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822A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822A
KR20070068822A KR1020050130850A KR20050130850A KR20070068822A KR 20070068822 A KR20070068822 A KR 20070068822A KR 1020050130850 A KR1020050130850 A KR 1020050130850A KR 20050130850 A KR20050130850 A KR 20050130850A KR 20070068822 A KR20070068822 A KR 2007006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ine area
numbers
copied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822A/ko
Publication of KR2007006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들 중 특정 문자/숫자만을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표시부, 제2표시부, 압력센서, 진동센서, 복사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METHOD FOR COPYING OF DATA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폴더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폴더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들 중 특정 문자/숫자만을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음성통신기능 이외에 문자메시지나 화상메시지들의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문자메시지에는 사용자가 문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 및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의 장점과 이메일서비스의 장점을 결합한 멀티메시지(MMS : 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 및 내용을 입력하여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시지서비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저장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전체내용이 한번에 저장됨으로, 상기 메시지 내용 중 필요한 특정 문자/숫자 예를 들어, 전화번호, 주소 및 통장번호등 만을 따로 추출하여 저장할 수 가 없었다. 이는 상기 메시지뿐만 아니라 메모기능을 통해 저장된 내용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들 중 특정 문자/숫자만을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숫자들 중 특정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해당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표시부(161)의 라인별로 표시된 문자/숫자를 각각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는 제2표시부(162)의 라인별로 표시된 문자/숫자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복사가 선택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복사가 선택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 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해당 표시부에서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해당 표시부에서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제어한다.
센서(180)는 압력센서(181)와 진동센서(182)로 이루어지며, 해당 표시부의 일정위치에 포인팅 될 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포인팅 된 위치 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포인팅 위치 값을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180)는 표시부(160) 위에 장착되는 투명유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유체의 특정 부분이 포인팅 되면, 상기 센서(180)는 투명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진동파를 측정하여 포인팅 위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80)는 상기 표시부(160)에 위치된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장착될 수 도 있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 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키입력부(17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표시부에서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는 방향키 또는 휠 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에 복사할 수 있는 제1복사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에 복사할 수 있는 제2복사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복사키 및 제2복사키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 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는 휴대단말기에서 같은 측면 즉,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내측에 메인표시부와 서브 표시부로 함께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는 하나의 표시부가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내측에 메인표시부와 서브 표시부로 함께 장착된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내측에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는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제1복사키(171)와,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제2복사키(172)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는 상기 제2표시부(162) 에 라인별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검색하기 위한 휠 키(173)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내측에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표시부(161)와 제2표시부(162)의 상측에는 압력센서(181)와 진동센서(182)로 이루어진 센서(180)가 부착된 투명유체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182)는 상기 투명유체의 상/하/좌/우측 및 상기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사이에 장착되어, 포인팅된 위치 값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2와 같은 폴더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입력모드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부(161)에 문자/숫자를 표시하는 401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2표시부(162)에도 별도로 저장된 문자/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복사키(171)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표시부(161)의 일정 라인영역, 예를 들어 첫 번째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상기 제1표시부(161)를 활성화시키는 403단계를 진행한다.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키 입력에 대응되는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커서가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위치되어 표시된 후 다시 제1복사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의 일정 라인영영에 표시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에 구성된 라인영역에 순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는 라인별로 상기 메모리(130)의 버퍼에 각각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편집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해당모드로 바로 전환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화번호 경우 폰 북 모드로 바로 전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복사키(172)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표시부(162)의 일정 라인영역, 예를 들어 첫 번째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상기 제2표시부(162)를 활성화시키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표시부에서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휠 키(173) 또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휠 키(173) 또는 상기 방향키 입력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4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휠 키(173) 또는 상기 방향키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130)의 버퍼에 상기 제2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커서가 복사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위치되어 표시된 후 다시 상기 제2복사키(172)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상기 제1표시부(161)의 일정 라인영영에 표시하는 41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에 구성된 라인영역에 순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는 라인별로 상기 메모리(130)의 버퍼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편집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3과 같은 폴더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복 사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입력모드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부(161)에 문자/숫자를 표시하는 501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2표시부(162)에도 별도로 저장된 문자/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표시부(161)의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센서(160)는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3단계에서 포인팅 된 해당 위치로부터 전해지는 각 모서리의 압력과 유체의 진동파를 각각 측정한 포인팅 위치 값을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160)로부터 포인팅 위치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측정 테이블에서 상기 포인팅 위치 값과 가장 유사한 결과 값을 통해 상기 제1표시부의 포인팅 위치를 추출한다. 