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286A -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286A
KR20070067286A KR1020050128405A KR20050128405A KR20070067286A KR 20070067286 A KR20070067286 A KR 20070067286A KR 1020050128405 A KR1020050128405 A KR 1020050128405A KR 20050128405 A KR20050128405 A KR 20050128405A KR 20070067286 A KR20070067286 A KR 2007006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slide
modu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286A/ko
Publication of KR2007006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바, 슬라이드, 폴더 및 슬라이드와 폴더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를 포함하여 바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여 바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여 바, 폴더, 슬라이드 및 폴더와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하게 각각의 파트를 분리하여 다양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슬라이드 파트,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 INCLUDING DISPLAY PART AND KEY PAD PART}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개인휴대단말기 110:메인 파트
111:메인 접속 커넥터 114:키 패드
115:마이크 116:리시버
120:디스플레이 파트 121: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
124:디스플레이부 130: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132:제1 모듈부 몸체 134:제1 커넥터
136:제2 모듈부 몸체 138:제2 커넥터
140:보호용 캡 141:보호용 홈
142:제4 홈 152:제1 훅
280: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390: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및 회전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은 2개의 슬라이딩 몸체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몸체 각각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 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몸체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1)은 상하로 겹쳐지는 상부 슬라이딩 몸체(20) 및 하부 슬라이딩 몸체(10)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몸체(20, 10) 사이에는 양 몸체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가 개재되어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몸체(10, 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상호 간의 슬라이드 이동(sliding)을 보조할 수 있다. 상부 슬라이딩 몸체(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 게임 방향키(28) 및 게임 버튼(26)이 설치되며, 하부 슬라이딩 몸체(10)의 전면에는 키 입력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은 다른 방식의 개폐구조를 사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최근에 다양한 방식의 개폐구조를 갖는 휴대폰을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오작동 및 연결 구조에 문제가 생겼을 때 휴대폰의 일부분만을 교체하기 어려우며, 교체가 가능하더라도 복잡한 분해 및 조립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또한, 전화, 게임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에 각각 상기 기능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휴대폰이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불가능 하거나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오작동 및 연결 구조에 문제가 생겼을 때 휴대폰의 복잡한 분해 및 조립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일부분만을 교체하기 용이하여 수리 단가를 절감하고 보다 빠른 시간에 수리를 마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개폐구조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에 제공되는 전화 기능, 멀티미디어 감상 및 게임 기능 등을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생동감 있게 사용하기 위하여 개인휴대단말기가 상기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맞는 구조로 변화하기 용이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 게임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에 맞추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원하는 기능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바(bar) 방식만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 방식과 폴더 방식, 바 방식과 슬라이드 방식 및 바 방식, 폴더 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을 모두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 인휴대단말기는 먼저,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를 포함하여 바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여 바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여 바, 폴더, 슬라이드 및 폴더와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를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파트를 분리 및 결합하여 간단하게 다른 개폐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개인휴대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바 방식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를 포함하고,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를 매개로 메인 파트 및 디스플레이 파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파트는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다.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 및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모듈부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 및 디스플레이 파트는 각각 메인 파트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제1 커넥터 및 디스플레이 파트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분리형 폴더모듈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제1 훅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파트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2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2 훅 및 제2 훅에 대응하여 제2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보호용 캡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및 디스플레이 파트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 기 매우 용이하다.
다음으로, 바 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고,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를 매개로 메인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파트는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다.
메인 파트, 슬라이드 파트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 및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모듈부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는 각각 메인 파트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제1 커넥터 및 슬라이드 파트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제3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와 제3 커넥터는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 슬라이드 파트 및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제1 훅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파트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3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3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3 훅 및 제3 훅에 대응하여 제3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3 홈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보호용 캡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 매우 용이하다.
다음으로, 바 방식, 폴더 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고,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를 매개로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보조키 패드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파트는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저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다. 슬라이드 파트는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메인 키 패드가 형성되며,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메인 파트, 슬라이드 파트 및 디스플레이 파트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는 제1 모듈부 몸체, 제2 모듈부 몸체 및 제3 모 듈부 몸체를 포함한다.
