
특허문헌 1은, 스트로우를 덮는 커버체의 회동부에 용기 내외의 통기구멍을 형성하고, 커버체의 개폐 또는 커버체의 개폐 로크레버(lock lever)의 회동에 의해 통기구멍의 개폐를 조작함으로써, 음료를 마시기 전에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 하는 기술을 개시한 것이다.
커버체를 개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내부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점이 있지만, 통기구멍이 회동 축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티끌이 달라붙기 쉽고, 먼지 등이 붙으면, 통기구멍의 밀폐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커버체 등이 방해가 되어 충분한 세정을 할 수 없어 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하기 쉽다.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cover body, since the vent hole is formed in the rotational shaft portion, dust and dirt tend to stick to it, and if dust or the like sticks to the vent hole, Not only does the sealing property of the sheet deteriorate, but the cover body or the like is hindered, so that sufficient cleaning cannot be performed, and hygienic problems are likely to occur.
특허문헌 2는, 스트로우의 흡입구 부분을 덮는 캡의 개방동작에 따라 용기 내외의 통기구멍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기술을 개시한 것이다.
그러나, 스트로우 캡을 수평축선둘레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한 축부에, 용기 내외의 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회동 축부에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으로서, 먼지나 티끌 등이 문제가 되며 연통로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세정이 곤란하고 분해 등의 세정 유지(maintenance)도 어렵다.However, since the valve body which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ath inside and outside of a container was provided in the shaft part which attached the straw cap so that it could swing around a horizontal axis line, the vent hole was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part similarly to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39458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9458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321741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21741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내압(內壓)의 상승에 따라 음료흡입구로부터 음료가 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하기 쉽고 세정이 용이한 음료용기용 캡 및 이것을 이용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ejected from the beverage inlet in accordance with the rise in the internal pressure,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easy to clean the beverage container cap and the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same It aims to provid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계된 음료용기용 캡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물이 새지 않게 장착할 수 있는 커버체와, 가요성을 가진 음료흡입튜브를 구비하고, 커버체는, 용기 내외를 구획하는 차폐부재와, 음료흡입튜브의 굴곡 및 신장에 따라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장치와, 차폐부재에 형성된 통기구멍을 연통 및 차단하는 통기구멍 개폐장치를 가지며, 음료흡입튜브는 음료흡입튜브 주위를 물이 새지 않도록 하여 차폐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여기서,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물이 새지 않게 장착할 수 있는 커버체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커버체를, 음료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수밀성(水密性)을 가지고 장착할 수 있다면 그 수단은 불문하며, 비틀어 넣어 부착하거나 혹은 끼워 부착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cover body which can be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water does not leak is used as long as the cover body can be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with water tightness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It may be twisted or attached.
용기본체는, 액체음료를 용기 내에 따를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용기라면, 형상이나 구조를 불문하고 모든 용기본체가 대상이 된다.The container body is a containe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liquid beverage can be poured into the container. All container bodies are irrespective of a shape or a structure.
가요성을 가진 음료흡입튜브란, 구부려도 원래대로 돌아오는 굴곡성과 신장성을 가지면 되고, 스트로우를 포함하는 음료흡입용 관재(管材) 모두를 의미하며, 실리콘 튜브를 예로 들 수가 있다.The flexible drink suction tube may have both flexibility and extensibility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it is bent, and means all of the drink suction pipes including a straw,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ilicone tubes.
또한, 음료흡입튜브는 커버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별개의 개체로 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ction tube may b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cover body or may be a separate object.
밸브장치란, 음료흡입튜브를 굴곡 및 신장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음료흡입튜브의 중간부를 굴곡하도록 외부 힘을 가하면 튜브의 내부유로가 폐쇄되고, 외부 힘을 배제하면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어 그 내부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말한 다.The valve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bending and extending a beverage suction tub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bend the middle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tube is closed. Inner channel is opened.
음료흡입튜브의 굴곡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차폐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나와 있는 부위가 조작하기 쉬워 바람직하다.The bent portion of the beverage intake 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portion which extends outward from the shielding member is easy to operate and is prefer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내외를 구획하는 차폐부재란, 음료흡입튜브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용기 내외를 연통하는 통기구멍을 가지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막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member that divid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means that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formed through and has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to cover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청구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은, 밸브장치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통기구멍 개폐장치가 통기구멍의 연통 및 차단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밸브장치의 개폐조작에, 통기구멍 개폐장치의 통기구멍의 연통 및 차단 동작을 연동시킴으로써, 밸브장치의 개폐조작만으로 용기 내외의 공기를 연통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By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the communication and blocking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hole of the ventilation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and block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container only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청구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은, 밸브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더와, 음료흡입튜브의 측부가 맞닿는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를 가지며, 슬라이더가 음료흡입튜브의 측부를 가압하면,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를 기점으로 하여 음료흡입튜브가 굴곡되어 그 내부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claimed in claim 3, the valve device includes a sliding slider which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bend point member in which the side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abuts, and the slider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When the side portion is pressed,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bent with the bending point member as a starting point to close the inner passage.
