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739A -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739A
KR20070068739A KR1020050130691A KR20050130691A KR20070068739A KR 20070068739 A KR20070068739 A KR 20070068739A KR 1020050130691 A KR1020050130691 A KR 1020050130691A KR 20050130691 A KR20050130691 A KR 20050130691A KR 20070068739 A KR20070068739 A KR 2007006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personal terminal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6423B1 (en
Inventor
김현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423B1/en
Publication of KR2007006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4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A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enable an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nd display data from a personal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ceiving mode setup, so that a user can confirm the data. A personal terminal(10) comprises the followings. A display unit(11) displays predetermined data. An input unit(12) enables a user to input information. A storage unit(13) stores the predetermined data. The first communicator(14) accesses a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er or a telephone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 telephone network by conducting communication. An additional communicator(15) is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A pickup unit(16) obtains an external image of a human being or an object. A microcomputer(17) sends the predetermined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or receives/stores predetermine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표시부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uni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data transmission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of FIG.

도 4는 도 2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data transmission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개인 단말기 20: 전기 기기 10: personal terminal 20: electrical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수신 모드 설정에 따라 전기 기기가 무선통신을 통하여 개인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 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eption mode setting, an electrical device receives data from a personal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s the data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data. Data transmission system.

일반적으로 백색 가전 등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는 전기 기기의 현재 수행 동작에 대한 정보, 동작 상태(예를 들면, 온도, 압력 등)에 대한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표시하고 있다. In general, an electric device including a white household appliance or the like displays information on a current perform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eg, temperature, pressure, etc.),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에 관한 정보의 제공 및 냉장고 제어를 위해 LCD 패널과 같은 표시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표시부를 통하여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냉장실의 고내 온도, 냉동실의 고내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상태(물, 조각 얼음 등)를 숫자, 문자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고내 온도 및 디스펜서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 등)가 구비되어 있다.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panel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The user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the service state of the dispenser (water, ice, etc.)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or icons, An input unit (for example, a button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inside temperature and the service of the dispenser is provi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표시부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uni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this display unit displays the service type (eg ice, water, flake ice) of the dispenser,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s provided with predetermined input means at the bottom.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는 외부의 개인단말기(예를 들면, 개인 휴대 전화, PCS 폰, PDA, DMB 수신장치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어렵고, 예를 들면 전기 기기가 인터넷 기능을 지니고 있는 경우, 소정의 데이터를 이 인터넷 기능을 통하여 수신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 기능이 없는 전기 기기의 경우, 개인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표시할 수 없다. In the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obtain data stored in an external personal terminal (for example, a personal mobile phone, a PCS phone, a PDA, a DMB receiver, etc.). In the case of having an Internet function, it is inevitable to receive predetermined data through this Internet fun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an electric device without such an Internet function, data cannot be obtain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and display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 기기와 개인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at performs data transmission between an electric device and a personal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대형 화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system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obtain data from a personal terminal to use a large screen of the electr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로부터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obt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 electrical device and provide it to a user.

본 발명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의 송신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와;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perso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stored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command from a user;

사용자에 의한 수신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전기 기기로 이루어진다.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mode setting by the user is made of an electrical device for receiving the data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display on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이때, 상기 전기 기기는 내장된 센서부로부터의 환경정보 또는 타 전기 기기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electric device preferably stor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built-in sensor unit 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nother electric device.

또한, 상기 전기 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송신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preferably transmit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mode setting by the user.

또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개인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송신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ic device may be set to a transmission mod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personal terminal, and transmi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무선통신은 적외선 무선통신, 블루투스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초광대역(UWB) 통신, 무선랜(WLA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communication, WLAN (WLAN).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신하는 개인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기 기기(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인 단말기(10)는 개인용 컴퓨터(PC), 포터블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DA),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전화 등이 될 수 있고, 전기 기기(20)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정보 가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하기에서는 개인 단말기(10)는 개인 휴대 전화를, 전기 기기(20)는 냉장고를 예시로 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personal terminal 10 that stores and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electric device 20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data. Here, the personal terminal 1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portable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nd the like, and the electric device 2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conditioner. Means a device including a home appliance, in the following, the personal terminal 10 is a personal mobile phone, the electric device 20 is a refrigerator.

자세하게는, 개인 단말기(10)는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1)과,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12)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13)과, 그 장치의 형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여 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망 통신 시스템 또는 왑(WAP)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제1통신부(14)와, 전기 기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부가통신부(15)와, 사물 또는 사람의 외형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수단(16)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기 기기(20)로 송신하거나, 소정의 환경정보를 전기 기기(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마이컴(17)으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personal terminal 10 includes display means 11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data, input means 12 for obtaining input from a user, storage means 13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 for connecting to a telephone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or a WAP server through a telephone network by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evice,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device 20, Image pickup means 16 for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or person's appearance and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 the electric device 20, or receive predetermine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device 20 It consists of the microcomputer 17 to store.

