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476A - 건축용 단열/차음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476A
KR20070066476A KR1020050127701A KR20050127701A KR20070066476A KR 20070066476 A KR20070066476 A KR 20070066476A KR 1020050127701 A KR1020050127701 A KR 1020050127701A KR 20050127701 A KR20050127701 A KR 20050127701A KR 20070066476 A KR20070066476 A KR 2007006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insulation
sound
heat insulating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유재민
김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2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476A/ko
Publication of KR2007006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5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 E04B1/765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 E04B1/766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comprising fiber blankets or bat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및 차음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단열/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의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가 충전된 팩 형태의 건축용 단열/차음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충전된 단열/차음 재료(20)를 구획하는 접합부(3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접어짐, 말림이 자유로워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접착제 등의 혼합공정 없이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의 충전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제조가 간단하고, 입자상의 단열/차음 재료(20)를 상호 고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갖는다.
건축, 단열, 차음, 팩, 발포질석, 발포진주암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차음재 {ADIABATIC/SOUNDPROOF MATERIAL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평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단열/차음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발포 질석의 입자의 확대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예시적인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팩 10' : 유니트팩
12, 14 : 유연성 부재 20 : 단열/차음 재료
30 : 접합부 50 : 조립식 판넬
52 : 금속 성형체 54 : 끼움홈
56 : 끼움돌기
본 발명은 건축분야에서 단열 및 차음을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 팩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를 충전하여 유연성을 갖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제조가 간단하고, 친환경적인 건축용 단열/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 및 차음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로는 무기섬유, 유기섬유, 합성수지폼 등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는 대략 구형인 알갱이가 밀집된 구조를 가지는 스티로폼이 많이 사용되며, 이는 주로 두 개의 금속 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샌드위치 판넬(panel)의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글래스울, 암면, 스카이비바 등의 섬유 계열로 보드와 함께 시공시 부착되는 제품이 있다. 이러한 제품은 단열성 및 차음성이 좋고, 경량성을 가짐에 따라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폼의 경우 그 재질 및 발포 구조의 특성상 열에 매우 취약한 결점을 가지며, 무엇보다 유연성이 없어 판넬 형태의 제품에만 적용되어 사용상의 제약이 많다. 그리고 무기섬유의 경우 열저항성은 우수하지만 시공시 인체에 파고들어 따끔거리는 증상을 일으키는 등 취급에 있어서 불편함이 크다.
이에 따라, 경량이면서 불연성인 발포 광석 입자를 단열 및 차음 재료로 이용한 건축용 패널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36361호에서는 발포 경량화한 진주암과 질석입자들을 주원료로 하여, 무기 또는 유기 접착제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서랍형의 구조로 패널구조물 내부에 충진하여 경화, 건조하고, 개구부를 덮어, 폐쇄한 다음,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불연 건축용 패널이 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에는 불연성의 발포 광석 입자를 단열 및 차음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서, 접착제에 혼합한 다음 경화, 고착시킨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역시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유연성이 없어 판 형태의 성형체로만 적용되어 사용상의 제약이 많으며, 이는 또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환경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건축용 단열/차음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연성을 갖는 팩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제조가 간단하고,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친환경적인 건축용 단열/차음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의 팩 내부에 단열/차음 재 료가 충전된 팩 형태의 건축용 단열/차음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충전된 단열/차음 재료를 적정량씩 구획하여 단열/차음 재료가 한쪽으로 뭉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접합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 형태로서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다. 또한,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단열/차음 재료들을 고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사용이 배제되어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평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단열/차음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발포 질석 입자의 확대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종래의 판상의 성형체 형태를 탈피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유연성을 가지는 팩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유연성의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가 충전되어 구성된다.
상기 팩(10)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 연성과 함께 준불연성을 갖는 것이면 더욱 좋다. 이러한 팩(10)은 유연성 부재(12)(14)로부터 제작되며, 예를 들어 플렉시블(flexible)한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 유리섬유 시트, 광물섬유 시트 및 종이섬유 시트 등의 유연성 부재(12)(14)로부터 선택된 1장 또는 2장 이상이 적층되어 팩 형태로 가공,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과 함께 준불연성을 갖는 것으로서, 유리나 광물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 무기질섬유 시트, 종이나 고분자 섬유 시트, 유기질섬유 시트 등 부직포 타입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나열된 유연성 부재(12)(14)의 적어도 한 면에 불연성 무기분말이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열/차음 재료(20)는 단열 및/또는 차음 성능을 가지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차음 재료(20)는 유리 또는 광물 섬유가닥이 집합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섬유집합체, 그리고 합성수지폼 입자나 발포 광석 입자와 같이 팩(10) 내부에서 유동이 자유로운 입자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섬유집합체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유리섬유, 광물섬유 등의 섬유가닥이 밀집된 집합체가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며, 상기 합성수지폼 입자는 폴리스티렌폼, 폴리우레탄폼 등의 합성수지폼을 분쇄한 입자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발포 광석 입자는 발포 진주암이나 발포 질석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폼 입자, 폴리우레탄폼 입자 및 발포 광석(진주암, 질석 등) 입자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진 분말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취 효과와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불연성을 가지는 발포 질석 입자가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단열/차음 재료(20)로 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포 질석 입자의 확대 사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유연성의 팩(10) 내부에 변형이 자유로운 단열/차음 재료(20)가 충전되어 외력에 의해 자유자재로 변형된다. 이때, 단열/차음 재료(20)로서 섬유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섬유집합체의 수축력에 의해 유연성(외력에 의한 자유로운 변형성)을 가지며, 단열/차음 재료(20)로서 합성수지폼 입자 또는 발포 광석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입자들이 상호 고착되지 않고 팩(20)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어 유연성(외력에 의한 자유로운 변형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접어짐, 말림(rolling)이 자유로워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요구되는 건축제품(판넬 등)이나 시공 현장에서 직접 팩킹(packing)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10) 내부에 충전된 단열/차음 재료(20)를 적정량씩 구획하는 접합부(30)가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합부(30)는 팩(10)을 구성하는 유연성의 상부 부재(12)와 하부 부재(14)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합시킨 부분으로서, 이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융착 또는 재봉(sewing)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30)는 팩(10)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그리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접합부(30)의 형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다수의 유니트팩(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30)는 단열/차음 재료(20)를 적정량씩 구획하여 단열/차음 재료(20)가 한쪽으로 뭉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30)는 절단 사용을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합부(30)는 이의 절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사이즈(size)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시공 현장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구멍과 같은 협소한 부분에도 단열성 및 차음성을 요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접합부(30)의 절단에 의해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예시적인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먼저 유연성 부재(12)(14)를 상단이 개봉된 팩(10) 형태로 가공한 다음, 그 내부에 적정량의 단열/차음 재료(20)를 충전한 후, 재봉, 접착제 또는 열융착(열선 가압) 등의 방법으로 접합부(30)를 형성시키고, 다시 위와 같은 과정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유니트팩(10')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에서는 포장지 제조분야의 자동포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접합부(30) 형성공정과 단열/차음 재료(20) 충전공정으로 교호로 반복하지 않고,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를 모두 충전한 후, 팩(10)의 개봉 부분을 밀봉한 상태에서 재봉 등의 방법으로 접합부(30)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는 조립식 패널(50)에 사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차음재는 압출 성형된 금속 성형체(52)의 내부에 팩킹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조립식 판넬(50)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 부호 54와 56은 판넬(50)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조로서, 54는 끼움홈이고, 56은 끼움돌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접어짐, 말림이 자유로워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 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접착제 등의 혼합공정이나 판상으로의 성형공정 등이 필요치 않고,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의 충전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제조가 간단하고, 입자상의 단열/차음 재료(20)를 상호 고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접합부(30)가 형성된 경우 절단에 의해 시공현장에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공 시 분진 발생이 없는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단열/차음 재료(20)로서 유리섬유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그 시공과정(절단 등)에서 분진(유리 가루)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서는 팩(10)에 의해 감싸져 있고, 접합부(30)가 절단됨에 따라 분진 발생이 없다.