밸브장치의 바람직한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The preferable structural example of a valve apparatus is shown.
청구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은, 통기구멍 개폐장치는 밸브시트와, 슬라이더에 돌출설치된 밸브체를 가지며, 밸브시트는, 통기구멍을 갖는 동시에 차폐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따라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형성된 통기구멍에 맞닿았을 때 통기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vent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s a valve seat and a valve body protruding from the slider. The valve seat has a vent hole and is provided in the shield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utment hole formed in the valve seat abuts the vent hole.
통기구멍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구조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더에 돌출설치된 밸브체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더 조작으로써 밸브장치의 개폐와 통기구멍 개폐장치의 개폐라는 2가지 동작을 연동시킬 수가 있다.As a preferable structural example of the vent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providing a valve body protruding from the slider, two operations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be linked by the slider operation.
청구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은, 슬라이더는 적어도 두 곳에 밸브체를 가지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음료흡입튜브를 굴곡시킨 상태와, 음료흡입튜브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lider has a valve body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valve body abuts against the valve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r, and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extended. It is done.
음료흡입튜브가 굴곡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에서 밸브시트의 통기구멍을 막도록 슬라이더의 두 곳에 밸브체를 설치함으로써, 밸브장치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 모두에서 통기구멍이 차단되며, 밸브장치가 개방동작 또는 폐쇄동작의 도중에는 통기구멍이 연통된 상태가 된다.By installing the valve body in two places of the slider to block the vent hole of the valve seat in the bent and extended state of the drink suction tube, the vent hole is blocked in both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In the middle of the opening operation or the closing operation, the vent hol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밸브장치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흡인튜브가 굴곡되어 있어 내부유로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또한 통기구멍이 차단된 상태에 있으므로, 따뜻한 액체음료에 의해 용기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내부압이 상승하지만, 밸브장치를 개방하기 시작하면, 먼저 밸브체가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지므로 통기구멍으로부터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오고 그 후에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므로,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로부터 따뜻한 음료가 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Therefore, when the valve device is closed, the suction tube is bent, the internal flow path is in a closed state, and the vent hole is blocked, so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is expanded by a warm liquid beverage and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When the valve device starts to open, the valve body is first released from the valve seat, so the internal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vent hole to the outside, and afterwards,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elongated, so that the hot beverage is ejected from the beverage suction port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Effectively prevents.
청구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은, 커버체는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를 수납하는 음료흡입구 수납부를 가지며, 슬라이더가 음료흡입튜브의 측부를 가압하여 음료흡입튜브를 굴곡시키면 음료흡입구가 음료흡입구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cover body has a beverage intak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intake of the beverage intake tube, and when the slider presses the side of the beverage intake tube to bend the beverage intake tube, the beverage intake is the beverage intake accommod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oused in.
커버체에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 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더가 폐쇄되었을 때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가 커버체에 수납되어, 용기 외부로 음료흡입튜브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위생적으로 된다.By installing the beverage intake storage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in the cover body, the beverage suction opening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stored in the cover body when the slider is closed, so that the beverage suction tube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container, thus becoming hygienic. .
청구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은, 커버체는 외측 쉘과 내측 쉘과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며, 외측 쉘에는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쉘에는 밸브시트를 갖는 차폐부재와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와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는, 밸브시트에 맞닿는 밸브체를 두 곳에 가지며, 또한 외측 쉘과 내측 쉘의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 쉘에 형성된 음료흡입구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이동할 때, 통기구멍 개폐장치가 통기구멍을 차단한 상태에서 연통시킨 상태가 된 후에 밸브장치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가 되며,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가 음료흡입구용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슬라이더가 완전개방상태일 때는 통기구멍 개폐장치는 다시 통기구멍을 차단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cover body comprises an outer shell, an inner shell, and a slider, and the outer shell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a beverage suction port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and the shielding member having a valve seat and an inner shell are curved. The point member and the beverage suction port receiving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are provided, and the slider has two valve bodie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and is provided to be slidable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intake opening formed in the outer shell, when the slider mov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valve device is opened in the closed state after the vent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ent hole. The beverage suction port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protrudes from the opening for the beverage suction hole, and the slider is completely open. The vent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e of blocking the vent hole again.