여기서, 표시수단(11)은 일반적으로 LCD창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입력수단(12)은 키패드 형식 또는 터치패드 형식의 입력장치이다. 특히, 입력수단(12)은 전기 기기(20)로 소정의 데이터에 대한 송신 명령과, 전기 기기(20)로부터의 환경정보에 대한 요청 명령 또는 수신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means 11 is generally a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n LCD window, and the input means 12 is an input device of keypad type or touch pad type.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2 may obtain a transmission command for predetermined data to the electric device 20 and a request command or a reception command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device 20 from the user.

또한, 저장수단(13)은 통상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저장장치, 플로피디스크저장장치, 광디스크저장장치, 광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13 may be a flash memory, a hard disk storage device, a floppy disk storage device, an optical disk storage device, an optical memory, or the like.

또한, 제1통신부(14)는 전화 통화 및 인터넷 연결 등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이 개인단말기(10)는 전화통화 및 사무 처리 등의 고유 기능과 함께 전기 기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부가통신부(15)를 구비한다. 이 부가통신부(15)는 전기 기기(20)와의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그에 적합한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개인 단말기(10)와 전기 기기(20) 간의 무선통신은 적외선 무선통신, 블루투스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초광대역(UWB) 통신, 무선랜(WLAN)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a telephone call and an internet connection, and the personal terminal 10 is provid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device 20 together with unique functions such as telephone call and office work.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is provided.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is composed of a de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electric device 20.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al terminal 10 and the electrical device 20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communication, WLAN (WLAN).

또한, 촬상수단(16)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이거나 휴대폰 등에 장착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지닌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imaging means 16 corresponds to a general digital camera or a camera having a video recording function mounted on a mobile phone or the like.

특히, 저장수단(13)은 제1통신부(14)를 통하여 수신한 날씨정보, 증권정보 등의 생활정보, 영상 이미지, 동영상 파일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기 기기(20)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를 저장한다. 이 환경정보는 전기 기기(20)에 연결된 각종 센서의 감지정보, 또는 다른 전기 기기로부터의 수신된 감지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내온도, 실내습도 등을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storage means 13 stores various data such as weather information, stock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video images, video files, etc.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environment received from the electric device 20. Save the informa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sensing information of various sensors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20,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from another electric device, and the like, and includes room temperature, room humidity, and the like.

또한, 마이컴(17)은 통상적인 전화 통화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다른 각종 이미지의 표시 기능, 음악의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면서, 저장수단(13)에 저장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전기 기기(20)에 송신하는 기능과, 전기 기기(20)로 소정의 환경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또는 전기 기기(20)로부터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기능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개시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7 stores data selected by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3 while performing a conventional telephone call function,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a display function of other various images, and a music play function. And a function of requesting predetermine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device 20, a function of receiv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device 20, and the like. These additional functions ar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전기 기기(20)인 냉장고(20)는 대기화면정보(예를 들며, 화면배경, 기본정보(냉동실 설정온도, 냉장실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등) 등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에 대한 정보)와, 개인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하, '개인 데이터'라 함)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1)과,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22)과, 대기화면정보, 개인 데이터 및 기타 기능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23)과, 개인 단말기(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수신모듈(24)과, 실내온도, 실내습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2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표시수단(21)에 표시하고, 무선수신모듈(24)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수단(21)에 표시하는 마이컴(26)으로 이루어진다. 이 냉장고(20)는 냉동 냉장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하는 메인 마이컴(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메인 마이컴과 마이컴(26) 간에는 통신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냉장고(20)는 마이컴(26)을 통하여 냉동 냉장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20)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Next, the refrigerator 20, which is the electric device 20, may display standby screen information (eg, screen background, basic information (freezer setting temperature, refrigerating room setting temperature, service type of the dispenser, etc.), etc.). Information), display means 21 for displaying data receiv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onal data'), input means 22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standby screen information, Storage means 23 for storing the setting data for the personal data and other functions, a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terminal 10,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indoor temperature, indoor humidity and the like ( 25 and the microcomputer 26 which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reads the standby screen information,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21, receives data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display means 21. ) The refrigerator 20 may further include a main microcomputer (not shown) that performs a refrigeration control operation, and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microcomputer and the microcomputer 26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lternatively, the refrigerator 20 may perform a refrigeration refrigeration control operation through the microcomputer 26.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20 includes a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자세하게는, 표시수단(21)은 대기화면, 개인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컬러 TFT LCD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시수단(21)은 대기화면으로 아바타(곰그림)와, 냉장고의 기본정보를 표시하고, 추가적으로 개인 데이터 및 환경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이 표시수단(21)은 개인 단말기(10)의 표시수단(11)보다 그 화면의 면적이 넓어서, 개인 데이터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In detail, the display means 21 is preferably a color TFT LCD so as to display a standby screen, personal data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display means 21 displays an avatar (bear picture)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on the standby screen, and additionally displays personal data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display means 21 has a larger area of the screen than the display means 11 of the personal terminal 10 so that the personal data can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user.