제1 모듈부 몸체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2 모듈부 몸체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제3 모듈부 몸체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모듈부 몸체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는 각각 메인 파트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와 제1 커넥터, 디스플레이 파트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및 슬라이드 파트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제3 커넥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제3 커넥터는 분리형 복합모듈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 다스플레이 파트, 슬라이드 파트 및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제1 훅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파트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2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2 훅 및 제2 훅에 대응하여 제2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파트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 하여 제3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3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3 훅 및 제3 훅에 대응하여 제3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3 홈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보호용 캡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디스플레이 파트 및 슬라이드 파트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 매우 용이하다.
다음으로, 바 방식 만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을 포함한다.
메인 파트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 상부에 장착된 리시버, 리시버에 대응하여 하부에 장착된 마이크 및 상면에는 형성된 키 패드를 포함한다. 보호용 캡은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며, 보호용 캡은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별도의 연결장치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hphone System),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 및 GPS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바 방식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메인 파트(110), 디스플레이 파트(120)를 포함하고,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를 매개로 메인 파트(110) 및 디스플레이 파트(1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110)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11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114)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파트(120)는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12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4)가 장착된다.
메인 파트(110), 디스플레이 파트(1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는 제1 모듈부 몸체(132) 및 제2 모듈부 몸체(136)를 포함한다.
제1 모듈부 몸체(132)는 메인 접속 커넥터(11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134)를 포함한다.
제2 모듈부 몸체(136)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12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138)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132)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110) 및 디스플레이 파트(120)는 각각 메인 파트(110)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111)와 제1 커넥터(134) 및 디스플레이 파트(120)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38)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134)와 제2 커넥터(138)는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110), 디스플레이 파트(120) 및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110)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110)에 형성된 제1 훅(152) 및 제1 훅(152)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132)에 형성되는 제1 홈(1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파트(120)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2 훅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파트(120)에 형성된 제2 훅(155) 및 제2 훅(155)에 대응하여 제2 모듈부 몸체(136)에 형성되는 제2 홈(156)을 포함한다.
참고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되며, 제2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고,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각각 슬릿에 대응한 홀로 각각 제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지만, 디스플레이 파트(120)의 저면에는 디스플레이 리시버가 제공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메인 파트(11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115) 및 리시버(116)를 포함한다. 보호용 캡(140)은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130) 및 디스플레이 파트(120)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111)에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보호용 캡(140)은 메인 접속 커넥터(111)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홈(141)이 형성되며, 보호용 홈(141) 안으로 메인 접속 커넥터(111)가 삽입되어 메인 파트(110) 및 보호용 캡(1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110) 및 보호용 캡(140)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보호용 캡(140)의 측면에는 제1 훅(1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4 홈(142)이 형성되어 메인 파트(110)와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바 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200)는 메인 파트(210), 슬라이드 파트(270)를 포함하고,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를 매개로 메인 파트(210) 및 슬라이드 파트(270)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210)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21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214)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파트(270)는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27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274)가 장착된다.
메인 파트(210), 슬라이드 파트(27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는 메인 접속 커넥터(21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284)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282) 및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27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288)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28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모듈부 몸체(286)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파트(210) 및 슬라이드 파트(270)는 각각 메인 파트(210)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211)와 제1 커넥터(284) 및 슬라이드 파트(270)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271)와 제3 커넥터(288)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284)와 제3 커넥터(288)는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210), 슬라이드 파트(270) 및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210)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210)에 형성된 제1 훅(252) 및 제1 훅(252)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282)에 형성되는 제1 홈(253)을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파트(270)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3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3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270)에 형성된 제3 훅(258) 및 제3 훅(258)에 대응하여 제3 모듈부 몸체(286)에 형성되는 제3 홈(259)을 포함한다.