커버체의 바람직한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The preferable structural example of a cover body is shown.
청구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용기용 캡은, 각종 용기본체에 장치함으로써 따뜻한 액체음료를 넣어도 슬라이더의 개폐조작에 연동하여 상승한 내부압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가 된다.The beverage container cap according to any one of
본 발명에 관계된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의 실시예를 이하의 도면에 기 초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a beverage container cap and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ollowing drawings.
도 1은 음료용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도 3은 음료용기용 캡(10,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캡'이라 칭함)의 분해도를 나타내며, 도 4의 (a)는 외측 쉘(76)의 이면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슬라이더(71)의 이면도를 나타내며, 도 4의 (c)는 슬라이더(7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3 shows an exploded view of a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1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ap'), FIG. 4A shows a rear view of the
도 5는 캡(10)의 확대단면도로서, 도 5의 (a)는 슬라이더(71)가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슬라이더(71)가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음료용기는 개구부(31)와 음료수용부(32)를 갖는 용기본체(30)와, 커버체(40)에 음료흡입튜브(60)를 부착한 캡(10)으로 이루어진다.The beverage container consists of a
용기본체(3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핸들(12)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 관한 캡을 장착할 수 있다면 용기의 형상,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2, the
캡(10)은, 용기본체(30)의 개구부(31)에 밀폐장착되어 음료(1)를 밀폐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슬라이더를 개방함으로써 흡인튜브(60)의 음료흡입구(62)가 튀어나와 음료(1)를 마실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캡을 구성하는 커버체(40)는 내측 쉘(50), 외측 쉘(76) 및 그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슬라이더(71)를 갖는다.The
내측 쉘(50)은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막는 차폐부재로서,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과 밸브시트 부착구멍(54)을 가지며, 용기본체(30)의 개구부(31)의 수(雄)나사부(31a)에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부(50a)를 갖는다.The
커버체(40)의 내측 쉘(50)과 용기본체(30)의 개구부(31)를 나사결합하여 장착할 때 패킹 등의 밀봉재(42)를 이용하여 밀봉한다.When the
또한, 커버체를 용기본체에 물이 새지 않게 밀봉장착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long as it can seal-mount a cover body so that water may not leak to a container main body, it is not limited to a present Example.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에 음료흡입튜브(60)가 장착되어 있고 밸브시트 부착구멍(54)에 밸브시트(21)가 밀봉장착되어 있다.The
음료흡입튜브(60)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며, 굴곡이 자유롭고 측면을 집으면 튜브구멍(60a)이 폐쇄되는 탄성관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음료흡입구(62)가 형성되고 타단에 스트로우 부착부(64)가 설치되며, 음료흡입구(62)와 스트로우 부착부(64)의 사이에 이탈방지 플랜지(63)를 갖는다.The
이탈방지 플랜지(63)는 음료흡입튜브(6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측면을 칼날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흡입구(62)쪽을 외부공간쪽이 되도록 내부공간(11)쪽으로부터 이탈방지 플랜지(63)를 탄성변형시켜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에 끼우기 때문에, 세정시에 분리가 가능하다.The
스트로우 부착부(64)에는 스트로우(2)의 일단이 내부에 삽입되어 스트로우 부착부(64)와 스트로우(2)의 사이를 밀폐하며 연결된다.One end of the
캡(10)에서 커버체(40)의 내측 쉘(50)과, 외측 쉘(76)과 슬라이더(71)를 분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밸브시트(21)는 탄성재료로 제조되어, 내측 쉘(50)을 외부공간쪽으로 대략 반구형상으로 팽출시켜 형성한 정상부에 설치된 밸 브시트 부착구멍(54)에 탄성변형시켜 부착함으로써 물이 새지 않게 밀봉장착한다.A state in which the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쉘(50)의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부분으로부터, 튜브 측부(61)가 경사진 방향쪽은 오목한 음료흡입구 수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흡입구 수납부(41)의 튜브 측부(61)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의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55)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3, from the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밸브시트(21)는 밸브시트부착(54)에 장착함으로써, 내측 쉘(50)을 끼고 내부공간(11)과 외부공간쪽을 통기구멍(21a)에 의해 연통된다.The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에는 음료흡입튜브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부착대(50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beverage suction
차폐부재인 내측 쉘(50)에 의해 음료용기용 캡(10)의 내부공간(11)과 외부공간을 사이에 두고, 음료흡입튜브(60)의 튜브구멍(60a)과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을 제외하고 내부공간(11)이 밀폐되어 있다.The