또한, 입력수단(22)은 일반적인 냉장고 동작 제어를 위한 수단뿐만 아니라, 배경영상(아바타)의 선택 입력 등을 획득하여 그에 따른 명령을 마이컴(26)으로 송신하는 수단으로, 일종의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 또는 정전기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입력수단(22)은 무선수신모듈(24)을 통하여 개인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의 설정, 환경정보의 개인 단말기(10)로의 송신을 위한 송신 모드의 설정 등의 기능을 지닌다. In addition, the input means 22 is a means for acquiring a selection input of a background image (avatar) as well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general refrigerator,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mmand to the microcomputer 26. It is made electrostatically or electrostatically. In addition, the input unit 22 functions such as setting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data from the personal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setting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ss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10, and the like. Has

또한, 저장수단(23)은 대기화면정보와 개인 데이터 및 환경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대기화면정보는 배경화면인 아바타와, 냉장고의 기본정보를 포함하며, 이 대기화면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사용이 없는 대기상태에서 마이컴(26)이 판 독하여 표시하는 정보에 해당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23 stores idle screen information, personal data,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Here, the standby screen information includes the avatar which is the background screen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tandby screen information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ad and displayed by the microcomputer 26 in the standby state without a separate use by the user. .

또한, 저장수단(23)은 기타 기능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설정정보는 냉장실 및 냉동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냉장고(20) 도어 열림에 대한 알람 설정, 절전기능(LCD 창의 오프시간)의 설정, 입력수단(20)의 잠금설정, 디스펜서 조명의 온오프 설정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이러한 설정정보에 따라 하기의 마이컴(26)이 제어를 수행한다. The storage means 23 also stores setting information for other functions. For exampl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setting temperatur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service type of the dispenser, alarm setting for opening of the refrigerator 20 door, setting of power saving function (off time of the LCD window), locking setting of the input means 20, 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on / off setting of the dispenser illumination, and the following microcomputer 26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또한, 저장수단(23)은 대기화면정보에 포함되는 아바타 또는 배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러한 배경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23 stores the background image data so that the avatar or the background included in the idle screen information can be selected.

또한, 저장수단(23)은 환경정보를 저장한다. 이 환경정보는 냉장고(20)가 내장된 센서부(25)를 통하여 획득한 실내온도, 실내습도와 같은 자체적으로 감지한 정보와, 다른 전기 기기로부터 획득된 정보(예를 들면, 냄새 센서로부터 획득된 냄새정보, 실외에 설치된 온도 장치로부터 획득된 실외 온도)도 포함한다. The storage means 23 also stores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detected by itself, such as room temperature and room humidity,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25 in which the refrigerator 20 is embedded,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other electric devices (for example, obtained from an odor sensor). Odor information, outdoor temperature obtained from a temperature device installed outdoors).

또한, 저장수단(23)은 상술된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입력수단(22)에 의해 설정되거나, 마이컴(26)에 의해 설정된 무선통신모듈(24)의 모드(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 또는 통신불가모드) 정보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23 stores the above-mentioned personal data and is set by the input means 22 or by the mo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set by the microcomputer 26 (transmission mode or reception mode or communication impossibility). Mode) information.

또한, 무선수신모듈(24)은 개인 단말기(10)와의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그에 적합한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개인 단말기(10)와 전기 기기(20) 간의 무선통신은 적외선 무선통신, 블루투스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초광대역(UWB) 통신, 무선랜(WLAN)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또한, 이 무선수신모듈(24)은 다른 전기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전기 기기로부터의 감지정보와 같은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is configured with a de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personal terminal 10.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al terminal 10 and the electrical device 20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communication, WLAN (WLAN). In addition,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ic devices, and can rece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detection information from other electric devices.

또한, 센서부(25)는 전기 기기(20)의 기능상 요구되어서 설치된 감지부로서, 냉장고(20)의 경우 실내온도, 에어컨의 경우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 외부 온도 등을 감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25 is a sensing unit installed as required for the function of the electric device 20, and the refrigerator 20 detects an indoor temperature, an air conditioner, an indoor temperature and an indoor humidity, an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like.