상기 제1표시부의 포인팅 위치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해당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5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복사된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의 일정 라인영역에 표시하는 5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 복사는 상기 도 4에서와 같은 제1복사키를 구비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2표시부(162)에 구성된 라인영역에 순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제1표시부(161)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는 라인별로 상기 메모리(130)의 버퍼에 각각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편집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해당모드로 바로 전환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화번호 경우 폰 북 모드로 바로 전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표시부(162)의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센서(160)는 5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8단계에서 포인팅 된 해당 위치로부터 전해지는 각 모서리의 압력과 유체의 진동파를 각각 측정한 포인팅 위치 값을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160)로부터 포인팅 위치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측정 테이블에서 상기 포인팅 위치 값과 가장 유사한 결과 값을 통해 상기 제2표시부(162)의 포인팅 위치를 추출한다. 상기 제2표시부(162)의 포인팅 위치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해당하는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5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커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복사된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의 일정 라인영역에 표시하는 5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표시부(162)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 된 문자/숫자 복사는 상기 도 4에서와 같은 제2복사키를 구비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상기 제1표시부(161)에 구성된 라인영역에 순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제2표시부(162)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표시부(161)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문자/숫자는 라인별로 상기 메모리(130)의 버퍼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문자/숫자는 편집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저장하기를 원하는 특정 문자/숫자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복사된 특정 문자/숫자를 입력모드에서 추가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의 문자/숫자를 복사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에 표시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제1표시부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하는 과정이,
    상기 제1표시부에 문자/숫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1표시부의 일정 라인영역에 커서가 위치되어 표시되는 과정과,
    상기 커서를 상기 제1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1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이동은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사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외부 키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의 문자/숫자를 복사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표시부에 표시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제2표시부에서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에 표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하는 과정이,
    상기 제2표시부에 문자/숫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2표시부의 일정 라인영역에 커서가 위치되어 표시되는 과정과,
    상기 커서를 상기 제2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2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제2표시부의 해당 라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숫자를 복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이동은 휠 키 또는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사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외부 키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의 라인영역에 순서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의 라인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2.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된 위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구비된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를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될 때,
    상기 제1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될 때,
    상기 제2표시부상에서 일정 위치가 포인팅 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를 추출 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순서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위치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가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상에 일정위치가 포인팅되면, 상기 포인팅된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영역에 상기 복사된 해당 라인영역의 문자/숫자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KR1020050130850A 2005-12-27 2005-12-27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KR20070068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50A KR20070068822A (ko) 2005-12-27 2005-12-27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50A KR20070068822A (ko) 2005-12-27 2005-12-27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822A true KR20070068822A (ko) 2007-07-02

Family

ID=3850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850A KR20070068822A (ko) 2005-12-27 2005-12-27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940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083788A (ko) 제스쳐 커맨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 방법
EP1729470A2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display data
KR100735262B1 (ko)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US20070101366A1 (en) Method for analyzing information and execu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nalyzed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0689525B1 (ko) 휴대단말기에서 마우스기능을 통한 데이터 제어방법
KR1007249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폰 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640402B1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17788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070068822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복사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70045900A (ko) 휴대단말기에서 정보 분석 및 그에 따른 실행 방법
KR20060078769A (ko) 바코드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 상거래 방법
KR100663555B1 (ko)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데이터 합성방법
KR101232448B1 (ko)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에 따른 정보출력 방법
KR100689415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장치 제어방법
JP5248051B2 (ja) 電子機器
KR100809965B1 (ko) 원격 자원 액세스 및 인터페이스 장치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KR100754655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KR20060003612A (ko) 입력 문자 미리보기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20060065217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