외측 쉘(76)은 내측 쉘(50)의 대략 반구형의 외면을 따라 거의 동심의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4의 (a)에 나타낸 걸림 클로(76a)를 도 3에 도시된 내측 쉘의 걸림 클로 받이부(56)에 걸어 결합하여 내측 쉘(50)에 부착된다.The
외측 쉘(76)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쉘에 설치된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에 대응하여 내측면이 외측을 향해 팽출되어 오목해진 한 쌍의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 사이는 개구되어 슬라이더용 개구부(78)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쉘(76)을 내측 쉘(50)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의 가이드 오목부(53a)와 한 쌍의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에 의해 슬라이드 홈(70)이 형성된다.In the state where the
슬라이더(71)의 손잡이(75)를 슬라이더용 개구부(78)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슬라이더(71)의 슬라이드 편(74)을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과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70)에 삽입하여, 슬라이더(71)를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 또한 탈락이 불가능하도록 수납한다.The
슬라이더(71)의 슬라이드 방향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쉘의 반구형 외면을 따라 대략 동심(同心)을 이루는 단면이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더 본체(73)의 양쪽에 슬라이드 편(74)을 갖는다.As shown in FIG. 5, the slide direction of the
슬라이더 본체(73)는, 폭이 외측 쉘(76)의 슬라이더용 개구부(78)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음료흡입튜브용 개구부(78a)의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완전폐쇄위치에서 뒷부분이 밸브시트(21) 위가 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슬라이더 본체(73)의 폭방향은, 도 4의 (c)에 도시된 슬라이더(71)의 폭방향 단면도와 같이 외부를 향해 만곡되어 부푼 단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f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slider
슬라이더 본체(73)의 슬라이드 폐쇄방향 단부에는 압입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편(74)은 슬라이더 본체(73)의 슬라이드 방향에 걸쳐 폭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press-fitting
슬라이드 편(74)의 슬라이드 방향 전후의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용 오목부 (74a,74b)가 형성되어 있다.Fixing recesses 74a and 74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slide direction of the
슬라이더 본체(73) 안쪽의 슬라이드 방향 전후의 소정의 위치에는, 돌출된 밸브체(22,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에서, 슬라이더(71)는 슬라이드 편(74)을 내측 쉘 가이드 가이드 레일(53)의 가이드 오목부(53a)와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의 고정용 볼록부(53b)와 슬라이드 편(74) 앞쪽의 고정용 오목부(74a)를 걸어서 슬라이드 완전개방으로 위치고정되어 있다.In FIG. 5A, the
도 5의 (a)의 슬라이더(71)가 슬라이드 완전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음료흡입튜브(60)의 튜브 측부(61)는 비(非)굴곡상태가 되며, 신장되어 튜브 구멍(60a)이 열려 음료흡입튜브용 개구부(78a)로부터 음료흡입구(62)가 외부로 돌출된다.When the
상기 슬라이드 완전개방위치에서, 슬라이더(71)에 설치된 밸브체(23)는 밸브시트(21)에 대응된 위치가 되어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을 막는다.In the slide fully open position, the
손잡이(75)를 잡고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완전개방에서 전진시키면, 슬라이더(71)의 압입부(72)는 음료흡입튜브(60)의 튜브 측부(61)를 누르며, 그 압입에 의하여 음료흡입튜브(60)가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55)를 기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구부러져, 음료흡입구(62)가 음료흡입구 수납부(41) 내부로 안내되어 수납된다.Holding the
그리고 동시에 슬라이더 본체(73)는 슬라이드 완전폐쇄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a)를 폐쇄한다.At the same time, the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용 개구부(78)의 음료흡입구용 개구 부(78a) 이외의 부분의 내측은 내측 쉘(50)의 외면이 존재하여 막혀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inner side of the
이로써,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a)가 슬라이더 본체(73)에 의해 폐쇄되면, 음료흡입구 수납부(41)에 수납된 튜브는 슬라이더 본체(73)와 내측 쉘(5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Thus, when the
슬라이더(71)의 슬라이드 전진 직후에 밸브체(23)가 밸브시트(21)로부터 떨어져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에 의해 외부공간과 내부공간(11)의 공기부분을 연통시키고, 슬라이드 완전폐쇄에서 슬라이더(71) 뒤쪽의 다른 밸브체(22)가 밸브시트(21) 위치에 도달하여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mmediately after the
슬라이드 완전폐쇄위치에서는 슬라이더(71)는 도 3, 도 4의 (b)에 도시된 뒤쪽의 고정용 오목부(74b)가 도 3에 도시된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의 고정용 볼록부(53b)에 걸려 위치고정된다.In the slide fully closed position, the
또한, 슬라이더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면, 그 고정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f the slider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xing method is not limited.