최종적으로, 마이컴(26)은 초기에 저장수단(23)으로부터 대기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바타 또는 자동적으로 설정된 아바타(기본설정된 아바타)와, 냉장고의 기본정보로 구성된 대기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표시수단(21)에 대기화면으로 표시한다. Finally, the microcomputer 26 initially reads the standby screen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means 23 to read the standby screen information including the avatar selected by the user or the avatar automatically set (the default avatar)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The display means 21 displays the standby screen.

또한, 마이컴(26)은 무선수신모듈(24)을 통하여 개인 데이터를 획득할 때, 이를 저장하고 표시수단(21)에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microcomputer 26 obtains the personal data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24, the microcomputer 26 stores i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21.

이때, 마이컴(26)은 적어도 사용자에 의한 냉장고의 사용(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입력,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고내 온도 재설정 등)이 없는 경우와 같은 대기상태일 때, 상술된 바와 같은 대기화면을 표시수단(21)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순서에 관한 사항이 상세하게 개시된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26 displays the standby scre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t least a standby state such as when there is no use of the refrigerator by the user (for example, input by the user, reset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etc.).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21. Hereinafter, matters relating to the data transmiss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data transmission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of FIG.

자세하게는, 전기 기기(20)의 마이컴(26)은 저장수단(23)에 저장된 모드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의 무선통신모듈(24)의 모드를 확인한다. 이때, 현재의 모드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신 모드인 경우, 단계(S3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4)로 진행한다. In detail, the microcomputer 26 of the electric device 20 reads the mod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3 to confirm the current mo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At this time, if the current mode is the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 otherwise proceeds to step S34.

단계(S32)에서, 개인 단말기(10)의 마이컴(17)은 입력수단(12)을 통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의 송신 명령에 따라 저장수단(13)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 통신부(15)를 통하여 전기 기기(20)로 송신한다. In step S32, the microcomputer 17 of the personal terminal 10 transmits part or all of the personal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ccording to a command for transmitting the user's personal data through the input unit 12. 15) to the electric device 20 via the control.

단계(S33)에서, 전기 기기(20)의 마이컴(26)은 무선통신모듈(24)로부터 수신된 개인 데이터를 저장수단(23)에 저장하고, 표시수단(21)에 표시한다. 이때, 마이컴(26)은 무선통신모듈(24)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다른 전기 기기로부터의 환경정보인 경우, 이 데이터를 환경정보로 저장수단(23)에 저장할 수도 있다. In step S33, the microcomputer 26 of the electric device 20 stores the personal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in the storage means 23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21. In this case, when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is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other electric device, the microcomputer 26 may store the data in the storage means 23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단계(S34)에서, 마이컴(26)은 현재 설정된 모드가 송신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송신모드인 경우, 단계(S35)로 진행한다. 또한, 송신모드가 아니면 통신불가모드이므로, 종료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송신모드의 설정에 대하여, 마이컴(26)은 저장수단(23)에 저장된 환경정보의 송신 명령으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In step S34, the microcomputer 26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ly set mode is the transmission mode, and proceeds to step S35 in the case of the transmission mode. If the transmission mode is not the transmission mode,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Here, the setting of the transmission mode by the user is the case where the microcomputer 26 recognizes the transmission command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3.

단계(S35)에서, 마이컴(26)은 환경정보를 판독하여 무선통신모듈(24)을 통하여 개인 단말기(10)로 송신한다. In step S35, the microcomputer 26 read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단계(S36)에서, 개인 단말기(10)의 마이컴(17)은 부가 통신부(15)를 통하여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수단(13)에 저장하고, 표시수단(11)에 표시하도록 한다. In step S36, the microcomputer 17 of the personal terminal 10 receiv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stores it in the storage means 13,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11).

도 4는 도 2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 시작 단계에서, 전기 기기(20)가 초기설정으로 수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이다. 4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data transmission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of FIG. In this starting step, the reception mode is set to the initial setting of the electric device 20.

자세하게는, 단계(S41)에서, 개인 단말기(10)의 마이컴(17)이 사용자로부터 환경정보에 대한 요청 명령을 입력수단(12)을 통하여 입력받는다. In detail, in step S41, the microcomputer 17 of the personal terminal 10 receives a request command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eans 12.

