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552A -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552A
KR20070068552A KR1020050130261A KR20050130261A KR20070068552A KR 20070068552 A KR20070068552 A KR 20070068552A KR 1020050130261 A KR1020050130261 A KR 1020050130261A KR 20050130261 A KR20050130261 A KR 20050130261A KR 20070068552 A KR20070068552 A KR 2007006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combination
phoneme
function key
combin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3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552A/ko
Publication of KR2007006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중에 선정된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선정된 음소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소 조합과 소정의 음소 조합 테이블에 기록된 선정된 음소 조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라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 음소 조합, 기능키, 제어

Description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METHOD OF OPERATING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FUNCTION ACTION KEY BY INPUTTING PHONEME UN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통신 단말기
601: 음소 조합 테이블 60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03: 음소 조합 관리부 604: 기능키 동작 제어부
605: 테이블 기록부 606: 제어부
본 발명은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중에 선정된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선정된 음소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통신 단말기는 중요한 의사 소통 수단 또는 자기 관리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스케줄 관리, 전화번호부 등과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에 해당하는 음소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음소 정보의 조합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었다. 또한, 문자 입력 중에 띄어 쓰기를 하는 경우, 우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패이싱(spacing)을 두었다. 예를 들면, 문자 "첫 날"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음소 정보 "ㅊ", "ㅓ", "ㅅ", "우방향키", "ㄴ", "ㅜ", "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하고, 통신 단말기는 음소 정보 "ㅊ", "ㅓ", "ㅅ", "우방향키", "ㄴ", "ㅜ", "ㄴ"의 조합으로 문자 "첫 눈"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였다.
오늘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회전형, 슬라이드형, 또는 폴더형 등의 다양한 구조의 통신 단말기가 생산되었다. 그 중에 하나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수단, 기능키, 및 방향키를 포함하는 제1 부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2 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제2 부에 포함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문자 입력 중에 띄어 쓰기, 문자 모드의 변환 또는 위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 제1 부에 포함된 상기 기능키(예를 들어, 문자 모드 메뉴키 등) 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기능키 및 방향키가 분리되어 있어 문자 입력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소 조합과 소정의 음소 조합 테이블에 기록된 선정된 음소 조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라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정된 음소 조합 및 상기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사용자가 설정에 의해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음소 조합 테이블을 유지하는 제1 단계 -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임 -;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제3 단계;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음소 조합 테이블 -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임 -;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음소 조합 관리부; 및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키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201)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음소 조합 테이블을 유지한다.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소 조합을 구성하는 음소는 자음 또는 모음일 수 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음소 조합은 "ㅇ, ㅂ", "ㄹ, ㅂ", "ㅅ, ㅈ"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자음 조합 또는, "ㅏ, ㅓ", "ㅓ, ㅓ", "ㅗ, ㅓ"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모음 조합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소 조합 테이블(300)은 음소 조합(301), 기능키 제어 정보(302)의 필드를 포함한다.
음소 조합(3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음소 조합이 기록될 수 있다. 음소 조합(301)은 선정된 음소 조합을 기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추가 기록될 수 있다. 기능키 제어 정보 (302)는 음소 조합(301)에 대응하여 기능키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키는 띄어 쓰기 입력키, 상방향키, 하방향키, 좌방향키, 우방향키 또는 문자모드 메뉴키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202)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계(203)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음소 조합을 입력한다. 일예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띄어 쓰기 입력키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제2 음소 조합 "ㄷ, ㅂ"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2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한다. 일예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음소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 "ㄷ, ㅂ"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단계(206)), 단계(207)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한다. 일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제1 음소 조합 "ㄷ, ㅂ"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제1 음소 조합 "ㄷ, ㅂ"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 "띄어 쓰 기 입력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단계(208)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정된 제1 음소 조합 "ㅏ, ㅓ"를 입력하는 경우(도 4의 (a) 참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제1 음소 조합 "ㅏ, ㅓ"에 대응하는 문자 모드 메뉴키의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상기 문자 모드 메뉴키의 제어 정보에 따라 문자 모드 메뉴키의 동작을 수행한다.(도 4의 (b)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203) 내지 상기 단계(208)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조합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501)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502)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한다. 일예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 음소 조합 "ㄱ, ㄴ ",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 "ㄱ, ㄴ"에 대응하는 기능키로 "하방향키"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504)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키에 대한 기능키 제어 정보를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에 추가 기록한다. 일예로, 상기 제1 음소 조합 "ㄱ, ㄴ"에 대응하는 기능키로 "하방향키"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제1 음소 조합 "ㄱ, ㄴ"에 대응하여 상기 "하방향키"에 대한 기능키 제어 정보를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에 추가 기록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600)는 음소 조합 테이블(60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 음소 조합 관리부(603), 기능키 동작 제어부(604), 테이블 기록부(605), 제어부(606)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600)의 음소 조합 테이블(601)은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소 조합을 구성하는 음소는 자음 또는 모음 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다.
음소 조합 관리부(603)는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한다.
기능키 동작 제어부(604)는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키는 띄어 쓰기 입력키, 상방향키, 하방향키, 좌방향키, 우방향키 또는 문자모드 메뉴키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 받는다.
테이블 기록부(605)는 상기 입력된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키에 대한 기능키 제어 정보를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에 추가 기록한다.
제어부(606)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606)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소 조합과 소정의 음소 조합 테이블에 기록된 선정된 음소 조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라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정된 음소 조합 및 상기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사용자가 설정에 의해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Claims (10)