반대로 도 5의 (b)에 도시된 슬라이드 완전폐쇄위치로부터 슬라이더(71)를 후퇴시키면, 슬라이더 본체(73)가 후퇴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a)가 개방되며, 동시에 슬라이더(71)에 의한 튜브 측부(61) 측면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튜브는 탄성복귀하여 신장상태가 되고, 음료흡입구(62)가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a)로부터 돌출되어 튜브 구멍(60a)이 개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 때, 슬라이드 후퇴 직후에 밸브체(22)는 밸브시트(21)로부터 떨어져 통기 구멍(21a)을 연통시키며, 외부공간과 내부공간(11)의 공기가 연통되어 슬라이드 완전개방상태에서 밸브체(23)가 밸브시트(21) 위치에 도달하여 통기구멍(21a)을 차단한다.At this time, immediately after the slide retreat, the
여기서, 슬라이더가 음료흡입구를 슬라이드 수납할 수 있다면 외측 쉘(76)과 내측 쉘(50)은 반드시 대략 반구형이 아니어도 무방하다.He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캡(10)은, 통기구멍 개폐장치를 내측 쉘(50)에 부착된 밸브시트(21)와, 슬라이더(71)의 이면에 설치된 두 곳의 밸브체(22,23)로 구성하고, 음료흡입튜브를 굴곡 및 신장시키는 밸브개폐장치를 슬라이더와 내측 쉘에 설치한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개폐장치와 통기구멍 개폐장치가 연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슬라이더(71)의 위치에서, 밸브시트(21)와 밸브체(22,23)가 맞닿는 위치를 바꾸어,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을 통해 내부공간(11)과 외부공간 사이의 연통과 차단을 전환한다.At the position of the
밸브체(22)는 슬라이드 완전폐쇄에서 밸브시트(21)와 만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흡입구를 돌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을 개시한 직후에, 음료흡입구용 개구부(78a)가 이제 막 개방되기 시작한, 튜브 구멍(60a)이 밀폐되어 있을 때, 밸브시트(21)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내부공간(11)과 외부공간을 연통한다.Since the
이에 따라 뜨거운 음료를, 도 5의 (b)와 같이 튜브 구멍(60a)을 찌그러뜨려 밀폐하고, 밸브시트(21)의 통기구멍(21a)도 차단한 밀폐상태에서 음료용기에 수납한 경우, 열에 의해 팽창되어 음료의 액면을 가압하고 있는 내부공간(11) 내의 공기를, 슬라이드 개방조작의 개시직후에 통기구멍(21a)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하여 내부공간(11)의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음료흡입구(62)를 개방했을 때 음료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when the hot beverage is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n a sealed state in which the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완전개방에서도 밸브시트(21)와 만나도록 밸브체(23)를 배치함으로써, 한참 음료를 마시고 있는 도중 등에서 갑자기 음료용기를 기울여도 음료가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the
음료용기용 캡은, 도 3에 도시된 내측 쉘 가이드 레일(53)과, 도 4의 (a)에 도시된 외측 쉘(76)에 설치된 외측 쉘 가이드 레일(77)을 맞추어 형성한 슬라이드 홈(70)에 슬라이더(71)를 배치하는 중합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 분해할 수가 있다.The cap for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slide groove formed by matching the inner
도 6에 음료용기용 캡을 분해한 종단면도를 나타내어, 음료용기의 분해구조에 관해 설명한다.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disassembled the cap for beverage containers is shown in FIG. 6, and the disassembly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is demonstrated.
