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927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927A
KR20070068927A KR1020050131019A KR20050131019A KR20070068927A KR 20070068927 A KR20070068927 A KR 20070068927A KR 1020050131019 A KR1020050131019 A KR 1020050131019A KR 20050131019 A KR20050131019 A KR 20050131019A KR 20070068927 A KR20070068927 A KR 2007006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mera
booting
terminal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992B1 (ko
Inventor
홍도근
최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에 따른 전력관리집적회로(PMIC) 및 카메라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외부 장치(또는 단말)에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부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팅시, 부팅을 위한 외부전원보다 먼저 유기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한 역전압을 지연시켜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a-2c는 도 1에 있어, 버퍼부와 I2C 전압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3은 도 1에 있어, 제어부와 카메라부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있어, 카메라부의 전원동작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단말기 11: 버퍼부
12: 카메라부 13: 전력공급 집적회로
14: 제어부 20: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
30: 컴퓨터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에 따른 전력관리집적회로(PMIC) 및 카메라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방법은 두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배터리에 의한 부팅과 외부전원(5V)에 의한 부팅방법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PMIC(Power Management IC)와 카메라를 적용하는데 이 두부품에는 I2C가 연결되어 있고, 이 I2C는 PMIC의 레지스터를 제어하여 내부에 있는 LDO(Low Dropout Voltage)의 온/오프, 출력 전원조절, 충전 등의 모든 것을 콘트롤하고, 카메라의 센서 및 DSP 레지스터를 콘트롤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콘트롤한다. 여기서 상기 I2C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면, Inter-IC라고도 불리는 I2C는 집적회로들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두 가닥 선의 양방향 직렬 버스를 의미한다. 이를 콘트롤하는 매개체는 MSM(Mobile Staion Modem)으로서, 그 MSM의 I2C는 카메라와 PMIC에 같이 연결되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 I2C에는 2.6V_MSMP라 명칭된 전원에 의해 4.7k옴의 풀업(Pull-Up)저항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전원은 휴대용 단말기가 부팅하면서 계속적으로 온(ON)되어 있는 전원이다. 그리고 카메라의 전원은 I/O-VDD, AVDD, DVDD라고 명칭된 3개의 전원을 사용한다. 이중에 I/O-VDD가 2.6V_MSMP전원을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I2C의 풀업전원인 2.6V_MSMP전원에 의해 카메라에 누설전압이 발생하게 되어, I2C의 전위변동(저전위->고전위, 고전위->저전위)이 정상동작하지 않아 I2C 오동작이 발생하여 PMIC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유아트(UART)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부팅할 경우다. 또한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 내에 있는 유아트 트랜시버의 일부핀에서 약 3.0V의 전원이 휴대용 단말기의 MSM GPIO핀으로 유기되어 전원 불량이 발생될때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에 의한 전력관리집적회로(PMIC) 및 카메라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외부 장치(또는 단말)에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부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팅시, 부팅을 위한 외부전원보다 먼저 유기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한 역전압을 지연시켜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을 통한 외부전원에 의해 단말기 부팅시,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과 연결된 단말기측의 RX, DTR, CTS의 3핀으로 고전위가 입력되어 부팅동작에 필요한 외부전원보다 역으로 먼저 유기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RX, DTR, CTS의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함으로써, 카메라부와 전력공급 집적회로의 오동작을 방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팅에 필요한 외부전원보다 역전압이 유기됨으로써 발생되는 누설전류를 통한 카메라부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 카메라부와 연결된 제어부의 지피아이오(GPIO)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카메라 파워 다운시키고, 카메라 모드시에만 카메라 파워 다운을 해제시켜 카메라부가 동작하도록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와 컴퓨터(30)는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상기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을 통한 외부전원에 의해 부팅을 실시하고, 상기 컴퓨터(3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의 동작을 수 행하도록 하는 회로(미도시)외에 버퍼부(11), 카메라부(12), 전력공급 집적회로(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퍼부(11)는 전력공급 집적회로(13)로부터 동작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RX, DTR, CTS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어부(14)로 출력한다. 이에, 상기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의 트랜시버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측으로 RX, DTR, CTS 신호가 지연되어 제어부(14)측으로 입력된다.
카메라부(12)는 제어부(14)와 I2C로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카메라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2)는 상기 제어부(14)의 지피아이오에 의해 평상시에는 전원이 다운된 상태이고, 카메라 모드시에는 전원이 온되어 동작하게 된다.