Claims (5)

  1. 건축용 단열/차음재에 있어서,
    유연성의 팩(10) 내부에 단열/차음 재료(20)가 충전된 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단열/차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차음재는, 내부에 충전된 단열/차음 재료(20)를 구획하는 접합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차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의 팩(10)은 유리섬유 시트, 광물섬유 시트 또는 종이섬유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차음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차음 재료(20)는 섬유집합체, 합성수지폼 입자 또는 발포 광석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차음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차음 재료(20)는 폴리스티렌폼 입자, 폴리우레탄폼 입자, 발포 진주암 입자 및 발포 질석 입자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차음재.
KR1020050127701A 2005-12-22 2005-12-22 건축용 단열/차음재 KR20070066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01A KR20070066476A (ko) 2005-12-22 2005-12-22 건축용 단열/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01A KR20070066476A (ko) 2005-12-22 2005-12-22 건축용 단열/차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76A true KR20070066476A (ko) 2007-06-27

Family

ID=3836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701A KR20070066476A (ko) 2005-12-22 2005-12-22 건축용 단열/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4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728A2 (ko) * 2010-02-09 2011-08-18 Yoon Se-Gyun 폐석회석 미분을 이용한 층간 차음 및 단열제
KR101066928B1 (ko) * 2008-12-17 2011-09-22 황국현 차음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의 벽체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28B1 (ko) * 2008-12-17 2011-09-22 황국현 차음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의 벽체구조.
WO2011099728A2 (ko) * 2010-02-09 2011-08-18 Yoon Se-Gyun 폐석회석 미분을 이용한 층간 차음 및 단열제
WO2011099728A3 (ko) * 2010-02-09 2011-12-29 Yoon Se-Gyun 폐석회석 미분을 이용한 층간 차음 및 단열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886B2 (en) Performance enhancing underlayment, underlayment assembly, and method
US9103115B2 (en) Sheet-like finishing element
US6205728B1 (en) Laminated composite building component
EP2015924B1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 sandwich structure with a high load-bearing capacity
MXPA02010390A (es) Mejoras a edificios modulares, elementos de construccion, metodos y materiales para los mismos.
US1144795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insulation
CA2413823A1 (en) Drainage mat and mortar blocker
KR960702880A (ko) 건축 자재(Building Component)
EP1203127B1 (en) Ceiling system with replacement panels
US1172710A (en) Insulating-block for building purposes.
US20080230169A1 (en) Housing created from high strength expanded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with cementitious reinforcement
WO2019083910A1 (en) ACOUSTIC SANDWICH PANEL INSULATOR
KR20070066476A (ko) 건축용 단열/차음재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SK50292011U1 (sk) Panel s bunkovou štruktúrou
EP3042003B1 (en) Building element with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and intermediate core having two different materials
KR200446774Y1 (ko) 흡음재를 일체로 접합 구성한 실내마감재
KR101981619B1 (ko) 플라스틱 골판지의 제조방법
JP4309899B2 (ja) 鉄骨柱等の外側目地用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構造
JP7100490B2 (ja) 突起付透湿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外壁構造体および施工方法
CZ21326U1 (cs) Panel s buněčnou strukturou
KR200311253Y1 (ko) 건축용 복합패널
JP5817013B1 (ja) 蛇腹接合ハニカム杯体
KR101302304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CA2845263A1 (en) Constructio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4

Effective date: 20081229