내측 쉘(50)은, 암 나사부(50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가락 걸기부(50b)에 손가락을 걸고 돌려 용기본체 개구부의 수 나사부(31a)와의 나사결합을 풀어 용기본체(30)와 분리시킨다.The
외측 쉘(76)은, 걸림 클로(76a) 부근의 외면을 칼날 형상으로 돌출시킨 도 2에 도시된 손가락 걸기부(76b)에 손가락을 걸어, 걸림 클로(76a)를 도 3에 도시된 내측 쉘의 걸림 클로 받이부(56)로부터 떼어낸다.The
외측 쉘(76)을 떼어내면, 슬라이더(71)는 그대로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밸브시트(21)는 내측 쉘(50)의 밸브시트 부착구멍(54)으로부터 탄성변형시키면서 분리한다.The
음료흡입튜브(60)는, 이탈방지 플랜지(63)를 음료흡입튜브(60)의 측면방향으로 도 1에 도시된 음료흡입튜브 부착대(50c)보다도 돌출시켜 설치한 도시되지 않은 손가락 걸기부에 손가락을 걸어, 이탈방지 플랜지(63) 부분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음료흡입튜브 부착구멍(51)으로부터 뽑아 내측 쉘(50)로부터 분리한다.The
분리된 음료흡입튜브(60)의 스트로우 부착부(6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로우(2)를 뽑아 분리한다.In the
음료용기는 이와 같이 각 부품을 간단히 분해할 수 있어 충분히 세정하여 항상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Beverage containers can be easily disassembled in this way, so that they can be sufficiently cleaned and always used hygienically.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에 관계된 음료용기용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7 and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측 쉘(176)과 내측 쉘(150)의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71a)가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는 슬라이더가 평면 슬라이드 타입으로 되어 있어 슬라이더(71a)가 전진하면 가압부(72a)가 음료흡입튜브(60)의 측부를 가압하여,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55a)를 기점으로 구부러져 내부유로(60a)가 폐쇄된다.A
내측 쉘에는 밸브시트(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의 이면에 돌출설치된 밸브체(22,23)가 두 곳에 설치되어 있다.The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71a)가 전진하여 음료흡입튜브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체(22)가 밸브시트(21)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음료흡 입튜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손잡이(75a)를 조작함에 따라 슬라이더가 후퇴하기 시작하면 밸브시트(21)로부터 밸브체(22)가 떨어지며, 용기 내외가 통기구멍에 의해 연통되어 내부의 상승된 압력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8B,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closed because the
그 후에 가압부(72a)가 음료흡입튜브로부터 떨어져,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After that, the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가 후퇴하여,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밸브체(23)가 밸브시트에 맞닿아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도 9에서는 회동 슬라이드 타입의 음료용기용 캡의 실시예를 나타낸다.9 shows an embodiment of a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of a rotating slide type.
도 9의 (a)는 외관사시도를 나타내고, (b)는 평면도를 나타낸다.9A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FIG. 9B shows a plan view.
차폐부재(250)에는, 통기구멍을 갖는 밸브시트(121)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171)에는 밸브체(123)와, 그 좌우에 두 곳의 밸브체(122a,122b)가 설치되어 있다.The
밸브장치는 음료흡입튜브(60)의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155)와 회동하는 슬라이더(1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valve device is constituted by a
음료흡입튜브(60)가 신장상태일 때에는, 중앙의 밸브체(123)가 밸브시트(121)에 맞닿아 있어 음료흡입튜브(60)는 슬라이더(171)를 오른쪽으로 돌리든 왼쪽으로 돌리든 굴곡되며, 이 경우에 도 9(b)에 따라 설명하면, 슬라이더(171)를 우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면 밸브체(122a)가 밸브시트(121)에 맞닿게 되며, 좌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면 밸브체(122b)가 밸브시트(121)에 맞닿게 된다.When the
따라서, 밸브장치를 폐쇄하여 음료흡입튜브(60)가 굴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는, 통기구멍 개폐장치의 밸브체(122a,122b) 중 어느 하나가 밸브시트(121)에 맞닿아 통기구멍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따뜻한 액체음료가 용기에 수용되어 있으면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슬라이더(171)를 회동하기 시작하면, 밸브체(122a 또는 122b)가 밸브시트(121)로부터 떨어져 통기구멍으로부터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음료흡입튜브(60)가 신장되었을 때에는 내압이 제거되어 있게 되어, 스트로우 끝이 음료 속에 들어 있어도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로부터 내압에 의해 음료가 분출되는 일은 없다.When the
또한,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밸브체(123)가 밸브시트(121)에 맞닿아 있으므로 음료를 마실 때 통기구멍으로부터 음료가 새는 일도 없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에서는, 음료용기용 캡에 실리콘수지로 만든 튜브 등 가요성의 음료튜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음료흡입튜브의 굴곡과 신장에 따른 그 내부유로의 개폐밸브장치와 용기 내외를 연통시킨 통기구멍의 통기구멍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따뜻한 액체음료를 음료용기에 수용한 경우에 내부의 상승한 압력을 통기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로부터 액체음료가 갑자기 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everage tube such as a tube made of silicone resin is provided in a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the air vent of the venti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valve device and it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bending and extens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By installing a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when a warm liquid beverage is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the internally increased pressur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liquid beverage from suddenly ejecting from the beverage inlet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do.
밸브장치의 개폐조작으로 통기구멍 개폐장치를 연동시킴으로써, 밸브장치의 개방조작만으로 내부의 승압(昇壓)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By interlocking the vent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move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 by only opening the valve device.