  1.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음소 조합 테이블을 유지하는 제1 단계 -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임 -;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제3 단계;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받는 제2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키에 대한 기능키 제어 정보를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에 추가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띄어 쓰기 입력키, 상방향키, 하방향키, 좌방향키, 우방향키 또는 문자모드 메뉴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조합을 구성하는 음소는 자음 또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지 상기 제6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음소 조합을 통하여 기능키를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선정된(predetermined)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기능키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음소 조합 테이블 - 상기 선정된 제1 음소 조합은 한글 문자 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아니하는 둘 이상의 음소 조합임 -;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소 조합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음소 조합과 일치하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 제어 정보를 독출하는 음소 조합 관리부; 및
    상기 독출된 기능키 제어 정보에 따른 기능키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키 동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된 제1 음소 조합 및 상기 제1 음소 조합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키에 대한 기능키 제어 정보를 상기 음소 조합 테이블에 추가 기록하는 테이블 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띄어 쓰기 입력키, 상방향키, 하방향키, 좌방향키, 우방향키 또는 문자모드 메뉴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조합을 구성하는 음소는 자음 또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50130261A 2005-12-27 2005-12-27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20070068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61A KR20070068552A (ko) 2005-12-27 2005-12-27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61A KR20070068552A (ko) 2005-12-27 2005-12-27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552A true KR20070068552A (ko) 2007-07-02

Family

ID=3850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261A KR20070068552A (ko) 2005-12-27 2005-12-27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5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32B1 (ko) 2015-02-26 2016-06-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블루투스 통신 및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노트북 잠금방법
KR20160103891A (ko)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91A (ko)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KR101632832B1 (ko) 2015-02-26 2016-06-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블루투스 통신 및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노트북 잠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3715A1 (en) Text editing
US20180020090A1 (en) Keyword based message handling
US8799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earching of database content
JP2012522284A (ja) タッチ・ベースのテキスト入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1901534A1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JP2007528037A (ja) ハンドヘルド携帯装置のための音声入力メソッド・エディタのアーキテクチャ
JP2005346252A (ja) 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達方法
US105344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text editing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996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rase replacement
KR101137567B1 (ko)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JP2011147019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11598B1 (ko) 대기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방법
KR100727068B1 (ko) 전자 사전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방법을 채용하는 통신 단말기
KR20070068552A (ko) 음소 조합 입력을 통하여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US92303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7006741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확장키 입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68793A (ko) 모바일 지식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34968B1 (ko)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53211B1 (ko) 키패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508778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화면 처리 방법
KR100504386B1 (ko) 다중 검색어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449399B (zh) 用以產生候選通話對象號碼選單的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