참고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되며, 제3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어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 및 제3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 및 제3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고, 제1 커넥터 및 제3 커넥터는 각각 슬릿에 대응한 홀로 각각 제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트(270)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리시버(273)가 제공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메인 파트(21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215) 및 리시버(216)를 포함한다. 보호용 캡(240)은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280) 및 슬라이드 파트(270)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211)에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보호용 캡(240)은 메인 접속 커넥터(211)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홈(241)이 형성되며, 보호용 홈(241) 안으로 메인 접속 커넥터(211)가 삽입되어 메인 파트(210) 및 보호용 캡(2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210) 및 보호용 캡(240)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보호용 캡(240)의 측면에는 제1 훅(2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4 홈(242)이 형성되어 메인 파트(210)와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6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바 방식, 폴더 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300)는 메인 파트(310), 디스플레이 파트(320) 및 슬라이드 파트(370)를 포함하고,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를 더 포함하여,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를 매개로 메인 파트(310), 디스플레이 파트(320) 및 슬라이드 파트(370)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파트(310)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31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보조 키 패드(314)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파트(320)는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321)를 포함하며, 저면에는 디스플레이부(324)가 장착된다. 슬라이드 파트(370)는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371)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메인 키 패드(373)가 형성되며, 메인 파트(3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메인 파트(310), 슬라이드 파트(370) 및 디스플레이 파트(3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는 제1 모듈부 몸체(391), 제2 모듈부 몸체(393) 및 제3 모듈부 몸체(395)를 포함한다.
제1 모듈부 몸체(391)는 메인 접속 커넥터(31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392)를 포함한다.
제2 모듈부 몸체(393)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32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394)를 가지며 제3 모듈부 몸체(395)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모듈부 몸체(395)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371)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396)를 가지며 제1 모듈부 몸체(39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310), 디스플레이 파트(320) 및 슬라이드 파트(370)는 각각 메인 파트(310)에 제공되는 메인 접속 커넥터(311)와 제1 커넥터(392), 디스플레이 파트(320)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321)와 제2 커넥터(394) 및 슬라이드 파트(370)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371)와 제3 커넥터(396)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1 커넥터(392), 제2 커넥터(394) 및 제3 커넥터(396)는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안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 파트(310), 다스플레이 파트(320), 슬라이드 파트(370) 및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 파트(310)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1 훅 결합부는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352) 및 제1 훅(352)에 대응하여 제1 모듈부 몸체(391)에 형성되는 제1 홈(3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파트(320)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2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2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370)에 형성된 제2 훅(355) 및 제2 훅(355)에 대응하여 제2 모듈부 몸체(393)에 형성되는 제2 홈(356)을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파트(370)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3 훅 결합부가 제공되며, 제3 훅 결합부는 슬라이드 파트(370)에 형성된 제3 훅(358) 및 제3 훅(358)에 대응하여 제3 모듈부 몸체(395)에 형성되는 제3 홈(359)을 포함한다.
참고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되며, 제3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어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 및 제3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간의 연결은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으로 제공하며, 제2 커넥터는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 및 제3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메인 접속 커넥터 및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고, 제1 커넥터 및 제3 커넥터는 각각 슬릿에 대응한 홀로 각각 제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간의 연결은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하며, 제2 커넥터는 슬 릿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트(370)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마이크(374) 및 슬라이드 리시버(372)를 포함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메인 파트(310)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315) 및 리시버(316)를 포함한다. 보호용 캡(340)은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390), 슬라이드 파트(370) 및 디스플레이 파트(320)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311)에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보호용 캡(340)은 메인 접속 커넥터(311)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홈(341)이 형성되며, 보호용 홈(341) 안으로 메인 접속 커넥터(311)가 삽입되어 메인 파트(310) 및 보호용 캡(3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파트(310) 및 보호용 캡(340)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보호용 캡(340)의 측면에는 제1 훅(3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4 홈(342)이 형성되어 메인 파트(310)와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실시예4
바 형식을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을 포함한다.