단계(S42)에서, 마이컴(17)은 환경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부가통신부(15)를 통하여 전기 기기(20)로 송신한다. In step S42, the microcomputer 17 generates a request signal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quest signal to the electric device 20 through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단계(S43)에서, 마이컴(26)은 무선통신모듈(24)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다. In step S43, the microcomputer 26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단계(S44)에서, 마이컴(26)은 수신된 신호가 환경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요청신호이면 단계(S4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8)로 진행한다. In step S44, the microcomputer 26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a request signal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f it is a request sign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5,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8.

단계(S45)에서, 마이컴(26)은 무선통신모듈(24)의 현재 모드(수신 모드)를 송신 모드로 변경한다. In step S45, the microcomputer 26 changes the current mode (receive mo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to the transmission mode.

단계(S46)에서, 마이컴(26)은 저장수단(23)에 저장된 환경정보를 판독하여 무선통신모듈(24)을 통하여 개인 단말기(10)로 송신한다. In step S46, the microcomputer 26 read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3 and transmits it to the personal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단계(S47)에서, 마이컴(17)은 부가 통신부(15)를 통하여 수신하고, 저장수단(13)에 저장하고, 표시수단(11)에 표시한다. In step S47, the microcomputer 17 is received via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5,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3,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1.

단계(S48)에서, 마이컴(26)은 수신된 신호가 개인 데이터이면 도 3의 단계(S3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9)로 진행한다. In step S48, the microcomputer 26 proceeds to step S32 of FIG. 3 if the received signal is personal data, otherwise proceeds to step S49.

단계(S49)에서, 마이컴(26)은 수신된 신호가 다른 전기 기기로부터의 환경정보인지를 판단하여, 만약 환경정보이면 단계(S5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1)로 진행한다. In step S49, the microcomputer 26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other electric device, and if it is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eds to step S50, otherwise proceeds to step S51.

단계(S50)에서, 마이컴(26)은 수신된 환경정보를 저장수단(23)에 저장하고, 표시수단(21)에 표시한다. In step S50, the microcomputer 26 stores the receive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ans 23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21.

단계(S51)에서, 마이컴(26)은 수신된 신호가 처리될 수 있는 신호가 아니므로, 폐기한다. In step S51, the microcomputer 26 discards since the received signal is not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전기 기기와 개인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device and the personal terminal is performed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data transmission and data synchronization in a simple manner.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대형 화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quiring data from a personal terminal to use a large screen of the electr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로부터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 obta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al device.

Claims (5)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의 송신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와; A perso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transmission command from a user; 사용자에 의한 수신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전기 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And an electric device for receiving the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the data on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according to a reception mode setting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기 기기는 내장된 센서부로부터의 환경정보 또는 타 전기 기기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The electrical device is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built-in sensor unit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electrical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기 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송신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And the electric device transmit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setting by a us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개인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송신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The electric device sets a transmission mod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personal terminal, and transmit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무선통신은 적외선 무선통신, 블루투스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초광대역(UWB) 통신, 무선랜(WLA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communication, WLAN (WLAN).
KR1020050130691A 2005-12-27 2005-12-27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46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91A KR100746423B1 (en) 2005-12-27 2005-12-27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91A KR100746423B1 (en) 2005-12-27 2005-12-27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739A true KR20070068739A (en) 2007-07-02
KR100746423B1 KR100746423B1 (en) 2007-08-03

Family

ID=3850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691A KR100746423B1 (en) 2005-12-27 2005-12-27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4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632A (en) 2011-11-24 2013-06-0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ell 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08B1 (en) * 2001-08-09 2004-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electric device using home network
KR100441743B1 (en) * 2001-10-23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534611B1 (en)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using an wireless terminal
KR20050022026A (en)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to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050078544A (en) * 2004-02-02 2005-08-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erver system for providing home network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632A (en) 2011-11-24 2013-06-0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ell 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423B1 (en)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1583B (en) Method, device, system,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replacing equipment
AU2010248277B2 (en) Mobile terminal
US8887049B2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JP6503592B2 (en)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89382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392257A (en) Intelligent lamp control method and device
JP6576021B2 (en) Serv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517277A (en)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equipment
US20130304959A1 (en) Handheld Device Ecosystem with Docking Devices
CN104039040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lamp
KR20140069687A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CN112911355B (en) Display device
CN108287655A (en) A kind of interface display method, interfac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101239526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appliances using rfid and zigbee and system thereof
KR101615977B1 (en) A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air-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190052745A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Mobile Device
JP698692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JP2007110332A (en)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system using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operating method
KR10074642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150066232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isplay system
CN101110615A (en) Data transferrin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N110266885A (en) A kind of binding method and terminal of terminal
CN114077227A (en) Pag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scene control pane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909961B2 (en) Display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JP2002186068A (en)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