밸브장치를 위치결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더와 음료흡입튜브 의 측부에 맞닿는 굴곡지점(屈曲支点)부재로 구성하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음료흡입튜브의 내부유로를 개폐조작할 수가 있다.When the valve device is composed of a slidable slider capable of positioning the valve device and a bending point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the inner flow path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slider.
또한, 슬라이더에 돌출설치된 밸브체를 설치하고, 차폐부재쪽에 용기 내외를 연통시킨 통기구멍을 갖는 밸브시트를 설치함으로써, 밸브장치와 통기구멍의 개폐장치를 연동시킬 수가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valve body protruding from the slider and providing a valve seat having a vent hole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ommunicate with the shielding member, the valve devi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nt hole can be interlocked.
슬라이더에 슬라이더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시트에 맞닿는 적어도 두 곳의 밸브체를 설치하면, 슬라이더가 개방된 상태, 즉,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 상태와, 슬라이더가 폐쇄된 상태, 즉,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태 모두에서 통기구멍이 차단되고, 슬라이더의 개폐조작도중일 때 통기구멍이 연통된 상태가 되게 된다.When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valve bodies which come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with the slider closed and open, the slider is in an open state, that is, a drink is available, and the slider is closed, i.e.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holes are blocked in both the state of not drinking, and the ventilation hol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r.
따라서, 슬라이더가 개방되기 시작하여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기 전의 상태에서 통기구멍이 연통되어 상승된 내부압을 제거하며, 그 후에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되어 그 내부유로가 연통되므로, 따뜻한 음료를 넣어 두어도 음료흡입구로부터 액체음료가 갑자기 분출되는 일은 없다.Therefore, in the state before the slider starts to open and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extended, the vent hole is communicated to remove the increased internal pressure. After that,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extended and the internal flow path is communicated. The liquid beverage is not suddenly ejected from the beverage inlet.
또한, 슬라이더가 완전히 개방되어 음료흡입튜브가 신장된 상태에서도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맞닿으므로, 한참 음료를 마시고 있는 도중에 통기구멍으로부터 음료가 갑자기 새는 일도 없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even when the slider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extended, the beverage does not suddenly leak from the vent hole during the drink.
커버체에 음료흡입튜브의 음료흡입구 수납부를 설치하면, 슬라이더의 개폐조작과 연동하여 음료흡입구가 돌출 및 침몰하고,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에는 음료흡입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다.If the beverage inlet receiving portion of the beverage suction tube is installed in the cover body, the beverage suction opening protrudes and sinks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r, and the beverage suction opening does not protrude outward when the beverage is not hygienic.
커버체를 외측 쉘과 내측 쉘의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를 설치한 구조로 하면, 커버체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세정하기가 쉽다.When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a slider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the cover body is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is easy to clean.
또,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밸브체와 밸브시트가 맞닿는 구조이므로, 먼지 등이 붙는 일이 적고 밸브시트의 통기구멍이 잘 막히지 않으며 밸브시트의 세정도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se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sliding the slider, dust and the like are less likely to adhere, the vent holes of the valve seat are not blocked well, and the valve seat can be easily cleaned.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376250A JP2007176537A (en) | 2005-12-27 | 2005-12-27 | Cap for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
JPJP-P-2005-00376250 | 2005-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9001A true KR20070069001A (en) | 2007-07-02 |
KR101288521B1 KR101288521B1 (en) | 2013-07-26 |
Family
ID=3821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9837A KR101288521B1 (en) | 2005-12-27 | 2006-11-08 | A cap for drink container and drink contain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7176537A (en) |
KR (1) | KR101288521B1 (en) |
CN (1) | CN1990352B (en) |
HK (1) | HK1109375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830B1 (en) * | 2013-04-29 | 2014-06-09 |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 Cap of drink container |
KR200474060Y1 (en) * | 2012-09-20 | 2014-08-19 | (주)서룡상사 | Beverage container for childr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00392B2 (en) * | 2006-06-23 | 2012-12-19 | ピジョン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
JP5088785B2 (en) * | 2007-11-30 | 2012-12-0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Beverage container |