메인 파트는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 상부에 장착된 리시버, 리시버에 대응하여 하부에 장착된 마이크 및 상면에는 형성된 키 패드를 포함한다. 보호용 캡은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며, 보호용 캡은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별도의 연결장치 대신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 파트에 형성된 훅 및 훅에 대응하여 보호용 몸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훅 결합부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은 제1 실시예의 메인 파트(110) 및 보호용 캡(140)과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메인 파트 및 보호용 캡의 도면과 설명은 제1 실시예의 메인 파트(110) 및 보호용 캡(140)에 관한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기능, 멀티미디어 감상 및 게임 기능 등에 가장 적합한 구조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생동감 있게 상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방식의 개폐구조를 사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오작동 및 연결 구조에 문제가 생겼을 때 휴대폰의 복잡한 분해 및 조립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일부분만을 교체하기 용이하여 수리 단가를 절감하고 보다 빠른 시간에 수리를 마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 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가 형성되는 메인 파트;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저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1 모듈부 몸체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모듈부 몸체를 포함하는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 캡은 상기 분리형 폴더모듈 파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대신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상기 제1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모듈부 몸 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훅 결합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파트에 형성된 제2 훅 및 상기 제2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제2 훅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의 저면에는 디스플레이 리시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하여 홀로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7.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키 패드가 형성되는 메인 파트;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저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트; 및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1 모듈부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모듈부 몸체를 포함하는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 캡은 상기 분리형 슬라이드모듈 파트 및 상기 슬라이드 파트 대신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상기 제1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훅 결합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3 훅 및 상기 제3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3 홈을 포함하는 제3 훅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트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리시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하여 홀로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3.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면에는 보조 키 패드가 형성되는 메인 파트;
    일단부에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상면에는 메인 키 패드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파트;
    일단부에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며, 저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파트; 및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모듈부 몸체,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1 모듈부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모듈부 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모듈부 몸체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모듈부 몸체를 포함하는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트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및 리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 캡은 상기 분리형 복합모듈 파트, 상기 슬라이드 파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트 대신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메인 파트에 형성된 제1 훅 및 상기 제1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제1 훅 결합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파트에 형성된 제2 훅 및 상기 제2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제2 훅 결합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파트에 형성된 제3 훅 및 상기 제3 훅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모듈부 몸체에 형성되는 제3 홈을 포함하는 제3 훅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트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마이크 및 슬라이드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하여 홀로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접속 커넥터는 슬릿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슬릿에 대응한 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9. 일단부에 메인 접속 커넥터, 상부에 장착된 리시버, 상기 리시버에 대응하여 하부에 장착된 마이크 및 상면에는 형성된 키 패드를 포함하는 메인 파트; 및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는 보호용 캡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 캡은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별도의 연결장치 대신 상기 메인 접속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메인 파트에 형성된 훅 및 상기 훅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용 몸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훅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50128405A 2005-12-23 2005-12-23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67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05A KR20070067286A (ko) 2005-12-23 2005-12-23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05A KR20070067286A (ko) 2005-12-23 2005-12-23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286A true KR20070067286A (ko) 2007-06-28

Family

ID=3836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405A KR20070067286A (ko) 2005-12-23 2005-12-23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2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164B1 (ko) * 2010-04-27 2012-01-02 김홍국 듀얼 힌지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164B1 (ko) * 2010-04-27 2012-01-02 김홍국 듀얼 힌지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093B1 (ko)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US7532916B2 (en) Slide-type portable terminal using flexible material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516622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US917331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cradle apparatus thereof
US740090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594290B1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EP1835704A2 (en) Wrist wearable type portable terminal
US20080088489A1 (en) Key input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2007000447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KR100754605B1 (ko)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70067286A (ko)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100696317B1 (ko)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200408470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50128A (ko) 슬라이드 파트 및 스윙 파트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02598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01676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100688297B1 (ko) 슬라이드 방식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728934B1 (ko)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CN201708840U (zh) 便携式终端
KR100793139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200412898Y1 (ko) 회전식 버튼 및 회전식 버튼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0395857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1764428B1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