전력공급 집적회로(13)는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로부터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단말기의 부팅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 집적회로(13)는 버퍼부(11)와 카메라부(1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 집적회로(13)는 다수의 셧다운 기능을 수행하는 LDO(Low Drop Regulator)와 그 LDO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모스 트랜지스터(MOSFET)로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10) 부팅시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를 동작시켜 버퍼부(11)로부터 RX, DTR, CTS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4)로부터 입력받는 역전압을 빠른시간내에 방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4)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부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 팅시, 단말(10)의 부팅을 위한 외부전원보다 먼저 유기될 수 있는 역전압을 지연시켜 누설전류를 방지하여 단말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도 1과 도 2a-2c를 참조하여 외부전원에 의해 부팅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은 휴대용 단말기(10)와 컴퓨터(30)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0)가 외부전원에 의해 부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의 트랜시버는 휴대용 단말기와 2.6V, 컴퓨터와는 12V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전력공급 집적회로(13)는 유아트 데이터 케이블(20)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고, 트랜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버퍼부(11)에 입력되어 버퍼링된후 제어부(14)측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1)의 전력공급 집적회로(13)는 부팅동작에 필요한 외부전원을 RX, DTR, CTS의 고전위보다 우선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후, 상기 전력공급 집적회로는 단말기(10)의 각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버퍼부(11)를 적용하기 전에는 제어부(14)에서 도 2a에 도시된 파형과 같이 비정상적인 전원동작파형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a에서 ⓐ는 비정상적인 전원동작 파형, ⓑ는 정상적인 전원 동작파형, ⓒ는 RX,DTR,CTS 신호 파형을 의미한다. 상기 도 2a와 같은 파형은 카메라부()의 인터페이스 입출력 전원에 누설전류가 발생함에 따라 I2C의 파형은 도 2b와 같다. 상기 도 2b에서 ⓓ는 비정상적인 전원동작파형, ⓔ는 정상적인 전원동작 파형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버퍼부(11)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도 2c와 같이 전력공급 집적회로(13)에서 버퍼부(11)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이전까지는 입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상기 버퍼부(11)의 출력은 항상 저전위를 출력하여 제어부(14)의 지피아이오로 전원 유기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도 2c에서 ⓕ는 정상적이 전원동작 파형, ⓖ는 RX, DTR, CTS 신호 파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버퍼부(11)외에도 누설전류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 카메라부(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지파이이오로 연결된 상기 카메라부(12)의 동작전원을 저전위로 셋팅한다(Camera Power Down).
그리고, 카메라 모드시에는 상기 카메라부(12)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고전위로 셋팅한다. 이에, 상기 카메라부(12)는 부팅시 제어부(14)에 의해 동작전원이 다운되도록 셋팅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고, 카메라 모드시 상기 카메라부(12)는 동작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셋팅되어 정상적인 카메라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4의 ⓙ와 같이 제어부(14)에서 카메라 모드시에만 고전위로 셋팅하고, 평상시에는 저전위를 셋팅한다. 상기 도 4에서 ⓗ는 비정상적인 전원동작파형, ⓘ는 정상적인 전원동작파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버퍼부(11)와 상기 카메라부(12)외에도 전력공급 집적회로(13)내의 LDO(미도시)와 그 LDO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모스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역전압에 의한 누설전압을 방전시킨다. 즉,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는 LDO를 온/오프하는 인에이블단자에 연결이 되어 있어서 인에이블단자가 오프 일 경우에 LDO의 출력단에 있는 모든 전하 성분들을 그라운드(Ground)로 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컴퓨터와 같은 장치( 또는 단말)들 간의 상호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부팅시, 그 데이터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한 전압이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동작에 필요한 외부전원보다 역으로 먼저 유기됨을 방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에 의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외부 장치(또는 단말)에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부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에 의한 단말기 부팅시, 부팅을 위한 외부전원보다 먼저 유기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한 역전압을 지연시켜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수단은,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전원을 입력받아 부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아이투씨(I2C)로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아이투씨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데이터 케이블로부터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부팅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집적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모드시에만 고전위로 셋팅하여 카메라부를 동작시키고, 평상시에는 저전위로 셋팅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 집적회로는,
    다수의 셧다운 기능을 수행하는 엘디오(LDO)와 그 엘디오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모스 트랜지스터(MOSFET)로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부팅시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를 동작시켜 버퍼부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아 역전압을 방전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131019A 2005-12-27 2005-12-27 휴대용 단말기 KR10114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019A KR101145992B1 (ko) 2005-12-27 2005-12-27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019A KR101145992B1 (ko) 2005-12-27 2005-12-27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927A true KR20070068927A (ko) 2007-07-02
KR101145992B1 KR101145992B1 (ko) 2012-05-15

Family

ID=3850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019A KR101145992B1 (ko) 2005-12-27 2005-12-27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5555B2 (en) 2015-09-09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09B1 (ko) 2012-07-26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 및 그것의 온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299B1 (ko) * 1997-05-16 2001-12-15 송문섭 개인통신시스템단말기의시험자동화장치
KR200318748Y1 (ko) * 2003-04-19 2003-07-02 조덕수 카메라 모듈 착탈식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5555B2 (en) 2015-09-09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733756B2 (en) 2015-09-09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992B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1673B2 (en) Programmable gate driver control in USB power delivery
US7975091B2 (en) Information processor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to
US20170317583A1 (en) Fast Turn-On Power Switch
JP5322186B2 (ja) Usb装置における適応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電力制御
US7917775B2 (en) Power supply system
TWI757646B (zh) Usb設備及其操作方法
US20070013689A1 (en) Display apparatus with usb hub
US20170093173A1 (en) Front end charger bypass switch with linear regulation function and path for reverse boost
US20210325951A1 (en) System basis chip
US5901292A (en) Computer system having expansion unit
KR20020008146A (ko) 버스의 전력선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회로가 장착된애드온 카드
US7493507B2 (en) System for protecting a motherboard while a component is not connected properly to its power source
US7917786B2 (en) Voltage regulating circuit for motherboard
KR101145992B1 (ko) 휴대용 단말기
US7654861B2 (en) Connector and method thereof
US20140298046A1 (en) Universal serial bus chargers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s
WO2019133200A1 (en) Protection circuit for decoupling a low voltage circuitry from a high voltage circuitry
US7028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bleed circuit through logic in response to a back-driven voltage on a supply voltage plane
JP5913211B2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5446320A (en) Circuit for clamping power output to ground while the computer is deactivated
TWM568993U (zh) 功能電路板模組
US20210157391A1 (en) True power shedding
CN110543651B (zh) 功能电路板模组
CN103049419A (zh) 双计算机系统
US20230098567A1 (en) Multi-port charging device with multiple char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