JP5085518B2 (en) * | 2008-11-25 | 2012-11-28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with lid |
JP5495999B2 (en) * | 2010-07-16 | 2014-05-21 | ピジョン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
CN102079415B (en) * | 2010-12-23 | 2012-09-05 | 蒋一新 | Container for sucking beverage |
US9376305B2 (en) | 2011-06-22 | 2016-06-28 | Allpure Technologies, Inc. | Fluid transfer interface |
US10773863B2 (en) | 2011-06-22 | 2020-09-15 |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
WO2012177250A1 (en) * | 2011-06-22 | 2012-12-27 | Allpure Technologies, Inc. |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
CN102582933A (en) * | 2011-12-30 | 2012-07-18 | 蒋一新 | Beverage container and cover for same |
CN102730296B (en) * | 2012-07-09 | 2014-06-11 | 宁波爱乐宝婴儿用品有限公司 | Bottle cover for sucking beverage bottle |
JP2014122643A (en) * | 2012-12-20 | 2014-07-03 |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 Packing |
CN103960937A (en) * | 2013-01-29 | 2014-08-06 | 惠州市迪格逊婴儿用品有限公司 | Cup lid structure |
EP3077324A4 (en) | 2013-12-06 | 2017-08-02 | Allpure Technologies, Inc. | Fluid transfer interface |
DE202016102642U1 (en) * | 2016-05-18 | 2017-08-21 | Emsa Gmbh | drinking cup lid |
KR102533063B1 (en) | 2017-06-14 | 2023-05-15 |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 sippy cup |
US11691866B2 (en) | 2017-11-14 | 2023-07-04 |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US11577953B2 (en) | 2017-11-14 | 2023-02-14 |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US11319201B2 (en) | 2019-07-23 | 2022-05-03 |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 System for simultaneous filling of multiple containers |
AU2018203169B1 (en) | 2018-05-07 | 2018-11-08 |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 Drinking vessel and ventilation members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9627A (en) * | 1983-08-11 | 1985-03-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
JPS6039627U (en) * | 1983-08-25 | 1985-03-19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water bottle with straw |
DE4136985C1 (en) * | 1991-11-11 | 1993-05-13 | Marsteller & Killmann Gmbh & Co Kg, 4300 Essen, De | |
US5203468A (en) * | 1992-07-01 | 1993-04-20 | Hsu Chun Feng | Water container cap |
CN1142881C (en) * | 1998-07-02 | 2004-03-24 | 巴鲁克·罗森贝格 | Container with straw or utensil |
JP4748433B2 (en) * | 2000-09-26 | 2011-08-17 | サーモス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CN1166537C (en) * | 2001-12-20 | 2004-09-15 | 毕向东 | Sanitary convenient bottle cap |
JP2004042982A (en) * | 2002-07-15 | 2004-02-12 | Richell Corp | Beverage container |
-
2005
- 2005-12-27 JP JP2005376250A patent/JP2007176537A/en active Pending
-
2006
- 2006-11-08 KR KR1020060109837A patent/KR10128852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11 CN CN2006101656367A patent/CN1990352B/en active Active
-
2008
- 2008-01-03 HK HK08100041.1A patent/HK1109375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060Y1 (en) * | 2012-09-20 | 2014-08-19 | (주)서룡상사 | Beverage container for children |
KR101404830B1 (en) * | 2013-04-29 | 2014-06-09 |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 Cap of drink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176537A (en) | 2007-07-12 |
CN1990352A (en) | 2007-07-04 |
HK1109375A1 (en) | 2008-06-06 |
CN1990352B (en) | 2010-09-22 |
KR101288521B1 (en) | 2013-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8521B1 (en) | A cap for drink container and drink container | |
JP3916998B2 (en) | Trigger type fluid dispenser | |
US10775096B2 (en) | Refrigerator | |
BRPI0610525A2 (en) | auto bleed aerosol valve system | |
JP6455472B2 (en) | Switching structure of water distributor | |
US20050224139A1 (en) | End piece for a fuel filler pipe of a vehicle | |
CN106395118B (en) | Beverage container | |
JPS6130567B2 (en) | ||
CN106395117A (en) | Lid with straw | |
EP0010962B2 (en) | Improvements in portable toilets | |
KR102341050B1 (en)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
FR2713076A1 (en) | Device for closing and ejecting the vacuum bag. | |
US20060185700A1 (en) | Dishwasher, and gasket for the same | |
JP2022547867A (en) | straw lid assembly | |
CN109770668B (en) | Water cup | |
US20060138168A1 (en) | System for supplying a substance | |
JP4010857B2 (en) | Endoscope switching valve | |
CN111854255A (en) | Ice discharging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same | |
JP4796679B2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90048512A (en) | Floor nozzle for hard floors | |
KR100582283B1 (en) |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JP3965669B2 (en) | Endoscope air /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 |
JP4681729B2 (en) | The tip of a side-viewing endoscope | |
KR200250696Y1 (en) | Portable bidet | |
KR20190000279U (en) | One-way valve for easily keeping ope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